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937A -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937A
KR20040103937A KR10-2004-7012730A KR20047012730A KR20040103937A KR 20040103937 A KR20040103937 A KR 20040103937A KR 20047012730 A KR20047012730 A KR 20047012730A KR 20040103937 A KR20040103937 A KR 20040103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latch
lock
rotary latch
fl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도 오르체히
슈테판 우에커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다임러크라이슬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다임러크라이슬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4010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05B81/15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with means preventing the detent to return to its latching position before the bolt has moved to the unlatch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로크는 회전 래치(20)를 가지는데, 상기 회전 래치(20) 내에 문의 폐쇄시에 폐쇄 부재(13)가 삽입된다. 상기 회전 래치(20)는 개방 위치로부터 프리 래치 위치를 지나서 메인 래치 위치로 선회된다. 로크는 또한 캐치(30)를 가지는데, 상기 캐치(30)는 프리 래치 위치에서는 회전 래치(20)에 제공된 프리 스톱노치 내에 삽입되고 메인 래치 위치에서는 회전 래치(20)에 존재하는 메인 스톱노치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캐치(30)에 대하여 동력구동식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작동부재(40)가 작용한다. 회전 방향(42)으로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작동면(44)에 의해서 캐치(30)가 간단한 방식으로 리프팅된다. 또한 로크에는 부하 레버가 제공되는데, 상기 부하 레버는 회전 래치(20)가 부하로 인해 개방 위치로 선회되지 않을 경우에, 캐치(30)가 리프팅된 후에 캐치(30)가 회전 래치(20) 안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는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매우 확실하게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LOCK, ESPECIALLY FOR AUTOMOTIVE DOORS, FLAPS OR THE LIKE}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에서 사용되는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의 로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로크들은 회전 래치(rotary latch)를 가지는데, 상기 회전 래치는 캐치(catch)가 삽입될 수 있는 프리 스톱노치(pre-stop notch) 및 메인 스톱 노치(main stop notch)를 갖는다. 개방된 문을 폐쇄시킬 때 종종 갭이 생기는데, 그 이유는 캐치가 회전 래치의 프리 스톱노치까지만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회전 래치는 프리 래치 위치(pre-latch position)에서 멈춰있게 된다. 이러한 갭을 폐쇄하기 위해서 동력구동식 폐쇄 보조수단이 사용되는데, 상기 폐쇄 보조수단은 회전 래치에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 래치를 끝 위치 -캐치가 메인 스톱노치 안으로 삽입되는 위치- 에 이를때까지 계속 이동시킨다. 이러한 끝 위치는 앞으로 "메인 래치 위치(main latch position)"라고 표기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로크는 WO 99/49159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에서는 두 개의 구동경로를 이용하는 기어가 동력구동장치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로크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구동경로는 폐쇄 보조수단으로서 회전래치에 작용하고 제 2 구동 경로는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캐치에 작용한다. 상기 기어에는 전송부재가제공되는데, 상기 전송부재에 의해서 구동장치가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사용되는지 폐쇄 보조수단으로서 사용되는지에 따라서 각각 하나의 구동경로는 활성화되고 다른 구동경로는 비활성화된다.
이러한 로크의 단점은 우선 전송부재의 전환을 위해 제어유닛 및 추가의 구동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매우 복잡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WO 98/27301에는 동력구동식 폐쇄 보조수단 및 개방 보조수단을 갖는 로크가 공지되어 있다. 구동장치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할 때 우선 캐치는 기어축에 배치된 회전 부재에 의해서 작동된다. 그리고 나서 캐치에 의해 회전 래치가 해제된 후에 제 2 구동경로가 종동장치에 의해서 회전축의 회전 운동과 커플링되어서 작동한다. 그리고 나서 제 2 구동경로에 의해서 회전 래치의 개방 운동이 추가로 지지된다. 구동장치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폐쇄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할 때 문의 폐쇄후에 제 2 구동경로를 통해서 회전 래치에 당김 운동이 전달되며, 캐치는 회전 래치의 스냅-인(snap-in)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로크의 단점은 정확하게 필요한 시점에 커플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구동장치에 대한 두 개의 구동경로의 지연된 커플링을 위해서 복잡한 커플링 수단 및 제어 수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하게 작동하고 위에 제시된 단점들을 피하는 전술한 방식의 로크를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항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기술한 조치들의 특징은 구동장치에 계속해서 커플링되어 있는 구동경로가 기어에 제공된다는데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로크는 바람직하게 제조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매우 확실하게 제조될 수 있다.
구동경로의 활성 및 비활성은 구동장치의 회전 방향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서 추가 구동장치를 갖는 전송부재 및 제어유닛의 사용 또는 구동경로의 연결을 위한 커플링부재의 사용은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가 개방되면, 캐치가 회전 래치의 메인 래치 위치로부터 이동된다. 캐치의 리프팅(lifting)은 작동부재에 의해 야기되는데, 상기 작동부재는 회전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작동면에 의해서 캐치를 회전 래치의 메인 스톱노치 또는 프리 스톱노치로부터 리프팅한다. 상기 캐치가 회전 래치와의 스냅-인 결합을 풀자마자, 회전 래치는 복원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회전 래치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보다 더 큰 힘이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2항의 특징들이 제시된다. 따라서 회전 래치가 부하, 예컨대 로크 내에 존재하는 얼음에 의해서 "개방"이라는 신호가 구동 장치에 전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폐쇄 위치에 머물러 있으면, 회전 래치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캐치는 회전 래치의 메인 스톱노치로부터 빼내져서 스프링 하중을 받게 되면 다시 메인 스톱노치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로크 내에 부하 레버가 제공되며, 상기 부하 레버는 캐치를 빼내진 위치에 고정시킨다. 회전 래치의 복원력에 반작용하는 부하가 제거되자마자, 즉 얼음이 용융되고 회전 래치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자마자, 회전 래치에 의해서 부하 레버에 대해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는데, 상기 회전 모멘트에 의해서 부하 레버가캐치의 정지 위치를 벗어나서 캐치와 떨어진 위치 - 이 위치에서는 캐치의 선회궤도가 자유로움- 로 선회됨으로써, 캐치가 스프링 하중에 의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조치들 및 장점들은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된다.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부하 레버를 갖는 회전 래치가 메인 래치 위치에 있을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로크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부하 레버가 없는 회전 래치가 메인 래치 위치에 있을 경우의 로크의 개략도이며,
도 3은 회전 래치의 해제이후의 로크의 개략도이고,
도 4는 개방 위치에 있는 로크의 개략도이며,
도 5는 개방 위치에 있는 로크 및 상부로 리프팅된 위치에 있는 캐치가 제공되는 로크의 개략도이며,
도 6은 개방 위치에 있는 로크 및 끝 위치에 있는 작동부재가 제공되는 로크의 개략도이고,
도 7은 프리 래치 위치에 있는 회전 래치를 갖는 로크의 개략도이며,
도 8은 메인 래치 위치에서 차단된 회전 래치를 갖는 로크의 개략도이고,
도 9는 개방된 회전 래치를 갖는 로크의 개략도이며,
도 10은 상부로 리프팅된 위치에 있는 부하 레버를 갖는 로크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개방 위치에 있는 회전 래치를 갖는 로크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고로 해서 로크의 구조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 로크는 회전 래치(20)를 포함하는데, 상기 회전 래치(20)에는 스프링(23)의 복원력(F1)이 작용한다. 이러한 스프링(23)은 회전 래치(20)의 아버(arbor)(28) 상에 설치되고 하우징(11)의 수용 채널(14) 내부에서 이동된다. 도시된 회전 래치(20)는 하우징(11) 내의 베어링 저널(21) 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반적으로는 문(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이러한 회전 래치는 문 대신에 플랩, 예컨대 자동차의 트렁크 문(tailgate)에 사용될 수도 있다. 회전 래치(20)는 폐쇄 부재(13)(여기서는 활꼴로 형성됨)를 위한 슬롯형 리세스(24)를 갖는다. 폐쇄 부재(13)가 회전 래치(20)로부터 떨어지면(도 6에 도시됨), 회전 래치는 스프링 부하(F1)에 의해서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회전 래치(20)는 리세스(24)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폐쇄 부재(13)는 일반적으로 문의 문설주(jamb)에 부착된다. 그러나 폐쇄 부재(13)는 문에도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회전 래치(20)가 하우징(11)에 의해서 문설주에 고정된다.
회전 래치(20)의 해제 위치에서(도 6) 시작하여 문의 폐쇄시 폐쇄 부재(13)가 리세스(24) 내로 삽입됨으로써 회전 래치(20)가 화살표(29)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F1)에 반하여 개방 위치(도 6)에서 프리 래치 위치(도 7)로 선회된다. 회전 래치(20)는 두 개 이상의 스톱노치(stop notch)(25, 26), 즉 프리 스톱노치(25) 및 메인 스톱노치(26)를 갖는다. 회전 래치(20)가 프리 래치 위치(도 7) 또는 끝 위치인 메인 래치 위치(도 1)에 존재할 경우에는, 이러한 스톱노치(25, 26)에 캐치(30)의 스냅-피트(snap-fit)가 맞물린다.
도 7의 프리 래치 위치가 달성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문과 문설주 사이에 갭이 생긴다. 통상적으로 동력구동식 폐쇄 보조수단이 제공되는데, 상기 폐쇄 보조수단은 회전 래치(20)에 고정되어서 복원력(F1)에 반하여 회전 래치를 메인 래치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메인 래치 위치에서 캐치(30)의 스냅-피트(34)가 회전 래치(20)의 메인 스톱노치(26)의 뒤에서 맞물린다. 이러한 메인 래치 위치(도 1)는 캐치(30)측에서 작용하는 스프링력(F2)에 의해서 야기된다. 이를 위해서 캐치(30) 상에 스프링(33)이 제공되는데, 상기 스프링(33)은 선회축(31)을 중심으로 회전 래치(20) 쪽으로 캐치(30)에 하중을 가한다.
도 1에는 또한 부하 레버(50)가 도시되는데, 상기 부하 레버(50)는 선회축(51)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부하 레버(50)의 스톱(53)에 지지되는 스프링(52)에 의해서 정지 위치(도 1)에 고정된다. 이러한 부하 레버(50)는 베어링 저널(41)이 삽입되는 리세스(56)를 가지는데, 이때 상기 베어링 저널(41)은 작동부재(40)(도 2에 더 자세히 도시됨)를 위한 회전축이다. 도 2에서도 마찬가지로 회전 래치(20) 및 캐치(30)가 메인 래치 위치에 있다. 도 2에서는 작동부재(40)를 더 잘 보여주기 위해서 부하 레버(50)가 생략된다. 이러한 작동부재(40)는 회전 방향(42)으로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작동면(44) 및 차단면 섹션(45)을 가지는데, 상기 차단면 섹션(45)은 캐치(30)의 차단 부재(37)로부터 캐치(30)가 리프팅된 후에 뒤로 이동된다. 도 2에서는 작동부재(40)가 캐치(30)와 접촉하지 않는다.
폐쇄 부재(13)가 회전 래치(20)를 해제하면, 회전 래치(20)는 복원력(F1)에 의해 개방 회전 위치(22)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 래치(20)가 개방 회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캐치(30)에 의해 저지된다. 폐쇄 부재(13)에 의해 회전 래치(20)가 해제된 후에 구동 부재(15)에 구동 출발 신호가 작동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구동 부재(15)는 작동부재(40)를 회전 방향(42)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 부재(15)의 구동 에너지가 예컨대 피니언 기어(16)에 의해서 기어휠(43)로 전달되며, 상기 기어휠(43)은 작동부재(40)와 작용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어휠(43) 및 작동부재(40)는 동일한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이동된다. 기어휠(43) 및 작동부재(40)는 서로 회전 작용에 의해 결합될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는 심지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작동부재(40)가 회전 방향(42)으로 이동되면, 작동부재(40)는 소정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캐치(30)와 접촉하게 된다(도 3). 작동면(44)은 캐치(30)의 조절 아암(38)에 반하여 작동한다. 작동부재(40)가 회전 방향(42)으로 계속 회전할 경우에는 캐치(30)가 복원력(F2)에 대하여 회전 래치(20)의 메인 래치 위치 또는 프리 래치 위치로부터 리프팅된다. 이와 같은 캐치(30)의 해제 위치가 도 4에 도시된다. 이와 같은 캐치(30)의 해제후에 작동부재(40)는 회전방향(42)으로 회전되고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작동면(44)에 의해 캐치(30)가 회전 래치(20)의 주변에 대해 간격(h)을 두고 제공된다. 이와 같이 캐치(30)가 상부로 리프팅된 위치가 도 5에 도시된다. 작동부재(40)의 작동면(44)은 반지름(R1) 만큼 회전축(41)으로부터 최대로 떨어지게 되고 캐치(30)는 회전 래치(20)로부터 최대 간격(h) 내에 존재한다.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40)는 회전 방향(42)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때 작동면(44)의 반지름은 더 이상변동되지 않는다. 즉 캐치(30)는 계속 이와 같이 상부로 리프팅된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반지름(R2=R1)이 변동되지 않는 작동면(44) - 플레이트 표면이라고도 함 - 에 의해 캐치가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 상부로 리프팅된 위치에 있도록 보장되는데, 이를 위한 복잡한 커플링 부재 또는 제어 부재가 사용될 필요는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30)는 하우징(11)의 개구(18)를 통해서 삽입되는 작동 레그(leg)(32)를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레그(32)에 의해서 캐치(30)는 회전 래치(20)의 스냅-인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치(30)는 단부측 압력면(36)을 갖는 추가 아암(arm)(35)을 갖는다. 이러한 압력면(36)은 캐치(30)가 메인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시그널스위치(17)를 작동시킨다. 캐치(30)가 스냅-피트(34)에 의해서 메인 래치 위치 또는 프리 래치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자마자 이러한 시그널스위치(17)가 릴리스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시그널스위치(17)는 캐치(30)의 해제 위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작동부재(40)가 회전 방향(42)으로 끝 위치에 있다. 이러한 끝 위치에서는 작동부재(40)가 캐치(30)의 조절 아암(38)을 해제시킴으로써, 캐치(30)가 스프링력(F2)에 의해 회전 래치(20) 쪽으로 선회한다. 작동부재(40)가 회전 방향(42)에 대해 역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 이는 구동 부재(15)에 의해서는 야기되지 않지만 작동부재(40)의 하중에 의해 야기될 수 있음 - 이러한 역방향 회전 이동은 캐치(30)의 조절 아암의 단부측에 배치된 차단 부재(37)가 작동부재(40)의 차단면 섹션(45)에 반하여 작동되고 이로 인해 작동부재(40)가 역회전 방향으로 차단되는 방식으로 저지된다. 이러한 차단은 작동부재(40)에 제공된 편심판(46)에 의해서도 지지되는데, 상기 편심판(46)은 이 예에서 동일한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이동되고 기어휠(43)과 작동면(44)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편심판(46)은 마찬가지로 차단 섹션(47)을 가지는데, 상기 차단 섹션(47)은 캐치(30)의 차단 부재(37)가 작동면(44)의 차단면 섹션(45)에 반하여 작동하는 순간에 이에 상응하는 캐치(30)의 아암(35)의 섹션에 부딪치게 되며 이에 관해서는 도 6에서 확실히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작동부재(40)의 끝 위치가 달성된 후에 구동 스톱 신호 또는 기어를 기본 위치로 복원시키는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에는 개방 위치가 도시된다. 폐쇄 과정시에 하우징(11)의 슬롯(12)으로 이동되는 폐쇄 부재(13)에 의해 회전 래치(20)가 이동되는데, 이는 하우징(11)이 회전 래치(20)의 리세스(24)의 한 측면에 설치되고 이에 상응하는 전단운동에 의해서 회전 래치(20)가 폐쇄 회전 방향(29)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 래치(20)는 먼저 프리 래치 위치에 이르게 되는데, 이 위치에서는 캐치(30)의 스냅-피트(34)가 회전 래치(20)의 프리 스톱노치(25)에 맞물린다. 이는 도 7에서 볼 수 있다. 회전 래치(20)가 복원력(F1)에 반하여 폐쇄 회전 방향(29)으로 계속 회전할 경우에는 회전 래치(2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래치 위치로 이르게 된다.
도 1을 시작점으로 하여 부하 레버(50)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 래치(20) 및 캐치(30)가 이러한 메인 래치 위치에 있을 때 부하 레버(50)는 정지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부하 레버(50)는 스프링력(F4)에 반하여 축(51)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부하 레버(50)는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사용되는데, 이때 캐치(30)가 리프팅된 후에 부하 레버(50)는 작동부재(40)에 의해 캐치(30)가 회전 래치(20) 안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예컨대 회전 래치(20)가 개방 회전 방향(22)으로 이동될 때 설하중(snow load) 또는 얼음에 의해 차단될 경우에는 신호가 구동 부재(15)에 작동됨으로써, 작동부재(40)가 캐치(30)를 메인 래치 위치 또는 프리 래치 위치로부터 이동시키지만, 회전 래치(20)는 계속 메인 래치 위치 또는 프리 래치 위치에 머무른다. 작동부재(40)의 회전 이동의 끝 위치에서 캐치(30)가 메인 래치 위치 또는 프리 래치 위치로부터 아직 이동되지 않은 회전 래치(20) 안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부하 레버(50)의 돌출부(54)가 캐치(30)의 선회된 조절 아암(38)의 뒤로 맞물린다. 부하 레버(50)는 스프링력(F4)에 의해 캐치(30)의 선회 궤도(19)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캐치(30)가 회전 래치쪽으로 다시 되돌아가는 것이 저지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다. 회전 래치(20)는 개방-회전 방향(22)으로 차단된다. 회전 래치(20)는 여전히 메인 래치 위치에 존재한다. 캐치(30)는 작동부재(40)의 작동에 의해서 이미 선회된 상태이고, 부하 레버(50)에 의해서 회전 래치(20)의 메인 스톱노치 안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회전 래치(20)의 차단이 중단되면, 예컨대 로크(10) 내에 존재하는 얼음이 녹아서, 회전 래치(20)가 복원력(F1)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방 회전 방향(22)으로 계속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이동시에는 회전 래치(20)가 쇼울더(27)에 의해서 부하 레버(50)와 접촉하는데, 이때 이러한 쇼울더(27)는 부하 레버(50)의 주변 섹션(55)에 대해 가압된다. 이는 도 9에 도시된다. 회전 래치(20)의 스프링력(F1)이 부하 레버(50)의 스프링력(F4) 보다 크기 때문에, 이러한 부하 레버(50)는 스프링력(F4)에 대하여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회전 래치(20)의 쇼울더(27)에 의해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서 부하 레버(50)는 캐치(30)의 정지 위치를 벗어나서 캐치(30)와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캐치(30)의 선회 궤도(19)는 자유롭다. 캐치(30)는 스프링력(F2)에 의해서 회전 래치 방향, 즉 정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다. 부하 레버(50)의 선회축(51)은 작동부재(40)의 회전축(41)에 대해 이격되어 있다. 작동부재(40)의 회전축(41)의 피벗(pivot)은 부하 레버(50)의 리세스(56)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리세스(56)는 부하 레버(50)의 선회 이동(57)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리세스(56)는 바람직하게는 선회 운동(57)을 위한 종방향 연장부를 가짐으로써, 작동부재(40)의 회전축(41)을 나타내는 피벗이 부하 레버(50)의 정지 위치에서는 바람직하게 리세스(56)의 단부 또는 중앙에 배치되고 부하 레버(50)의 선회된 위치에서는 리세스(56)의 다른 단부에 부딪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30)를 해제하는 부하 레버(50)가 회전 래치(20)의 개방 회전 방향(22)에 대한 반대 회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1에는 문의 개방 위치가 도시된다. 폐쇄 부재(13)가 회전 래치(20)의 외부에 존재한다. 회전 래치(20)는 정지 위치에 있고 부하 레버(50)는 회전 래치(20)에 의해서 선회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부하 레버(50)는, 회전 래치의 폐쇄시, 즉 회전 래치가 폐쇄 방향(29)으로 이동할 때 회전 래치(20)의 쇼울더(27)가 부하 레버(50)로부터 풀어져서 부하 레버(50)가 정지 위치로 복원되는 일이 가능해지면 그때서야 다시 정지 위치로 복원된다.

Claims (19)

  1. 문 폐쇄시 폐쇄 부재(13)가 삽입되고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서 개방 위치로부터 프리 래치 위치를 지나서 메인 래치 위치로 이동되는 회전 래치(20);
    프리 래치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 래치(20)에 제공된 프리 스톱노치(25) 안으로 삽입되고 메인 래치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 래치(20)에 존재하는 메인 스톱노치(26) 안으로 삽입되는 캐치(30); 및
    상기 캐치(30)에 직접 작용하는 작동부재(40)를 구동 경로를 통해서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 부재(15)를 포함하는 문을 위한 동력구동식 개방 보조수단을 구비한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로서,
    상기 작동부재(40)는 회전 방향(42)으로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작동면(44)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재(40)는 작동면(44) 상에서 상기 작동부재(40)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면 섹션(45)을 가지며, 상기 차단면 섹션(45)은 상기 캐치(30)의 차단 부재(37)로부터 상기 캐치(30)가 리프팅한 후에 뒤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 문 폐쇄시 폐쇄 부재(13)가 삽입되고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서 개방 위치로부터 프리 래치 위치를 지나서 메인 래치 위치로 이동되는 회전 래치(20);
    프리 래치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 래치(20)에 제공된 프리 스톱노치(25) 안으로 삽입되고 메인 래치 위치에서는 회전 래치(20)에 제공된 메인 스톱노치(26) 안으로 삽입되는 캐치(30); 및
    상기 캐치(30)에 구동 경로를 통해 작용하는 구동 부재(15) 및 상기 캐치(30)를 리프팅한 후에 상기 캐치(30)가 상기 회전 래치(20) 안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막는 부하 레버(50)를 포함하는 문을 위한 동력구동식 개방 보조수단을 구비한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로서,
    상기 부하 레버(50)에 대하여 개방 회전 방향(22)으로 이동하는 회전 래치(20)를 통해서 선회 방향(57)으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며, 상기 회전 모멘트에 의해서 상기 부하 레버(50)는 캐치(30)의 정지 위치를 벗어나서 상기 캐치(30)와 떨어진 위치로 선회되며, 이 위치에서는 상기 캐치(30)의 선회 궤도(19)가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래치(20)를 해제하는 상기 폐쇄 부재(13)가 상기 구동 부재(15)를 위한 구동 출발 신호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작동부재(40)가 회전 방향(42)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5)의 구동 에너지가 피니언(16)에 의해서 기어휠(43)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기어휠(43)은 상기 구동 부재(40)와 작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43) 및 작동부재(40)가 동일한 회전 축(41)을 가지며 상기 기어휠(43) 및 작동부재(40)가 서로 회전 작용 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상기 작동부재(40)가 회전 방향(42)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 래치(20)는 개방 과정시에 역회전 방향(22)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상기 작동부재(40)가 작동시에 상기 캐치(30)의 조절 아암(38)에 대하여 작동하며 상기 캐치(30)를 복원력(F2)에 반하여 상기 회전 래치(20)의 메인 래치 위치 또는 프리 래치 위치로부터 리프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0)는 상기 작동 부재(40)에 의해서 상기 회전 래치(20)의 메인 래치 위치 또는 프리 래치 위치로부터 리프팅된 후에 상부로 리프팅된 위치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캐치(30)의 스냅-피트(34)가 상기 회전 래치(20)의 주변에 대해 간격(h)을 두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42)으로 방사형으로 확장되며 반지름(R1)을 갖는 작동부재(40)의 작동면(44)이 회전축(4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짐으로써, 상기 캐치(30)가 상부로 리프팅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래치(20)로부터 최대 간격(h)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재(40)가 회전 방향(42)으로 계속 이동할 때 상기 작동면(44)의 반지름(R2)은 변동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의 조절 아암(38)의 단부측에 차단 부재(37)가 배치되며, 상기 캐치(30)의 리프팅 후에 상기 작동 부재(40)가 회전 방향(42)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작동 부재의 차단면 섹션(45)이 상기 차단 부재(37)에 반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37)에 반하여 이동하는 상기 차단면 섹션(45)이 구동 출발 신호 및 기어를 기본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신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9)가 단부측 압력면(36)을 갖는 추가 아암(35)을 가지며, 상기 압력면(36)은 상기 캐치(30)가 상기 회전 래치(20)의 메인 스톱노치(26)에 존재할 경우에 이 지점에서만 시그널스위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0)가 스냅-피트(34)의 스프링력(F2)에 의해서 상기 회전 래치의 메인 스톱노치(26) 또는 프리 스톱노치(25)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0)의 리프팅 후에 상기 회전 래치(20)가 프리 래치 위치 또는 메인 래치 위치로부터 그 위치에 작용하는 스프링력(F1)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 위치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5. 제 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0)가 상기 회전 래치(20) 안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스프링력(F4)에 의해서 하중을 받은 부하 레버(50)의 돌출부(54)가 상기 캐치(30)의 선회된 조절 아암(38)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캐치(30)의 선회 궤도(19)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6. 제 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레버(50)가 선회축(51)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7. 제 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레버(50)의 선회축(51)이 상기 작동부재(40)의 회전축(41)에 대해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41)을 나타내는 상기 작동부재(40)의 피벗이 상기 부하 레버(50)의 리세스(56) 안으로 삽입되며, 이때 상기 리세스(56)는 바람직하게는 선회 운동(57)을 위한 종방향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8. 제 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레버(50)를 정지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회전 모멘트가 상기 회전 래치(20)의 쇼울더(27)에 작용하며, 이 경우에 상기 회전 래치(20)는 상기 부하 레버(50)의 주변 섹션(55)을 선회 방향(57)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9. 제 2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30)를 해제시키는 부하 레버(50)는 선회 방향(57)으로 이동하며, 상기 회전 래치(20)는 역회전 방향(22)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KR10-2004-7012730A 2002-02-19 2003-01-11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KR20040103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2106813 DE10206813A1 (de) 2002-02-19 2002-02-19 Schlos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klappen oder dgl.
DE10206813.5 2002-02-19
PCT/EP2003/000220 WO2003071065A1 (de) 2002-02-19 2003-01-11 Schlos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klappen od. dg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937A true KR20040103937A (ko) 2004-12-09

Family

ID=2763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730A KR20040103937A (ko) 2002-02-19 2003-01-11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75210B2 (ko)
EP (1) EP1485558B1 (ko)
KR (1) KR20040103937A (ko)
CN (1) CN100439641C (ko)
AU (1) AU2003205595A1 (ko)
BR (1) BR0307771A (ko)
DE (2) DE10206813A1 (ko)
WO (1) WO2003071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6418B4 (de) * 2003-08-08 2012-03-01 BÖCO Böddecker & Co. GmbH & Co. KG Drehfallenschloss
DE10358139A1 (de) * 2003-12-10 2005-07-0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schloß, insbesondere für einen Kofferdeckel oder eine Hecktür eines Kraftfahrzeugs
DE102004033735B4 (de) * 2004-07-13 2006-07-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von Schlössern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FR2877977B1 (fr) * 2004-11-12 2007-01-19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CN1987028B (zh) * 2005-12-21 2010-11-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门锁
GB0612930D0 (en) * 2006-06-29 2006-08-09 Meritor Technology Inc Motor arrangement
JP4851869B2 (ja) * 2006-07-03 2012-01-1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DE102006035556A1 (de) * 2006-07-27 2008-01-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für Fahrzeuge
FR2906291B1 (fr) * 2006-09-26 2008-12-19 Coutier Moulage Gen Ind Serrure motorisee a double came pour un volet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ou analogue.
JP4795195B2 (ja) * 2006-10-17 2011-10-1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ラッチ装置
DE102006052626A1 (de) * 2006-11-08 2008-05-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für Fahrzeuge
US8590946B2 (en) * 2007-05-25 2013-11-26 Magna Closures Inc. Decklid latch with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snowload lever
DE102007024672A1 (de) * 2007-05-25 2008-11-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schlossbaugruppe
FR2921957B1 (fr) * 2007-10-08 2010-02-26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57560A1 (de) 2007-11-29 2009-06-0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für Fahrzeuge
EP2050903B1 (de) 2007-10-17 2012-06-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für Fahrzeuge
DE102007050032A1 (de) 2007-10-17 2009-04-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für Fahrzeuge
FR2924736B1 (fr) * 2007-12-11 2013-05-31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erru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10272B4 (de) * 2008-02-21 2013-08-22 Thermo Electron Led Gmbh Deckelverschluss für Gehäusedeckel von Laborgeräten und dergleichen
DE102008011545A1 (de) * 2008-02-28 2009-09-03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ES2351747B1 (es) * 2008-09-16 2011-12-05 Tubsa Automocion, S.L. Cerradura motorizada de pestillo giratorio.
CN102438485B (zh) * 2009-04-27 2015-01-21 雅固拉国际有限公司 抽屉滑动件和锁定机构
DE102010003483B4 (de) * 2009-06-12 2019-08-01 Kiekert Ag Schloss mit Zwangsführung für Sperrklinke
DE202009015561U1 (de) * 2009-11-14 2011-05-0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20110204674A1 (en) * 2010-02-24 2011-08-25 Parnell Brian E Extender for a liftgate
DE202011005086U1 (de) * 2011-04-09 2014-06-06 Kiekert Ag Schließsystem
CN104470403B (zh) 2012-07-18 2017-06-20 雅固拉国际有限公司 抽屉滑轨及电致动式锁定机构
DE102013107000A1 (de) * 2013-07-03 2015-01-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10017967B2 (en) * 2013-07-26 2018-07-10 Inteva Product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 open feature in a latch
EP3063352B1 (de) * 2013-11-02 2017-12-06 Kiekert AG Schloss mit speicherhebel für ein kraftfahrzeug
GB201408075D0 (en) * 2014-05-07 2014-06-18 Chevalier John P Closure and latching mechanisms
JP6372395B2 (ja) * 2015-02-27 2018-08-1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ドロワ装置
DE102015004283A1 (de) * 2015-04-08 2016-10-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7209376A1 (de) * 2016-06-07 2017-12-07 Magna Closures Inc. Fahrzeugverschluss-Verriegelungsanordnung mit Doppelklinken-Verriegelungsmechanismus
CN106285303B (zh) * 2016-10-28 2017-10-24 北京经纬恒润科技有限公司 一种双门锁控制方法及系统
US11072948B2 (en) * 2016-12-14 2021-07-27 Magna Closures S.P.A. Smart latch
CN206581743U (zh) * 2017-03-03 2017-10-24 恩坦华产品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锁闩致动器机构的弹簧保持组件
DE102019128699A1 (de) * 2019-10-24 2021-04-2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fahrzeug-heckklappe
FR3102498B1 (fr) * 2019-10-29 2021-12-10 U Shin France Serrure pour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0342A1 (fr) * 1980-04-14 1981-10-16 Renault Mecanisme de serrure electrique pour la portee de coffre d'un vehicule automobile
DE3801581C1 (ko) * 1988-01-21 1988-10-13 Bomoro Bocklenberg & Motte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CN1058068C (zh) * 1994-11-10 2000-11-01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DE19617428C2 (de) * 1996-05-01 1998-06-1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elektrischem Türschloß und elektrische Zuziehhilfe für die zugeordnete Kraftfahrzeugtür
DE19650826B4 (de) * 1996-12-07 2005-12-22 Kiekert Ag Elektrischer Kraftfahrzeugtürverschluß
DE19755695A1 (de) * 1997-12-16 1999-06-17 Huf Huelsbeck & Fuerst Gmbh Drehfallenschloß,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6048002A (en) * 1998-02-20 2000-04-11 Asmo Co., Ltd.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for vehicle
DE19927416A1 (de) 1999-06-16 2001-01-04 Kiekert Ag Verfahren zur elektrischen Betätig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ATE374299T1 (de) * 1999-06-16 2007-10-15 Kiekert Ag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und verfahren zur elektrischen betätigung des gleichen
DE29914986U1 (de) * 1999-08-28 2001-01-04 Schloß- und Metallwarenfabrik Böddecker & Co. GmbH & Co. KG, 42327 Wuppertal Kraftfahrzeug-Drehfallenverschluß
DE10043574A1 (de) * 2000-05-19 2001-11-22 Witte Velbert Gmbh & Co Kg Antriebsanordnung für insbesondere ein nockengesteuertes Drehfallenschloß
DE10143366A1 (de) * 2001-09-04 2003-03-2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9352A (zh) 2005-08-24
DE50302286D1 (de) 2006-04-13
CN100439641C (zh) 2008-12-03
EP1485558B1 (de) 2006-01-25
WO2003071065A1 (de) 2003-08-28
US7175210B2 (en) 2007-02-13
US20050167990A1 (en) 2005-08-04
BR0307771A (pt) 2004-12-21
AU2003205595A1 (en) 2003-09-09
EP1485558A1 (de) 2004-12-15
DE10206813A1 (de)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3937A (ko)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CN114016826B (zh) 智能闩锁
CN109267862B (zh) 具有滚子式闩锁机构和系紧机构的车辆闭合闩锁组件
US11674338B2 (en) Automotive door latch with power opening feature
US7059640B2 (en) Lock, especially for the doors, flaps or the like, of motor vehicles
US8235428B2 (en)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EP2776651B1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US6550826B2 (en) Door lock apparatus
US20120175896A1 (en) Vehicle door latch
US20070205613A1 (en) Lock For Doors And Lids On Vehicles
KR101918367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6099048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US8632106B2 (en) Drive unit comprising a blocked functional element for a central locking mechanism
US9016734B2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a detent spring
CN108474225B (zh) 机动车锁
KR19980702291A (ko) 자동차의 플랩 로크, 특히 뒷문 플랩 로크
US8474886B2 (en) Vehicle door latch
EP1176273B1 (en) Latch arrangement
US7946634B2 (en) Vehicle door latch
EP1149967B1 (en) A lock mechanism
CN117120697A (zh) 机动车锁
JP3673986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219164B1 (ko) 테일 게이트와 트렁크에 적용되는 래치
JP3433372B2 (ja) 開閉体の電動閉鎖装置
KR20200074768A (ko) 감지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