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345A - 납골함 단 - Google Patents

납골함 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345A
KR20040098345A KR1020030030662A KR20030030662A KR20040098345A KR 20040098345 A KR20040098345 A KR 20040098345A KR 1020030030662 A KR1020030030662 A KR 1020030030662A KR 20030030662 A KR20030030662 A KR 20030030662A KR 20040098345 A KR20040098345 A KR 2004009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d
connecting member
combin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849B1 (ko
Inventor
오승원
Original Assignee
오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원 filed Critical 오승원
Priority to KR102003003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8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된 유골단지를 적은 면적의 납골당내에서 보다 많은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납골함 단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성이 개선되고 전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납골함 단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골단지(2)가 수납되는 내함(3)을 양방향에서 결합하여 전면마감재로 밀폐하는 내함 설치부(5)가 구비된 다층 구조체(4)로 구성된 납골함 단(1)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4)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수 개의 지주(6)와, 지주(6)의 횡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공(6a)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와, 연결부재(7)에 끼움 결합되는 안치편이 형성된 안치구(8) 및 이웃하는 연결부재(7)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받침대(9)와, 지주(6)에 결합된 연결부재(7)의 중간에 형성된 결합구멍(10)을 통해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지주(6)와 연결하는 연결대(11)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내함 설치부(5)에 결합되는 내함(3)은 지주(6)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대(11)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나사공(16b)이 형성되는 너트관(16)을 강제 끼움하며, 너트관(16)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전면마감재(12)를 잡아주는 돌출편(17b)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7)와, 이웃하는 4개의 전면마감재(12)를 외향 탄지하는 탄성편(18a)으로 구성된 탄성부재(18)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내부에 나사공(19a)이 형성된 연결볼트(19)에 의해 고정되며, 연결볼트(19)의 나사공(19a)에는 이웃하는 4개의 전면마감재(12)를 동시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판(20)이 고정볼트(21)에 의해 고정되어 밀폐되게 한 것으로서, 설치 작업이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일정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6)에 의해 다층 구조체(4)가 지지되므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고,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납골함 단{Shelf of charnel house}
본 발명은 밀봉된 유골단지를 적은 면적의 납골당내에서 보다 많은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납골함 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조립성이 개선되고전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납골함 단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의문화는 매장에 의한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매장은 묘지가 절대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국토의 많은 면적이 잠식 내지는 황폐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장에 따른 비용도 막대하게 소요되고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매장에 따른 문제점과 장례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화장의 장례문화가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에 있고, 근자에는 화장한 유골을 분말 상태로 담아서 납골당 등에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
상기한 납골당의 경우 적은 면적 내에 많은 수의 유골함을 보관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골 구조물 등의 납골함 단을 제작 사용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설치 및 이동의 불편성으로 사용 빈도가 적으며, 주로 철골 구조물이 선호되고 있다.
상기한 철골 구조물의 경우 수 개의 납골함을 적층 안치할 수 있는 육면체의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사각형상의 파이프부재를 용접하거나 또는 연결 부재로 연결 구성한 조립식 구성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 용접 과정에서 휨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어 소규모 납골함 단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후자의 경우는 파이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다이케스팅에 의해 구성되므로 납골함 단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하게 됨은 물론이고, 각 구성부재를끼움 결합할 때 타압해서 고정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고, 내구성도 떨어지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조립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납골함 단의 문제점들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골단지가 수납되는 내함을 양방향에서 삽입 설치 가능하도록 양방향 내함 설치부가 구비된 다층 구조체로 구성되는 납골함단에 있어서, 구조체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에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내함을 받쳐주는 받침대를 결합하고, 연결부재의 중간에 축 직각방향으로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지주와 연결하는 연결대를 결합하며, 연결부재상에 전면마감재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편이 형성된 안치구를 결합하고, 연결대에는 전면마감재를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납골함 단의 전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내구성 및 조립성을 개선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층 구조체 발췌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체 결합상태 요부 발췌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조체 결합상태 평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대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납골함 단 2:유골단지
3:내함 4:다층 구조체
5:내함 설치부 6:지주
6a:연결부재 결합공 7:연결부재
7a:중간부 7b:연결부
7c:와셔 8:안치구
8a:안치편 9:받침대
10결합구멍 11:연결대
11a:고정홈 12:전면마감재
13:구멍 14:고정수단
15:외부마감재 16:너트관
16a:돌기 16b:나사공
17:지지체 17a:요입홈
17b:돌출편 18:탄성부재
18a:탄성편 18b:결합공
19:연결볼트 19a:나사공
20:고정판 21:고정볼트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층 구조체 발췌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단지(2)가 수납되는 내함(3)을 양방향에서 삽입 설치 가능하도록 양방향 내함 설치부(5)가 구비된 다층 구조체(4)로 구성되는 납골함 단(1)을 적극적으로 개량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공하는 다층 구조체(4)로 구성되는 납골함 단(1)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수 개의 지주(6)와, 지주(6)의 횡 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7)와, 연결부재(7)에 결합되는 안치구(8)와, 이웃하는 연결부재(7)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받침대(9)와, 지주(6)에 결합된 연결부재(7)의 중간에 형성된 결합구멍(10)을 통해 결합되어 이웃하는 지주(6)와 연결하는 연결대(11)와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마감재(12) 및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4)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4) 결합상태 측 단면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주(6)에는 횡 방향으로 수 개의 연결부재 결합공(6a)을 형성하고, 각 연결부재 결합공(6a)에는 다이케스팅 구성되는 연결부재(7)를 결합한다. 각 연결부재 결합공(6a)간의 간격은 내함(3)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된다.
연결부재(7)는 지주(6)간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단면이 원형인 중간부(7a)와 단면이 사각형인 연결부(7b)로 구성되며, 중간부(7a)와 연결부(7b)의 경계에는 연결부재(7)를 지주(6)에 고정할 수 있는 와셔(7c)가 결합된다. 결합되는 양측 와셔(7c)는 연결부재(7)와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끼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와셔(7c)는 연결부재(7)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재(6)에 형성되는 결합공(6a)과 연결부재(7)의 중간부(7a)를 원형으로 형성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이의 형성은 4각형 등으로 변형 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7)의 양측 연결부(7b)에는 지주(6) 측으로 전방에 전면마감재(12)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편(8a)이 형성된 안치구(8)가 결합되며, 그 외측으로는 사각파이프를 절단 구성한 받침대(9)를 결합하여 이웃하는 연결부재(7)와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재(7)의 연결부(7b)와 받침대(9) 결합은 단순 끼움식으로 결합하여도 무방하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연결부(7b)와 받침대(9)에 연통되는 구멍(13)을 관통하고 핀이나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4)으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는 내부를 중공 형태로 구성하여 다층 구조체(4)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장자리측 지주(6)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의 바깥측에 위치하는 연결부(7b)에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부재(미도시)를 끼워서 외부마감재(15)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주(6)와 연결부재(7)의 중간부(7a)에는 연결부재(7)와 축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대 결합구멍(10)에는 양측 단부가 지주(6) 외부로 조금 노출되게 파이프로 구성된 연결대(11)를 결합한다.
지주(6)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대(11)의 단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홈(11a)을 형성하고, 연결대(11) 내측으로는 고정홈(11a)에 부합하는돌기(16a)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나사공(16b)이 형성되는 너트관(16)을 강제 끼움하고, 그 전방으로는 후방으로 상기 연결대(11)의 단부 및 너트관(16)에 형성된 돌기(16a)가 내입되는 요입홈(17a)이 형성되며 전방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전면마감재(12)를 잡아주는 돌출편(17b)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7)와, 이웃하는 4개의 전면마감재(12)의 이면에서 전면마감재(12)를 외향 탄지하는 탄성편(18a)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결합공(18b)이 형성된 탄성부재(18)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너트관(16)의 나사공(16b)에 결합되는 내부에 나사공(19a)이 형성된 연결볼트(19)에 의해 고정되며, 연결볼트(19)의 나사공(19a)에는 이웃하는 4개의 전면마감재(12)를 동시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판(20)이 고정볼트(2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구성이다.
다층 구조체(4)의 외부를 마감하는 외부마감재(15)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고정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대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층 구조체(4)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 방향으로 세워지는 3개의 지주(6) 중 중간에 위치하는 지주(6)를 중심으로 연결대(11)를 등분 구성하여 결합토록 한 것이다.
즉, 중간에 위치하는 지주(6)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6a)을 통해 결합되는 연결부재(7)의 중간부(7a)에 소정 깊이로 연결대 끼움홈(7d)을 대칭되게 형성하고, 이에는 전후방에 세워지는 지주(6) 및 연결부재(7)에 형성된 결합구멍(10)을 통해 결합되는 연결대(11)의 일단부가 강제 끼움 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납골함 단(1)은 조립식으로 구성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경량화 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조립성을 개선한 것으로써,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과정 및 그에 따른 효과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납골당 내에 설치코자 할 시에는 먼저 3개의 지주(6)를 후방으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지주(6)에 형성되어 있는 각 연결부재 결합공(6a)에는 연결부재(7)를 결합하고, 지주(6)와 연결부재(7)의 중간부(7a)에는 연결부재(7)와 축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 결합구멍(10)으로 연결대(11)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연결부재(7)는 중간부(7a)와 연결부(7b)의 경계에 연결부재(7)와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와셔(7c)가 위치하게되므로 결합과정에서 연결부재(7)의 이탈이 없고, 연결대(11)의 결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조립된 조립체(4)를 구성하는 지주(6)상에 결합되어 있는 이웃하는 연결부재(7)의 일측 또는 양측 연결부(7b)에 소정길이(내함의 폭과 동일하거나 조금 짧은 길이)로 절단된 받침대(9)를 결합하고, 받침대(9)와 연결부재(7)는 이들에 연통된 구멍(13)에 핀이나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4)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때 중간위치에 있는 지주(6)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7)의 연결부(7b)에는 단순히 받침대(9)만을 결합하고, 전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재(7)의 연결대(7b)에는 안치구(8)를 내측으로 먼저 끼움 결합한 다음 받침대(9)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한 조립을 통해 다층 구조체(4)를 완성한 후 양측 지주(6)와 적층되는 받침대(9)에 의해 형성되는 내함 설치부(5)에 내함(3)을 결합한다. 내함(3)의 결합은 전후측에 배치되는 지주(6)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연결대(11)의 단부에 너트관(16)을 타압 등의 방법으로 강제 끼움한 후 각 내함 설치부(5)에 내함(3)을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관(16)의 전방으로 지지체(17)와 탄성부재(18)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연결볼트(19)를 너트관(16)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지지체(17)의 후방에는 연결대(11)의 단부와 너트관(16)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16a)가 내입되는 요입홈(1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함(3) 가장자리 일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회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안치구(8)의 안치편(8a)과 상기 지지체(17)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17b) 상간에 전면마감재(12)를 결합한 후 이웃하는 4개의 전면마감재(12)를 동시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판(20)을 고정볼트(21)로 고정하면 된다. 이때 전면마감재(12)는 지지체(17)와 함께 결합되는 탄성부재(18)의 탄성편(18a)에 의해 탄지 상태로 결합되므로 마감 처리된 상태에서 전면마감재(12)의 요철이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도 8, 도 9와 같이 구성할 경우 지주(6) 및 연결부재(7)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10)을 통해 결합되는 연결대(11)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중간에 위치하는 지주(6) 및 연결부재(7)가 전후방에 위치하는 지주(6)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된 다층 구조체(4)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납골함 단(1)은 지주에 연결부재(6)를 끼움 결합하고 이의 양측으로 받침대를 결합하며, 연결부재(7)의 축 직각방향으로 지주(6)와 연결부재(7)를 관통하는 연결대(11)를 결합하여 다층 구조체(4)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는바, 설치 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일정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6)에 이해 다층 구조체(4)가 지지되므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가 제공되는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7)

  1. 유골단지(2)가 수납되는 내함(3)을 양방향에서 결합하여 전면마감재로 밀폐하는 내함 설치부(5)가 구비된 다층 구조체(4)로 구성된 납골함 단(1)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4)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수 개의 지주(6)와, 지주(6)의 횡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공(6a)에 결합되는 연결부재(7)와, 연결부재(7)에 끼움 결합되는 안치편이 형성된 안치구(8) 및 이웃하는 연결부재(7)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받침대(9)와, 지주(6)에 결합된 연결부재(7)의 중간에 형성된 결합구멍(10)을 통해 결합되어 종 방향으로는 이웃하는 지주(6)와 연결하는 연결대(11)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함 설치부(5)에 결합되는 내함(3)은 지주(6)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대(11)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나사공(16b)이 형성되는 너트관(16)을 강제 끼움하며, 너트관(16)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전면마감재(12)를 잡아주는 돌출편(17b)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7)와, 이웃하는 4개의 전면마감재(12)를 외향 탄지하는 탄성편(18a)으로 구성된 탄성부재(18)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내부에 나사공(19a)이 형성된 연결볼트(19)에 의해 고정되며, 연결볼트(19)의 나사공(19a)에는 이웃하는 4개의 전면마감재(12)를 동시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판(20)이 고정볼트(21)에 의해 고정되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는 지주(6)간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단면이 원형인 중간부(7a)와 단면이 사각형인 연결부(7b)로 구성되며, 중간부(7a)와 연결부(7b)의 양측 경계에는 와셔(7c)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를 구성하는 중간부(7a)와 연결부(7b)의 양측 경계 중 일측에는 와셔(7c)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의 연결부(7b)와 받침대(9) 결합은 끼움 결합한 후 연결부(7b)와 받침대(9)에 연통되는 구멍(13)을 관통하고 고정수단(14)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는 내부가 중상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1)의 단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홈(11a)을 형성하고, 너트관(16)에는 고정홈(11a)에 부합하는 돌기(16a)를 형성하며, 지지체(17)의 이면에는 연결대(11)의 단부와 너트관(16)의 돌기(16a)를 수용할 수 있는 요입홈(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체(4)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 방향으로 세워지는 3개의 지주(6) 중 중간에 위치하는 지주(6)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6a)을 통해 결합되는 연결부재(7)의 중간부(7a)에 소정 깊이로 연결대 끼움홈(7d)을 대칭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 끼움홈(7d)에는 전후방에 세워지는 지주(6) 및 연결부재(7)에 형성된 결합구멍(10)을 통해 결합되는 연결대(11)의 일단부가 강제 끼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단.
KR1020030030662A 2003-05-14 2003-05-14 납골함 단 KR10054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62A KR100549849B1 (ko) 2003-05-14 2003-05-14 납골함 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62A KR100549849B1 (ko) 2003-05-14 2003-05-14 납골함 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910U Division KR200322857Y1 (ko) 2003-05-14 2003-05-14 납골함 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345A true KR20040098345A (ko) 2004-11-20
KR100549849B1 KR100549849B1 (ko) 2006-02-13

Family

ID=3737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662A KR100549849B1 (ko) 2003-05-14 2003-05-14 납골함 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596A (zh) * 2022-06-28 2022-09-09 江西天境精藏科技有限公司 一种燕尾榫卯结构的骨灰存放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596A (zh) * 2022-06-28 2022-09-09 江西天境精藏科技有限公司 一种燕尾榫卯结构的骨灰存放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849B1 (k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9064B2 (en) Modular crypt and modular crypt system with niche side wall
US10927560B2 (en) Modular crypt
KR101646219B1 (ko)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WO2013182997A1 (en) Building unit and modular unit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such building units
KR100841213B1 (ko) 납골안치단
KR100549849B1 (ko) 납골함 단
KR200322857Y1 (ko) 납골함 단
JP2011149233A (ja) ジョイント、これを用いた骨組組立体及びモジュール構造物
JP5339608B2 (ja) 柱の固定構造
CA3028096C (en) Modular crypt and modular crypt system with niche side wall
CA2702682C (en) Modular crypt
JP6888973B2 (ja) 仮設トイレ用部材及び仮設トイレ
CN213084037U (zh) 一种立式锅炉用箱体框架
CN218484195U (zh) 一种拼装式展墙
RU218735U1 (ru) Мемориальный памятник
JP2005315025A (ja) 組立ハウス
JPH09177180A (ja) ユニット住宅
JP2009091802A (ja) 避難用シェルター
JP5792448B2 (ja) 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JP4676609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200304480Y1 (ko) 납골묘
JP3682243B2 (ja) 台装置
JPH027838Y2 (ko)
JPH0950798A (ja) 蓄電池収納キュ−ビクル
KR200155607Y1 (ko) 공중전화부스 기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