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160A -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160A
KR20040106160A KR1020030037565A KR20030037565A KR20040106160A KR 20040106160 A KR20040106160 A KR 20040106160A KR 1020030037565 A KR1020030037565 A KR 1020030037565A KR 20030037565 A KR20030037565 A KR 20030037565A KR 20040106160 A KR20040106160 A KR 20040106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extended
un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760B1 (ko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76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상하 또는 좌우로 선택확장 할 수 있는 표시부 확장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전체를 감시제어하고 이동통신을 운용하는 본체부; 본체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를 표시하고 스피커를 일체로 구비하는 표시부; 본체부와 표시부를 폴더 회전상태로 고정결합하고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힌지부; 표시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확장표시부;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탈부착 상태로 회전결합하고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고, 또한, 휴대단말기의 연결부를 통하여 표시부와 확장표시부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표시부와 확장표시부가 접속된 경우, 상하접속 되었는지 좌우접속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접속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상하접속 되었으면,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분리 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분리 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인가하여 표시하는 분리표시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좌우접속 되었으면,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 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확대 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된 동일 데이터를 표시하는 확대표시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A METHOD AND A DEVICE OF ROTATIONAL DISPLAY WITH STICKING/DE-STICKING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확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부착이 용이하고 상하 또는 좌우로 선택확장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이동하면서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기술발전에 의하여 문자와 기호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급 통신이 가능하게 발전하였으며, 또한, 영상(IMAGE)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급 통신이 가능하게 발전하였다.
상기 음성급 통신의 경우, 귀의 청각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므로 음성급 신호 출력기능이 중요하고, 상기 문자급 통신과 멀티미디어급 통신은 눈의 시각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표시부 기능이 중요하다.
상기 문자급 통신의 경우, 각종 기호를 포함하는 문자 데이터의 전송량이 늘어나므로 기존 표시부의 크기를 크게하여 한번에 많은 문자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동시에 시력이 약한 사람을 위하여서는 큰 폰트의 문자로 표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문자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시력이 약한 사람을 위하여 큰 폰트(FONT)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표시부의 크기를 크게하여야 하며, 소형 경량화 되는 휴대단말기의 발전추세에서 외부 표시부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외부표시부를 사용하는 것이 거추장스럽거나 불편한 경우는 휴대와 사용 편리성이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외형 구성상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10)의 외형구성은, 이동하면서 통신하도록 하는 회로부,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운용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등을 입력하는 키보드 등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와 회전고정 결합하여 폴더형태(FOLDER TYPE)의 일체로 구성되며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와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3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외형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본체부(20)는 일체로 구비되는 회로부에 의하여 무선으로 해당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이동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또는 내장된 부가 기능인 폰북(PHONE-BOOK)을 이용하여 상대방 전화번호 등을 기록관리하며, 키보드를 이용하여 송수신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음성급 통신을 위한 마이크를 구비하며, 문자급 통신을 위한 기호와 문자 등의각종 메시지를 입력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영상촬영용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신호가 부가되는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기능은 일체로 구성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본체부(20)와 회전상태로 고정결합하는 표시부(30)는 휴대단말기(10)의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문자급 통신에 의한 각종 메시지신호를 표시하고 멀티미디어급 통신에 의한 각종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0)를 구성하는 표시장치는, 일 실시 예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고, 상기 폴더형태 표시부(30)의 가능한 최대면적을 차지하도록 설계되고 있으나,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상기 표시부(30)의 일측 표면적을 초과하지 못하고, 계속되는 소형경량화 추세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30)의 면적이 점점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 속에서 전송할 문자 데이터의 량은 점점 늘어나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개발과 제공에 의하여 휴대단말기(MS)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ONLINE GAME) 및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표시부(30)의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멀티미디어 통신에서는 서로 상대방과 영상(IMAGE)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따라서, 많은 문자급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하여 메시지를 신속하게 확인하지 못하고,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경우 다양한 배경과 경우의 수를 적용하지 못하며, 인터넷 접속의 경우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한번에 확인하지 못하고, 멀티미디어 통신의 경우 작은 크기의 표시부에 의하여 상대방의 영상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회전이 가능한 외부 표시부를 이용하여 기존 표시부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가변 확장할 수 있는 동시에 확장되는 상태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전체를 감시제어하고 이동통신을 운용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를 표시하고 스피커를 일체로 구비하는 표시부와; 상기 본체부와 표시부를 폴더 회전상태로 고정결합하고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힌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확장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탈부착 상태로 회전결합하고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연결부를 통하여 표시부와 확장표시부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판단하여 표시부와 확장표시부가 접속된 경우, 상하접속 되었는지 좌우접속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접속과정과; 상기 접속과정에서 판단하여 상하접속 되었으면,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분리 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분리 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인가하여 표시하는 분리표시과정과; 상기 접속과정에서 판단하여 좌우접속 되었으면,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 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확대 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된 동일 데이터를 표시하는 확대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외형 구성상태도,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설명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결합상태 설명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연결부의 탈부착 상태 설명도,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 연결부의 부착된 상태 회전 신호접점 설명도,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연결부의 평면구조 설명도,
도7 은 본 발명 일 예에 의한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의 분리표시상태 설명도,
도8 은 본 발명 일 예에 의한 표시부와 확장표시부 확대표시상태 설명도,
도9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본체부 120 : 표시부
125 : 축부 127 : 제1 축접점 129 : 제2 축접점
130 : 힌지부 140 : 확장표시부 145 : 고리부
148 : 고리접점 150 : 연결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설명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결합상태 설명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연결부의 탈부착 상태 설명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연결부의 부착된 상태 회전 신호접점 설명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연결부의 평면구조 설명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의 분리표시상태 설명도 이고, 도8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표시부와 확장표시부 확대표시상태 설명도 이며, 도9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 순서도 이다.
이하, 상기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표시부 확장구조를 설명한다.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휴대단말기(100)는, 휴대단말기(100) 전체를 감시제어하고 이동통신을 운용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신호와 각종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각종 제어명령 및 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 휴대단말기(MS)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연결부(150)를 통하여 표시부(120)에 확장표시부(140)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접속된 경우는 상하접속인지 좌우접속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접속에 설정된 응용방식에 의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각각 상이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동일한 데이터가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선택 제어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100)의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 등을 표시하고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연결부(150)에 확장표시부(140)가 접속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 신호를 연결부(150)를 통하여 확장표시부(140)에 전송하는 표시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와 표시부(120)를 폴더(FOLDER) 회전상태로 고정결합하고 해당되는 각종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힌지부(130)와,
상기 표시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휴대단말기(100)의 각종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연결부(150)를 통하여 회전결합 부착으로 상기 표시부(120)와 용이하게 접속하고 상기 회전결합 부착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20)와 상하접속상태 또는 좌우접속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연결부(150)를 통하여 회전결합 탈착하여 용이하게 분리하는 확장표시부(140)와,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탈부착 상태로 회전결합하고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120)의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고정 구성되고상기 확장표시부(140)에 각종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축접점(127)과 제2 축접점(129)을 구비하는 축부(125); 상기 확장표시부(140)의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고정 구성되고 고리형상의 내경이 상기 축부(125)의 외경과 밀접되며 상기 제1 축접점(127)이나 제2 축접점(129)과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고리접점(148)이 구비되는 고리부(145)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120)와 상기 확장표시부(140)를 탈부착 상태로 회전접속하고, 회전접속된 부착상태가 상하접속인 경우는 상기 고리접점(148)과 제1 축접점(127)이 접속되고, 상기 회전접속된 부착상태가 좌우접속인 경우는 상기 고리접점(148)과 제2 축접점(129)이 접속되어 해당 각종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연결부(15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를 첨부된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이며, 해당 서비스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것으로, 음성급 통신방식과 문자 등을 이용하는 데이터급 통신방식과 영상(IMAGE) 신호, 음성급 신호, 데이터급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이 있다.
상기 데이터급 통신방식에서는 다수 문자를 적정한 크기로 한번에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20)의 크기를 크게하였으나, 휴대단말기(100)의 외형크기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점점 작아지는 추세에 의하여 한계가 있으므로, 확장표시부(140)를 부가하도록 하고,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에서도 영상(IMAGE)을 확대하여 표시하기위하여 상기와 같은 이유로 확장표시부(140)를 필요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폴더형(FOLDER TYPE)으로 구성되고, 본체부(110)와 표시부(120)가 힌지부(130)의 힌지(HINGE) 작용에 의하여 회전상태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10)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와, 각종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버튼과,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휴대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을 처리하는 회로부 등등이 포함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동시에 제어하는 각종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확장표시부(140)는 연결부(150)를 통하여 일체로 용이하게 부착되므로, 상기 표시부(120)와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탈착이 용이하여 분리가 쉽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연결부(150)를 통하여 상기 확장표시부(140)의 탈착 및 부착 상태를 감시하여 인식하며, 설정된 응용방식에 의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해당 데이터를 표시하며, 일 예로, 상기 첨부된 도7과 같이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각각의 데이터를 따로 따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첨부된 도8과 같이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동일한 데이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상기와 같이 동일한 데이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는,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표시되는 크기를 적정하게 설정하여 해당 데이터가 일그러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확장표시부(140)는 상기 연결부(150)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120)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15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120)와 상하접속 되거나 좌우접속 되고, 상기 첨부된 도2에 상하접속 및 좌우접속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3은 연결부(150)의 일 예에 의한 구성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120)의 일측 모서리에 일정한 원기둥 형태의 축부(125)가 일체로 고정 구비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상기 확장표시부(140)의 일측 모서리에 상기 축부(125)의 외경과 밀접하게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고리부(145)가 일체로 고정 구비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또한, 상기 축부(125)와 고리부(145)가 결합되는 부착상태를 단면으로 보여준다.
상기 첨부된 도4는 상기 연결부(150)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120)에 일체로 고정 형성되는 축부(125)와 상기 확장표시부(140)에 일체로 고정 형성되는 고리부(145)가 결합되는 부착상태를 사시도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50)를 통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며 회전 상태로 결합되는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는 상하접속과 좌우접속 상태를 상기 본체부(110)가 인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와 같이 접속상태가 변경되어도 본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점이 상기 축부(125)와 고리부(145)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각각의 접점 구조 상태는 상기 첨부된 도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첨부된 도6은 각각 해당 접점을 구비하는 상기 축부(125)와 고리부(145)의 단면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확장표시부(140)와 표시부(120)를 연결하는 확장상태로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150)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부(145)의 내경을 상기 표시부(120)의 축부(125)에 간단히 끼움으로 부착하고, 상기 축부(125)의 제1 또는 제2 축접점(127,129)과 고리부(145)의 고리접점(148)이 접속 또는 접촉하여 해당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다.
일 예로,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상하접속하는 경우, 상기 축부(125)의 제1 축접점(127)과 고리부(145)의 고리접점(148)이 접속하고,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좌우접속하는 경우는, 상기 축부(125)의 제2 축접점(129)과 고리부(145)의 고리접점(148)이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축부(125)의 제1 축접점(127)과 제2 축접점(129)은, 일 예로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첨부된 도6에 상기 축부(125)의 제1 및 제2 축접점(127,129) 구성상태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50)에 의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회전접속되는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는 상기 본체부(110)에 설정된 표시방식에 의하여 도7과 같이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각각 상이한 데이터가 표시되거나 또는, 도8과 같이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하나의 표시부로 인식되고 동일한 데이터가 확대되어 표시되며, 상기 확대되어 표시되는 경우는 일그러지지 않고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100)에 회전 탈부착이 가능한 확장표시부(140)를 연결부(150) 구조를 통하여 부착 접속하므로, 멀티미디어의 영상신호를 확대하여 크게 표시하거나 또는 문자 데이터를 대량으로 표시하고, 상기와 같이 확대표시 또는 대량의 데이터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탈착하여 분리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의 본체부(110)가 연결부(150)를 통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S10)과,
상기 시작과정(S10)에서 판단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접속된 경우, 상기 본체부(110)에 의하여 상하접속되었는지 또는 좌우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접속과정(S20)과,
상기 접속과정(S20)에서 판단하여 상하접속되었으면,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분리 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분리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인가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분리하여 표시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30); 상기 과정(S30)에서 판단하여 분리 표시하는 경우는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설정된 해당 응용방식으로 표시하는 과정(S40)으로 이루어진 분리표시과정과,
상기 접속과정(S20)에서 판단하여 좌우접속되었으면,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 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확대 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된 동일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확대된 동일 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50); 상기 과정(S50)에서 판단하여 확대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고 해당 데이터를 크기에 맞게 확대하여 설정된 응용방식으로 표시하는 확대과정(S60)으로 이루어진 확대표시과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표시과정에서 판단(S30)하여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분리하여 각각 상이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확대표시과정의 확대과정(S60)으로 진행하고, 상기 확대표시과정에서 판단(S50)하여 확대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분리표시과정의 분리과정(S40)으로 진행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의 본체부(110)는 상기 연결부(150)를 통하여 표시부(120)에 확장표시부(140)가 접속되어 확장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에서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연결부(150)를 통하여 일체로 접속하고 확장 연결된 경우, 상기의 확장연결이 상하접속인지 또는 좌우접속인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판단(S20)에서, 일 예로,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상하접속된 경우,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표시될 데이터 내용을 분리하여 각각 표시할 것인지 또는 하나의 데이터를 확대하여 표시할 것인지를 판단하고(S30), 상기 판단(S30)에서 분리하여 각각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되어 설정된 경우, 상기 본체부(110)는 설정된 해당 응용방식에 의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의 확장상태에 적합하게 각각 다른 데이터가 분리 표시되도록 한다(S40).
상기 판단(S20)에서, 다른 일 예로,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가 좌우접속된 경우,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에 표시될 데이터를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하나의 표시부로 인식하고 상기 확대된 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 또는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각각 분리하여 상이한 데이터를 따로 따로 표시할 것인지 판단하고(S50), 상기 판단(S50)에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되어 설정된 경우, 상기 본체부(110)는 설정된 해당 응용방식에 의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의 확장상태의 크기에 적합하게 확대된 데이터를 표시한다(S60).
또한, 상기 분리표시과정(S30)에서 판단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각각 분리하고, 각각의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상기 확대표시과정의 확대과정(S60)으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의 결합상태에 적합하게 확대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확대표시과정(S50)에서 판단하여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하나의 표시부로 인식하고 확대된 하나의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상기 분리표시과정의 분리과정(S40)으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120)와 확장표시부(140)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해당 데이터가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본체부(110)는 상기 연결부(150)를 통하여 상기 확장표시부가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부착되어 접속된 경우는 상하접속되었는지또는 좌우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접속된 상태를 이용하여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해당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확대된 하나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분리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는, 상기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접속 또는 좌우접속에 적합하게 각각의 해당 데이터를 표시하며, 확대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는 상기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접속 또는 좌우접속의 표시부 크기에 적합하게 확대된 해당 데이터를 표시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 표시되는 데이터급 문자신호와 멀티미디어급 영상신호를 동시에 다수 표시하거나 또는 확대된 상태로 크게 표시하므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구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데이터급 통신에 의한 대량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급 통신에 의한 영상을 크게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므로 데이터급 팀 멀티미디어급 통신을 활성화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이용환경에 의하여 확장표시부를 상하접속 또는 좌우접속 상태로 선택하고, 상기 확장표시부 접속상태에 적합하게 응용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휴대단말기 전체를 감시제어하고 이동통신을 운용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를 표시하고 스피커를 일체로 구비하는 표시부와,
    상기 본체부와 표시부를 폴더 회전상태로 고정결합하고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힌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급 정보와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확장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탈부착 상태로 회전결합하고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표시부에 확장표시부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접속된 경우는 상하접속인지 좌우접속인지를 판단하며, 상기와 같은 접속에 데이터가 설정된 응용방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에 확장표시부가 접속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 신호를 연결부를 통하여 확장표시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표시부의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표시부에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축접점과 제2 축접점을 구비하는 축부와,
    상기 확장표시부의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구성되고 고리형상의 내경이 상기 축부의 외부와 밀착되며 상기 제1 축접점이나 제2 축접점과 접속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고리접점이 구비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표시부와 상기 확장표시부를 탈부착 상태로 회전접속하고, 회전접속된 부착상태가 상하접속인 경우는 상기 고리접점과 제1 축접점이 접속되고, 상기 회전접속된 부착상태가 좌우접속인 경우는 상기 고리접점과 제2 축접점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표시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회전결합 부착하여 상기 표시부와 접속하고 상기 회전결합 상태에 의하여 상하접속과 좌우접속을 선택적으로 하며, 회전결합 탈착하여 상기 표시부와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회전접속된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에 선택에 의하여 각각 상이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동일한 데이터가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8. 휴대단말기의 연결부를 통하여 표시부와 확장표시부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판단하여 표시부와 확장표시부가 접속된 경우, 상하접속되었는지 좌우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접속과정과,
    상기 접속과정에서 판단하여 상하접속 되었으면,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분리 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분리 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인가하여 표시하는 분리표시과정과,
    상기 접속과정에서 판단하여 좌우접속되었으면,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표시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확대표시하는 경우는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 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여 확대된 동일 데이터를 표시하는 확대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에서 연결부를 통하여 표시부에 확장표시부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접속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에서 연결부에 접속된 확장표시부의 연결상태를 분석하여 상하접속 되었는지 좌우접속 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표시과정은,
    상기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분리 표시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분리 표시하는 경우는 상기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응용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표시과정은,
    상기 표시부와 확장표시부에 확대된 동일 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확대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와 확장표시부를하나의 표시부로 설정하고 해당 데이터를 크기에 맞게 확대하여 응용 표시하는 확대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표시과정에서 판단하여 분리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는 확대표시과정의 확대과정으로 진행하고,
    상기 확대표시과정에서 판단하여 확대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는 분리표시과정의 분리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방법.
KR10-2003-0037565A 2003-06-11 2003-06-11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KR10052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565A KR100524760B1 (ko) 2003-06-11 2003-06-11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565A KR100524760B1 (ko) 2003-06-11 2003-06-11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160A true KR20040106160A (ko) 2004-12-17
KR100524760B1 KR100524760B1 (ko) 2005-10-31

Family

ID=3738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565A KR100524760B1 (ko) 2003-06-11 2003-06-11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94B1 (ko) * 2008-12-03 201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94B1 (ko) * 2008-12-03 201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4760B1 (ko)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8689B2 (ja) 背景画像表示方法
JP4111988B1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及び映像切替方法
US818029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6025840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158758A (ja) 開閉型携帯情報端末
JP4056518B2 (ja) 携帯情報端末、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45580A (ja) 折り畳み式情報処理装置
JP2001326710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2001268180A (ja) 無線電話機用表示装置及び無線電話機
JPH09247250A (ja) 無線装置
KR100595163B1 (ko) 휴대폰의 표시장치 편집 방법
KR100524760B1 (ko)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JP2002141986A (ja) 携帯電話機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JP4859796B2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JP4087610B2 (ja) 携帯通信装置
JP3773208B2 (ja) 折り畳み式情報処理装置
JP2002232533A (ja) 折畳型携帯情報端未装置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KR20030073957A (ko) 스킨 변경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818261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93750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JP2003324505A (ja) 携帯電話機
KR200500240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와이드 스크린 제어 장치
JP2005142626A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10028824A (ko)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