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09Y1 -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309Y1 KR200491309Y1 KR2020190004244U KR20190004244U KR200491309Y1 KR 200491309 Y1 KR200491309 Y1 KR 200491309Y1 KR 2020190004244 U KR2020190004244 U KR 2020190004244U KR 20190004244 U KR20190004244 U KR 20190004244U KR 200491309 Y1 KR200491309 Y1 KR 2004913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undation
- puff
- vibration
- module
- modular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퍼프 모듈과 상기 퍼프 모듈에 두드림 및 발림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모듈 및 상기 퍼프 모듈에 파운데이션 제재를 공급하기 위한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을 각각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한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하고, 이들 독립 모듈들의 체결 구조를 통해 진동 파운데이션을 구성하여, 진동파운데이션의 사용 과정에서 퍼프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파운데이션 내용물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 또는 이송 튜브가 막히는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도 해당 모듈만을 선별적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진동 파운데이션 기기의 사용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퍼프 모듈과 상기 퍼프 모듈에 두드림 및 발림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모듈 및 상기 퍼프 모듈에 파운데이션 제재를 공급하기 위한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을 각각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한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하고, 이들 독립 모듈들의 체결 구조를 통해 진동 파운데이션을 구성하여, 진동파운데이션의 사용 과정에서 퍼프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파운데이션 내용물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 또는 이송튜브가 막히는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도 해당 모듈만을 선별적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진동 파운데이션 기기의 사용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고자 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컨실러 또는 BB크림 등과 같은 화장품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의 화장품들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바르기 위하여 터치하거나 두드려서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두드리거나 터치할 필요 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파운데이션과 함께 진동 퍼프가 일체로 설치된 진동 파운데이션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802호 “주름관을 결합한 진동형 화장용 튜브”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1162603호 “전동 퍼프”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튜브를 쥐어서 짜거나(제471802호), 케이스에 구비된 별도의 펌핑 스위치를 눌러(제1162603호) 화장품 용기에 있는 화장품을 토출시키고, 토출된 화장품이 묻은 퍼프를 진동모터가 진동시킴으로써, 화장품을 얼굴에 두드려 바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제471802호에서와 같은 튜브 용기의 경우, 튜브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악력에 따라 화장품의 토출량이 달라지게 되어, 화장품의 토출량을 원하는 만큼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제1162603호와 같은 펌핑 용기의 경우에도, 피스톤 작동에 의한 용기내부의 압력 증가에 따라 화장품이 토출되는 구조로서, 이 역시 토출량을 원하는 만큼 조절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화장품이 불투명한 튜브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불투명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화장품의 잔량을 상시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기를 구성하는 진동전달부 및 화장품 토출부 등이 기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일부 부품에 불량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기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 유지보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퍼프 모듈과 상기 퍼프 모듈에 두드림 및 발림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모듈 및 상기 퍼프 모듈에 파운데이션 제재를 공급하기 위한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을 각각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한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하고, 이들 독립 모듈들의 체결 구조를 통해 진동 파운데이션을 구성함으로써, 진동파운데이션의 사용 과정에서 퍼프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파운데이션 내용물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 또는 이송 튜브가 막히는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도 해당 모듈만을 선별적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파운데이션 기기의 사용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파운데이션 토출구가 형성된 퍼프와, 상기 퍼프를 지지하는 퍼프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퍼프 모듈과; 상기 퍼프 모듈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배터리 및 진동자가 구비되어, 상기 퍼프 모듈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모듈과; 상기 진동전달모듈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파운데이션 제재를 상기 퍼프에 형성된 토출구로 이송하는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 및 상기 퍼프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퍼프를 외부로부터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퍼프에 형성된 토출구로 파운데이션 제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퍼프 모듈 및 진동전달모듈에는 상기 이송튜브가 삽입되는 이송홀이 형성되어, 상기 퍼프 모듈, 진동전달모듈,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 및 커버가 각각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한 끼움 결합 구조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 장치는 퍼프모듈, 진동전달모듈 및 파운데이션 카트리지모듈을 각각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한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하고, 이들 독립 모듈들의 체결 구조를 통해 진동 파운데이션을 구성함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퍼프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파운데이션 제재가 모두 소진되거나, 튜브가 막히는 등과 같이 일부 부품에 불량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해당 모듈만을 선별적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제품 사용 수명이 향상되는 동시에 사용 과정에서의 유지보수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몸체가 나사산 구조를 통한 회전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외관의 회동을 통해 내관에 수용된 파운데이션이 퍼프 상면의 토출구로 토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외관의 회전량 조절을 통해 파운데이션의 토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파운데이션을 필요한 양만큼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과정에서 용기에 남겨지는 파운데이션 잔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적 사용이 가능하고, 용기에 수용된 파운데이션의 잔량에 따라 외부로 보여지는 내관의 길이가 변화됨으로써, 사용자가 잔여량을 시각적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카트리지 몸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서 미사용시 퍼프 상면의 토출구를 통한 파운데이션 제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파운데이션 카트리지의 길이가 변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카트리지 몸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서 미사용시 퍼프 상면의 토출구를 통한 파운데이션 제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파운데이션 카트리지의 길이가 변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은 커버(100), 퍼프 모듈(200), 진동전달모듈(300) 및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퍼프(210) 및 퍼프지지부(220)로 이루어지는 퍼프 모듈(200), 퍼프지지부(220) 하부에 밀착 연결되고, 내부에 배터리 및 진동자(302)가 구비되어, 퍼프 모듈(200)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모듈(300), 상기 퍼프 모듈(200)과 진동전달모듈(300)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퍼프(21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00) 및 상기 진동전달모듈(30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퍼프(210)에 파운데이션을 공급하는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은 내부에 파운데이션 제재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몸체(420)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420) 상부에 체결되어, 카트리지 몸체(420) 상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며, 상면 일측에 카트리지에 수용된 파운데이션 제재가 토출되는 이송튜브(411)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커버(410)로 구성된다.
이때, 각 모듈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되,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간의 연결부위에 연결부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모듈별 구조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모듈화된 각 부품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품을 구성함으로써, 생산 과정에서 디자인이나 금형 수정사항 발생 시, 각각의 모듈별 수정이 가능하여 생산이 용이해지며, 소비 과정에서는, 사용중에 부품의 불량이나 파손이 발생하거나 또는 퍼프나 파운데이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모듈만 별도로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상의 효율성까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과 같이 기기 본체에 모든 부품을 포함하여 조립하는 방식에 비해, 하나의 모듈에 한가지 기능을 가지는 부품만 넣어 제조하는 모듈화된 방식은 내부 구조가 간단해 제조가 용이하며, 모듈별로 생산라인을 달리하여 생산할 수 있어 제품당 생산시간이 짧아져 생산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의 진동 파운데이션은 진동전달모듈(300)이 퍼프 모듈(200) 하부에서 퍼프(210)에 진동을 전달하고,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이 파운데이션 제재를 퍼프(210) 표면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퍼프를 쥐고 직접 두드리지 않아도 퍼프(210) 표면에 토출되어 도포된 파운데이션을 진동을 통해 피부에 고르고 밀착감 있게 도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모듈별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퍼프 모듈(200)은 퍼프(210) 및 퍼프(210)를 지지하는 퍼프지지부(220)로 구성되며, 퍼프(210)는 퍼프지지부(220)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거나 융착 등을 통해 일체로 밀착된다.
퍼프(210)는 파운데이션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부분으로, 퍼프(210)의 상부 표면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에 대해 15도 내지 3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진 형상의 타원형 퍼프(210)는,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될 때에 비해, 사용자가 제품을 파지하고 얼굴에 접촉시킬 경우, 상대적으로 자연스러운 손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퍼프 표면을 얼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같은 밑면적을 가지는 원형 퍼프에 비해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 제품의 상대적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퍼프(2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퍼프 부재를 이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일 예로, 탄성력이 높고, 세척이 용이하며,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한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퍼프지지부(220)의 하부는 진동전달모듈(300) 상부에 탈착식으로 끼움 결합되어 밀착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퍼프지지부(220)의 하부와 진동전달모듈(300)의 상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 시에 잡고 들어올릴 수 있도록 퍼프지지부(220)와 진동전달모듈(300)의 일측면에는 파지홈(221,3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모듈(300) 내부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302)와 상기 진동자(302)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302)는 진동전달모듈(30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진동자 안착홈(303)에 안치된다.
이때, 상기 진동자 안착홈(303)은, 진동자(302)가 진동전달모듈(300) 상부에 연결되는 퍼프 모듈(200)의 중심부터 가장자리까지 고르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진동전달모듈(3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자(302)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미도시)는 진동전달모듈(300) 일측에 형성된 배터리커버(310)를 개폐하여 교환할 수 있으며, 진동전달모듈(30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311)를 통해 진동자(302)에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커버(310)가 진동전달모듈(3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배터리커버(310)의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로써, 진동전달모듈(300)의 하부면 등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210)와 퍼프지지부(220) 및 진동전달모듈(300)에는, 상기 진동자 안착홈(303) 공간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퍼프(210)와 퍼프지지부(220) 및 진동전달모듈(300)을 관통하도록, 이송홀(301)이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모듈(300) 하부에는 카트리지 커버(410)와 카트리지 몸체(420)로 구성되는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이 탈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데, 앞에서 설명한 퍼프 모듈(200) 및 진동전달모듈(300)의 결합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동전달모듈(300) 하부와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 상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의 상부 단턱은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을 구성하는 카트리지 커버(4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또한, 카트리지 커버(410)의 상부 일측에는 카트리지 몸체(420)에 수용된 파운데이션 제재가 이송되는 이송튜브(411)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퍼프 모듈(200) 및 진동전달모듈(300)을 관통하는 상기 이송홀(301)에 상기 이송튜브(411)를 삽입함으로써, 퍼프 모듈(200) 및 진동전달모듈(300)의 이송홀(301) 위치가 정렬되고, 모듈 간의 결합 방향이 구속된다.
이때, 상기 이송튜브(4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 퍼프와 피부의 접촉으로 인해 퍼프(210)에 약간의 눌림이 발생했을 때에도, 피부에 튜브재질이 닿아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퍼프(210) 상면에 형성된 토출구(211)에 약간 미치지 못하는 위치까지만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튜브(411)가 카트리지 커버(410)에 끼워지는 튜브 형식으로 개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 커버(410)와 이송튜브(411)가 일체로 사출되어 파운데이션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등 변형이 가능하다.
이어서, 카트리지 커버(410) 하부에는 카트리지 몸체(420)가 결합되는데, 이때, 카트리지 몸체(420)는, 하부가 개방되어 파운데이션 제재가 채워지며 상부에 토출홀(422)이 구비되는 내관(421)과, 상기 내관(421)의 하측 내부에 결합되어 내관(421) 하부를 밀폐하는 가압판(425) 및 가압판(425)을 지지하며 상기 내관(421)의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외관(426)으로 구성되어 파운데이션 제재의 토출량이 미세하게 조절되는 용기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도 4 및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의 결합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트리지 커버(410)와 카트리지 몸체(420)는, 카트리지 몸체(420)에 수용되어 있는 파운데이션 제재(424)가 외부로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나사산 방식의 회전결합을 통해 상호 체결되며, 이때, 카트리지 커버(410)와 결합되는 카트리지 몸체(420) 상부에는 몸체 내에 수용된 파운데이션 제재(424)가 카트리지 커버(410)에 구비된 이송튜브(411)를 통해 원활하게 퍼프(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파운데이션 경유홈(423)이 형성된다.
즉, 카트리지 몸체(420)를 구성하는 내관(421)의 상면 중앙에는 내관(421)에 수용된 파운데이션 제재(424)가 토출되는 토출홀(422)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토출홀(422) 주변으로 링 형상의 경유홈(423)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홀(422)을 통해 내관(421) 상면 상부로 토출된 파운데이션 제재가 상기 경유홈(423)을 거쳐 카트리지 커버(410) 일측에 구비된 이송튜브(411)를 통해 퍼프(210)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서는, 카트리지 몸체(420) 내부에 채워진 파운데이션 재재(424)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카트리지 몸체(420)만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하며, 이때, 교체를 위해 제공되는 카트리지 몸체(420)에는 은박 필름이나 고무마개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리필용 상부캡(미도시)이 씌워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파운데이션과는 다른 종류의 파운데이션으로 교체하는 경우, 카트리지 커버(410)를 분리하여, 기존의 파운데이션이 묻은 카트리지 커버(410)와 이송튜브(411)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 중 이물질 등이 삽입되어 이송튜브(411)가 막히는 등의 문제상황 발생시에도 카트리지 커버(410)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은 카트리지 몸체(420)와 카트리지 커버(410)를 별도로 각각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 몸체(420)와 카트리지 커버(410)가 결합된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 자체를 일체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의 카트리지 몸체(42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카트리지 몸체(420)는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된 내관(421)과 외관(426)의 이중관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내관(421)에는 외주면 하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외관(426)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초기, 내관에 파운데이션 제재가 가득찬 상태에서는, 내관(421)의 하부에 외관(426)의 상부가 연결되는 상태로 결합되며, 이후, 외관(426)을 회전시킴으로써, 외관(426)이 내관(421)의 상부를 향해 상승함과 동시에 내관(421)이 외관(426) 속으로 관입된다.
외관(426)이 회동하여 내관(421) 상부를 향해 상승할 때, 외관(426)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판(425)도 외관(426)과 연동되어 상승하도록 설계되어, 외관(426)의 회동에 따라 가압판(425)이 내관(421)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면, 상승하는 가압판(425)이 내관(421)에 채워져 있는 파운데이션 제재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렇게 압력을 받은 파운데이션 제재가 내관(421)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홀(422)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가압판(425)은 내관(421)의 하측 내부에 끼움결합되어, 내관(421)의 내벽을 긴밀하게 밀폐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가압판(425)은 내관(421)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큰 외경을 가지며, 내관(421)을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내관(421)의 내벽을 밀폐할 수 있도록 적절한 탄성력과 마찰력을 가지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연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몸체(420)를 구성하는 내관(421)은 투명 용기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카트리지 몸체(420) 내부에 수용된 파운데이션 재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카트리지 몸체(420)의 내관(421)에 파운데이션이 충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관(426)의 회동을 통해 가압판(425)이 상승하면, 내관(421)에 수용된 파운데이션이 압력을 받아 내관(421)의 상부 토출홀(422)을 통해 경유홈(423)으로 이동되고, 경유홈(423) 일측에 위치하며 진동전달모듈(300) 및 퍼프지지부(220)를 관통하는 이송튜브(411)를 따라 이송되어, 퍼프(210)의 토출구(211)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상의 실수 등의 이유로 외관(426)을 역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자칫 외관(426)이 내관(421)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관(426)의 상단부에 하강 방지턱(427)을 구비하여, 내관(421) 및 외관(426)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진동 파운데이션은, 상기 가압판(425)을 내관(421)의 내벽에 끼움방식으로 밀착시켜 결합하여 파운데이션 제재를 밀어내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관(421)에 수용된 파운데이션 사용 시, 용기 내에 잔류되는 파운데이션의 잔존량을 최소화하여 소진할 수 있음은 물론, 외관(426)의 회전량에 따라 파운데이션 제재의 토출량이 결정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양만큼 낭비없이 미세하게 토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에서 미사용시 퍼프 상면의 토출구를 통한 파운데이션 제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은, 퍼프(210)의 상면이 소정 각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렇게 경사진 퍼프 상면 일측에 파운데이션 토출구(211)가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기기 미사용 시의 보관 과정에서, 커버(100)를 닫아 보관한다 하더라도, 커버(100) 상부 내면과 토출구(211)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어, 토출구(211)를 통해 파운데이션 제재가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커버(100) 상부 내면 하부에, 미사용 보관 시 토출구(211)를 통해 파운데이션 제재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구(211)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커버 상부 내면 하부에 링형상으로 돌출된 내부마개(101)를 형성한다.
이때, 커버 상부 내면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마개(101)는 퍼프(210) 상면의 토출구(211)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U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100)는 퍼프 모듈(200)과 진동전달모듈(300)을 감싸는 형태로 퍼프(21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내면에 구비되는 내부마개(101)를 통해 퍼프(210)에 형성된 토출구(211)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타의 모듈들과 마찬가지로, 커버(100)의 하단부에는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용 단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의 길이가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몸체(420)의 내관(421)에 파운데이션 제재가 충진되어 있을 때, 외관(426)을 회전시키면 외관(426)과, 외관(426)에 연결된 가압판(425)이 승강하여, 가압판(425)이 내관(421)에 수용되어 있는 파운데이션 제재에 압력을 가하여 퍼프(210)에 형성된 토출구(211)를 통해 파운데이션이 토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파운데이션을 계속해서 사용하면, 외관(426)이 계속적으로 상부로 승강하게 되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421)의 파운데이션 제재가 모두 소진되어, 카트리지 커버(410)와 외관(426)이 접촉되는 상태까지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40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카트리지에 남아있는 파운데이션 잔량이 노출되어 있는 내관(421)의 길이로써 표출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운데이션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파운데이션을 사용할수록 진동 파운데이션의 길이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휴대가 상대적으로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은,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한 독립적인 모듈들의 체결 구조를 통해 진동 파운데이션을 구성함으로써, 사용과정에서 일부 부품에 불량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해당 모듈만을 선별적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외관의 회전량 조절을 통해 파운데이션의 토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커버 101 : 내부마개
200 : 퍼프 모듈 210 : 퍼프
211 : 토출구 220 : 퍼프지지부
300 : 진동전달모듈 301 : 이송홀
302 : 진동자 303 : 진동자 안착홈
310 : 배터리 커버 311 : 스위치
221,321 : 파지홈 400 :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
410 : 카트리지 커버 411 : 이송튜브
420 : 카트리지 몸체 421 : 내관
422 : 토출홀 423 : 경유홈
424 : 파운데이션 제재 425 : 가압판
426 : 외관 427 : 하강 방지턱
200 : 퍼프 모듈 210 : 퍼프
211 : 토출구 220 : 퍼프지지부
300 : 진동전달모듈 301 : 이송홀
302 : 진동자 303 : 진동자 안착홈
310 : 배터리 커버 311 : 스위치
221,321 : 파지홈 400 :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
410 : 카트리지 커버 411 : 이송튜브
420 : 카트리지 몸체 421 : 내관
422 : 토출홀 423 : 경유홈
424 : 파운데이션 제재 425 : 가압판
426 : 외관 427 : 하강 방지턱
Claims (13)
- 상면 일측에 파운데이션 토출구가 형성된 퍼프와, 상기 퍼프를 지지하는 퍼프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퍼프 모듈;
상기 퍼프 모듈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배터리 및 진동자가 구비되어, 상기 퍼프 모듈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모듈;
내부에 파운데이션 제재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송 튜브가 구비되는 카트리지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전달모듈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파운데이션 제재를 상기 퍼프에 형성된 토출구로 이송하는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 및
상기 퍼프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퍼프를 외부로부터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퍼프 모듈 및 진동전달모듈에는 상기 이송튜브가 삽입되는 이송홀이 형성되어, 상기 퍼프 모듈, 진동전달모듈, 파운데이션 카트리지 모듈 및 커버가 각각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한 끼움 결합 구조를 통해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카트리지 몸체는,
파운데이션 제재가 수용되는 내관;
상기 내관의 하측 내부에 밀착 구비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며, 상기 내관의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관의 상면 중앙에는 파운데이션 제재가 토출되는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홀 주변으로 링 형상의 경유홈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홀을 통해 상기 내관 상면 상부로 토출된 파운데이션 제재가 상기 경유홈을 거쳐 상기 카트리지 커버에 구비된 이송튜브를 통해 상기 퍼프에 형성된 토출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의 상면은,
수평 방향에 대해 15도 내지 30도 범위의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진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는,
라텍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모듈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진동자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홀은 상기 안착홈 외곽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모듈의 외주면 일측에는,
배터리 교체를 위한 배터리 커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모듈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진동자에 배터리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튜브는,
상기 카트리지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투명 재질의 용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상단부에는,
외관과 내관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부 내면 하부에는,
상기 토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된 U자형 단면을 갖는 링 형상의 내부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244U KR200491309Y1 (ko) | 2019-10-21 | 2019-10-21 |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PCT/KR2020/012860 WO2021080195A1 (ko) | 2019-10-21 | 2020-09-23 |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244U KR200491309Y1 (ko) | 2019-10-21 | 2019-10-21 |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1309Y1 true KR200491309Y1 (ko) | 2020-03-18 |
Family
ID=6994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4244U KR200491309Y1 (ko) | 2019-10-21 | 2019-10-21 |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309Y1 (ko) |
WO (1) | WO2021080195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603B1 (ko) | 2010-08-27 | 2012-07-04 | 한경희 | 전동퍼프 |
KR200471802Y1 (ko) | 2012-06-20 | 2014-03-14 | (주)아모레퍼시픽 | 주름관을 결합한 진동형 화장용 튜브 |
KR101387520B1 (ko) * | 2012-09-19 | 2014-04-21 | (주)톨리코리아 | 진동 화장기구를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 |
KR101868276B1 (ko) * | 2017-04-03 | 2018-06-15 | 경은진 | 퍼프를 가지는 피스톤 방식 화장품 용기 |
KR101912849B1 (ko) * | 2016-07-22 | 2018-10-30 |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 배터리교체가 용이한 스킨케어용 휴대형 진동 마사지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966Y1 (ko) * | 2013-08-02 | 2015-01-16 | (주)아모레퍼시픽 | 진동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
DE202013011647U1 (de) * | 2013-12-27 | 2015-03-30 | Geka Gmbh | Applikator mit borstenbesetzten Kartuschen |
-
2019
- 2019-10-21 KR KR2020190004244U patent/KR200491309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9-23 WO PCT/KR2020/012860 patent/WO202108019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603B1 (ko) | 2010-08-27 | 2012-07-04 | 한경희 | 전동퍼프 |
KR200471802Y1 (ko) | 2012-06-20 | 2014-03-14 | (주)아모레퍼시픽 | 주름관을 결합한 진동형 화장용 튜브 |
KR101387520B1 (ko) * | 2012-09-19 | 2014-04-21 | (주)톨리코리아 | 진동 화장기구를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 |
KR101912849B1 (ko) * | 2016-07-22 | 2018-10-30 |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 배터리교체가 용이한 스킨케어용 휴대형 진동 마사지 장치 |
KR101868276B1 (ko) * | 2017-04-03 | 2018-06-15 | 경은진 | 퍼프를 가지는 피스톤 방식 화장품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80195A1 (ko) | 202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9855Y1 (ko) |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
KR101571466B1 (ko) |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 |
EP3718914B1 (en) |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 |
JP2021010737A (ja) | 便利なリフィル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 |
JP2002526343A (ja) | 容器と、供給弁および解放可能な出荷用別体内部シールを有する蓋 | |
KR20040098021A (ko) |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 |
JP2007236920A (ja) | パウダー吐出が容易な化粧品容器 | |
CN105873470A (zh) | 使液态内容物以滴形态排出的软管型化妆品容器 | |
KR200481202Y1 (ko) |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 |
KR200482297Y1 (ko) | 리필 용기를 구비한 토출형 액상 화장품 용기 | |
EP3305126A1 (en) |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ents storage container horizontally coupled to lateral side of pump | |
KR200491309Y1 (ko) |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 진동 파운데이션 | |
KR102161468B1 (ko) |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
KR20120007832U (ko) | 진동수단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 |
KR20070092087A (ko) |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 |
KR200484833Y1 (ko) |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 |
KR20110079599A (ko) | 화장품용기 | |
KR102140240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210000817U (ko) |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 |
KR100703179B1 (ko) | 화장용브러시 | |
JP4483260B2 (ja) | 液体塗布容器 | |
JP2001341780A (ja) | 詰め替え可能な容器 | |
CN210726993U (zh) | 一种可振动包装容器 | |
JPH11113628A (ja) | 塗布容器 | |
CN209177214U (zh) | 一种可倒持挤压的定量配送流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