KR20040108550A - 토션레이스기 - Google Patents

토션레이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550A
KR20040108550A KR1020040033313A KR20040033313A KR20040108550A KR 20040108550 A KR20040108550 A KR 20040108550A KR 1020040033313 A KR1020040033313 A KR 1020040033313A KR 20040033313 A KR20040033313 A KR 20040033313A KR 20040108550 A KR20040108550 A KR 2004010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cam
vertical axis
shaft
roto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024B1 (ko
Inventor
미치히로 이치카와
다케오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치가와 텟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치가와 텟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치가와 텟코
Publication of KR2004010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24Devices for controlling spool carriers to obtain patterns, e.g. devices on guides or track plat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38Driving-gear; Starting or stop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스핀들러너(보빈)를 이동시키는 로터메탈의 정·역회전을 기계적으로 자유자재로 교환구동할 수 있도록 한 토션레이스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는, 고정축(10)에 지지되어 로터메탈(1)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수직축 (11)과, 수직축(1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슬라이드위치에 의해서 수직축(11)을 중립으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구동할 수 있는 구동축(12)과, 구동축(12)을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18)과,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18)이 구동축(12)을, 수직축(11)에 대하여 중립위치에 유지하였을 때에 로터메탈(1)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28)을 구비하여, 각 로터메탈(1)의 정·역회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고, 하나의 스핀들러너(5)를 몇 스텝 전의 원하는 위치까지 짧은 행정으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고, 무늬가 돋을 무늬 조직이나 자루뜨기 조직 등의 복잡한 무늬의 레이스제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토션레이스기{TORCHON LACE MACHINE}
본 발명은, 스핀들러너(보빈)를 이동시키는 로터메탈의 정역(正逆)회전을 기계적으로 자유자재로 교환구동할 수 있도록 한 토션레이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토션레이스기는, 만(灣)부가 마주하도록 동일원상에 배치되어, 만부 사이에 스핀들러너를 개재시킨 각 로터메탈은 인접사이에서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에서는 회전방향이 반대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制約) 내에서 어떤 하나의 로터메탈이, 인접하는 두개의 로터메탈의 만부사이에서 180°회전하면, 그 회전에 관한 로터메탈의 양 날개에 있는 스핀들러너는 교대하도록 1스텝 이동한다.
스핀들러너의 이동을 몇 스텝 연속하여 행하게 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a의 위치에 있는 하나의 스핀들러너(S)는, 제 1 로터메탈(A)이 오른쪽방향(화살표)으로 180°회전함으로써 파선의 궤적(바깥으로 회전)을 통과하여 1스텝 이동하여 a'의 위치가 된다. 이 경우, 원래 a'의 위치에 있던 스핀들러너(S')는 a의 위치에 교환하여 이동한다.
이어서, 제 2 로터메탈(B)이 제약에 따라서 왼쪽방향으로 180°회전하면 스핀들러너(S)는, a'의 위치로부터 1점 쇄선의 궤적(안으로 회전)을 통과하여 1스텝 이동하여 b의 위치가 된다. 계속해서 제약에 따라서 제 3 로터메탈(C)이 오른쪽방향으로 180°회전하면 b의 위치로부터 파선의 궤적(바깥으로 회전)을 통과하여 1스텝 이동하여 c의 위치가 되는 바와 같이 순차 반복된다.
그러나, 종래의 토션 레이스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로터메탈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하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스핀들러너는, 우회전의 로터메탈에서 1스텝 이동하고, 그 다음에는 좌회전의 로털메탈에서 1스텝 이동하는 바와 같이, 바깥회전라인과 안쪽회전라인을 교대로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원하는 스핀들러너를 몇 스텝 앞의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데 행정(行程)이 길어져서, 시간이 걸렸다.
(2) 하나의 스핀들러너의 이동 전에 있는 스핀들러너는 교환적으로 이동하는 관계에서, 모든 스핀들러너의 스핀들에 보빈이 탑재되어 있으면, 반드시, 인접하는 보빈으로부터 끌어내어진 실끼리가 레이스 형상부에서 서로 얽혀버려, 예를 들면 바탕뜨기부에 돋을 무늬를 편성시킬 때는, 그 돋을 무늬를 편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실의 개수 분만큼 스핀들러너를 빈 공간으로 하여(스핀들로부터 보빈을 떼어 둔다) 두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에 감안하여, 모든 스핀들러너에 보빈을 탑재하고 있더라도 다른 실에 얽히지 않고, 원하는 스핀들러너를 몇 스텝 앞의 목적하는 위치까지 짧은 행정으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바탕뜨기부에 돋을 무늬를 형성하거나 자루뜨기 등을 자유자재로 편성할 수 있는 간이한 구조의 토션레이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는, 고정축에 지지되어 로터메탈과 일체 회전할 수 있는 수직축과, 수직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슬라이드위치에 의해서 수직축을 중립으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할 수 있는 구동축과, 구동축을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과,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이 구동축을 수직축에 대하여 중립위치에 유지하였을 때에 로터메탈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여, 각 로터메탈의 정역(正逆)회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에 의하면, 인접하는 로터메탈은 잇달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스핀들러너를, 예를 들면, 우회전, 우회전…, 혹은 좌회전, 좌회전…, 과 같이 바깥쪽 회전라인 혹은 안쪽 회전라인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스핀들러너에 보빈을 탑재하고 있더라도 다른 실에 얽히지 않고서 원하는 스핀들러너를 몇 스텝 전의 원하는 위치까지 짧은 행정으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돋을 무늬조직이나 자루뜨기 조직 등의 복잡한 무늬레이스제작이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에서는, 수직축이 우산톱니바퀴를 일체로 구비한 것, 구동축이 수직축의 우산톱니바퀴를 끼우고 대치(對峙)시켜, 180°각도의 범위에서 톱니가 빠져 있는 2개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구동축의 슬라이드위치에 의해서 수직축의 우산톱니바퀴로부터 구동축의 2개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를 이반시키거나, 수직축의 우산톱니바퀴에 구동축의 2개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를 교환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로터메탈의 정역구동을 정확하고 또한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에서는,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이, 구동축의 일끝단부에 고정한 입체 캠과, 입체 캠의 폭 방향의 중앙에 회전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홈 캠의 좁은 부분에 작용하여 구동축을 중립점에 슬라이드시키는 고정 캠 플로어와, 입체 캠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작용하여 구동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에 슬라이드시키는 2개의 출몰 캠 플로어와, 출몰 캠 플로어를 각각 통전시에 복귀용수철에 저항하여 작용영역으로 돌출시키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고, 구동축의 슬라이드위치를, 캠에 의한 기계적인 제어와, 솔레노이드에 의한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정확히 선택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하면, 구동축의 슬라이드위치를, 캠에 의한 기계적인 제어와, 솔레노이드에 의한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정확히 선택제어를 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에서는, 스토퍼수단이, 용수철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서 평상시는 로터메탈의 손톱편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포크부재와, 구동축에 고정·부착되어 구동축이 수직축에 대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까지 슬라이드한 타이밍에서 포크부재를 용수철에 저항하여 밀어 올리는 편심 캠으로 이루어지고, 로터메탈의 180°마다의 회전·정지의 타이밍이 항상 정확히 취해지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로터메탈의 180°마다의 회전·정지의 타이밍이 항상 정확히 취해진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메탈과 스핀들 러너와의 배치위치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메탈의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힘을 가하는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스토퍼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메탈의 구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고, (a)는 수직축에 대하여 구동축을 중립위치에 유지한 도면, (b)는 수직축에 대하여 구동축을 구동위치에 유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힘을 가하는 수단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메탈의 작용과 스핀들 러너의 이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터메탈 1' : 축부
12 : 만부 3 : 반도부
4L : 안쪽고리형상 가이드판 4' : 바깥족 고리형상 가이드판
5 : 스핀들 러너 6 : 보빈
7 : 실 8 : 손톱편
9 : 기초대 9' : 내벽
9" : 외벽 10 : 고정축
11 : 수직축 12 : 고정축
13 : 투과구멍 14 : 구동기어
15 ; 슬라이드 연결부 16 : 수직축의 우산톱니바퀴
17, 17' :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 18 : 슬라이드 힘을 가하는 수단
19 : 입체 캡 L ; 입체 캠의 왼쪽 가장자리
R : 입체 캠의 오른쪽 가장자리 20 : 홈 캠
21 : 고정 캠플로어 22, 22' : 출몰 캠플로어
23 : 복귀스프링 24, 24' : 솔레노이드
P : 솔레노이드의 플런저 25 : 연장대
26 : 고정수단 27 : 가장자리대
28 : 스토퍼수단 29 : 용수철
30 : 포크부재 31 : 편심 캠
32 : 샤프트 33 : 구동롤러
34 : 볼록 리브 35 : 외부커버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6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메탈과 스핀들러너와의 배치위치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메탈의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스토퍼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메탈의 구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고, (a)는 수직축에 대하여 구동축을 중립위치에 유지한 도면, (b)는 수직축에 대하여 구동축을 구동위치에 유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로터메탈(1)은, 도 1, 도 2와 같이, 평면원호형상의 만(灣)부(2, 2)와 반도(半島)부(3, 3)를 등을 맞대도록 구비한 위 날밑을 갖고 있는 것이고, 안쪽고리형상 가이드판(4)과 바깥쪽 고리형상 가이드판(4')과의 사이에 연속 원호 홈 내에 만부 (2, 2)가 마주 보는 모양으로 다수 개(예를 들면, 64개, 96개 등이 있다)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로터메탈(1)의 만부(2, 2)사이에는, 보빈탑재부재 (5')를 갖는 배(舟) 형상의 스핀들러너(5)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메탈(1)은 이것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로터메탈(1, 1)의 만부(2, 2)내에서 180°회전하고, 그 회전에 있어서 로터메탈(1)의 양 옆의 만부(2, 2)에 있는 스핀들러너(5, 5)를 좌우 교체하는 모양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이 작동에 의해 스핀들러너(5, 5)의 보빈탑재부재(5')에, 도 2와 같이, 각각 보빈(6)이 탑재되어 있을 때는, 끌어내어진 실(7)끼리는 레이스형성부(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서로 얽혀 레이스 편지(編地)를 형성하는 것이 된다.
로터메탈(1)의 축부(a')는, 도 2와 같이, 중공으로서, 그 하부에는 위 날밑의 반도부(3, 3)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한 손톱편(8, 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손톱편(8, 8)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수철(29)의 작용으로 하강한 포크부재(30)의 하면오목부가 덮어 씌워져(걸어맞춤되어), 이에 따라 로터메탈(1)은 반드시 180°의 회전각도로써 정지하게 되어 있다.
로터메탈(1')의 기초대(9)에 세워 설치한 고정축(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수직축(11)의 상단측에 일체로 연계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일체로 연계된다'란 로터메탈(1)과 수직축(11)이 1개의 성형물이더라도, 별개로 성형하여 연계부재를 통해 연계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기초대(9)의 내외벽 (9', 9")사이에는 수직축(1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축(12)이 수평방향으로 끼워 삽입관통축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축(12)은 수직축(11)을 지지한 고정축 (10)의 기초부측에 설치한 통과구멍(13)을 관통하고 있다.
구동축(12)은 기초대(9)의 내벽(9')의 밖의 축끝단에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연계회전을 받는 구동기어(14)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기어(14)는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맞물리더라도 좋고 맞물리지 않더라도 좋다. 한편, 구동축(12)은 기초대(9)의 내벽(9')측에 대해서 외벽(9")측을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연결부(1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연결부(15)는, 구동기어 (14)로부터 전달되는 내벽(9')측의 구동축(12)의 회전을, 외벽(9")측의 구동축(12)에 전달하는 기능과, 외벽(9")측의 구동축(12)을 자유자재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그 구조는 상관없다. 또, 이후, 단순히 '구동축'이라고 할 때는 슬라이드측의 구동축{외벽(9")측의 구동축}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수직축(11)의 하단부에는 우산톱니바퀴(16)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구동축(12)에는, 수직축(11)의 우산톱니바퀴(16)를 그 사이에 끼우고 대치(對峙)하는, 각각 180°각도의 범위에서 톱니가 빠진(180°각도의 범위에 톱니를 갖고 있다) 것으로 되어 있는 2개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 17')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들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 17')는, 구동축(12)의 슬라이드위치에 의해서 수직축(11)의 우산톱니바퀴(16)에 대하여 동시에 이반(중립상태)하거나, 수직축(11)의 우산톱니바퀴(16)에 교환적으로 맞물림(구동상태)하기도 한다. 바꾸어 말하면, 구동축(12)의 슬라이드위치에 의해 수직축(11) 및 로터메탈(1)을 정·역회전을 교환적으로 자유자재로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동축(12)의 슬라이드위치의 선택은,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18)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18)은, 도 3과 같이, 구동축(12)의 바깥쪽 끝단에 고정한 입체 캠(19)과, 입체 캠(19)의 폭 방향의 중앙에 회전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홈 캠(20)의 좁은 부분(20')에 작용하여 구동축(12)을 중립위치{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 17')가 우산톱니바퀴(16)에 대하여 동시에 이반하고 있는 상태}에 유지하는 고정 캠플로어(21)와, 입체 캠(19)의 폭 방향의 좌우 가장자리(L 또는 R)에 각각 작용하여 구동축(1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 17')의 한 쪽이 우산톱니바퀴(16)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 유지하는 2개의 출몰 캠플로어(22, 22')와, 출몰 캠플로어(22, 22')를 각각 통전시에 복귀용수철(23)에 저항하여 작용영역에 돌출시키는 솔레노이드(24, 24)로 이루어진다.
고정 캠플로어(21)는, 기초대(9)의 외벽(9")의 하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연장대(25)의 표면에 설치되어, 입체 캠(19)의 홈 캠(20)의 좁은 부분(20')에 작용하여, 도 2와 같이, 입체 캠(19) 내지 구동축(12)을 중립위치에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2개의 솔레노이드(24, 24')는, 기초대(9)의 외벽(9")의 상부에 기단(基端)측을 고정수단(26)으로써 고정한 가장자리대(27)에 플런저(P)가 아래쪽이 되도록 나란히 설치되고, 그리고 각 플런저(P)의 선단에, 출몰 캠플로어(22, 22')를 축지지하고 있다. 또, 2개의 솔레노이드(24, 24')는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것은 물론, 플런저(P)는 통전시에는 돌출하고, 비통전시는 복귀용수철(23)의 용수철힘에 의해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출몰 캠플로어(22, 22')는, 입체 캠(19)의 폭이 넓어진 좌우 가장자리(L 또는 R)가, 도 5(a)와 같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한 시점에서, 솔레노이드(24, 24')의 한쪽으로의 통전(通電)에 의해 작용위치까지 돌출한다. 지금, 한쪽의 솔레노이드(24)가 작동하여 출몰 캠플로어(22)가, 도 5(b)와 같이 돌출하면, 입체 캠 (19)의 폭이 넓어진 왼쪽 가장자리(L)에 작용하고, 입체 캠(19)을 구동축(12)과 동시에 오른쪽(화살표 S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구동축(12)에 고정한 한쪽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를 수직축(11)의 우산톱니바퀴(16)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 된다. 이에 따라 수직축(11) 및 로터메탈(1)은 일정방향(정회전 혹은 역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구동축(12)이 중립위치에 있을 때, 다른 쪽의 솔레노이드(24')로의 통전을 하면, 출몰 캠플로어(22')가 입체 캠(19)의 폭이 넓어진 오른쪽 가장자리(R)의 작용영역에 돌출하고, 입체 캠(19)을 구동축(12)과 동시에 왼쪽(파선 화살표 S'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구동축(12)에 고정한 다른 쪽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가 수직축(11)의 우산톱니바퀴(16)에 맞물려, 수직축(11) 및 로터메탈(1)을 작동상태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 캠플로어(21)가 구동축(12)을 중립위치로 하게 한 시점을 출발점으로 하여 2개의 솔레노이드(24, 24')의 어느 한쪽으로 통전시킬 것인가를 선택함으로써, 로터메탈(1)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교환적으로 자유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축(12)이 상술한 바와 같이 중립위치로 슬라이드하여, 그 위치에 유지된 타이밍에서, 로터메탈(1)은 스토퍼수단(28)의 작용으로써 정확히 180°회전한 시점에서 강제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토퍼수단(28)은, 도 4와 같이, 용수철 (29)의 용수철힘에 의해 하강하였을 때에 아래면 오목부를 로터메탈(1)의 손톱편 (8, 8)에 덮어씌우는(걸어맞춤하는) 포크부재(30)와, 포크부재(30)를 용수철(29)에 저항하여 위로 이동시키는 편심 캠(31)으로 이루어진다. 편심 캠(31)의 윗면에는, 바깥쪽 고리형상 가이드판(4')을 연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여, 포크부재(30')를 유지(고정부착)한 샤프트(32)의 하단에 축지지한 전동롤러(33)가 미끄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샤프트(32)는 편심 캠(31)의 큰 지름부의 작용에 의해 용수철(29)에 저항하여 밀어 올려지고, 포크부재(30)의 아래면 오목부를 로터메탈 (1)의 손톱편(8, 8)으로부터 이반(걸어맞춤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편심 캠(31)이 샤프트(32)의 전동롤러(33)를 밀어 올리는 타이밍은, 구동축 (12)이 수직축(11)에 대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가 되었을 때이다. 이 편심 캠(31)에 의해 샤프트(32)의 전동롤러(33)를 밀어 올린 상태에서는, 구동축(12)에 고정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 17') 중 어느 한 쪽이, 반드시 수직축(11)의 우산톱니바퀴(16)에 맞물리고 있다. 이 맞물림 상태는 전동롤러(33)가 편심 캠(31)의 큰 지름부에서 밀어 올려지고 있는 시간영역에서는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편심 캠(31)의 큰 지름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볼록 리브(34, 34)가 병행하여 설치되어, 전동롤러(33)가 맞물림 해제방향에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5(b)는 전동롤러(33)가 볼록 리브 (34)에 안쪽으로부터 접촉하여 우산톱니바퀴(16)와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17)와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만부가 마주하도록 동일원상에 배치된 로터메탈(1)사이에 개재시킨 스핀들러너(5)는, 로터메탈(1)이 좌우에 자유자재로 180°마다 회전하기 때문에, 순차로, 행하여지는 로터메탈(1)의 오른쪽 방향만큼, 혹은 왼쪽 방향만큼의 회전으로 이동시켜지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원하는 스핀들러너(5)를몇 스텝 전의 목적하는 위치까지 다른 실에 얽히지 않고서 재빨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탕뜨기부에 돋을 무늬를 편성시키는 것이, 모든 스핀들러너(5)의 스핀들에 보빈(6)을 탑재하고 있더라도 가능하다.
또,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18)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24, 24')는, 도 6과 같이, 기초대(9)에, 플런저가 위쪽이 되도록 병렬하여 설치하고, 그리고 각 플런저의 선단에 출몰 캠플로어(22, 22')를 축지지시켜, 구동축 (12)의 바깥쪽 끝단에 고정한 입체 캠(19)에 작용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기초대(9)의 아래쪽 공간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24, 24')로의 통전을 위한 배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터메탈(1)의 스토퍼수단(28)을 구성하는 편심 캠(31)을, 도 6과 같이 기초대(9)의 외벽의 바깥쪽{입체 캠(19)의 근방}의 구동축(12)에 설치하여, 편심 캠(31) 및 입체 캠(19)을 포함하는 주변기구를 개폐가 자유로운 외부커버(35)로 덮어두면, 타이밍조정 등의 작업이, 외부커버(35)를 여는 것에 따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에 의하면, 인접하는 로터메탈은 잇달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스핀들러너를, 예를 들면, 우회전, 우회전…, 혹은 좌회전, 좌회전…, 과 같이 바깥쪽 회전라인 혹은 안쪽 회전라인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스핀들러너에 보빈을 탑재하고 있더라도 다른 실에 얽히지 않고서 원하는 스핀들러너를 몇 스텝 전의 원하는 위치까지 짧은 행정으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돋을 무늬조직이나 자루뜨기 조직 등의 복잡한 무늬레이스제작이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토션레이스기에서는,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이, 구동축의 일끝단부에 고정한 입체 캠과, 입체 캠의 폭 방향의 중앙에 회전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홈 캠의 좁은 부분에 작용하여 구동축을 중립점에 슬라이드시키는 고정 캠 플로어와, 입체 캠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작용하여 구동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에 슬라이드시키는 2개의 출몰 캠 플로어와, 출몰 캠 플로어를 각각 통전시에 복귀용수철에 저항하여 작용영역으로 돌출시키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고, 구동축의 슬라이드위치를, 캠에 의한 기계적인 제어와, 솔레노이드에 의한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정확히 선택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Claims (5)

  1. 고정축에 지지되어 로터메탈과 일체 회전할 수 있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슬라이드위치에 의해서 수직축을 중립으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할 수 있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이 상기 구동축을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중립위치에 유지하였을 때에 상기 로터메탈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레이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이 우산톱니바퀴를 일체로 구비한 것, 상기 구동축이 상기 수직축의 우산톱니바퀴를 그 사이에 끼우고 대치되어 180°각의 범위에서 톱니가 빠져 있는 2개의 사이가 빈 우산톱니바퀴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레이스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수단이, 상기 구동축의 일끝단부에 고정한 입체 캠과, 상기 입체 캠의 폭 방향의 중앙에 회전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홈 캠의 좁은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구동축을 중립점에 슬라이드시키는 고정 캠플로어와, 상기 입체 캠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작용하여 구동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에 슬라이드시키는 2개의 출몰 캠플로어와, 상기 출몰캠플로어를 각각 통전시에 복귀용수철에 저항하여 작용영역에 돌출시키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레이스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이, 용수철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서 평상시는 상기 로터메탈의 손톱편에 걸어맞춤 하고 있는 포크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고착되고 해당 구동축이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까지 슬라이드한 타이밍에서 상기 포크부재를 상기 용수철에 저항하여 밀어 올리는 편심 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레이스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이, 용수철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서 평상시는 상기 로터메탈의 손톱편에 걸어맞춤 하고 있는 포크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고착되고 해당 구동축이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위치까지 슬라이드한 타이밍에서 상기 포크부재를 상기 용수철에 저항하여 밀어 올리는 편심 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레이스기.
KR10-2004-0033313A 2003-06-10 2004-05-12 토션레이스기 KR100540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5745 2003-06-10
JP2003165745A JP4106308B2 (ja) 2003-06-10 2003-06-10 トーションレース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550A true KR20040108550A (ko) 2004-12-24
KR100540024B1 KR100540024B1 (ko) 2005-12-29

Family

ID=3329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313A KR100540024B1 (ko) 2003-06-10 2004-05-12 토션레이스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86601B1 (ko)
JP (1) JP4106308B2 (ko)
KR (1) KR100540024B1 (ko)
CN (1) CN100422418C (ko)
DE (1) DE602004008699T2 (ko)
HK (1) HK1074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9351B2 (ja) * 2007-11-28 2012-12-05 株式会社市川鉄工 トーションレース機
JP5652821B2 (ja) * 2010-12-22 2015-01-14 株式会社市川鉄工 トーションレース機
EP3491956B1 (en) 2013-06-25 2023-08-09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US10863794B2 (en) 2013-06-25 2020-12-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US9668544B2 (en) 2014-12-10 2017-06-06 Nike, Inc. Last system for articles with braided components
US9839253B2 (en) 2014-12-10 2017-12-12 Nike, Inc. Last system for braiding footwear
US10674791B2 (en) 2014-12-10 2020-06-09 Nike, Inc. Braided article with internal midsole structure
US10555581B2 (en) 2015-05-26 2020-02-11 Nike, Inc. Braided upper with multiple materials
US10238176B2 (en) 2015-05-26 2019-03-26 Nike, Inc. Braiding machine and method of forming a braided article using such braiding machine
US20160345675A1 (en) 2015-05-26 2016-12-01 Nike, Inc. Hybrid Braided Article
US10280538B2 (en) 2015-05-26 2019-05-07 Nike, Inc. Braiding machine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incorporating a moving object
US10060057B2 (en) 2015-05-26 2018-08-28 Nike, Inc. Braiding machine with non-circular geometry
US11103028B2 (en) 2015-08-07 2021-08-31 Nike, Inc. Multi-layered braid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US9920462B2 (en) 2015-08-07 2018-03-20 Nike, Inc. Braiding machine with multiple rings of spools
EP3913124A1 (en) * 2016-10-14 2021-11-24 Inceptus Medical, LLC Braiding machine and methods of use
US20180343958A1 (en) 2017-05-30 2018-12-06 Nike, Inc. Braided upper for footwear with finished heel axis
EP3585199B1 (en) 2017-05-30 2022-01-12 Nike Innovate C.V. Braided footwear with mechanical lock sole structure
US11457685B2 (en) 2017-05-30 2022-10-04 Nike, Inc. Double layer, single tube braid for footwear upper
US20180343960A1 (en) 2017-05-31 2018-12-06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bi-axial braided article of footwear
US10905189B2 (en) 2017-05-31 2021-02-02 Nike, Inc. Braided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flat yarn
US11202483B2 (en) 2017-05-31 2021-12-21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051573B2 (en) 2017-05-31 2021-07-06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0806210B2 (en) 2017-05-31 2020-10-20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20190150552A1 (en) 2017-11-20 2019-05-23 Nike, Inc. Multi-layer braided upper
US20210235807A1 (en) 2018-06-07 2021-08-05 Nike, Inc. Braided footwear with integrated lac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78390A (en) * 1922-01-19 1922-04-20 Gustav Krenzler Improvements in lace braiding machines
DE460091C (de) * 1926-12-24 1928-05-22 Robert Muenz Spitzenkloeppelmaschine mit einer Jacquardmaschine mit zwei Messern
JP3702368B2 (ja) * 1995-06-14 2005-10-05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トーションレース機におけるシフターフォークの駆動選択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176943A (ja) * 1995-12-25 1997-07-08 Ichikawa Tekko:Kk トーションレース機における柄崩れ監視装置
CN1255598C (zh) * 2001-11-23 2006-05-10 张宝香 弹簧锭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8699T2 (de) 2008-01-24
CN100422418C (zh) 2008-10-01
JP4106308B2 (ja) 2008-06-25
JP2005002491A (ja) 2005-01-06
HK1074230A1 (en) 2005-11-04
DE602004008699D1 (de) 2007-10-18
CN1572945A (zh) 2005-02-02
EP1486601B1 (en) 2007-09-05
EP1486601A1 (en) 2004-12-15
KR100540024B1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024B1 (ko) 토션레이스기
US8505403B2 (en) Gear shifting actuator and method of shifting gear ratios
JP6019351B2 (ja) 遊技機
JP7304047B2 (ja) 遊技機
JP4703331B2 (ja) 運動方向変換機構
JP5536483B2 (ja) ボタン操作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遊技機
JP4964030B2 (ja) 遊技機の可動装飾装置
JP3688772B2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
KR100540023B1 (ko) 토션 레이스기
JP2006102218A (ja) 遊戯機用役物装置
JP5857280B2 (ja) 遊技機
JP6822676B2 (ja) 遊技機
JP6644830B2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
CN114237010B (zh) 钟表选择器机构
KR100342265B1 (ko) 토션레이스기
KR200358490Y1 (ko) 토션 레이스 기계의 자카드 개별 전자 구동장치
JP4482200B2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
JP2014144131A (ja) 遊技機
JP6877044B2 (ja) 遊技機
JP6292589B2 (ja) 遊技機
TWM605864U (zh) 推幣式遊戲機的推盤總成
JP6292588B2 (ja) 遊技機
JP2005240203A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
JP6508083B2 (ja) ストップボタン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回胴式遊技機
JPH07246272A (ja) パチンコ機の入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