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211A -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211A
KR20040107211A KR1020030038204A KR20030038204A KR20040107211A KR 20040107211 A KR20040107211 A KR 20040107211A KR 1020030038204 A KR1020030038204 A KR 1020030038204A KR 20030038204 A KR20030038204 A KR 20030038204A KR 20040107211 A KR20040107211 A KR 2004010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skin
cosmetic composition
subject
scopa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이정노
이강태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3003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211A/ko
Publication of KR2004010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파론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증진, 피부세포의 접착 증진 및 막 수용체인 인테그린의 발현 증진을 통하여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의 탄력을 개선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Comprising Scoparone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스코파론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를 먹으면서 끊임없이 변화하며, 점차적으로 노화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 노화 (혹은 내인성 노화) 및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E.B. Doris,Cosmetics & Toiletories, 111:31-37(1996)), 자연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 인자로는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외적인 노화현상이 바로 주름형성이다 (H.M.Daniel,Ann Intern Med, 75:873-880(1971); M.J. Grove,J Am AcadDermatol, 21:631-637( 1989), T.S. Griffiths 등,Hrch Dermatol, 128:347-351(1992)). 때문에, 주름 형성을 억제하고, 주름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행해져왔다.
주름 개선과 관련된 특허를 살펴보면,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평5-246838 호는 콜라겐 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노화에 따른 콜라겐 합성 및 분해의 균형 상실로 인해 콜라겐의 생합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거나, 콜라겐을 분해하여 콜라겐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이 감소하게 되면, 가교형 콜라겐의 생성을 조절하지 못하여 피부조직의 노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초산암모니움, 주석산암모니움 및 질산암모니움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은 콜라겐 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5,118,707 호는 아미오다론을 비롯한 벤조퓨란 유도체를 함유한 조성물을 이용한 피부주름 개선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항주름제인 벤조퓨란 유도체 (0.01%-20%), 자외선차단제, 소염제 및 킬레이트제 등을 함유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주름이 개선된다고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5,340,568 호는 성장인자와 유사한 기능을 하며 세포증식을 유도하는 2-데옥시-2-할로-라이소포스파티드산 (2-Deoxy-2-halo -lysophosphatidic acid)을 함유한 조성물도 피부의 주름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국제출원공개 제 94/04184 호는 단백질 성장인자를 안정화시킨 조성물이 피부주름 및 피부처짐 등의 피부노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상기기술에 사용된 단백질 성장인자는 표피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등이다.
한편, 레구미노사 종자 (Leguminosae seeds)에서 얻어진 단백질 분획이 탄력증대 효과를 나타내며 (미합중국 특허 제 5,322,839 호), 맥아추출물 (malt extract)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콜라게나아제의 억제에 응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카르바인산 펩티드 (peptidyl carbamates), 티오카르바민산 펩티드 (peptidyl thiocarbamates), 히드록사메이트 (hydroxamates),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s) 및 설폰산염 (sulphonate salts) 등과 같은 콜라게나아제 또는 엘라스타아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미합중국 특허 제 5,614,489 호)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피부탄력증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단순히 콜라게나아제 또는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는데, 이것은 한정적인 작용에 그치므로 피부탄력 개선 또는 노화 방지의 극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피부탄력은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에 의해 조절되는 진피층내의 엘라스틴 (elastin), 콜라겐 (collagen) 및 피브로넥틴 (fibronectin) 등과 같은 세포외 매트릭스 (extracellular matrix, ECM)의 양뿐만 아니라, 상기 성분의 조직화된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피부탄력은 ECM 물질과 피부 세포간의 상호 작용 (cell adhesion) 및 ECM 물질간의 교차결합 (cross-linkage)에 의해 많이좌우된다.
상기 피부 세포와 그 주위 환경과의 상호작용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한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데, 인테그린 (integrin)은 피부의 ECM 내에 존재하는 막 수용체로 세포간 접착 (intercellular adhesion) 및 세포-단백질 접착 (cell-protein adhesion)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에 영향을 미치는 ECM의 조직화 및 결합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막 수용체 중 한가지 종류인 인테그린은 이종이합체 당단백질 (heterodimer glycoprotein)로 다양한 α-서브유닛 및 β-서브유닛이 비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세포간 접착 및 ECM 내 세포-단백질 접착에 관여하고, β-사슬에 따라 8가지 서브패밀리 (sub-family)로 분류할 수 있다.
인테그린의 발현 정도가 세포 접착 정도, 즉 피부 탄력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는데, UV-A 및 UV-B 조사를 통해 노화가 유도된 섬유아세포 표면의 인테그린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면 조사된 세포의 인테그린 발현 정도가 조사되지 않은 세포의 인테그린 발현 정도보다 떨어진다고 한다 (Laetitia Moreau,Cosmetics & Toiletories, 118(1):75-84(2003)).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 문헌 및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 문헌 및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섬유아세포와 그 주변환경 (예: 세포외 메트릭스)과의 관계를 개선시킴으로써 피부의 노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스코파론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콜라겐 등의 ECM (extracellular matrix) 물질 합성을 증진하고, 피부 세포의 접착을 증진하며, 섬유아세포의 인테그린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을 유지 또는 증대시키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스코파론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스코파론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물질로, IUPAC 명은 6,7-디메톡시-2H-1-벤조피란-2-온 (6,7-dimethoxy-2H-1-benzopyran-2-one)이며, 약하여 6,7-디메톡시쿠마린 ( 6,7-dimethoxycoumarin)이라 한다. 스코파론의 분자량은 대략 206.19이며, 율피 및 쑥 등의 자연원으로부터분리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스코파론의 자연원인 율피는 밤나무속 식물의 열매인 밤의 속껍질로서, 밤나무속은 밤나무(Castanea crenata S. et Z.,Castanea mollissimaBl.,Castanea bulgaris), 약밤나무(CastaneaBungeanaBl) 및 상두밤나무(Castanea crenatafor. multicarpa (Uyeki) Chung) 등을 포함한다. 율피 추출물은 안전성이 뛰어나고 피부개선과 미백효과 등 다양한 효능에 유효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스코파론은 상술한 자연원으로부터 분리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노화의 용도를 갖는다. 피부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용어 "항노화"는 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한편, 상기 화학식 1의 스코파론 화합물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유도체 중 항노화 효과 (인테그린 생합성 증진 및/또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을 통하여)를 나타내는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명확하다.
본 발명의 스코파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외 메트릭스 (ECM) 단백질, 특히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하고 피부 세포의 접착을 증진하며, 상기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진함으로써, 주름 및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도인 항노화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용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스코파론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5.0중량%이다. 상기 스코파론의 함량의 양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자극이 일어날 수 있는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스코파론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스코파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인테그린 생합성을 촉진하여 진피를 구성하는 섬유아세포의 접착을 증가시키며, 이는 섬유아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결국 피부 항노화 작용을 나타낸다. 종래의 노화방지 화장료는 주로 콜라게나아제 또는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데, 이러한 기전은 한정적인 노화 방지 효과만을 가져온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기전을 통하여 보다 근원적으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달성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스코파론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은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실험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한국 세포주은행)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2 x 104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스코파론이 최종 농도 0.5, 1, 2, 5 및 10 ㎍/㎖ 로 포함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 및 스코파론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고, 아스코르브산 (50 g/㎖)을 첨가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킨 다음, 다시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각 웰을 세척하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새로 합성된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키트 (Takara, 일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ICP 양은 ng/2x104세포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스코파론 농도 (㎍/㎖) 콜라겐 합성량 (ng/2 x 104)
0 (대조군) 157
0.5 160
1 174
2 195
5 221
10 240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파론은 농도-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세포 접착 (cell-adhesion) 실험
실험에 사용되는 96-웰 플레이트를 타입 Ⅰ 콜라겐 [래트 테일 (rat tail) 콜라겐 2 ㎍/㎖ 용액, 시그마사] 18 ㎍/㎖로 코팅하였고, 4℃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섬유아세포는 웰당 30,000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농도별로 스코파론을 처리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접착된 세포는 1%의 글루타알데히드 (시그마사) 용액으로 고정시켰으며, 0.1%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였다. 상온에서 30분간 놓아 둔 후, 염색된 세포에서 염색약을 1%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로 녹여내고, 각 웰의 흡광도를 56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스코파론 농도 (㎍/㎖) O.D.560
0 (대조군) 0.78
0.5 0.80
1 0.85
2 0.96
5 1.08
10 1.1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스코파론은 진피를 구성하는 섬유아세포의 접착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작용은 농도-의존적인 패턴을 보인다.
실험예 3 : 인테그린 β 1 발현 증진 효과
섬유아세포에 농도별로 스코파론을 처리하고 배양 24시간 후, EIA (Enzyme immunoassay) 법에 의해 인테그린 β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MK008 키트, Takara, 일본국). 상술하면, 상기 배양세포를 원심분리로 회수하여 세포 추출액을 만들고, 항-인테그린 β1항체가 코팅되어있는 웰에 처리하였다. 여기에 이차 항체 [호스라디쉬(horseradish) 퍼옥시다아제 (POD)-접합 뮤린 (murine) 단일클론 항제]를 넣고, 4℃에서 45분간 배양한 후 이를 o-페닐렌디아민-염산 (OPD)으로 검출하였다. OPD 용해액으로, 염색되어 있는 OPD를 녹여 내고 530 nm에서 엘라이자 리더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스코파론 농도 (㎍/㎖) O.D.530
0 (대조군) 0.61
0.5 0.67
1 0.72
2 0.80
5 0.99
10 1.06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스코파론은 섬유아세포에서의 인테그린 β1발현을 증가시키는 포텐셜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비교예
스코파론 10.0 -
글리세린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3.0
유동파라핀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스쿠알란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폴리솔베이트 60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5 1.5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실험예 4 :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실험
30세 이상의 여성 30명 (평균 연령 33.7세)을 각각 15명씩 2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에는 실시예를, 다른 그룹에는 비교예를 주름이 있는 눈가를 중심으로 12주 동안 도포하고,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및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극히 심하게 악화된 것은 -3, 매우 개선된 것은 3으로 하고, 7 등급 (-3, -2, -1, 0, 1, 2, 3)으로 분류하여 평가함으로써 피부 주름의 개선정도를 측정하였다. 객관적 평가의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주관적 평가의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나 있다.
구 분 피부주름 개선정도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실시예 비교예
처음 12주후 처음 12주후
피검자1 0 3 0 2
피검자2 0 2 0 2
피검자3 0 3 0 1
피검자4 0 3 0 2
피검자5 0 3 0 1
피검자6 0 2 0 1
피검자7 0 3 0 3
피검자8 0 2 0 2
피검자9 0 2 0 2
피검자10 0 3 0 3
피검자11 0 3 0 1
피검자12 0 3 0 2
피검자13 0 3 0 2
피검자14 0 3 0 3
피검자15 0 2 0 1
평균 0 2.67 0 1.87
구 분 피부주름 개선정도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실시예 비교예
처음 12주후 처음 12주후
피검자1 0 3 0 1
피검자2 0 2 0 2
피검자3 0 3 0 1
피검자4 0 3 0 2
피검자5 0 3 0 1
피검자6 0 3 0 2
피검자7 0 3 0 3
피검자8 0 2 0 2
피검자9 0 2 0 2
피검자10 0 3 0 3
피검자11 0 3 0 1
피검자12 0 3 0 1
피검자13 0 3 0 2
피검자14 0 3 0 3
피검자15 0 1 0 1
평균 0 2.67 0 1.8
상기 표 5 및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의 경우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및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가 각각 2.67 및 2.67로 비교예의 1.87 및 1.8에 비해 월등하므로 스코파론이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 피부 탄력 개선 효과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건강한 여성 30명 (평균 연령 33.7세)의 피시험자 눈가에 일정량 (0.03 g/16㎠)을 12주 동안 도포 하였다. 이때, 피시험자 눈가의 왼쪽에는 실시예를, 눈가의 오른쪽에는 비교예를 도포하였다. 12주 후, 피부탄력측정기 (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독일연방공화국)를 이용하여 눈가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나 있다.
구 분 피부 탄력 개선도(%)
실시예 47
비교예 23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스코파론을 함유하는 실시예의 피부 탄력 개선도가 비교예에 비하여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하기의 표 8과 같이 스코파론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코파론 10.0
초산 토코페롤 5.2
올레일 알코올 1.5
에탄올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셀룰로오스검 3.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밀크 로션
하기의 표 9과 같이 스코파론을 함유하는 밀크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스코파론 10.0
글리세린 5.1
프로필렌글리콜 4.2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4.6
트리에탄올아민 1.0
스쿠알란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폴리솔베이트 60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프로필파라벤 0.6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의 표 10과 같이 스코파론을 함유하는 영양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스코파론 10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2.1
유동파라핀 5.3
스쿠알란 3.0
밀납 2.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5.4
폴리솔베이트 60 3.2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스코파론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증진, 피부세포의 접착 증진 및 인테그린의 발현 증진을 통하여 주름 및 피부 탄력을 개선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

  1.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코파론을 0.001-1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38204A 2003-06-13 2003-06-13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7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204A KR20040107211A (ko) 2003-06-13 2003-06-13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204A KR20040107211A (ko) 2003-06-13 2003-06-13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211A true KR20040107211A (ko) 2004-12-20

Family

ID=3738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204A KR20040107211A (ko) 2003-06-13 2003-06-13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2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8957A4 (en) * 2006-07-31 2012-10-03 Elc Man Llc ANTI-AGING PRODUCTS COMPRISING TRIFOLIATA MENYTHOTE SHEET EXTRA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10110985A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945A (ko) *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율피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8957A4 (en) * 2006-07-31 2012-10-03 Elc Man Llc ANTI-AGING PRODUCTS COMPRISING TRIFOLIATA MENYTHOTE SHEET EXTRA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10110985A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945A (ko) *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율피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5112B2 (ja) アルクチン、アルクチゲニン又はそ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1773753B1 (ko) NFκB-억제제 및 비-레티노이드 콜라겐 촉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17950B1 (ko)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322948B2 (ja) 大山蓮華抽出物を含有する光老化防止用及び皮膚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070019120A (ko) 작약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3B1 (ko)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136124A (ja) 皮膚外用剤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40107211A (ko) 스코파론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34B1 (ko)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6829A (ko) 동백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6620A (ko) 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8361A (ko)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주름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29114A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8716B1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752B1 (ko) 히스피듈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7825B1 (ko) 트라마트산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0606B1 (ko) 락트산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48881B1 (ko) 6-메톡시나린제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1167A (ko) 쿼시트린 및/또는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