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894A -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894A
KR20040100894A KR1020040030573A KR20040030573A KR20040100894A KR 20040100894 A KR20040100894 A KR 20040100894A KR 1020040030573 A KR1020040030573 A KR 1020040030573A KR 20040030573 A KR20040030573 A KR 20040030573A KR 20040100894 A KR20040100894 A KR 2004010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ying
clothes
warm air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무라다모쯔
후지까와기요까즈
기따무라요이찌
히구찌슈이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 (세탁물) 를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건조장치 (3) 로부터 송출되는 온풍을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측 중앙부로부터 통기구멍 (821) 을 통하여 드럼 (10) 내로 공급한다. 드럼 (10) 둘레면벽 (10C) 에 복수의 통수구멍 (10D) 을 형성한다.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의 중앙부에 복수의 통기구멍 (101) 을 형성한다. 외조 (7) 내의 공기는 외조 (7) 의 둘레면벽 (7C) 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배기구 (71) 로부터 건조장치 (3) 내로 도입된다.

Description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WASHING MACHINE WITH CLOTHES DRY FUNCTION}
본 발명은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한 대략 원통형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건조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346941호, 특허 제3311653호, 특허 제2880838호). 드럼식 세탁건조기에는, 예를 들어 드럼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조가 구비되어 있고, 이 외조 내에 소정량의 물을 담은 상태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내의 세탁물을 드럼 내면에 돌출 설치된 배플(baffle) 에 의해 들어 올려,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수면을 향해 자연 낙하시키는 동작 (두드려 빨기) 을 되풀이하여 세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세탁 종료시에는 드럼이 고속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짜져, 세탁물의 탈수가 달성된다.
드럼식 세탁건조기에는, 예를 들어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건조장치로부터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의 세탁물을 어느 정도의 높이에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346941호에는,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탈수 중에 건조장치로부터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행정 개시시까지 드럼 내 (외조 내) 의 온도를 미리 높여 두도록 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3346941호에는 드럼의 일단면측에서 온풍을 공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드럼 내에 공급된 온풍은 드럼의 둘레면에 형성된 통수구멍 (탈수구멍) 이나 드럼의 타단면에 형성된 개구와 개폐문 사이의 간극 (건조풍 취출구) 등으로부터 드럼 외로 유출되기 때문에, 특히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 드럼의 중앙부에 있는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 또, 외조 내의 공기를 건조장치 내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구 (건조풍 취출구) 가 드럼의 타단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수구멍으로부터 드럼 밖으로 유출되는 온풍을 양호하게 배기구로 유도할 수 없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고르게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제33469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큰 기간 중에 건조장치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전류량이 규정치를 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드럼식 세탁건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특허 제3311653호, 특허 제2880838호에는, 건조시에 세탁물에 생기는 주름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제3311653호에는. 세탁물의 양 (부하량) 이 많은 경우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 (고속탈수회전) 시켜 건조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는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 양호하게 주름을 저감시킬 수 없다. 또한, 특허 제2880838호에는, 건조시에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저하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드럼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반복 전환하여 회전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킴으로써 건조행정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세탁물 (의류) 에 생기는 주름을 보다 양호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의류를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보다 건조효율이 향상된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보다 전반적으로 고르게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각 부품의 수명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의류에 생기는 주름을 보다 양호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외조의 종단면도이며, 좌우방향을 따른 연직(鉛直)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앞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외조의 종단면도이며, 전후방향을 따른 연직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우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우측 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4(a) 에서의 B-B 선을 따른 일부단면도이다.
도 6 은 변형예에 관한 연결부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드럼의 좌측면도이다.
도 8 은 이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는 최종 탈수행정시의 운전동작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10 은 건조행정시의 운전동작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11 은 제습수온도 및 실온에 대한 하이리미터(hi-limiter) 온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식 세탁건조기 3 : 건조 유닛
10 : 드럼 10L : 좌단(左端)면벽
10R : 우단면벽 10C : 둘레면벽
10D : 통수(通水)구멍 101 : 통기(通氣)구멍
11L,11R : 회전축 14 : 제습수(除濕水)밸브
311 : 제습수 공급부 40 : 제어부
7 : 외조(外槽) 71 : 배기구
82 : 보스 821 : 통기구멍
829 : 연결부 829A : 경사부
S2 : 제습수온도 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 (11L,11R)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10) 과, 이 드럼을 둘러싸는 외조 (7) 를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의 일단면 (10R) 측으로부터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보다 더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1) 로서, 상기 드럼의 둘레면 (10C) 에 형성되며,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의 의류에 대하여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하였을 때, 의류로부터 나온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통수구멍 (10D) 과, 상기 드럼의 타단면 (10L) 에 형성되며, 드럼의 일단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통과시킬 수 있는 통기구멍 (101) 과, 상기 외조의 드럼 둘레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통수구멍 및 통기구멍을 통하여 드럼 내로부터 나온 온풍을 외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7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그리고 괄호 안의 영숫자는 후술할 실시형태에서의 대응 구성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 이 항에서 동일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기구가 드럼 둘레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드럼 내에 공급된 온풍을 통수구멍을 통해 배기구로 양호하게 유도할 수 있는 동시에 드럼의 타단면에 형성된 통기구멍에도 온풍을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드럼 내에서 통수구멍을 통해 배기구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드럼의 내둘레면 근방에 있는 의류를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한편,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드럼 내에서 통기구멍을 통해 배기구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드럼의 중앙부에 있는 의류를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고르고 양호하게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타단면 (10L) 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 (11L) 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통기구멍은 해당 드럼의 타단면의 회전축 근방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럼의 타단면의 회전축 근방에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 내에 공급된 온풍을 드럼의 축선을 따라 일단면측에서 타단면측까지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드럼의 중앙부에 있는 의류를 향해 온풍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르고 양호하게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 (10) 의 타단면 (10L) 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 (11L) 을 부착하기 위한 회전축 부착용 보스 (81) 와, 이 회전축 부착용 보스에 구비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 (813) 를 포함하여, 상기 통기구멍 (101) 은 상기 드럼의 타단면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형성된 영역 (상기 복수의 리브 선단부를 지나는 원형영역) 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 부착용 보스가 부착됨으로써 강도가 비교적 높아져 있는 영역 내에 통기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드럼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 (813) 사이에 형성된 영역은, 상기 드럼 (10) 의 타단면 (10L) 의 중심에서 반경의 반 정도까지의 원형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드럼의 일단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 (11R) 을 부착하기 위한 회전축 부착용 보스 (82) 와, 상기 회전축 부착용 보스에 구비되며,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 (821) 와, 상기 공급구를 구획하여 온풍의 유통방향 상류측 (우측) 의 면에 온풍의 유통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 (829A) 이 형성된 공급구 구성부재 (82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드럼 내에 공급되는 온풍은 경사면을 따라 공급구로 향하기 때문에, 온풍을 보다 원활하게 드럼 내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내에 수용된 의류를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구 구성부재 (829) 에는, 온풍의 유통방향 상류측에 정점을 갖는 약 삼각형의 장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출부의 상기 유통방향 상류측의 면이 상기 경사면 (829A) 을 구성하고 있을 수도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 (11L,11R)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10) 을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1) 로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3) 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 (40, T19∼T26) 과, 건조행정 개시 전에,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의 의류에 대하여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하는 가열탈수행정을 실행 가능한 가열탈수행정 실행수단 (40, T3∼T18) 을 포함하며, 가열탈수행정 중,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큰 기간 (T8∼T10, T13∼T16) 은 상기 건조장치의 소비전류가 작아지도록 해당 건조장치의 구동양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큰 기간은 건조장치의 소비전류가 억제되기 때문에, 사용전류량이 규정치를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세탁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수명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기간 중 (T8∼T10, T13∼T16), 상기 건조장치 (3) 에 구비된 히터 (341,342) 가 약상태로 전환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가 수용된 수용실 (10) 내로 온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1) 로서,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 (3) 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에 공급되는 온풍을 냉각하고, 온풍에 포함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냉각수 (제습수) 를 공급 가능한 냉각수 공급수단 (14, 311) 과, 이 냉각수 공급수단에 의해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 (40, T19∼T26) 과, 건조행정 전에,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수용실 내의 의류에 대하여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하는 가열탈수행정을 실행 가능한 가열탈수행정 실행수단 (40, T3∼T18) 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은, 가열탈수행정 중 냉각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가열탈수행정 중에는 수용실 내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각수 공급수단에 의해 냉각수를 공급하면 수용실 내의 온도상승의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가열탈수행정 중에는 냉각수의 공급이 정지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실 내의 온도를 양호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실행되는 건조행정의 개시시까지 수용실 내의 온도를 양호하게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향상되어 의류를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 (11L,11R)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10) 을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반복 전환하여 회전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키는 동시에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1) 로서, 건조행정 종료 전의 소정기간 (T24∼T25) 중, 드럼 회전방향의 전환에 의해 드럼 내의 의류에 작용하는 힘이 줄어들도록 드럼의 구동양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건조행정 종료 전의 소정기간 중 드럼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의해 드럼 내의 의류에 작용하는 힘이 줄기 때문에, 의류에 발생하는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의류에 발생하는 주름을 보다 양호하게 저감할 수 있기때문에, 의류를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기간 중 (T24∼T25), 드럼 (10) 의 적어도 일방측으로의 회전속도가 저속도로 전환되게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드럼의 적어도 일방측으로의 회전시간이 장시간으로 전환되게 (회전빈도가 적어지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소정기간 (T24∼T25) 은, 의류의 양 (부하량)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부하량이 소정치 이상일 때는 상기 소정기간 중에 드럼의 구동양태가 전환되지만, 부하량이 상기 소정치 미만일 때는 상기 소정기간 중에 드럼의 구동양태가 전환되지 않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 (11L,11R)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10) 을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1) 로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 (3) 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 (40, T19∼T26) 과, 건조행정 종료 후에, 상기 건조장치에 의한 온풍의 공급을 정지시킨 상태로 드럼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반복 전환하여 회전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킴으로써 의류를 냉각하기 위한 쿨다운 행정을 실행 가능한 쿨다운 행정 실행수단 (40, T26∼T28) 을 포함하며, 쿨다운 행정 종료 전의 소정기간 중 (T27∼T28), 드럼의 적어도 일방측으로의 회전시간이 단시간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드럼 내의 의류의 엉킴을 제거하여 양호하게 풀 수 있다.따라서, 의류에 생기는 주름을 보다 양호하게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류를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의류가 수용된 수용실 (10) 내로 온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1) 로서,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 (3) 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에 공급되는 온풍을 냉각하여 온풍에 포함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냉각수 (제습수) 를 공급 가능한 냉각수 공급수단 (14, 311) 과, 이 냉각수 공급수단에 의해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 (40, T19∼T26) 과, 상기 건조장치 (3) 에 의한 수용실 (10) 내로의 온풍의 공급 개시 전 (T1∼T2) 또는 온풍의 공급개시 (T19) 로부터 소정기간 내에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 (14, 311) 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냉각수온도 검지수단 (S2, 40) 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행정 실행수단은, 상기 냉각수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냉각수의 온도에 근거하는 타이밍으로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건조장치에 의한 수용실 내로의 온풍의 공급 개시 전 또는 온풍의 공급 개시로부터 소정 기간 내에 냉각수의 온도를 검지하기 때문에, 건조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온풍에 의해 냉각수가 따뜻해지기 전에 냉각수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는 타이밍을 보다 적당한 타이밍으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를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행정 전에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수용실내의 의류에 대하여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하는 가열탈수행정을 실행 가능한 가열탈수행정 실행수단 (40, T3∼T18) 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온도 검지수단 (S2, 40) 은 가열탈수행정의 개시 전 (T1∼T2) 에 냉각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건조행정으로부터 운전을 개시시키는 경우, 상기 냉각수온도 검지수단 (S2, 40) 은 건조행정 개시 (T19) 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냉각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건조기 (1) 의 종단면도이고, 전후방향을 따른 연직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우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이 드럼식 세탁건조기 (1) 는 예를 들어 그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체 (2)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케이스체 (2) 의 상면 (2A) 의 앞쪽에는 예를 들어 앞쪽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 (2B) 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체 (2) 의 상면 (2A) 으로부터 경사면 (2B) 에 걸쳐 외부뚜껑 (도시생략) 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구 (4)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 (2) 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양단면이 단면벽 (좌단면벽 (7L) 및 우단면벽 (7R) ) 으로 폐색된 대략 원통형의 외조 (7) 가 그 축선이 좌우 (대략 수평) 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우단면벽 (7R) 만 보인다). 외조(7) 는, 예를 들어 그 둘레면벽 (7C) 의 하부가 복수의 댐퍼 (도시생략)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2 는 외조 (7) 의 종단면도이며, 좌우방향을 따른 연직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앞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 은 외조 (7) 의 종단면도이며, 전후방향을 따른 연직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우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을 참조하여, 외조 (7) 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드럼 (10) 이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서는 드럼 (10) 을 생략하여 나타낸다). 드럼 (10) 은, 예를 들어 양단면이 단면벽 (좌단면벽 (10L) 및 우단면벽 (10R) ) 으로 폐색된 대략 원통 모양이며, 그 축선이 좌우 (대략 수평) 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드럼 (10) 의 직경은 예를 들어 520㎜ 정도이다.
드럼 (10) 의 좌우 단면벽 (10L, 10R) 에는 각각 해당 드럼 (10) 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 (11L,11R) 이 부착되어 있다. 각 회전축 (11L,11R) 은 외조 (7) 의 좌우 단면벽 (7L, 7R) 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좌측 회전축 (11L) 에는, 예를 들어 DD (Direct Drive) 방식으로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연결되어 있고, 이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회전구동됨으로써 회전축 (11L) 에 연결된 드럼 (10) 이 축선 주위에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드럼 (10) 의 둘레면벽 (10C) 에는 세탁물을 넣고 꺼내기 위한 개구 (2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조 (7) 의 둘레면벽 (7C) 에는 케이스체 (2) 의 개구 (4) 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 (23) 가 형성되어 있다. 드럼 (10) 의 개구 (22) 는,예를 들어 외측을 향해 회전운동 가능한 드럼뚜껑 (25) 에 의해 개폐할 수 있으며, 한편 외조 (7) 의 개구 (23) 는, 예를 들어 외측을 향해 회전운동 가능한 중간뚜껑 (도시생략) 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외부뚜껑, 중간뚜껑 및 드럼뚜껑 (25) 을 전부 여는 것에 의해 드럼 (10) 에 세탁물을 넣고 꺼낼 수 있다.
케이스체 (2) 에는, 예를 들어 급수구 (도시생략)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급수구를 통하여 외부의 수도설비 (수도전 등) 로부터 세탁기 내에 수돗물 (이하, 「물」이라 함) 을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급수구에는 급수밸브 (13;도 8 참조) 가 접속되어 있고, 이 급수밸브 (13) 를 여는 것에 의해 급수구를 통하여 세탁기 내로 수돗물이 도입된다. 세탁기 내에 도입된 수돗물은 외조 (7) 둘레면벽 (7C) 의 후단부에 접속된 급수관 (17) 을 통하여 외조 (7) 내로 공급된다.
외조 (7) 둘레면벽 (7C) 의 하부 우측에는 예를 들어 배수구 (19)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 (19) 에 접속된 배수밸브 (18;도 8 참조) 를 닫은 상태로 급수함으로써 외조 (7) 내에 물을 담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외조 (7) 내에 담긴 물은 배수밸브 (18) 를 여는 것에 의해 배수구 (19) 를 통하여 세탁기 밖으로 배출된다.
드럼 (10) 의 둘레면벽 (10C) 에는 다수의 통수구멍 (10D) 이 형성되어 있고, 외조 (7) 내로 공급된 물은 통수구멍 (10D) 을 통하여 드럼 (10) 내로 유입하게 되어 있다. 또, 드럼 (10) 의 둘레면벽 (10C) 의 내면에는, 해당 드럼 (10) 의 회전시에 드럼 (10) 내의 세탁물을 들어 올리기 위한 배플 (10B) 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세탁시에는 드럼 (10) 의 회전에 수반되어 드럼(10) 내의 세탁물이 배플 (10B) 에 의해 들려 올라가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자연 낙하한다는 동작 (텀블링) 이 되풀이됨으로써, 세탁물이 외조 (7) 내에 담긴 물의 수면에 쳐져 이른바 두드려 빨기가 달성된다.
탈수시에는, 드럼 (10) 이 고속 (예를 들어 300∼1000rpm) 으로 회전됨으로써 드럼 (10) 내의 세탁물에 포함되는 물이 원심력에 의해 짜진다. 그리고, 이 세탁물에서 나온 수분이 통수구멍 (10D) 을 통하여 외조 (7) 측으로 비산되어 배수구 (19) 로부터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 드럼식 세탁건조기 (1) 는 탈수 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고, 외조 (7) 의 우단면벽 (7R) 에는 건조기능을 위한 건조유닛 (3) 이 외측에서 부착되어 있다. 건조유닛 (3) 은 외조 (7) 의 내부에 연통되는 흡입구 (30) 로부터 빨아들인 외조 (7) 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풍로부재 (31) 와, 이 풍로부재 (31) 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풍로부재 (31) 로부터의 공기를 외조 (7) 내로 공급하기 위한 팬 (32) 과, 팬 (32) 으로부터의 공기를 외조 (7) 의 우단면벽 (7R) 의 중앙부로부터 외조 (7) 내로 유도하기 위한 건조용 후드 (33) 와, 건조용 후드 (33) 내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외조 (7) 내로 공급하는 공기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도 1 에서는 한쪽 건조히터만 보인다) 를 포함한다. 팬 (32) 은 예를 들어 블로어모터 (35;도 8 참조) 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외조 (7) 의 둘레면벽 (7C) 의 후측 하부에는, 예를 들어 그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기구 (71) 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 (71) 와 흡입구 (30) 는, 예를들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관 (72)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외조 (7) 내의 공기가 배기구 (71) 로부터 도입관 (72) 을 통하여 건조유닛 (3) 내 (풍로부재 (31) 내) 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도입관 (72) 의 배기구 (71) 측 단면에는 도입관 (72) 내를 향해 돌출되는 서미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배기온도 센서 (S1)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이 배기온도 센서 (S1) 에 의해 배기구 (71) 로부터 배출되는 외조 (7) 내의 공기의 온도 (배기온도) 를 검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조 (7) 의 둘레면벽 (7C) 의 후측 하부에 배기구 (71)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시 드럼 (10) 을 우측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역회전) 시킨 경우 쪽이, 반대방향으로 회전 (정회전) 시킨 경우보다도 드럼 (10) 의 회전에 수반되어 유동하는 외조 (7) 내의 공기가 배기구 (71) 로 들어가기 쉽다.
드럼 (10) 의 좌우 단면벽 (10L,10R) 의 중앙부에는 각각 좌우의 회전축 (11L,11R) 을 고정하기 위한 보스 (81, 82) 가 외측에서 부착되어 있다. 우측의 보스 (82) 는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의 중앙부를 구성하고 있고, 건조유닛 (3) 의 건조용 후드 (33) 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외조 (7) 내로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통기구멍 (821;도 4 참조) 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통기구멍 (101;도 7 참조) 이 형성되어 있고, 건조유닛 (3) 의 건조용 후드 (33) 로부터 외조 (7) 내로 공급된 공기는 도 2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보스 (82) 의 통기구멍 (821) 으로부터 드럼 (10) 내로 들어가,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에 형성된 통기구멍 (101) 이나 둘레면벽 (10C) 에 형성된 통수구멍 (10D) 을 통과하여 드럼 (10) 밖으로 유통된다. 그리고,드럼 (10) 밖으로 유통된 공기는 외조 (7) 의 배기구 (71) 로부터 도입관 (72) 을 통해 다시 건조유닛 (3) 내로 들어간다. 통기구멍 (101) 은, 예를 들어 통수구멍 (10D) 과 거의 같은 형상 (크기)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구 (71) 가 드럼 (10) 의 둘레면벽 (10C) 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유닛 (3) 으로부터 드럼 (10) 내로 공급된 공기를 통수구멍 (10D) 을 통하여 배기구 (71) 로 양호하게 유도할 수 있는 동시에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에 형성된 통기구멍 (101) 에도 온풍을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드럼 (10) 내로부터 통수구멍 (10D) 을 통과하여 배기구 (71) 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드럼 (10) 의 내주면 근방에 있는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한편,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드럼 (10) 내로부터 통수구멍 (10D) 을 통과하여 배기구 (71) 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드럼 (10) 의 중앙부에 있는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고르고 양호하게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특히,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의 중앙부에 통기구멍 (101)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유닛 (3) 으로부터 드럼 (10) 내로 공급된 공기를 드럼 (10) 의 축선을 따라 우단면벽 (10R) 측에서 좌단면벽 (10L)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드럼 (10) 의 중앙부에 있는 세탁물을 향해 온풍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전반적으로 고르게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우측의 보스 (82) 에는 드럼 (10) 의 내측에서 커버 (83) 가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 (83) 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관통구멍 (831) 이 형성되어 있고, 건조유닛(3) 으로부터의 공기는 이들 관통구멍 (831) 을 통과하여 드럼 (10) 내로 유도된다. 이 커버 (83) 에 의해 드럼 (10) 내의 세탁물이 통기구멍 (821) 으로부터 드럼 (10) 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시에는 건조유닛 (3) 으로부터 드럼 (10)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드럼 (10) 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10) 내의 세탁물을 배플 (10B) 에 의해 들어 올려,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자연 낙하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로 인해 세탁물에 전방적으로 고르게 온풍을 불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건조시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조유닛 (3) 내에 제습수 (냉각수) 를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풍로부재 (31) 의 상부에 형성된 제습수 공급구 (311) 로부터 풍로부재 (31) 내에, 세탁기 내에 도입되는 물의 일부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풍로부재 (31) 내에 공급된 제습수는 풍로부재 (31) 내를 낙하 (유하) 한다 (도 1 참조). 제습수는 예를 들어 제습수 밸브 (14;도 8 참조) 를 여는 것에 의해 제습수 공급구 (311) 로부터 공급되게 되어 있다.
드럼 (10) 내의 세탁물로부터 습기를 빼앗아 건조유닛 (3) 내로 들어간 온풍은, 풍로부재 (31) 내를 상방을 향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습수에 의해 냉각되어 수분 (습기) 이 응축되고, 다시 건조용 후드 (33) 로부터 드럼 (10) 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세탁기 내를 순환하는 온풍으로부터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드럼 (10) 내에 건조한 온풍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향상된다.
풍로부재 (31) 내를 낙하한 제습수는 흡입구 (30) 를 통하여 도입관 (72) 에 유입된다. 도입관 (72) 은 그 우단부가 넓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로 인해 도입관 (72) 의 우단하부에는 풍로부재 (31) 로부터 도입관 (72) 내로 유입된 제습수가 담기는 물저장부 (7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외조 (7) 의 우단면벽 (7R) 의 하부에는 물저장부 (73) 에 면하는 제습수온도 센서 (S2)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제습수온도 센서 (S2) 에 의해 물저장부 (73) 에 담긴 제습수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습수온도 센서 (S2) 는 예를 들어 SUS (스테인리스강) 제의 서미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 는 우측 보스 (82)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이 보스 (82) 를 좌측 (드럼 (10) 측) 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4 (b) 는 도 4 (a) 에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이 보스 (82) 에는 예를 들어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회전축 (11R) 을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맞춤오목부 (822A) 가 형성된 대략 원형의 축고정부 (822) 와, 축고정부 (822) 의 외주둘레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환상부재이며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에 고정되는 드럼고정부 (823) 와, 회전축 (11R) 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축고정부 (822) 의 외주가장자리와 드럼고정부 (823) 의 내주가장자리를 원주방향의 소정 등각도마다 (예를 들어, 60°마다) 연결하는 6 개의 연결부 (824) 가 구비되어 있다. 축고정부 (822) 와, 드럼고정부 (823) 와, 6개의 연결부 (824) 로 구획된 6 개의 공간은 각각 건조유닛 (3) 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드럼 (10) 내에 통과시키기 위한 통기구멍 (821) 을 구성하고 있다.
드럼고정부 (823) 의 내주가장자리부에는, 해당 드럼고정부 (823) 를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에 고정할 때 나사를 죄어 넣기 위한 6 개의 드럼고정용 나사구멍 (825) 과, 해당 드럼고정부 (823) 에 대하여 커버 (83) 를 부착할 때에 나사를 죄어 넣기 위한 3 개의 커버부착용 나사구멍 (826) 이 형성되어 있다. 6 개의 드럼고정용 나사구멍 (825) 은 각각 6 개의 연결부 (824) 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드럼고정부 (823) 의 우측면 (외부조 (7) 측의 면) 의 외주가장자리부에는, 그 원주를 따라 예를 들어 3 개의 환형 라비린스 리브(labyrinth rib: 827) 가 서로 직경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 (82) 가 고정된 드럼 (10) 을 외조 (7) 내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각 라비린스 리브 (827) 사이의 공간 내에 외조 (7) 의 우단면벽 (7R) 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2 개의 환형 라비린스 리브 (828) 가 각각 들어가게 되어 있다 (도 2 참조). 이와 같이 교대로 겹치게 배치된 라비린스 리브 (827, 828) 에 의해 건조유닛 (3) 으로부터 외조 (7) 내로 공급된 공기가 외조 (7) 의 우단면벽 (7R) 의 내면과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의 외면 간의 간극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는 도 4 (a) 에서의 B-B 선을 따른 일부 단면도이고, 연결부 (824) 의 단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연결부 (824) 는 부착상태에서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주판부 (824A) 와, 이 주판부 (824A) 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좌측 (드럼 (10) 의 내방측) 으로 돌출하는 돌출편부 (824B) 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건조유닛 (3) 으로부터 외조 (7) 내로 공급된 공기는 도 5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 (824) 의 주판부 (824A) 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드럼 (10) 측을 향해 주판부 (824A) 의 우측면에 충돌하여 진로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뀐 후, 통기구멍 (821) 을 통과하여 드럼 (10) 내로 흐른다.
도 6 은 변형예에 관한 연결부 (829) 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 관한 연결부 (829) 는, 부착상태에서 드럼 (10) 의 우단면벽 (10R) 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경사부 (829A) 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2 개의 경사부 (829A) 의 대향하는 일측 가장자리가 연결됨으로써 우측 (드럼 (10) 의 외방측) 에 정점을 갖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장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부 (829A) 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좌측 (드럼 (10) 의 내방측) 으로 돌출되는 돌출편부 (829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건조유닛 (3) 으로부터 외조 (7) 내로 공급된 온풍은 도 6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경사부 (829B) 를 따라 통기구멍 (821) 측을 향하기 때문에, 도 5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의 연결부 (824) 와 비교하여 건조유닛 (3) 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보다 원활하게 드럼 (1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10)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변형예에 관한 연결부 (829) 의 경사부 (829B) 는 그 우측의 면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해당 경사부 (829B) 의 우측의 면이 만곡면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7 은 드럼 (10) 의 좌측면도이다.
도 7 을 참조하여,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의 중앙부에 부착된 보스 (81) 에는, 예를 들어 회전축 (11L) 을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맞춤오목부 (812A) 가 형성된 대략 원형의 축고정부 (812) 와, 축고정부 (812) 의 외주가장자리에 대하여 원주방향의 소정 등각도마다 (예를 들어, 60°마다) 배치되어 회전축 (11L) 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6 개의 드럼고정부 (813) 가 구비되어 있다. 각 드럼고정부 (813) 는 예를 들어 좌단면벽 (10L) 의 반경의 반 정도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드럼고정부 (813) 의 선단부에는 해당 드럼고정부 (813) 를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에 고정할 때 나사를 죄어 넣기 위한 드럼고정용 나사구멍 (815) 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유닛 (3) 으로부터 드럼 (10) 내로 공급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통기구멍 (101) 은,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중 6 개의 드럼고정부 (813) 의 선단부를 통과하는 원형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통기구멍 (101) 은 드럼 (10) 의 좌단면벽 (10L) 중 각 드럼고정부 (813) 사이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스 (81) 가 부착됨으로써 강도가 비교적 높아져 있는 영역 내에 통기구멍 (101) 을 형성함으로써 드럼 (10) 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은 이 드럼식 세탁건조기 (1) 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드럼식 세탁건조기 (1) 의 운전동작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구성된 제어부 (40) 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 (40) 에는 예를 들어 CPU, RAM, ROM 등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 (40) 에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배기온도 센서 (S1) 나 제습수온도 센서 (S2) 외에 수위센서 (S3) 나 실온센서 (S4) 등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수위센서 (S3) 는 외조 (7) 내에 소정수위까지 물이 담겼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실온센서 (S4) 는 예를 들어 제어부 (40) 를 구성하는 제어기판에 부착된 서미스터이며, 외조 (7) 외부의 온도 (실온) 를 검지하여 그 검지결과에 기초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제어부 (40) 에는 예를 들어 급수밸브 (13), 배수밸브 (18), 제습수 밸브 (14), 드럼구동용 모터 (12), 블로어 모터 (35), 제 1 건조히터 (341) 및 제 2 건조히터 (342) 등이 제어대상으로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 (40) 는, 수위센서 (S3)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밸브 (13) 및 배수밸브 (18) 를 개폐시킴으로써 외조 (7) 내의 물을 원하는 수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40) 는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중 어느 하나를 통전함으로써 드럼 (10) 내에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비교적 낮게 (약상태) 할 수 있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의 양쪽을 통전함으로써 드럼 (10) 내에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비교적 높게 (강상태) 할 수 있다.
도 9 는 최종 탈수행정시의 운전동작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탈수행정의 최종단계로서의 최종 탈수행정시에 건조유닛(3) 으로부터 드럼 (10) 내로 온풍을 불어 넣으면서 탈수 (가열탈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최종 탈수행정에서는, 먼저 제습수 밸브 (14) 가 소정시간 (예를 들어, 60 초) 만큼 열려 물저장부 (73) 에 제습수가 담긴다 (T1∼T2). 그 동안, 제 1 건조히터 (341), 제 2 건조히터 (342) 및 블로어 모터 (35) 는 오프된 상태, 급수밸브 (13) 는 닫힌 상태로 되어 있고, 드럼구동용 모터 (12;드럼 (10) ) 가 소정시간만 저속으로 역회전됨으로써 배플 (10B) 에 의해 들려 올라간 드럼 (10) 내의 세탁물이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자연 낙하한다 (두드려 탈수). 물저장부 (73) 에 담긴 제습수는 그 온도가 제습수온도 센서 (S2) 에 의해 검지되어, 그 검지결과 (제습수의 온도의 데이터) 가 제어부 (40) 에 기억된다.
제습수 밸브 (14) 가 닫히면 (T2) 블로어 모터 (35) 가 구동을 개시하여, 예를 들어 5 초 정도로 해당 블로어 모터 (35) 의 회전속도가 약 4500rpm 에 도달한다 (T3). 이 시점에서 제 1 건조히터 (341) 가 온됨으로써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약상태가 되어 가열탈수가 시작된다.
가열탈수 중에는 드럼 (10) 내 (외조 (7) 내) 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건조유닛 (3) 내에 제습수를 공급하면 드럼 (10) 내의 온도상승이 방해가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열탈수 중에는 제습수 밸브 (14) 가 닫힘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 (10) 내의 온도를 양호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실행되는 건조행정의 개시시까지 드럼 (10) 내의 온도를 양호하게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향상하여, 건조행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탈수 중에는 드럼 (10)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탈수하기 때문에, 탈수효율도 향상된다.
가열탈수가 개시되면 (T3), 예를 들어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의 짧은 시간만 역회전됨으로써 드럼 (10) 내의 세탁물을 푸는 처리 (엉킴 풀기 탈수) 가 실시된 후,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정회전하여 약 150rpm 으로 유지된다 (제 1 탈수기동).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 후 (T4) 에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속도가 더욱 빨라져 약 400rpm 에 도달하면 (T5),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내려가 정지된다 (제 1 고속탈수).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를 내리기 시작할 때 (T5) 에는, 제 2 건조히터 (342) 가 온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가 모두 온상태가 되어,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강상태가 된다.
제 1 고속탈수가 종료되면,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의 회전속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제 1 고속탈수시에 드럼 (10) 의 내면에 달라붙은 세탁물을 떼어내기 위한 처리 (제 1 의류박리) 가 실시된다 (T6∼T7). 그 후, 다시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의 단시간만 역회전되어 엉킴 풀기 탈수가 실시된 후,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정회전되어 약 150rpm 으로 유지된다 (제 2 탈수기동).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 (T8) 에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정회전방향으로의 회전속도가 더욱 빨라져 약 700rpm 에 도달하면 (T9), 그 회전속도로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시간만 유지된 후 (T10)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내려가 정지된다 (제 2 고속탈수). 제 2 고속탈수 개시시 (T8) 부터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를 내리기 시작할 때 (T10) 까지의 사이에 제 1 건조히터 (341) 는 오프상태가 된다. 즉, 이 기간 중 (T8∼T10) 에는 제 2 건조히터 (342) 만이 온상태가 됨으로써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약상태가 되고, 이 기간이 경과한 후 다시 제 1 건조히터 (341) 가 온상태가 되어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강상태가 된다.
제 2 고속탈수가 종료되면,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의 회전속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제 2 고속탈수시에 드럼 (10) 의 내면에 달라붙은 세탁물을 떼어내기 위한 처리 (제 2 의류박리) 가 실시된다 (T11∼T12). 그 후, 다시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의 단시간만 역회전되어 엉킴 풀기 탈수가 실시된 후,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정회전되어 약 150rpm 으로 유지된다 (제 3 탈수기동).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 (T13) 에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정회전방향으로의 회전속도가 더욱 빨라진다.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가 약 1100rpm 에 도달하면 (T14), 그 회전속도로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시간만 유지된 후 (T15), 다시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가 빨라져 약 1200rpm 으로 소정시간만 회전된 후 (T16),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내려가 정지된다 (제 3 고속탈수). 제 3 고속탈수 개시시 (T13) 부터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를 내리기 시작할 때 (T16) 까지의 사이에 제 1 건조히터 (341) 는 오프상태가 된다. 즉, 이 기간 중 (T13∼T16) 에는 제 2 건조히터 (342) 만이 온상태가 됨으로써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약상태가 되고, 이 기간이 경과한 후 다시 제 1건조히터 (341) 가 온상태가 되어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강상태가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3 고속탈수 중, 특히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약 1100rpm 으로 정회전하고 있는 기간 중 (T14∼T15) 에 급수밸브 (13) 가 소정시간 (예를 들어 10 초) 만 열리게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외조 (7) 내에 공급된 물이 고속회전 중인 드럼 (10) 의 둘레면에 닿아 외조 (7) 내 전체에 비산되고, 그 비산된 물에 의해 외조 (7) 나 드럼 (10) 에 부착되어 있는 세제성분 (거품) 이 제거된다.
제 3 고속탈수가 종료되면,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의 회전속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제 3 고속탈수시에 드럼 (10) 의 내면에 달라붙은 세탁물을 떼어내기 위한 처리 (제 3 의류박리) 가 실시된 후 (T17∼T18) 제 2 건조히터 (342) 가 오프되어, 최종 탈수행정 (탈수행정) 이 종료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속탈수의 상승시나 드럼 (10) 의 회전속도가 고속으로 유지되어 있을 때와 같이 드럼 구동모터 (12) 의 구동전류가 큰 기간 중 (T8∼T10, T13∼T16) 에는,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약상태로 되어, 건조유닛 (3;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 에서의 소비전류가 억제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드럼식 세탁건조기 (1) 의 운전 중에 사용전류량이 규정치를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드럼식 세탁건조기 (1) 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수명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중 하나만 온으로 함으로써 건조유닛 (3) 의 구동을 약상태로 할 수 있는 한편,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의 양쪽을 온으로 함으로써 건조유닛 (3) 의 구동을 강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건조히터 (341) 를 온상태로 하는 시간과 제 2 건조히터 (342) 를 온상태로 하는 시간이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의 온/오프를 조합하면, 각 건조히터 (341, 342) 의 수명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유닛 (3) 의 수명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강상태가 되는 기간 (T5∼T8, T10∼T13) 은 약 200 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간 중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회전속도를 약 150rpm 으로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드럼 (10) 내의 세탁물 쏠림에 기인하는 편심하중을 억제하기 위한 처리가 실시되게 되어 있고, 이 처리에 의해 편심하중이 소정치 이하가 된 시점 (T8, T13) 에서 고속탈수로 이행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편심하중이 소정치 이하가 된 경우에도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강상태가 되고 나서 소정시간 (예를 들어 약 200 초) 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속탈수로 이행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고속탈수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0 은 건조행정시의 운전동작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탈수행정 (최종 탈수행정) 이 종료되면 건조행정이 실시된다. 건조행정에는, 건조행정의 개시로부터 배기 온도 및 제습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는 예비건조기간 (T19∼T23) 과, 배기온도 및 제습수온도가 각각 거의 일정해지는 항률(恒率)건조기간 (T23∼T25) 과, 배기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고 제습수온도가 서서히 저하하는 감률(減率)건조기간 (T25∼T26) 이 포함된다.
건조행정 (예비건조기간) 이 개시되면 (T19), 최종 탈수행정 종료시에 온상태였던 제 1 건조히터 (341) 가 온상태로 유지되고 열림상태였던 배수밸브 (18) 가 열림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제습수 밸브 (14) 가 열려, 건조유닛 (3) 내에 제습수가 공급된다. 이 때, 약 4500rpm 이던 블로어 모터 (35) 의 회전속도는 소정의 회전속도까지 내려가게 되어 있다.
또한, 예비건조행정 개시시에는 일정시간 (T19∼T20) 만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소정의 회전속도로 정회전된다. 이 기간 중 드럼 (10) 의 관성 모멘트를 측정함으로써 세탁물의 양 (부하량) 을 검지할 수 있다. 그 후, 드럼구동용 모터 (12) 는 약 50rpm 으로 60 초간 정회전한 후 3 초간만 정지하고, 약 50rpm 으로 60 초간 역회전하여 다시 3 초간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상기한 바와 같은 정회전/역회전의 반복 동작을 개시 (T20) 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2 건조히터 (342) 가 온이 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가 모두 온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약상태로부터 강상태로 바뀐다. 그 후, 블로어 모터 (35) 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높아져 (T22) 다시 약 4500rpm 으로 유지된다.
예비건조기간 중에는 배기온도 및 제습수온도가 거의 동일한 비율로 서서히 높아진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배기온도 및 제습수온도가 거의 일정해져, 항률건조기간으로 이행한다 (T23). 항률건조기간 중에는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가 온된 상태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강상태) 에서 블로어 모터 (35) 의 회전속도가 약 4500rpm 으로 유지되는 동시에 제습수 밸브 (14) 가 열려건조유닛 (3) 내로 제습수가 공급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세탁물이 건조된다. 또, 건조행정 중 실온센서 (S4) 에 의해 검지되는 실온은 일정한 낮은 비율 (예비건조기간 중의 배기온도 및 제습수온도보다도 낮은 비율) 로 서서히 높아진다.
건조행정개시 (T19) 부터 소정시간 (예를 들어 90분) 이 경과하면,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구동이 약 50rpm 으로 60 초간 정회전한 후 3 초간만 정지하고, 약 40rpm 으로 180 초간 역회전하고 다시 3 초간 정지하는 동작의 반복으로 전환된다 (T24). 이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구동양태는, 건조행정이 종료할 때까지 (T26) 유지된다.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구동양태를 전환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어 세탁물의 부하량, 실온 및 제습수온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이, 건조행정 종료 전의 소정기간 중 (T24∼T26), 드럼 (10;드럼구동용 모터 (12) ) 의 역회전방향의 회전속도가 저속도로 전환되는 동시에 드럼 (10) 의 역회전방향의 회전시간이 장시간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드럼 (10) 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의해 드럼 (10) 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힘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세탁물에 발생하는 꼬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에 발생하는 주름을 보다 양호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드럼 (10) 의 회전속도를 과도하게 내리면 드럼 (10) 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작아져, 특히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건조유닛 (3) 으로부터 드럼 (10) 내로 온풍이 들어가는 통기구멍 (821) 이 세탁물로 덮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건조유닛 (3) 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라비린스 리브 (827, 828) 의 간극에서 새어나가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드럼 (10) 을 역회전시킨 경우 쪽이 정회전시킨 경우보다도 배기구 (71) 에 외조 (7) 내의 공기가 들어가기 쉽기 때문에, 드럼 (10) 의 정회전시에는 배기온도 센서 (S1) 로의 온풍의 흐름이 나빠져 배기온도가 고온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드럼 (10) 의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에 배기온도의 오차가 커져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건조행정 종료 전의 소정기간 중 (T24∼T26) 에는 배기구 (71) 에 외조 (7) 내의 공기가 들어가기 쉬운 방향 (역회전방향) 만 드럼 (10;드럼구동용 모터 (12) ) 의 회전속도를 낮춰 회전시간을 길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단, 세탁물의 부하량이 작을 때는 세탁물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하량이 소정치 미만일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를 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세탁물이 축축할 동안에는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온풍이 세탁물에 주는 열량 (드럼 (10) 내에 공급된 온풍과 세탁물 사이에서의 열교환량) 이 거의 일정해지기 때문에 배기온도도 거의 일정해지지만, 세탁물이 마르면 세탁물에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온풍이 세탁물에 주는 열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배기온도가 서서히 높아지는 감률건조기간으로 이행한다 (T25). 감률건조기간 중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 (10) 내에 공급된 온풍과 세탁물 사이에서의 열교환량이 작아지는 한편, 제습수는 일정한 유량으로 건조유닛 (3) 내에 계속 공급되기 때문에,제습수온도는 서서히 저하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최종 탈수행정 개시시에 검지한 제습수온도와 실온에 기초하여 건조행정을 종료할 때의 배기온도 (하이리미터 온도) 를 결정하고, 배기온도가 하이리미터 온도에 도달한 시점 (T26) 에서 건조행정을 종료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습수온도 뿐만 아니라 실온도 가미하여 결정된 하이리미터 온도를 기준으로 건조행정을 종료하는 구성으로 하면, 세탁물을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는 기간 (T1∼T2) 에 제습수온도를 검지하기 때문에, 건조유닛 (3) 으로부터 송출되는 온풍에 의해 제습수가 따뜻해지기 전에 제습수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당한 하이리미터 온도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더욱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1 은 제습수온도 및 실온에 대한 하이리미터 온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을 참조하여, 하이리미터 온도는 예를 들어 건조운전 전 (최종 탈수행정 개시시) 의 제습수온도 (WT) 가 10℃ 다를 때마다 (WT<10, 10≤WT<20, 20≤WT<30, 30≤WT) 다른 값이 되어 있고, 실온 (KT) 이 10℃ 다를 때마다 (KT<10, 10≤KT<20, 20≤KT<30, 30≤KT<40, 40≤KT) 다른 값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리미터 온도는 제습수온도 (WT) 가 높을수록 높아지고, 실온 (KT) 이 높을수록 높아지게 설정되어 있다.
단, 하이리미터 온도는 최종 탈수행정 개시시의 제습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될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최종 탈수행정 개시시 및 건조행정 개시시 (예를 들어 2 분간) 에 제습수온도를 검지하여, 이들 제습수온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하이리미터온도가 결정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도 10 을 참조하여, 건조행정 중 (감률건조기간 중) 에 배기온도가 하이리미터 온도에 도달하면 (T26), 제 1 및 제 2 건조히터 (341, 342) 가 오프되고 건조행정이 종료하여 세탁물을 냉각하기 위한 쿨다운 행정 (T26∼T28) 으로 이행한다.
쿨다운 행정 중에는 배기온도가 항률건조기간 중의 배기온도와 거의 같은 온도 (쿨다운종료 검지온도) 가 될 때까지 (T27) 드럼구동용 모터 (12) 가 약 40rpm 으로 180 초간 정회전한 후 3 초간만 정지하고, 약 40rpm 으로 180 초간 역회전하여 다시 3 초간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쿨다운 행정 중에는 세탁물을 보다 단시간에 냉각할 수 있도록 블로어 모터 (35) 의 회전속도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쿨다운 행정 중에는 배수밸브 (18) 가 일정시간만 닫힌 후 일단 열리고 다시 닫히는 동작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분리하여 외조 (7) 하부에 모인 실밥을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 (실밥배출 처리) 가 실시된다. 이 실밥배출 처리에서는, 배수밸브 (18) 가 일정시간만 닫히는 것에 의해 외조 (7) 하부에 모인 제습수를, 실밥과 함께 세탁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기온도가 쿨다운종료 검지온도까지 내려가면 (T27), 예를 들어 쿨다운 행정의 나머지 시간이 2 분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드럼구동용 모터 (12) 의 구동이 약 40rpm 으로 30 초간 정회전한 후 3 초간만 정지하고, 약 40rpm 으로 30 초간 역회전하여 다시 3 초간 정지하는 동작의 반복으로 바뀐다.
이와 같이, 쿨다운 행정 중에는 드럼구동용 모터 (12;드럼 (10) ) 의 정회전 및 역회전의 시간이, 긴 상태 (180 초;T26∼T27) 에서 짧은 상태 (30 초;T27∼T28) 로 이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드럼 (10) 내 세탁물의 엉킴을 제거하여 양호하게 풀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에 발생하는 주름을 보다 양호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탁 (탈수행정) 을 한 후 건조행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드럼식 세탁건조기 (1) 는 건조행정만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행정만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운전개시 (T19) 와 함께 제 1 건조히터 (341), 제습수 밸브 (14) 및 배수밸브 (18) 가 열려 블로어 모터 (35) 의 회전구동이 개시된다.
건조행정만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건조행정 개시 (T19) 로부터 소정시간 (예를 들어 5분간) 사이에 공급된 제습수의 온도를 검지하고, 그 제습수온도에 기초하여 하이리미터 온도를 결정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2 건조히터 (342) 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는 기간 (T19∼T20), 즉 건조유닛 (3) 의 구동이 약상태일 때 제습수온도를 검지하는 구성이면, 건조유닛 (3) 으로부터 송출되는 온풍에 의해 제습수가 따뜻해지기 전에 제습수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당한 하이리미터 온도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기온도가 하이리미터 온도에 도달한 시점에서건조행정을 종료하여 쿨다운 행정을 개시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배기온도가 하이리미터 온도에 도달한 후, 추가로 소정시간만큼 드럼 (10) 을 회전시키면서 드럼 (10) 내에 온풍이 공급되도록 (건조행정이 연장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습수온도와 실온에 기초하여 결정된 하이리미터 온도를 기준으로 건조행정을 종료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배기온도와 제습수온도의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이 된 시점에서 건조행정을 종료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종래의 드럼식 세탁건조기에서는, 세탁용량 (예를 들어 8㎏) 에 대한 건조용량 (예를 들어 4.5㎏) 은 약 6할 이하, 또는 드럼용적 (예를 들어 66.6리터) 과 건조용량 (예를 들어 4.5㎏) 의 용적비 (드럼용량/건조용량) 는 약 14 이상이 표준이지만,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드럼식 세탁건조기 (1) 에 의하면, 세탁용량 (예를 들어 8㎏) 에 대한 건조용량 (예를 들어 6㎏) 을 약 7.5할, 용적비를 약 11 로 할 수 있다. 즉, 보다 많은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드럼 (10) 은 그 축선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럼의 축선은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 범위 내 (예를 들어 30°정도까지) 에서 기울어져 있을 수도 있다.
제습수의 공급에 관한 발명은 드럼식 세탁건조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펄세이터식 세탁건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드럼 (10) 내로부터 통수구멍 (10D) 을 통하여 배기구 (71) 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드럼 (10) 의 내둘레면 근방에 있는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드럼 (10) 내로부터 통기구멍 (101) 을 통하여 배기구 (71) 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드럼 (10) 의 중앙부에 있는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과, 이 드럼을 둘러싸는 외조를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의 일단면측으로부터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로서,
    상기 드럼의 둘레면에 형성되며,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의 의류에 대하여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하였을 때, 의류로부터 나온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통수구멍과,
    상기 드럼의 타단면에 형성되며, 드럼의 일단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통과시킬 수 있는 통기구멍과,
    상기 외조의 드럼 둘레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통수구멍 및 통기구멍을 통하여 드럼 내로부터 나온 온풍을 외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일단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부착하기 위한 회전축 부착용 보스와,
    상기 회전축 부착용 보스에 구비되며,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상기 공급구를 구획하여 온풍의 유통방향 상류측의 면에 온풍의 유통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공급구 구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을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로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과,
    건조행정 개시 전에,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의 의류에 대하여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하는 가열탈수행정을 실행 가능한 가열탈수행정 실행수단을 포함하며,
    가열탈수행정 중,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큰 기간은 상기 건조장치의 소비전류가 작아지도록 해당 건조장치의 구동양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의류가 수용된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로서,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에 공급되는 온풍을 냉각하고, 온풍에 포함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냉각수를 공급 가능한 냉각수 공급수단과,
    이 냉각수 공급수단에 의해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과,
    건조행정 전에,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면서 수용실 내의 의류에 대하여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하는 가열탈수행정을 실행 가능한 가열탈수행정 실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은, 가열탈수행정 중 냉각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을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반복 전환하여 회전시키는 동시에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로서,
    건조행정 종료 전의 소정기간 중, 드럼 회전방향의 전환에 의해 드럼 내의 의류에 작용하는 힘이 줄어들도록 드럼의 구동양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을 구비하며, 이 드럼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로서,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드럼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과,
    건조행정 종료 후에, 상기 건조장치에 의한 온풍의 공급을 정지시킨 상태로 드럼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반복 전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의류를 냉각하기 위한 쿨다운 행정을 실행 가능한 쿨다운 행정 실행수단을 포함하며,
    쿨다운 행정 종료 전의 소정기간 중, 드럼의 적어도 일방측으로의 회전시간이 단시간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의류가 수용된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로서,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장치와,
    이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에 공급되는 온풍을 냉각하여 온풍에 포함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냉각수를 공급 가능한 냉각수 공급수단과,
    이 냉각수 공급수단에 의해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수용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실행 가능한 건조행정 실행수단과,
    상기 건조장치에 의한 수용실 내로의 온풍의 공급 개시 전 또는 온풍의 공급개시로부터 소정기간 내에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냉각수온도 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행정 실행수단은, 상기 냉각수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냉각수의 온도에 근거하는 타이밍으로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40030573A 2003-05-21 2004-04-30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KR20040100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4032 2003-05-21
JP2003144032 2003-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94A true KR20040100894A (ko) 2004-12-02

Family

ID=3347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573A KR20040100894A (ko) 2003-05-21 2004-04-30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0100894A (ko)
CN (1) CN1308525C (ko)
WO (1) WO200410428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89B1 (ko) * 2005-02-22 2010-02-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드럼식 세탁 건조기
US8112904B2 (en) 2005-11-25 2012-02-14 Kabushiki Kaisha Toshiba Drum-type washer/dryer
US8881556B2 (en) 2005-11-18 2014-11-11 Kabushiki Kaisha Toshiba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9091014B2 (en) 2010-01-06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0132B2 (ja) * 2005-03-03 2009-07-01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機
KR102348088B1 (ko) * 2017-01-02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KR20180136687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CN110359255A (zh) * 2018-04-11 2019-10-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CN110359257A (zh) * 2018-04-11 2019-10-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CN110359258B (zh) * 2018-04-11 2021-11-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CN110359254B (zh) * 2018-04-11 2022-03-15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CN110359259B (zh) * 2018-04-11 2022-11-04 重庆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和衣物处理设备
JP7319143B2 (ja) * 2019-08-29 2023-08-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乾燥機
US20220145507A1 (en) 2020-11-06 2022-05-1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Heating The Clothes Load In A Tumbling Combination Washer/Dryer
AU2022218063A1 (en) * 2021-02-08 2023-08-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2023095597A (ja) * 2021-12-24 2023-07-06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ドラム式脱水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6477U (ko) * 1981-06-08 1982-12-13
CN86200655U (zh) * 1986-02-07 1987-02-18 浙江省嵊县洗涤机厂 洗涤、脱水、烘干三用机
JP3291315B2 (ja) * 1992-05-18 2002-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機
JP3340887B2 (ja) * 1995-07-28 2002-11-05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3346993B2 (ja) * 1996-09-13 2002-11-18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3311653B2 (ja) * 1997-09-19 2002-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乾燥洗濯機
JPH11164982A (ja) * 1997-12-04 1999-06-22 Osaka Gas Co Ltd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JP2000084286A (ja) * 1998-09-09 2000-03-28 Hitachi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89B1 (ko) * 2005-02-22 2010-02-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드럼식 세탁 건조기
US8490437B2 (en) 2005-02-22 2013-07-23 Kabushiki Kaisha Toshiba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US8881556B2 (en) 2005-11-18 2014-11-11 Kabushiki Kaisha Toshiba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8112904B2 (en) 2005-11-25 2012-02-14 Kabushiki Kaisha Toshiba Drum-type washer/dryer
US9091014B2 (en) 2010-01-06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2956A (zh) 2005-02-02
WO2004104288A1 (ja) 2004-12-02
CN1308525C (zh)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7524B2 (ja) 洗濯乾燥機
US819624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cycle in a washing machine based on sensed temperature
EP3159449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040100894A (ko)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JP4444016B2 (ja) 衣類乾燥装置
US6006445A (en) Washer/dryer combination
JP200032568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571608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およびその乾燥工程の制御方法
JP2005034163A (ja) 衣類乾燥機能を有する洗濯機
JPH1190094A (ja) ドラム式乾燥洗濯機
JP2010022497A (ja) 洗濯乾燥機
JP200121899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4230063A (ja) 洗濯機
KR100607303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4197619B2 (ja) 洗濯乾燥機
JP200435107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5261691A (ja) ドラム式洗濯機
EP2075362B1 (en) Improvements in a clothes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4093921B2 (ja) 洗濯乾燥機
KR100611829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2015000200A (ja) 衣類乾燥機
KR20050012451A (ko) 세탁기의 세미 드라이 방법
JP2011083458A (ja)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4693686B2 (ja) 洗濯乾燥機
JP4423788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