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288A -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288A
KR20040098288A KR1020030030600A KR20030030600A KR20040098288A KR 20040098288 A KR20040098288 A KR 20040098288A KR 1020030030600 A KR1020030030600 A KR 1020030030600A KR 20030030600 A KR20030030600 A KR 20030030600A KR 20040098288 A KR20040098288 A KR 20040098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ngle
side mirror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288A/ko
Publication of KR2004009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2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 후방 양측에 설치된 방향 지시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전환하고자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방향 판단부와, 상기 방향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이드 미러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행 중인 차량이 주행 방향 전환시 점멸되는 방향 지시등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상기 전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이외의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전방으로부터 시야를 돌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Side mirror angle tunning device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변경할 경우 사이드 미러의 시야에서 제외되는 존재하는 차량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차량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 미러를 통해 운전자가 후방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운전자가 상기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인할 수 없는 사각 지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는 상기 사각 지대에서 갑자기 나타난 차량에 의한 차량 사고를 막기 위하여 육안을 통해 후방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운전자는 전방에 시선을 집중할 수 없기 때문에 전방에 주행하는 차량과 추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중인 차량(10)의 사이드 미러(11)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G)은 일정한 각도( α)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주행 중인 차량(10)이 주행 방향 전환시 상기 시야(G) 내에 존재하는 차량(20, 30)은 운전자가 상기 사이드 미러(11)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상기 시야(G) 내에 존재하지 않는 차량(40)은 운전자가 상기 사이드 미러(11)를 통해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운전자가 상기 사각 지대를 줄이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방으로부터 시야를 돌릴 경우 전방에 주행하는 차량과 갑자기 끼어드는 보행자를 확인하지 못하여 차량 사고 및 인명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행 중인 차량이 주행 방향을 전환할 경우 점등되는 방향 지시등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차량 전방으로부터 시야를 돌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사고 등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해 조절된 각도가 복원된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좌측 방향 지시등 52: 우측 방향 지시등
60: 감지부 70: 방향 판단부
80: 각도 조절부 90: 각도 조절 모터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는 차량의 전, 후방 양측에 설치된 방향 지시등의 점멸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전환하고자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방향 판단부와, 상기 방향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이드 미러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 후방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 전환시 점멸되는 좌, 우측 방향 지시등(51, 52)의 점멸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60)와, 상기 감지부(6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방향 판단부(70)와, 상기 방향 판단부(7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80)에 의해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모터(9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 모터(90)는 상기 각도 조절부(80)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된 각도가 복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향 판단부(70)는 좌측 방향 지시등(51)과 우측 방향 지시등(52)의 점멸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을 판단하게 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신호가 상기 각도 조절부(8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80)는 상기 방향 판단부(7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모터(90)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차량이 좌측으로 주행 방향을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사이드 미러가 우측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차량이 우측으로 주행 방향을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사이드 미러가 좌측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 우측 방향 지시등(51, 52) 중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각도만 조절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장치의 동작은 먼저,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의 방향 지시등을 점멸시키게 되면, 상기 감지부(60)에서 점멸되는 방향 지시등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 신호가 상기 방향 판단부(7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방향 판단부(70)에서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을 판단하게 되고, 그에 따른 신호가 상기 각도 조절부(8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부(80)는 상기 차량이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상기 전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각도 조절 모터(90)를 구동 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후 주행 방향 전환 후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복원되도록 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중인 차량(100)이 좌측으로 주행 방향을전환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는 좌측 방향 지시등(51)를 점멸시키지 전 사이드 미러가 가지는 반사각( α)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G')를 통해 후방의 차량(110, 120)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 후방 차량(110, 120) 확인 후 좌측 방향 지시등(51)을 점멸시키게 되면, 차량의 좌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우측으로 조절되면서, 상기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시야(G')가 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기 전의 사각 지대에 존재하는 차량(130)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각 지대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차량으로 인한 차량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차량이 주행 방향을 전환 후 다시 직진 주행을 할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복원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이 주행 방향 전환시 점멸되는 방향 지시등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상기 전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이외의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전방으로부터 시야를 돌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전, 후방 양측에 설치된 방향 지시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전환하고자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방향 판단부와, 상기 방향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이드 미러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차량의 전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주행 방향 전환 후 상기 차량이 직진 주행시 상기 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복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KR1020030030600A 2003-05-14 2003-05-14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KR20040098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00A KR20040098288A (ko) 2003-05-14 2003-05-14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00A KR20040098288A (ko) 2003-05-14 2003-05-14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288A true KR20040098288A (ko) 2004-11-20

Family

ID=3737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600A KR20040098288A (ko) 2003-05-14 2003-05-14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2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0235B2 (en) Lane departure warning mirror
EP2266836A1 (en) Headlamp system where light intensity is adjusted automatically
JP2005225483A (ja) 車輌用ウインカーランプシステム、車輌用ブレーキランプシステム並びに車輌用ヘッドライトシステム
JPH08253078A (ja) サイドミラー装置及びサイドミラーのミラー角制御方法
KR20040098288A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KR101596322B1 (ko)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KR200395468Y1 (ko) 차량의 방향 지시등과 연동하는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200461161Y1 (ko) 차량 위치 알림 장치
US20070109762A1 (en) Method for optimizing a vehicle light and corresponding headlight device
GB2471034A (en) Self-dimming mirror in a motor vehicle
KR100488968B1 (ko) 자동차용 코너링램프 장치
KR100534975B1 (ko) 차량의 눈부심 방지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JP2001347881A (ja) 運転者の顔方向検出装置
KR20180065547A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07649B1 (ko) 눈부심방지를 위한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0158298B1 (ko) 헤드램프 조사각도 제어장치
KR20040046193A (ko) 차량의 안전 주행장치
KR20050020273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
KR20110076480A (ko) 차량용 램프의 점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32343B1 (ko) 헤드램프의 조향방향 자동 조절방법 및 장치
KR200401312Y1 (ko) 차량의 측방 장애물 경고장치
KR200409505Y1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
JP2003341423A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装置
KR0167918B1 (ko) 자동 전조등 장치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