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194B1 -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194B1
KR101278194B1 KR1020090089687A KR20090089687A KR101278194B1 KR 101278194 B1 KR101278194 B1 KR 101278194B1 KR 1020090089687 A KR1020090089687 A KR 1020090089687A KR 20090089687 A KR20090089687 A KR 20090089687A KR 101278194 B1 KR101278194 B1 KR 10127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interfac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644A (ko
Inventor
김태호
전인걸
임채덕
박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국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어 소형의 휴대 단말기가 갖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이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isplay of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와 다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38-03, 과제명: 모바일 컨버전스 컴퓨팅을 위한 단말적응형 임베디드 운영체제 기술개발].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경우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소형화하여 제작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최근에는 무선 전화 기능 외에도, 인터넷 검색, 방송 청취, 동영상 감상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아 화면이 잘 보이지 않다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확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휴대성을 위해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확장하는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물론, 휴대 단말기를 모니터 등과 같이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여 보다 큰 화면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모니터가 구비된 공간 내에서만 가능할 뿐 그렇지 않은 공간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다른 큰 화면에서 구현할 수는 없다.
이에,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분할된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긴 하나, 이는 각 휴대 단말기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하나의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해당 휴대 단말기에 전송해야만 구현 가능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통합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디스플레이의 확장 및 구현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기종의 단말기라 하더라도 각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현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의 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부에 의해 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로의 출력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서 해당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중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 시, 상기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해당 휴대 단말기와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의 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구성 정보에 따라 해당 휴대 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재구성하여,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 동작에 따라 해당 휴대 단말기와 상기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당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해제된 다른 휴대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당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모두 해제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초기화하고, 출력화면을 초기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국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어 소형의 휴대 단말기가 갖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이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이 용이하고,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시에 연결할 수도 있으므로, 통합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제한이 없 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특히,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마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외부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된다. 이때,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소프트 키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는 다른 휴대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휴대 단말기 본체의 상, 하, 좌, 우 안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물론, 도 1의 (b)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세로 방향으로 긴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가로 방향으로 긴 형태를 기준으로 한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통신 방식의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각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는 블루투스, 적외선 등을 이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모듈이 구비된다.
각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다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 시, 상호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는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제어부, 디스플레이 설정부, 및 화면 구성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도 1의 (a)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의 안쪽 측면에 구비된다. 편의상, 휴대 단말기의 본체 상부 안쪽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1 인터페이스부, 본체 좌측의 안쪽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2 인터페이스부, 본체 우측의 안쪽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3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본체 하부 안쪽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4 인터페이스부라 칭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 상부에 다른 휴대 단말기가 접근하면,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다른 휴대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설정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 좌측에 다른 휴대 단말기가 접근하 면,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다른 휴대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설정정보를 송수신한다.
제3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 우측에 다른 휴대 단말기가 접근하면, 다른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다른 휴대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설정정보를 송수신한다.
제4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 하부에 다른 휴대 단말기가 접근하면, 다른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다른 휴대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설정정보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제1 인터페이스부, 제2 인터페이스부, 제3 인터페이스부, 및 제4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다른 휴대 단말기가 접근하면, 해당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 제1 인터페이스부, 제2 인터페이스부, 제3 인터페이스부, 및 제4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접근 위치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만 활성화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휴대 단말기 접근 시에는 다수의 인터페이스부가 동시에 활성화될 수도 있다.
각 인터페이스부에는 해당 인터페이스부를 인식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는 해당 인터페이스부에 부여된 식별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해당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인식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동작에 따른 출력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크기 정보, 해상도 정보, 및 디스플레이 설정정보 등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가 조작되면, 조작된 입력키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디스플레이 설정부, 및 화면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제1 인터페이스부, 제2 인터페이스부, 제3 인터페이스부, 및 제4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다른 휴대 단말기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도록 한다.
해당 휴대 단말기와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면, 제어부는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는 해당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설정부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정보를 함께 디스플 레이 설정부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휴대 단말기 및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와 함께 전달된 연결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본체 우측에 위치한 제3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왼쪽,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오른쪽에 배치된 상태의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화면 구성부는 해당 휴대 단말기와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화면을 구성한다. 만일, 해당 휴대 단말기와 다른 휴대 단말기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 화면 구성부는 출력 화면을 초기화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화면을 재구성한다.
한편, 통합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출력하는 동안 또 다른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을 재구성한다. 화면 구성부 또한 재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화면을 재구성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 치에서 인터페이스 연결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3a는 해당 휴대 단말기(편의상 '제1 휴대 단말기'라 칭한다)와 다른 휴대 단말기(편의상 제2 휴대 단말기'라 칭한다)의 측면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 단말기의 오른쪽 측면으로 제2 휴대 단말기 접근 시, 제1 휴대 단말기와 제2 휴대 단말기 사이의 간격이 소정 거리 이내가 되면, 제1 휴대 단말기의 제3 인터페이스부와, 제2 휴대 단말기의 제2 인터페이스부가 서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도 3b는 도 3a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휴대 단말기와 제2 휴대 단말기의 연결 방향이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 단말기의 하부 측면으로 제2 휴대 단말기 접근 시, 제1 휴대 단말기와 제2 휴대 단말기 사이의 간격이 소정 거리 이내가 되면, 제1 휴대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와, 제2 휴대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가 서로 연결되게 된다. 만일, 제2 휴대 단말기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제2 휴대 단말기의 제4 인터페이스부와 제1 휴대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도 3b와 같은 형태의 통합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제1 휴대 단말기의 제4 인터페이스부와, 제2 휴대 단말기의 제4 인터페이스부 또는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1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b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기본적으로 메인이 되는 제1 휴대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 '화면 방향 전환' 등의 메뉴를 구현함으로써,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도 3b에 도시된 도면이 왼쪽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1 휴대 단말기와 제2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따라서, 화면 구성부 또한 디스플레이 설정부에 의해 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화면 방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도 3b와 같은 형태로 통합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한다. 마찬가지로, 화면 구성부는 출력 화면을 디스플레이 설정부에 의해 재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에 맞게 재구성한다.
별도의 화면 방향 전환 명령이 아니더라도, 지자기 센서 등이 부착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센서에 의해 인터페이스부의 위치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등을 확인함으로써, 자동으로 화면 방향을 전환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인 반면, 도 3c는 더 많은 수의 휴대 단말기 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 단말기, 제2 휴대 단말기, 및 제3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간에 서로 연결된 경우, 메인이 되 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제2 휴대 단말기가 메인 휴대 단말기인 경우에는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3 휴대 단말기로부터 직접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제1 휴대 단말기 또는 제3 휴대 단말기가 메인 휴대 단말기인 경우에는, 제2 휴대 단말기를 거쳐서 다른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한다. 메인 휴대 단말기는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통합 디스플레이의 조작은 메인 휴대 단말기에서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에 의해서도 조작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에 제1 휴대 단말기, 제2 휴대 단말기, 및 제3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으나, 도 3a와 같이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3 휴대 단말기가 추가로 연결된 경우에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도 3b의 설명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메인 휴대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가 상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통합 디스플레이를 설정한 후, 화면 방향 전환 명령 등에 의해 도 3c와 같이 회전된 형태의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서 통합 디스플레이 구성에 따른 화면 출력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의 (a)와 같이 제1 휴대 단말기와 제2 휴대 단말기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각각 해당 휴대 단말기의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만일, 제2 휴대 단말기를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면, 제1 휴대 단말기의 제3 인터페이스부는 제2 휴대 단말기를 인식하고, 제2 휴대 단말기의 제2 인터페이스부와 서로 연결된다.
이때, 제1 휴대 단말기의 제3 인터페이스부는 제2 휴대 단말기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설정정보 등을 수신한다. 이때, 제1 휴대 단말기의 제3 인터페이스부는 제2 휴대 단말기의 제2 인터페이스불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제3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설정부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제3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된 정보와 함께 제3 인터페이스의 식별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제2 휴대 단말기가 제1 휴대 단말기의 우측에 배치된 것임을 인식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제1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와 제2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이로써, 제1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제2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마치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인 것과 같이 구현된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가 240x320이고, 제2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가 240x320인 경우,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제1 휴대 단말기와 제2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이때, 제2 휴대 단말기가 제1 휴대 단말기의 제3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었으므로, 제1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오른쪽으로 연장된 형태인, 480x320의 해상도를 같는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이후, 화면 구성부는 디스플레이 설정부에 의해 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맞도록 출력 화면을 구성하고, 제어부는 화면 구성부에 의해 구성된 출력 화면을 통합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로서,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휴대 단말기, 제2 휴대 단말기, 제3 휴대 단말기, 및 제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각각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다.
메인 휴대 단말기가 제1 휴대 단말기인 경우, 제1 휴대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에는 제2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다. 이때, 제2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정보, 디스플레이 설정정보, 및 인터페이스 연결정보 등을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제1 휴대 단말기의 제3 인터페이스부에는 제3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3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정보, 디스플레이 설정정보, 및 인터페이스 연결정보 등을 제3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제4 휴대 단말기는 제2 휴대 단말기 및 제3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다. 이때, 제4 휴대 단말기는 메인 휴대 단말기인 제1 휴대 단말기에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제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 디스플레이 설정정보, 및 인터페이스 연결정보를 제2 휴대 단말기, 또는 제3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1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1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제2 휴대 단말기, 제3 휴대 단말기, 및 제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 설정부로 인가한다.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제어부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이때, 제1 휴대 단말기, 제2 휴대 단말기, 제3 휴대 단말기, 및 제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가 모두 240x320 이라면, 도 5와 같은 경우, 제1 휴대 단말기의 우측 방향과, 하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연장된 형태를 가지므로, 640x480의 해상도를 갖는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이후, 화면 구성부는 디스플레이 설정부에 의해 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맞도록 출력 화면을 구성하고, 제어부는 화면 구성부에 의해 구성된 출력 화면을 통합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서 제2 휴대 단말기, 제3 휴대 단말기, 제4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 또한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메인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 단말기의 버튼 조작에 의해서도 통합 디스플레이의 출력 화면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비록 240x320의 해상도를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도 4의 (b)와 같이 다른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경우에는 480x320의 해상도를 갖는 통합 디스플레이를, 도 5와 같이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경우에는 640x480의 해상도를 갖는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각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한 통합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휴대 단말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다른 휴대 단말기가 접근하면,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를 감지한다(S600).
이때,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연결정보를 수신하고(S610),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와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연결한다(S620).
이후,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수신된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감지한다(S630).
이때, 제어부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설정부로 전달하고,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 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에 대한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S640).
화면 구성부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기존 화면을 통합 디스플레이의 구성 정보에 따라 재구성하여(S650), 통합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S660).
통합 디스플레이는 휴대 단말기와 다른 휴대 단말기 간에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은 계속 유지된다. 만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간에 연결이 해제되면(S670),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초기화하고(S680), 화면 구성부는 출력 화면을 초기화함으로써, 초기 상태로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69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0)

  1.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부에 의해 구성된 통합 디스플레이로의 출력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서 해당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상기 해당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해제된 다른 휴대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상, 하, 좌, 우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중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8.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 시, 상기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해당 휴대 단말기와 상기 다른 휴대 단말기의 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 구성 정보에 따라 해당 휴대 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해당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해제된 다른 휴대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통합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해당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이 모두 해제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초기화하고, 출력화면을 초기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090089687A 2008-12-03 2009-09-22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8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1642 2008-12-03
KR1020080121642 2008-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644A KR20100063644A (ko) 2010-06-11
KR101278194B1 true KR101278194B1 (ko) 2013-06-27

Family

ID=4236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687A KR101278194B1 (ko) 2008-12-03 2009-09-22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22B1 (ko) * 2015-04-20 2016-09-05 한국과학기술원 복수의 스크린 간의 상대 위치를 이용하여 양방향 멀티 스크린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7734B2 (en) * 2013-01-04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s from multiple mobile devices
KR102444181B1 (ko) * 2015-05-14 2022-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297274A4 (en) 2015-05-14 2018-10-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2575286B1 (ko) * 2017-02-01 2023-09-06 한화비전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160A (ko) * 2003-06-11 2004-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KR20040107863A (ko) * 2003-06-14 2004-12-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확장장치
KR20070056231A (ko) * 2005-11-29 2007-06-0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확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160A (ko) * 2003-06-11 2004-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탈부착 회전 표시부 확장구조 및 방법
KR20040107863A (ko) * 2003-06-14 2004-12-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확장장치
KR20070056231A (ko) * 2005-11-29 2007-06-0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확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22B1 (ko) * 2015-04-20 2016-09-05 한국과학기술원 복수의 스크린 간의 상대 위치를 이용하여 양방향 멀티 스크린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644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194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64472A1 (en) Obtaining information for proximate devices
EP4060969A1 (en) Application program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3282870A (zh) 用于使外部显示器的使用与移动设备适配的方法和系统
US20150067550A1 (en) Dual screen system and method
US11025770B2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40061621A1 (en) Remote control system
WO2020238445A1 (zh) 屏幕录制方法及终端
WO2021037074A1 (zh)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JP2023506289A (ja) カメラ起動方法及び電子機器
CN109032468A (zh) 一种调节设备参数的方法及终端
KR20200090260A (ko)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US2010020386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al mode thereof
WO2020042921A1 (zh) 屏幕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020140819A1 (en) Customizable security system component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US20220291829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CN108762606A (zh) 一种屏幕解锁方法及终端设备
CN106453831A (zh) 基于自拍杆的直播控制方法和装置
CN106200912A (zh) 一种自拍杆拍照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1934651B2 (en) Mobile terminal with multiple screens and mapped coordinates
CN103941915A (zh) 智能眼镜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388471A (zh) 一种导航方法及装置
KR101867853B1 (ko) 휴대 단말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US2021021176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7629958B1 (en) Wireless input devices for compu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