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784A -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784A
KR20040105784A KR10-2004-7014882A KR20047014882A KR20040105784A KR 20040105784 A KR20040105784 A KR 20040105784A KR 20047014882 A KR20047014882 A KR 20047014882A KR 20040105784 A KR20040105784 A KR 2004010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protein
reactive protein
mxa
mxa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와키도시오
Original Assignee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7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8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coagulating time or factors,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15Cytokine-induced prote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37C-reactive prot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생체시료 중의 MxA 단백질 및 C 반응성 단백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및 MxA 단백질 측정시약 및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으로 이루어지는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하기 위한 키트.

Description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METHOD OF JUDGING VIRAL INFECTION}
1928년에 페니실린이 발견된 이래, 잇따라 개발ㆍ개량된 항생물질에 의하여, 상당한 세균 감염증의 치료는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세균 감염증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감염증을 치료할 수 있게 된 것은 아니다. 많은 감염증 환자가 치료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치료법 선택을 위한 진단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상진단에 있어서 세균 감염증과 바이러스 감염증을 명확하고 신속하게 감별하는 방법은 현단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세균 감염증과 그 이외의 감염증의 판별에는 환자의 증상, 말초혈 백혈구 수나 C 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값이 이용되고 있다. C 반응성 단백질은 급성 상(相) 반응물질의 하나로서, 각종 감염증의 진단이나 경과관찰의 마커로서 알려져 있다. 건강한 성인의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은 0.06㎎/㎗ 이다.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이 1∼10㎎/㎗ 인 경우에는 중정도 증가의 이상으로 판단되며, 10㎎/㎗ 이상인 경우에는 고도 증가의 이상으로 판단된다. 중정도 증가의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세균 감염증 이외에도 만성 관절 류머티즘,혈관염, 류머티즘 열, 악성 종양, 심근경색, 외상이 의심된다. 또한, 고도 증가의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중증 세균 감염증이나 활동성 류머티즘이 의심된다[임상검사법 제요, 가네하라출판, 500(1998)].
이와 같이, 종래 세균 감염증의 판별에 사용되었던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의 진단으로는 세균 감염증을 완전하게 판별하기는 어렵다.
최근, 바이러스 감염증의 특이적 지표로서 MxA 단백질이 주목되고 있다. MxA 단백질은 바이러스 감염시에 상승하는 Ⅰ형 인터페론(IFN-α및 IFN-β)에 의하여 임파구내에서 유도되는데, 세균 감염증이나 만성 염증성 질환 등에서 산생항진이 관찰되는 IL-1, IL-6, TNF-α등 기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Eur J Immunol,20, 2015(1990)]. 이 때문에, 임파구내의 MxA 단백질의 발현은 바이러스 감염증 전반을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져, 임상응용으로의 가능성이 보고되어 있다(Pediatr Res,41, 647(1997)].
의료 현장에는 세균 감염증이 의심되면, 환자에게 항생물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JAMA,273, 213(1995)]. 이러한 항생물질의 사용에 의하여, 각종 항생물질에 저항을 나타내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구균(MRSA) 등의 다제(多劑) 내성균의 출현이 중대한 문제가 되어 왔다.
항생물질의 적정 사용은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의료비의 상승을 억제하는 데에도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dicatrics,108, 1(2001)].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증과 세균 감염증을 명확히 판별하는 것이 중요한데, 아직까지는 판별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및 이 판정을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판정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시료 중의 C 반응성 단백질 및 MxA 단백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 및 MxA 단백질 측정시약으로 이루어지는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하려면, C 반응성 단백질의 측정 및 MxA 단백질의 측정을 행한다.
C 반응성 단백질 측정방법으로는, C 반응성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C 반응성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면역학적 측정방법을 들 수 있다. 면역학적 측정방법으로는, 이뮤노어세이법, 이뮤노블로팅법, 응집반응, 보체결합반응, 용혈반응, 침강반응, 금콜로이드법, 크로마토그래피법, 면역염색법 등의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방법이면 어떠한 것도 포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이뮤노어세이법을 들 수 있다.
이뮤노어세이법은 각종 표지를 한 항원 또는 항체를 이용하여, 항체 또는 항원을 검출 또는 정량하는 방법으로, 항원 또는 항체의 표지방법에 따라 방사면역 검출법(RIA), 효소면역 검출법(EIA 또는 ELISA), 형광면역 검출법(FIA), 발광면역검출법(luminescent immunoassay), 물리화학적 검출법(TIA, LAPIA, PCIA), 플로우사이토메트리 등을 들 수 있다. C 반응성 단백질 측정방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물리화학적 검출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 반응성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혈청을 이용하여, 항원인 C 반응성 단백질과 항체 또는 항혈청을 결합시킴으로써 응집체를 형성시키고, 이 응집체를 검출함으로써 실시한다. 이 밖에 물리화학적 검출법으로는, 모세관법, 일차원 면역확산법, 면역비탁법 또는 라텍스 면역비탁법 등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임상검사법 제요, 가네하라출판, 499(1998)].
예를 들면, 라텍스 면역비탁법에서는 항체 또는 항원을 감작시킨 입경 0.1∼1㎛ 정도의 폴리스티렌라텍스 등의 담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항원 또는 항체에 의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키면, 반응액 중의 산란광은 증가하고, 투과광은 감소한다. 이 변화를 흡광도 또는 적분구 탁도로써 검출함으로써 C 반응성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C 반응성 단백질의 측정시약으로는, 교와메덱스사의 디터미너 T CRP 나 엑스텔 CRP, 닛토보사의 N-어세이 TIA-CRP-H 키트 등을 들 수 있다.
MxA 단백질 측정방법으로는, MxA 단백질을 측정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MxA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면역학적 측정방법을 들 수 있다. 면역학적 측정방법으로는, 이뮤노어세이법, 이뮤노블로팅법, 응집반응, 보체결합반응, 용혈반응, 침강반응, 금콜로이드법, 크로마토그래피법, 면역염색법 등의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포함된다.MxA 단백질 측정방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이뮤노어세이법을 들 수 있다.
이뮤노어세이법은 각종 표지를 한 항원 또는 항체를 이용하여, 항체 또는 항원을 검출 또는 정량하는 방법으로, 항원 또는 항체의 표지방법에 따라 방사면역 검출법(RIA), 효소면역 검출법(EIA 또는 ELISA), 형광면역 검출법(FIA), 발광면역 검출법(luminescent immunoassay), 물리화학적 검출법(TIA, LAPIA, PCIA), 플로우사이토메트리 등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플로우사이토메트리를 들 수 있다.
플로우사이토메트리에서 사용하는 형광표지체로는, 임의의 공지(가와오이 아키라 저, 형광항체법, 소프트사이언스사 제조)의 형광표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ITC, RIT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xA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혈청과, 파라핀 고정을 한 말초혈 임파구를 반응시키고, 임파구에 발현하고 있는 MxA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한 항체를 형광표지화된 적당한 이차 항체와 반응시켜, 형광강도의 차이를 플로우사이토메트리에 의하여 검출한다[WO96/05230, Allergy,56, 895(2001)].
본 발명의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하기 위한 키트는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 및 MxA 단백질 측정시약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키트로는,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과 MxA 단백질 측정시약이 각각독립적인 키트를 조합해도 되며,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과 MxA 단백질 측정시약을 동일한 키트에 포함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과 MxA 단백질 측정시약을 동일한 키트에 포함시킨 것에 있어서, 각각의 측정시약 중 공통되는시약은 공용할 수 있다. 공통되는 시약으로는, 예를 들면 생체시료의 희석액, 항체고정화 고상, 반응완충액, 세정액, 표지된 이차 항체 또는 그 항체 단편, 표지체의 검출용 시약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에 측정에 적합한 기기를 조합하여 키트로 해도 된다.
이하에 서술하는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 또는 MxA 단백질 측정시약의 각 구성요소와 본질적으로 동일 또는 그 일부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면, 구성 또는 형태가 달라도 본 발명의 키트에 포함된다.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으로는, C 반응성 단백질에 반응하는 항체를 포함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생체시료의 희석액, 항체 고정화 고상, 반응완충액, 세정액, 표지된 이차 항체 또는 그 항체 단편, 표지체의 검출용 시약, C 반응성 단백질의 표준물질 등도 포함된다.
C 반응성 단백질에 반응하는 항체로는, C 반응성 단백질에 반응하는 항체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시판 중인 염소, 토끼, 래트 등의 항인간 C 반응성 단백질 폴리클로날 항체나 마우스 항인간 C 반응성 단백질 모노클로날 항체(SIGMA사)를 들 수 있다.
생체시료의 희석액으로는, 계면활성제, 완충제 등에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항체 고정화 고상으로는, 각종 고분자 소재를 용도에 맞도록 정형한 소재에 C 반응성 단백질의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고상화시킨 것이 이용된다. 형상으로는, 튜브, 비즈, 플레이트, 라텍스 등의 미립자, 스틱 등을, 소재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톨루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젤라틴, 아갈로스, 셀룰로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소재, 유리, 세라믹스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항체의 고상화의 방법으로는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 또는 이들의 병용 등, 공지된 방법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제 96웰의 면역측정용 마이크로터블레이트에 항체 등을 소수(疎水)고상화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반응완충액으로는, 항체 고정화 고상의 항체와 생체시료 중의 항원이 결합반응을 할 수 있으면 어떠한 완충액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인산 완충액이나 굿의 완충액(Good's buffer)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 방부제, 안정화제, 반응촉진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세정액으로는, 예를 들면 0.05% 의 Tween 20 을 함유하는 인산완충액 생리식염수(이하, PBS 라 표기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완충제, 계면활성제,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 방부제, 안정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표지된 이차 항체 또는 그 항체 단편으로는,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소의 소장 알칼리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등의 표지용 효소를 결합한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들 수 있다. 이 이차 항체 또는 그 항체 단편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제,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 방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표지체의 검출용 시약으로는 상기 표지용 효소에 따라, 예를 들면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이면 테트라메틸벤지딘이나 오르토페닐렌디아민 등의 흡광측정용기질, 히드록시페닐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이나 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등의 형광기질, 루미놀 등의 발광기질을, 알칼리포스파타아제이면 4-니트로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흡광도 측정용 기질, 4-메틸운베리페릴포스페이트 등의 형광기질 등을 들 수 있다.
표준물질로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하여 취득되거나 또는 생체시료로부터 취득된 C 반응성 단백질이나, C 반응성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MxA 단백질 측정시약으로는, MxA 단백질에 반응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생체시료의 희석액, 항체 고정화 고상, 반응완충액, 세정액, 표지된 이차 항체 또는 그 항체 단편, 표지체의 검출용 시약, MxA 단백질의 표준물질 등도 포함된다.
MxA 단백질에 반응하는 항체로는, MxA 단백질에 반응하는 항체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하이브리도머 세포 FERM BP-4731 에 의하여 생산되는 항MxA 단백질 항체 KM1135(W096/05230)를 들 수 있다.
생체시료의 희석액으로는, 계면활성제, 완충제 등에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항체 고정화 고상으로는, 각종 고분자 소재를 용도에 맞도록 정형한 소재에 MxA 단백질의 반응하는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고상화시킨 것이 이용된다. 형상으로는, 튜브, 비즈, 플레이트, 라텍스 등의 미립자, 스틱 등을, 소재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톨루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젤라틴, 아갈로스, 셀룰로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소재, 유리, 세라믹스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항체의 고상화의 방법으로는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 또는 이들의 병용 등, 공지의 방법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제 96웰의 면역측정용 마이크로터블레이트에 항체 등을 소수고상화시킨 것을 들 수 있다.
MxA 단백질 측정시약에 포함되는 반응완충액은 항체 고정화 고상의 항체와 생체시료 중의 항원이 결합반응을 할 수 있으면 어떠한 완충액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인산 완충액이나 굿의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 방부제, 안정화제, 반응촉진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세정액으로는, MxA 단백질 측정을 위한 항원항체반응에 관여하지 않은 것을 세정할 수 있으면 어떠한 세정액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1% 의 소태아혈청, 및 0.1% 의 아자이드를 함유하는 PBS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완충제, 계면활성제,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 방부제, 안정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MxA 단백질 측정시약에 포함되는 표지된 이차 항체 또는 그 항체 단편으로는,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소의 소장 알칼리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등의 표지용 효소를 결합한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들 수 있다. 이 이차 항체 또는 그 항체 단편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제, BSA 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 방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표지체의 검출용 시약으로는 상기 표지용 효소에 따라, 예를 들면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이면 테트라메틸벤지딘이나 오르토페닐렌디아민 등의 흡광측정용 기질, 히드록시페닐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이나 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등의 형광기질, 루미놀 등의 발광기질을, 알칼리포스파타아제이면 4-니트로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흡광도 측정용 기질, 4-메틸운베리페릴포스페이트 등의 형광기질 등을 들 수 있다.
표준물질로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하여 취득되거나 또는 생체시료로부터 취득된 MxA 단백질이나, MxA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생체시료로는, 예를 들면 혈액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C 반응성 단백질과 MxA 단백질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각 값으로부터 C 반응성 단백질과 MxA 단백질의 발현 유무를 판단하여,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한다.
이 경우, C 반응성 단백질 음성 또한 MxA 단백질 양성인 경우에는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판정된다. 또한, C 반응성 단백질 양성 또한 MxA 단백질 음성인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세균 감염증으로 판정된다. C 반응성 단백질 양성 또한 MxA 단백질 양성인 경우 바이러스 감염증 및 세균 감염증으로 판정된다. C 반응성 단백질 음성 또한 MxA 단백질 음성인 경우에는 불명으로 판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반응성 단백질과 MxA 단백질의 측정된 각 값의 양성 또는 음성의 기준은 측정방법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중 C반응성 단백질을 이뮤노어세이법으로 측정한 경우에는 1.0㎎/㎗ 미만을 음성, 1.0㎎/㎗ 이상을 양성으로 하여 판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xA 단백질을 이뮤노어세이법으로 측정한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이 관찰되지 않는 건강한 사람의 측정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평균값+3SD 값 이상을 양성으로 하고 그 미만을 음성으로 하여 판정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든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예 1
어떠한 감염증이 의심되어 각종 검사를 위하여 채혈된 사람 74명(0개월∼15세)의 말초혈을 이용하여, 이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채혈된 말초혈을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 기타 일반 검사용에는 혈청 제출용 스피츠관에, 또한 임파구내의 MxA 단백질 측정용에는 헤파린 Na 를 넣은 스피츠관에 즉시 주입하여, 당일 중에 처리하였다.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의 측정에는, 닛토보사의 N-어세이 TIA-CRP-H 키트를 사용하여, 첨부된 프로토콜에 따랐다. 혈중 C 반응성 단백질의 측정값은 1.0㎎/㎗ 을 기준값으로 하여, 1.0㎎/㎗ 미만인 환자를 음성, 1.0㎎/㎗ 이상인 환자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임파구내의 MxA 단백질의 발현의 해석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헤파린 가(加)채혈한 말초혈 200㎕ 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키고, 그 후 0.1% 트리톤 X-100 을 함유하는 리시스 완충액으로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동시에 임파구 세포막을 침투화시켰다. 다음으로, 하이브리도머 세포 FERM BP-4731 에 의하여 생산되는 항 MxA 단백질 항체 KM1135, 또는 콘트롤 항체로서 항 마우스 IgG1 항체의 1차 항체로 염색하고, 세정 후에 2차 항체를 이용하여 발색시키고, 플로우사이트미터로 해석하여, 콘트롤 항체와의 형광강도의 차이를 MxA 단백질값으로 하였다. 또한, 기준값을 얻기 위하여 정상분만의 제대혈을 이용하여, 편의상 그 평균값+3SD 이상의 형광강도를 기준값으로 하고, 평균값+3SD 이하를 나타낸 환자를 임파구내의 MxA 단백질 발현이 음성, 평균값+3SD 이상을 나타낸 환자를 임파구내의 MxA 단백질 발현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발열의 유무는 채혈일의 최고체온이 37.5℃ 이상인 환자를 발열 유, 37.5℃ 미만인 환자를 발열 무로 하였다.
이들 환자 74명을 발열의 유무에 의한 판정,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 및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판정에 의하여 분류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발열 유 발열 무
환자수 합계 48 26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양성) 31(64.6%) 6(23.1%)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양성) 33(68.8%) 16(61.5%)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에서 양성이 된 환자는 발열이 있는 경우에는 64.6% 이고, 발열이 없는 경우에는 23.1% 가 되었다. 한편,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판정에서 양성이 된 환자는 발열이 있는 경우에는 68.8% 이고, 발열이 없는 경우에는 61.5% 가 되었다. 따라서,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의 양성판정과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양성판정은 독립적인 판정기준에 기인하는 판정으로, 양자를 조합함으로써 더욱 많은 정보가 얻어질 가능성이 나타났다.
실제로,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과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판정을 조합하여 74명의 환자를 해석한 경우, 지금까지는 단순한 세균 감염증이나, 또는 병인불명으로 진단되었던 환자의 병인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발열이 있고,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에서 양성이 된 환자는 31명으로, 지금까지는 단순히 세균 감염증으로 판정되었다. 이 31명의 환자에 대하여,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판정을 조합한 결과,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이 양성이 된 환자는 19명이었다. 이들 19명의 환자 중에는 천식발작 5예와 바이러스성 인두염으로 여겨지는 5예가 포함되어 있어, 바이러스 감염증으로도 여겨지는 환자의 존재가 명백해졌다. 이것은 단순히 발열이 있어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이 양성이면 세균성 감염증이라는 종래의 판정방법보다 본 발명의 판정방법이 우수한 방법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발열이 있어도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에서 음성으로 판정된 17명의 환자는 지금까지는 원인불명으로 판정되었다. 이들 17명의 환자에게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판정을 조합한 결과,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판정에서 양성이 되는 환자는 14명이었다. 실제로, 이 14명 중에는천식발작 4예, 바이러스성 위장염(의심) 2예, 바이러스성 뇌염(의심) 2예의 증예(症例)가 포함되어 있었다.
발열이 없고,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에서는 음성이 되고, 세균 감염증으로는 판정되지 않은 환자는 20명이었다. 이들 20명의 환자에 대하여,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 의한 판정을 조합한 경우, 14명의 환자가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서의 판정에서 양성이 되었다.
실제로, 이들 14명 중 5명의 환자에게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고, 그 내역은 4명이 RS 바이러스 감염증, 1명이 선천성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감염증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혈중 C 반응성 단백질값에서의 판정이 음성이 되어, 지금까지는 병인이 불명한 경우에도, 임파구내 MxA 단백질의 발현에 의한 판정을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할 수 있어, 치료방침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음이 명백해졌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하는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하는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키트를 이용하여, C 반응성 단백질과 MxA 단백질을 동시에 해석함으로써 세균 감염증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할 수 있다.

Claims (2)

  1. 생체시료 중의 MxA 단백질 및 C 반응성 단백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2. MxA 단백질 측정시약 및 C 반응성 단백질 측정시약으로 이루어지는 세균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판정하기 위한 키트.
KR10-2004-7014882A 2002-03-22 2003-03-20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KR20040105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0324 2002-03-22
JPJP-P-2002-00080324 2002-03-22
PCT/JP2003/003408 WO2003081240A1 (fr) 2002-03-22 2003-03-20 Procede de recherche d'infection vira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784A true KR20040105784A (ko) 2004-12-16

Family

ID=2844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882A KR20040105784A (ko) 2002-03-22 2003-03-20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27223A1 (ko)
EP (1) EP1489416A4 (ko)
JP (1) JPWO2003081240A1 (ko)
KR (1) KR20040105784A (ko)
CN (1) CN1656378A (ko)
AU (1) AU2003221157A1 (ko)
WO (1) WO20030812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002A (ko) * 2013-03-07 2015-11-06 레피드 페써겐 스크리닝, 아이엔씨.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의 복합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4496A1 (en) 2002-06-11 2003-12-18 Idaho Research Foundation Type i interferon-inducible proteins to detect viral infection
US8614101B2 (en) * 2008-05-20 2013-12-24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In situ lysis of cells in lateral flow immunoassays
US8470608B2 (en) * 2008-05-20 2013-06-25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Combined visual/fluorescence analyte detection test
US8669052B2 (en) * 2008-06-10 2014-03-11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Lateral flow nucleic acid detector
US20130196310A1 (en) 2008-05-20 2013-08-01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9797898B2 (en) 2008-05-20 2017-10-24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ethods and devices for using mucolytic agents including N-acetyl cysteine (NAC)
US9910036B2 (en) 2008-05-20 2018-03-06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8815609B2 (en) 2008-05-20 2014-08-26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ultiplanar lateral flow assay with diverting zone
US9068981B2 (en) 2009-12-04 2015-06-30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Lateral flow assays with time delayed components
US8962260B2 (en) 2008-05-20 2015-02-24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8609433B2 (en) * 2009-12-04 2013-12-17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ultiplanar lateral flow assay with sample compressor
US20110086359A1 (en) 2008-06-10 2011-04-14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Lateral flow assays
CA2796666C (en) * 2010-04-21 2020-04-14 MeMed Diagnostics, Ltd. Signatures and determinant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863819C (en) 2012-02-09 2021-11-23 Memed Diagnostics Ltd. Signatures and determinants for diagnosing infec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180621B1 (en) 2014-08-14 2020-04-01 Memed Diagnostics Ltd. Computational analysis of biological data using manifold and a hyperplane
US20170234873A1 (en) 2014-10-14 2017-08-17 Memed Diagnostics Ltd. Signatures and determinants for diagnosing infections in non-human subje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808287B2 (en) 2015-10-23 2020-10-20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ccurate diagnosis of infections
US11466331B2 (en) 2016-03-03 2022-10-11 Memed Diagnostics Ltd. RNA determinants for distinguishing between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EP4184167A1 (en) 2016-07-10 2023-05-24 MeMed Diagnostics Ltd. Early diagnosis of infections
CN109661578B (zh) 2016-07-10 2022-05-10 米密德诊断学有限公司 用于区分细菌和病毒感染的蛋白质特征
EP3519833A4 (en) 2016-09-29 2020-06-03 MeMed Diagnostics Ltd. PROGNOSTIC AND TREATMENT METHODS
WO2018060999A1 (en) 2016-09-29 2018-04-05 Memed Diagnostics Ltd. Methods of risk assessment and disease classification
US10209260B2 (en) 2017-07-05 2019-02-19 Memed Diagnostics Ltd. Signatures and determinants for diagnosing infec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8445233A (zh) * 2018-04-10 2018-08-24 安徽金标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病毒蛋白MxA诊断试剂盒及其制备方法
CN108841793B (zh) * 2018-06-08 2021-08-27 东北农业大学 抗鸭Mx-A单克隆抗体及其在检测鸭Mx蛋白的应用
CN110988363A (zh) * 2019-12-31 2020-04-10 苏州康和顺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抗病毒蛋白MxA的检测试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661A (ja) * 1986-02-22 1987-08-2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2646227B2 (ja) * 1988-02-22 1997-08-27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C反応性蛋白の測定法
DE69529272T2 (de) * 1994-08-08 2003-11-20 Kyowa Medex Co Ltd MONOKLONALER ANTIKÖRPER GEGEN DAS HUMANE Mx-PROTEIN Mx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002A (ko) * 2013-03-07 2015-11-06 레피드 페써겐 스크리닝, 아이엔씨.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의 복합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13646A (ko) * 2013-03-07 2021-02-04 레피드 페써겐 스크리닝, 아이엔씨.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의 복합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27223A1 (en) 2005-10-13
AU2003221157A1 (en) 2003-10-08
WO2003081240A1 (fr) 2003-10-02
CN1656378A (zh) 2005-08-17
JPWO2003081240A1 (ja) 2005-07-28
EP1489416A1 (en) 2004-12-22
EP1489416A4 (en)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5784A (ko) 바이러스 감염증의 판정방법
EP0615129B1 (en) Methods for selectively detecting perinuclear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 of ulcerative colitis or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US103791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AU20142261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89622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9528998B2 (en) Methods and reagents for diagnosing rheumatoid arthrtis
Kraemer et al. Automated Fecal Biomarker Profiling-a Convenient Procedure to Support Diagnosis for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WO2017194779A1 (en) Use of anti-cd26 antibody levels as autoimmune and/or inflammatory disease biomarkers
US20210318311A1 (en) Simultaneous detection of humoral and inflammatory biomarkers
US5861264A (en) Anti-tryptase detection as a diagnostic for inflammatory diseases
JP5456056B2 (ja) 体液中のifi16の検出
WO2021030471A1 (en) Methods for diagnosing, prognosing and monitoring treatment for thrombosis in subjec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andhol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mmunoassays for complement diagnostics
JP2002040027A (ja) 免疫学的測定法
JP2023088819A (ja) 検査方法及び検査試薬
Kim et al. 24. Common In Vitro Tests for Allergy and Immunology
Qu A Microflow Cytometry-based Agglutination Immunoassay for On-site Antigen or Antibody-based Medical Diagnosis
CN117741144A (zh) 对细胞外囊泡中所含的碱性磷酸酶的活性进行测定的方法、校准物及结合体
CN113945712A (zh) 一种区别细菌、病毒感染的检测方法及检测试剂盒
CN110927391A (zh) 一种用于诊断血管炎性高血压的检测试剂盒及其应用
UA125669C2 (uk) Спосіб і обладнання для диференціювання вірусних інфекцій і бактеріальних інфекцій
JPH0534348A (ja) リユウマチ因子検出用の新規緩衝剤及びその方法
Nasr et al. test validation
WO1999009413A1 (en) Anti-tryptase detection as a diagnostic for inflammatory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