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021A -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021A
KR20040098021A KR10-2004-7015089A KR20047015089A KR20040098021A KR 20040098021 A KR20040098021 A KR 20040098021A KR 20047015089 A KR20047015089 A KR 20047015089A KR 20040098021 A KR20040098021 A KR 2004009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main
auxiliar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7293B1 (ko
Inventor
기근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니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20020977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297647Y1/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니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니고교
Publication of KR2004009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05B11/0081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and for mixing the components in a common container as a mixture ready for use before discharging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3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being a follower-piston and the dispensing means comprising a hand-operated pressure-device at the opposite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배출펌프 및 가동식의 바닥부를 구비하며, 펌프조작에 의한 내용물 배출에 따라 배출된 용적분만큼 바닥부가 상승이동하여 용기본체내로 공기를 유입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펌프 용기에 있어서, 주용기와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부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수단은 조작에 의해 주용기 및 부용기를 연통시켜 쌍방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with Contents Mixing Structure}
근래, 소위 바이오 화장품이라 불리우는 상품이 제조되어 유통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화장품이란 생물이 자연스럽게 만들어내는 성분을 바이오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생산하여 그 성분을 함유시킨 화장품을 말한다. 바이오 테크놀로지란 유전자의 재조합이나 융합, 대량복제기술인 클론(clone) 기술 등에 의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 식료품이나 의약품 생산 등에 유용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신규 기술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바이오 테크놀로지를 응용하여 바이오 테크놀로지의 기본기술인 조직배양에 의해, 이전에는 소량밖에 추출할 수 없었던 동식물의 유효성분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들 성분을 피부에 적합하게 배합한 화장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의 뿌리(자근)로부터 유출되는 색소인 시코닌(Shikonin)을 배합한 입술연지는 종래 매우 소량밖에 입수할 수 없었던 시코닌을 식물 배양을 이용해 대량생산하여 상품화에 성공한 예이다.
또한, 피부의 진피층을 구성하고 피부의 보습기능을 향상시키는 성분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나 감마 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을 배합한 바이오 미용액도 있다. 이들 성분도 생산성이 높은 돌연변이주를 이용함으로써 상품화된 것들이다. 이와 같은 바이오 화장품은 인공적으로 합성한 종래의 화장품과 달리, 생물이 자연스럽게 만들어내는 물질을 응용한 것으로, 인체에 해가 없고 안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수요자로부터도 자연화장품이라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피부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생명공학기술인 복제, 즉 클론을 이용하여 배양한 후에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색조화장을 위한 피부관리가 주목적인 소극적 개념의 일반 화장품과는 달리,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피부 밸런스의 유지를 통해 피부 관리는 물론, 각질, 확대된 모공, 잔주름, 기미, 티클 등의 다양한 피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개념의 화장품으로서의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오 화장품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은 소량으로도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소량의 주성분인 주내용물을 다량의 보조성분인 보조내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을 종래의 크림과 같은 화장품류나 젤 타입의 샴푸 및 린스, 물비누와 같은 세정제류 등과 같이 주내용물을 보조내용물과 혼합한 상태로 판매하면, 직사광선이나 환경에 영향을 받는 주내용물은 즉시 반응하여 내용물의 보존기간이 매우 짧아지며, 그 결과 제품의 유통기간이 단축되어 소비자가 구입하기에는 너무 고가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 예로서 주내용물의 하나로서 화장품에 레티놀(Retinol, 비타민 A)을 보조내용물과 혼합한 상태로 유통시켜 판매할 경우에는 주내용물인 화장품과 보조내용물인 레티놀을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보다도 유통기간이 짧게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주성분과 보조성분이 혼합된 화장품 등의 포장용기는 그 내부에 수용된 모든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아직 다소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 것을 구입하거나 혹은 그대로 버리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국가적으로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폐기물을 양산하게 됨과 동시에, 일부를 더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폐기함으로써 가정에서도 경제적인 불이익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측과 접해 있는 화장품은 쉽게 변질되며, 이와 같은 변질된 화장품을 모르고 사용한 사용자는 피부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심한 경우에는 화장품의 산화와 부패가 진행되어 사용할 수 없어 버릴 수 밖에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목적은 포장용기의 주내용물과 보조내용물을 하나의 포장용기에서 분리하여 서로 별도로 보관된 상태로 유통시키고, 필요할 때에만 주내용물과 보조내용물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유통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용기의 내부에 별도로 저장된 보조내용물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주내용물과 혼합하여 배출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환경오염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작동 지지관의 종단면도.
도 3은 그 평면도.
도 4는 그 저면도.
도 5는 주내용물 충전관의 종단면도.
도 6은 그 평면도.
도 7은 그 저면도.
도 8은 지지관의 종단면도.
도 9는 그 평면도.
도 10은 그 저면도.
도 11는 유통시의 주내용물 충전관과 작동 지지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12는 혼합시의 주내용물 충전관과 작동 지지관의 회동위치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13은 사용하기 전 단계에서의 주내용물과 보조내용물의 혼합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4는 사용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6은 작동 지지관의 평면도.
도 17은 그 종단면도.
도 18은 주내용물 충전관의 평면도.
도 19는 그 종단면도.
도 20은 가스켓 어댑터의 평면도.
도 21은 그 종단면도.
도 22는 실리콘 가스켓의 평면도.
도 23은 그 측면도.
도 24는 그 종단면도.
도 25는 사용하기 전 단계에서의 주내용물과 보조내용물의 혼합시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6은 사용시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는 용기본체와 배출펌프 및 이동식 바닥부를 구비하며, 펌프 조작에 의한 내용물 배출에 따라 배출된 용적분만큼 바닥부가 상승이동함으로써, 용기 본체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한 펌프 용기에 있어서, 주용기와 분리수단에 의해 주용기와 분리된 부용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수단은 주용기 및 부용기를 연통시키는 연통수단도 함께 구비하여, 분리상태와 연통상태가 전환가능하며, 연통상태에서 부용기의 내용물이 주용기내로 유입되어 쌍방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배출 펌프 및 이동식의 바닥부를 구비하며, 펌프 조작에 의한 내용물 배출에 따라 배출된 용적분만큼 바닥부가 상승 이동함으로써 용기본체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한 펌프 용기에 있어서, 주용기와 분리수단에 의해 주용기와 분리된 부용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수단은 주용기 및 부용기를 연통시키는 연통수단도 함께 구비하여, 분리상태와 연통상태가 전환가능하고, 유통과정에서는 분리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시에는 일단 연통상태로 하여 부용기내의 내용물을 주용기내로 유입시켜 쌍방의 내용물을 혼합하고, 다시 분리상태로 되돌려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용기와 부용기는 각각 별개의 몸체로 형성된 원기둥형 용기이며, 동일 중심선을 가지고 사이에 실링부재를 끼워 직렬로 형성되고 또한 동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며,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개구가 회동조작에 의해 합치 또는 비합치됨으로써 개방 및 폐쇄상태를 전환가능하게 한 것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는 유연성을 구비한 용기본체인 것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이하, 이 용기)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이 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 유통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용기(1)는 하우징(2), 주내용물 충전수단(3) 및 펌프부재(4)로 구성되며, 펌프부재(4)에는 캡(5)이 씌워져 있다.
하우징(2)은 밑바닥을 구성하는 하단에 통공(6)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단이 개방된 가늘고 긴 컵모양의 원통형 용기이다. 이 하우징(2)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작동 지지관(8) 및 주내용물 충전관(14)등도 마찬가지이다.
하우징(2)의 내측면에는 밀폐상태로 밀착되어 승강하는 이동가능한 바닥부(7)가 슬라이드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동 바닥부(7)는 그 둘레면이 내벽면에 밀착되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의 내측면과의 밀착면을 통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새지 않는 실링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당초 하우징(2)의 내부 하단에 위치시켜, 사용시에 하우징(2) 내부의 혼합내용물이 펌프 조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해 소비되는 분량에 따라 하우징(2)의 내측면을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바닥부가 이동하지 않게 한 경우에 발생하는 하우징(2)내의 부압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것이며, 하우징(2)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하우징(2)의 상단 개구부에는 작동 지지관(8)이 끼워져 있다. 도 2∼도 4는 각각 작동 지지관(8)의 종단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작동 지지관(8)은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바닥부를 갖는 하우징(2)보다도 얕은 컵형태의 관체로 형성되며, 또한 그 외측단은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부(9)를 형성하고 있다. 바닥부 평면의 중심에는 펌프부재(4)의 하단이 끼워지는 유출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옆에는 유출공(10)과 내벽과의 사이에서 유통공(10)과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혼합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혼합통공(11)의 상단부에는 밀폐링(12)이 결합되며, 후술하는 주내용물 충전관(14)과의 결합시에 충전요부(15)의 주내용물(A)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고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내용물 충전관(14)의 하단에서 작동 지지관(8)의 회동폭을 한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 외주에는 하우징(2)과 결합하여 서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플라인 형태의 결합홈(또는 돌기)이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2)에도 이 결합홈(또는 돌기)과 꼭 맞는 미도시의 결합돌기(또는 홈)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작동 지지관(8)의 내부에 추가로 주내용물 충전관(14)이 끼워져 있다. 도 5∼도 7은 각각 이 용기의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종단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내요물 충전관(14)은 작동 지지관(8)보다도 약간 깊은 관체로 형성되어 있어, 중앙부에 펌프부재(43)의 지지관(22)이 끼워지는 관삽입공(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삽입부를 가지며 내벽이 이중으로 형성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부가 더 나뉘어져 챔버를 형성해 주내용물(A)이 충전되는 충전요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충전요부(15)에는 바닥부가 없고, 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는 단차부(17)를 통해 하부보다도 큰 직경의 대직경부(18)가 형성되며, 또한 후술하는 지지관(22)이 결합되는 돌조(19)가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21은 평면부이며, 상기 작동 지지관(8)의 혼합통공(11)과 겹칠 때, 혼합통공(11)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지지관(8)에 밀착되면서도 회동가능하게 주내용물 충전관(14)이 끼워져 주내용물 충전수단(3)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주내용물 충전수단(3)이 주내용물(A)을 충전하는 부용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하우징(2)으로 형성되는 주용기와의 분리수단 및 연통수단을 전환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내용물 충전수단(3)의 대직경부(18)를 덮도록 형성된 펌프부재(4)의 지지관(22)이 결합되어 있다. 도 8∼도 10은 각각 이 지지관(22)의 종단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그리고, 이 지지관(22)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부압력에 의해 혼합내용물(C)을 외부로 방출하는 펌프부재(4)가 형성되고, 또한 펌프부재(4)를 보호하는 캡(5)이 씌워져 있다. 캡(5)은 합성수지재질로서, 지지관(22)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됨으로써 용기(1)의 보관시에 외부로부터 불순물이 펌프부재(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23은 도 1에 나타낸 펌프 헤드(24)의 스트로크 가이드가 되는 내경부이며, 24는 그 스톱퍼이다.
그리고, 내용물 충전수단(3)의 충전요부(15)에는 주내용물(A)이, 그리고 하우징(2)내에는 보조내용물(B)이 각각 충전되어 있다.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에 충전되는 주내용물(A)은 비타민 C나 족부궤양치료제(E.F.G) 등으로서, 이와 같은 주내용물(A)은 알칼리나 수분 및 자외선으로 인해 쉽게 변형 내지 변질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과립이나 미립자의 파우더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내용물(B)로서는 증류수나 알콜 등의 액상물을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이 포장용기의 사용시에는 다음과 같다.
이 포장용기(1)의 조립작업시에는 먼저 지지관(22)의 내측에 펌프부재(4)를 결합한 후, 지지관(22)의 상단에 캡(5)을 결합하고, 지지관(22)의 하단 내측에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상단을 가압하여 끼워넣음으로써 펌프 유닛을 구성한다.
이 상태에서 펌프 유닛을, 하단을 향해 개방된 충전요부(15)의 개구(20)가 상방을 향하게 되도록 반전시킨 후에,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 내측에 비타민 C 등의 파우더 형태의 주내용물(A)를 충전한다. 그리고, 180도 반전된 지지관(22)의 상단에, 반전시킨 작동 지지관(8)을 가압하여 끼워넣고, 이 때, 유통시 주내용물 충전관(14)과 작동 지지관(8)의 위치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지지관(8)의 혼합통공(11)이 주내용물 충전관(14)의 개구부(20)를 벗어나 평면부(21)에 합치되는 위치로 하여 충전요부(15)를 밀폐한다.즉, 혼합통공(11)의 하단은 작동 지지관(8)의 밀폐링(12)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되기 때문에,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 내측의 주내용물(A)은 전혀 유출되지 않고 보관된다.
이어, 하우징(2)의 내측하단에 이동 바닥부(7)를 배치하고, 작동 지지관(8)의 하단면의 위치까지 하우징(2)의 내측면에 증류수와 같은 액체 상태의 보조내용물(B)을 충전한다. 그리고, 보조내용물(B)이 충전된 하우징(2)의 상단에 지지관(22) 및 주내용물 충전관(14)이 체결된 작동 지지관(8)의 하단을 가압하여 끼워넣고 밀폐하면 완성된다.
이 때, 보조내용물(B)의 충전량은 보조내용물(B)이 혐기성이며 공기에 닿으면 변질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 것, 또는 보조내용물(B)에 완전히 용해되는 것으로서, 혼합내용물의 용량이 원래의 보조내용물(B)의 용량으로부터 변화되지 않는 것이면 하우징(2)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우징(2)으로부터 넘쳐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예를 들면 주내용물(A)이 액체여서 보조내용물(B)과 혼합했을 때에 용량이 증가될 경우에는 충전요부(15)내의 주내용물(A)의 용량과 동일 용적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조립된 이 용기(1)는 사용자가 구입하기 전에는 도 1과 같이 하우징(2) 내부의 보조내용물(B)과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의 주내용물(A)은 작동 지지관(8)에 의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통된다.
이를 사용자가 구입하여 이 용기(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우징(2)을 한 손으로 쥐고, 다른 한 손으로 지지관(22)의 외주부(25)를 회동시킨다. 도 12는 이 용기의 혼합시 주내용물 충전관(14)과 작동 지지관(8)의 회동 위치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지지관(8)의 혼합통공(11)은 충전요부(15) 하단의 개구부(20)에 위치함으로써 연통되어 충전요부(15)의 밀폐가 해제된다. 그리고, 충전요부(15)에 충전된 주내용물(A)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통공(11)을 통해 하우징(2)내에 유입되므로, 보조내용물(B)과 혼합하여 혼합내용물(C)이 생성된다. 혼합내용물(C)을 신속하게 혼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하우징(2)을 상하방향으로 몇번인가 흔들면 된다. 그리고, 다시 지지관(22)의 외주부(25)를 회동시켜 작동 지지관(8)을 회동시키고, 혼합통공(11)을 주내용물 충전관(14)의 평면부(21)에 꼭 맞게 맞춤으로써 혼합통공(11)은 폐쇄되고 충전요부(15)는 밀폐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 인해, 하우징(2)의 내부에는 공기층이 없으며, 혼합내용물(C)이 쉽게 변질 또는 부패되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4는 이 용기의 사용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펌프부재(4)를 눌러 혼합내용물(C)을 배출시키면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내용물을 혼합했을 때, 혼합내용물(C)의 용량이 원래의 보조내용물(B)의 용량보다도 증가할 경우에는 혼합내용물(C)이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의 내측에도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별도로 충전요부(15)에 공기를 충전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충전요부(15)의 용적분 만큼의 공기를 유입시킨 후, 다시 작동 지지관(8)을 회동하여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를 밀폐한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로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충전요부(15)에 마지막으로 남은 혼합내용물(C)까지도 남기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15는 이 용기의 제 2 실시예이며, 유통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이 용기(1)의 내용물 충전수단(3)은 상기 실시예 1보다도 용량이 큰 주내용물 충전관(14)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 지지관(8)의 혼합통공(11)의 폐쇄기구로서는 작동 지지관(8)과 주내용물 충전관(14)과의 사이에 주내용물 충전관(14)과 동반 회동하는 가스켓(28)을 개재시키고 있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작동 지지관(8)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 지지관(8)은 컵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 평면의 중심에는 펌프부재(4)의 하단이 끼워지는 유출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옆에는 유출공(10)과 내벽과의 사이에서 유통공(10)과 연통하지 않는 위치에 혼합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는 외측으로 확대되는 대직경부(9)를 형성하고 있어, 지지관(22)과 함께 회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바닥부 외주에는 하우징(2)과 결합되어 서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플라인 형태의 결합홈(또는 돌기)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2)에도 이 결합홈(또는 돌기)에 꼭 맞는 미도시의 결합돌기(또는 홈)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주내용물 충전관(14)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9에나타낸 바와 같이, 주내용물 충전관(14)은 컵형태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펌프부재(4)가 삽입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그 통형상부에 의해 내부에 환상의 충전요부(1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최상부 외주에는 상기 작동 지지관(8)과 마찬가지로 지지관(22)과 결합하여 서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플라인 형태의 결합홈(또는 돌기)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지지관(22)의 내주에도 이 결합홈(또는 돌기)에 꼭 맞는 미도시의 결합돌기(또는 홈)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내용물 충전관(14)내에 주내용물(A)이 충전되는데, 주내용물(A)은 액체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능한 미립자로 구성하고, 액체상태의 보조내용물(B)과의 혼합시에 혼합내용물(C)이 하우징(2)의 상단을 넘어 약간 흘러나올 정도로 구성하여 하우징(2)의 밀폐시에 하우징(2)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가스켓 어댑터(27)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가스켓 어댑터(27)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되며, 가스켓(28)의 결합공(29)의 연장선상에 닿는 중심부에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스켓(28)의 작동통공(31)의 연장선상에 닿는 삽입공(34)과 주연부와의 사이에 유통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주연부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가스켓(28)의 걸림요부(33)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내용물 충전관(14)의 하단내측에 끼워져 바닥부를 구성하고, 가스켓(28)이 이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주내용물 충전관(14)과 동반 회동한다.
도 22∼도 24는 각각 가스켓(28)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가스켓(28)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유출구(16)가 가압에 의해 삽입되는 결합공(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주연부의 상단은 상부로 절곡되도록 돌출되고, 주내용물 충전관(14)의 하단 외주연에 결합되는 결합돌조(30)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28)의 재질로서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공(29)과 주연부의 사이에는 작동통공(31)이 형성되며, 또한 그 반대측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덧살부(3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덧살부(32)는 작동 지지관(8)의 혼합통공(11) 상단에 위치하며, 일부가 혼합통공(11)의 내부에 진입하도록 돌출된 것으로서, 용기(1)의 유통시에 부주의에 의해 지지관(22)이 훼손되지 않게 작동 지지관(8)의 내측면과 가스켓(28)을 밀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면의 결합돌조(30)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걸림요부(33)가 다수개(도면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스켓(28)은 주내용물 충전관(14)의 하단과 작동 지지관(8)의 내측바닥면 사이를 밀폐하고, 주내용물 충전관(14)과 동반회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이 용기(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의 보조내용물(B)과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의 주내용물(A)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통·판매된다.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하우징(2)을 들면서 다른 한 손으로 지지관(22)의 외주연(25)을 잡고 약 180°정도 회동시키면 된다. 이 때, 지지관(22)의 회동에 의해 지지관(22)의 내측면과 상방 외면이 결합한 주내용물 충전관(14)은 하단에 결합된 가스켓 어댑터(27)와 가스켓(28)을 작동 지지관(8)의 내측면에서 동반회동시켜, 작동 지지관(8)의 혼합통공(11)과 가스켓(28)의 작동통공(31) 및 가스켓 어댑터(27)의 유통공(35)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요부(15)의 바닥면이 개구되기 때문에 주내용물(A)이 하우징(2)내로 흘러들어가 서로 혼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 용기(1)를 흔들어 혼합을 극대화하고, 도 26와 같이 지지관(22)을 다시 회동시켜 주내용물 충전관(14)의 충전요부(15)를 닫아 하우징(2)과 분리함으로써, 충전요부(15)의 내측에 잔존하는 약간의 혼합내용물(C)은 버리게 되는데, 하우징(2)의 내부에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주내용물(A)과 보조내용물(B)이 혼합된 혼합내용물(C)만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2)의 내부에 위치하는 혼합내용물(C)은 공기와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산화 및 부패로 인한 사용기간의 단축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혼합내용물(C)의 사용기간을 최대한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펌프부재(4)를 눌러 하우징(2)의 내부에 충전된 혼합내용물(C)을 배출시킬 때마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부압이 발생하고, 그 부압으로 인해 하우징(2) 하부의 이동 바닥부(7)가 배출된 용적분만큼 상승한다.
(실시예 3)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내용물 충전수단(3)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보조내용물(B)을 충전하는 것이 하우징(2) 대신에 유연성을 구비한 용기(37), 예를 들면 튜브나 자루형태의 용기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는 자루 형태의 용기로 하고 있다.자루 형태의 용기인 경우에는 상기 각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우징(2)내에 수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튜브인 경우는 그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가압되더라도 복원하고자 하므로, 그 때 용기본체에 발생되는 부압보다도 약한 복원력이 되로록 소재의 탄성력이 낮은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는 포장용기의 주내용물과 보조내용물을 하나의 포장용기에서 분리하여 서로 별도로 보관된 상태로 유통시키고, 필요할 때에만 주내용물과 보조내용물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유통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2) 내부로의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혼합 내용물(C)이 공기와 접촉하여 부패나 산화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혼합후의 소비기간의 연장도 기대할 수 있다. 포장용기의 내부에 별도로 저장된 보조내용물을 남기는 일 없이 완전히 주내용물과 혼합되어 배출되므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환경오염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용기본체와 배출펌프 및 이동식 바닥부를 구비하며, 펌프 조작에 의한 내용물 배출에 따라 배출된 용적분만큼 바닥부가 상승이동함으로써, 용기 본체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한 펌프 용기에 있어서, 주용기와, 분리수단에 의해 주용기와 분리된 부용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수단은 주용기 및 부용기를 연통시키는 연통수단도 함께 구비하여, 분리상태와 연통상태가 전환가능하며, 연통상태에서 부용기의 내용물이 주용기내로 유입되어 쌍방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2. 용기 본체와 배출 펌프 및 이동식의 바닥부를 구비하며, 펌프 조작에 의한 내용물 배출에 따라 배출된 용적분만큼 바닥부가 상승 이동함으로써 용기본체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한 펌프 용기에 있어서, 주용기와, 분리수단에 의해 주용기와 분리된 부용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수단은 주용기 및 부용기를 연통시키는 연통수단도 함께 구비하여, 분리상태와 연통상태가 전환가능하며, 유통과정에서는 분리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일단 연통상태로 하여 부용기내의 내용물을 주용기내로 유입시켜 쌍방의 내용물을 혼합하고, 다시 분리상태로 되돌려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3. 유연성을 구비한 용기 본체와 배출 펌프를 구비하며, 용기본체는 펌프 조작에 의한 내용물 배출에 따라 내부에 발생되는 부압으로 인해 복원력을 잃을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 것인 펌프 용기에 있어서, 주용기와, 분리수단에 의해 주용기와 분리된 부용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수단은 주용기 및 부용기를 연통시키는 연통수단도 구비하여, 분리상태와 연통상태가 전환가능하며, 연통상태에서 부용기내의 내용물이 주용기내로 유입되어 쌍방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4. 유연성을 구비한 용기 본체와 배출 펌프를 구비하며, 용기본체는 펌프 조작에 의한 내용물 배출에 따라 내부에 발생되는 부압으로 인해 복원력을 잃을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 것인 펌프 용기에 있어서, 주용기와, 분리수단에 의해 주용기와 분리된 부용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수단은 주용기 및 부용기를 연통시키는 연통수단도 구비하여, 분리상태와 연통상태가 전환가능하고, 유통과정에서는 분리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시에는 일단 연통상태로 하여 부용기내의 내용물을 주용기내로 유입시켜 쌍방의 내용물을 혼합하고, 다시 분리상태로 되돌려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용기와 부용기는 각각 별개의 몸체로 형성된 원기둥형 용기이며, 동일 중심선을 가지고 사이에 실링부재를 끼워 직렬로 형성되고 또한 동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며,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개구가 회동조작에 의해 합치 또는 비합치됨으로써 개방 및 폐쇄상태를 전환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1020047015089A 2002-03-29 2002-11-21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100727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41 2002-03-29
KR20020009441 2002-03-29
KR2020020020977U KR200297647Y1 (ko) 2002-03-29 2002-07-12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20020020977 2002-07-12
PCT/JP2002/012211 WO2003082703A1 (fr) 2002-03-29 2002-11-21 Recipient de conditionnement avec structure permettant de melanger des conten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021A true KR20040098021A (ko) 2004-11-18
KR100727293B1 KR100727293B1 (ko) 2007-06-12

Family

ID=2925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089A KR100727293B1 (ko) 2002-03-29 2002-11-21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67709B2 (ko)
EP (1) EP1498362A4 (ko)
JP (1) JP4400705B2 (ko)
KR (1) KR100727293B1 (ko)
CN (1) CN100402391C (ko)
AU (1) AU2002349447A1 (ko)
CA (1) CA2480406C (ko)
TW (1) TWI254693B (ko)
WO (1) WO20030827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51B1 (ko) * 2007-10-11 2010-01-06 김길수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20240033362A (ko) *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0705B2 (ja) * 2002-03-29 2010-01-20 株式会社タニ 内容物の混合構造を有する包装容器
US7662855B2 (en) 2004-05-11 2010-02-16 Imaginative Research Associates, Inc. Retinoid solutions and formulations made therefrom
JP2008519764A (ja) * 2004-11-09 2008-06-12 イマジナティブ リサーチ アソシエィ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レチノイド溶液及びそれからつくった調合物
JP4781025B2 (ja) * 2005-07-11 2011-09-28 プレスコ株式会社 ポンプ混合吐出装置
JP4749106B2 (ja) * 2005-09-29 2011-08-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KR200423697Y1 (ko) * 2006-04-17 2006-08-10 주식회사 대웅 용기 조립체
JP2010159077A (ja) * 2009-01-09 2010-07-22 Mitani Valve Co Ltd エアレスポンプ機構の内容物収容空間域画定用の可動シール部材およびこの可動シール部材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
JP5714223B2 (ja) * 2009-12-04 2015-05-07 株式会社 資生堂 ポンプ付き容器
KR101192603B1 (ko) * 2010-11-22 2012-10-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US9145221B2 (en) * 2012-03-20 2015-09-29 La Prairie, Inc. Convertible two compartment container
KR101478978B1 (ko) * 2013-01-15 2015-01-0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FR3020052B1 (fr) * 2014-04-16 2017-03-10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EP2957347B1 (en) * 2014-06-18 2017-02-22 Albea Thomaston Inc. System for dispensing a mixture of a first product and a second product
KR101694148B1 (ko) * 2014-12-17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주름관이 형성된 이액 혼합 용기
US10070759B2 (en) * 2015-10-27 2018-09-11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er
KR101728277B1 (ko) * 2016-04-01 2017-04-18 박문식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FR3068019B1 (fr) * 2017-06-23 2019-08-23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KR101975223B1 (ko) * 2018-08-17 2019-05-07 신선영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KR102252534B1 (ko) * 2018-12-14 2021-05-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혼합용 주 용기, 화장료 혼합용 보조 용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24580B1 (ko) 2019-03-28 2019-09-25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102114885B1 (ko) * 2020-01-09 2020-05-25 (주)민진 에코 펌프 방식의 화장품 용기
KR20210114086A (ko) * 2020-03-09 2021-09-23 주식회사 태성산업 내용물 전량 배출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N111547388B (zh) * 2020-04-26 2022-07-12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吸液结构及具有该结构的容器
CN111547387B (zh) * 2020-04-26 2022-07-12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喷瓶
CN117284613A (zh) * 2022-06-14 2023-12-26 西尔格定量泵(无锡)有限公司 分配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5096A (en) * 1969-10-22 1972-04-11 Pillsbury Co Container for diluting and dispensing material
FR2628075B1 (fr) * 1988-03-02 1990-08-17 Merck Sharp & Dohme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permettant de conditionner separement deux composants, et de realiser leur melange extemporane a la premiere utilis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nsemble
JP3228376B2 (ja) 1993-06-18 2001-11-12 エーザイ株式会社 用時混合容器および用時混合方法
US5398846A (en) 1993-08-20 1995-03-21 S. C. Johnson & Son, Inc. Assembly f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multiple fluids
FR2722765B1 (fr) * 1994-07-25 1996-08-23 Oreal Recipient permettant le stockage d'au moins deux produits, le melange de ces produits et la distribution du melange ainsi obtenu
EP0736462B1 (en) * 1994-11-17 2005-09-14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equipped with bubble injection pump
JP3514350B2 (ja) * 1996-03-22 2004-03-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液混合容器
JP3961577B2 (ja) * 1997-03-27 2007-08-22 ジョンソンディバー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プレーディスペンサーと協働可能な液体、特に希釈可能な濃縮物を貯蔵するためのデバイス
IT1293005B1 (it) * 1997-06-10 1999-02-11 Bernardino Parise Contenitore per sostanze concentrate in polvere o liquide da porre in soluzione entro un involucro al momento dell'uso
FR2765859B1 (fr) * 1997-07-08 1999-09-24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de deux composants
FR2791648B1 (fr) 1999-04-02 2001-05-25 Oreal Distributeur porta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e produits cosmetiques colores
FR2810643B1 (fr) * 2000-06-23 2002-09-06 Oreal Tete de distribution,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equipe d'une telle tete
KR20020000613A (ko) * 2000-06-26 2002-01-05 이상수 폐석회를 이용한 아스콘의 제조방법
KR20020000667A (ko) * 2000-06-27 2002-01-05 박종섭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200256383Y1 (ko) * 2001-09-19 2001-12-14 송감섭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JP4400705B2 (ja) * 2002-03-29 2010-01-20 株式会社タニ 内容物の混合構造を有する包装容器
US7690534B2 (en) * 2005-03-29 2010-04-06 L'oreal Device for placing two products in contact
JP4749106B2 (ja) * 2005-09-29 2011-08-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51B1 (ko) * 2007-10-11 2010-01-06 김길수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20240033362A (ko) *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92074A (ja) 2003-10-15
TWI254693B (en) 2006-05-11
KR100727293B1 (ko) 2007-06-12
US7367709B2 (en) 2008-05-06
CA2480406A1 (en) 2003-10-09
EP1498362A4 (en) 2008-12-10
EP1498362A1 (en) 2005-01-19
WO2003082703A1 (fr) 2003-10-09
US20050174881A1 (en) 2005-08-11
CA2480406C (en) 2007-01-30
CN1622904A (zh) 2005-06-01
CN100402391C (zh) 2008-07-16
JP4400705B2 (ja) 2010-01-20
AU2002349447A1 (en) 2003-10-13
TW200304422A (en)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293B1 (ko)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EP3287384B1 (en) Multi-chambered dispenser
US8052016B2 (en) Dual tube container with one way valves and applicator
US7976234B2 (en) Multi-chambered dispenser and process
JP3405952B2 (ja) 多成分系の保存混合機能兼有計量分配装置
CN207855279U (zh) 用于混合不同溶液的滴管型容器
US9788633B2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104258B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7466217A (zh) 用于防止胶囊化妆品流动的化妆品容器
CN107847037A (zh) 具有与泵的侧面水平联接的内容物储存容器的紧凑型容器
KR101165904B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JP4036946B2 (ja) リフィル容器、用時充填システム、及び、リフィル容器の製造方法
KR200297647Y1 (ko)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CN212333213U (zh) 一种用于化妆品的双腔混合容器
KR102219673B1 (ko) 용기 세트
CN219565796U (zh) 一种粉液分储的精华液储存瓶
CN218752413U (zh) 一种化妆品包装瓶
CN220937127U (zh) 一种具有防止渗漏且密封强的粉末包装瓶
KR200338755Y1 (ko) 화장품 용기
CN210184839U (zh) 一种新型的化妆品容器
KR200294044Y1 (ko) 화장품 용기에 내장된 파우더 용기의 개봉 구조
KR102309638B1 (ko) 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일체형 화장품 용기
CN219835308U (zh) 一种旋压式混合双仓化妆容器
KR200491309Y1 (ko)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KR102157298B1 (ko)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