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179B1 - 화장용브러시 - Google Patents

화장용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179B1
KR100703179B1 KR1020050095352A KR20050095352A KR100703179B1 KR 100703179 B1 KR100703179 B1 KR 100703179B1 KR 1020050095352 A KR1020050095352 A KR 1020050095352A KR 20050095352 A KR20050095352 A KR 20050095352A KR 100703179 B1 KR100703179 B1 KR 100703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brush
cosmetic
solu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336A (ko
Inventor
변영광
Original Assignee
변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광 filed Critical 변영광
Priority to US11/269,803 priority Critical patent/US7101107B1/en
Publication of KR2006011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몸체(20)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화장용액을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되도록 한 화장용브러시(1)에 있어서, 상부가 결합구(30)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 밀폐링(22)이 구비된 내측몸체(20)의 하부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내측몸체(20)가 상, 하 승강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내측몸체(20)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이 토출구(40)에 형성된 수직,수평용액안내통로(42)(43) 및 토출공(44)과 용액이송관(51)을 지나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되어 화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30)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내측몸체(20)는 화장용액의 소진시에 분리하여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용액의 리필사용이 가능한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브러시{COSMETICS BRUSH}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3은 도2의 결합단면도
도4는 도2의 결합단면도로서 토출구의 상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 화장용브러시 10 외측몸체 11 상부끼움부
12 개방부 13 내향환륜턱 20 내측몸체
21 내향나사부 22 밀폐링 30 결합구
31 토출구끼움홀 32 외향환단턱 33 오향나사부
34 관통홀 35 내향환단턱 40 토출구
41 경사둘레부 42 수직용액안내통로 43 수평용액안내통로
44 토출공 45 역지변 45a 수직홈
46 스프링 47 요입홈 48 밀폐오링
49 스프링 50 브러시 51 용액이송관
60 상부동체 70 뚜껑
본 발명은 화장용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몸체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화장용액을 브러시측으로 토출되도록 한 화장용브러시에 있어서, 상부가 결합구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 밀폐링이 구비된 내측몸체의 하부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내측몸체가 상, 하 승강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내측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이 토출구에 형성된 용액안내통로 및 토출공과 용액이송관을 지나 브러시측으로 토출되어 화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내측몸체는 화장용액의 소진시에 분리하여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용액의 리필 및 내측몸체의 조립이 간편한 것이다.
또한, 화장용브러시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적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장용액을 넣기 전에 납품회사에 2파트의 포장단위로 조립하여 공급함으로써, 화장용액의 주입이 용이하고 용기의 조립이 간편한 것이다.
종래에 화장용액과 이를 바르는 데 이용되는 화장용구가 일체화된 화장용액 충진식 화장용브러시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277197호에 그 관련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용브러시는 각각 독립된 구성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상호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있는바, 기본적으로 소요 부품수를 많이 요하게 되어 제작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며, 특히 분할된 부품들이 상호 구조적으로 연계되 는 경우에는 기밀유지가 어려워 각별한 주의를 요하게 되므로 일정수준 이하로 불량률을 낮추기도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용브러시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과다하여 조립 및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최소 단위로 조립된 부품들을 화장용액을 넣기 전에 납품회사에 4파트 이상의 포장단위로 조립하여 공급하게 됨으로써, 공급된 부품에 화장용액을 주입한 후, 조립해야 하는 파트가 많아 조립이 복잡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상부가 결합구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 밀폐링이 구비된 내측몸체의 하부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내측몸체가 상, 하 승강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내측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이 토출구에 형성된 용액안내통로 및 토출공과 용액이송관을 지나 브러시측으로 토출되어 화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결합구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내측몸체는 화장용액의 소진시에 분리하여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용액의 리필사용이 가능한 화장용브러시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화장용브러시를 구성하는 포장단위를 적게 하여 납품회사에 공급함으로써, 화장용액의 주입이 용이하고 용기의 조립이 간편한 화장용브러시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3은 도2의 결합단면도, 도4는 도2의 결합단면도로서 토출구의 상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브러시(1)는 외측몸체(10)와 상부가 결합구(30)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 밀폐링(21)이 구비된 내측몸체(20)의 하부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내측몸체(20)가 상, 하 승강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내측몸체(20)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이 토출구(40)에 형성된 수직,수평용액안내통로(42)(43) 및 토출공(44)과 용액이송관(51)을 지나 브러시(50)측으로 적절히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몸체(20)의 상부로 형성된 결합구(30)에 내설된 스프링(49)의 탄발력에 의해 내측몸체(20)가 하강하여 복귀함과 동시에 토출공(44)에 내설된 스프링(46) 및 역지변(45)에 의하여 수직용액안내통로(42)를 폐쇄시켜 화장용액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내측몸체(20)의 하단부를 누름 및 해제동작에 의하여 내측몸체(20)가 상,하 승강하면서 내측몸체(20)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을 토출구(40)에 형성된 수직,수평용액안내통로(42)(43) 및 토출공(44)과 용액이송관(51)을 지나 브러시(50)측으로 토출 및 차단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결합구(30)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내측몸체(20)는 화장용액의 소진시에 분리하여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용액의 리필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로 개방구(12)를 갖는 상부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11)의 하단 내측 둘레부로는 내향환륜턱(13)이 형성된 외측몸체(10)가 구성되어 내측으로 브러시(50)와 토출구(40) 및 결합구(30)로 결합된 내측몸체(20)가 삽입되어 설치 구성된다.
상기 외측몸체(1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내측몸체(20)는 상단 내측둘레부로 내향나사부(21)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로 밀폐링(22)이 빡빡한 상태로 밀폐 끼움 설치된다.
상기의 내측몸체(20)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구(30)는 상단부로 토출구끼움홀(31)이 형성되며, 중앙 외측둘레부로는 외향환단턱(32)이 형성되고, 하부 외측둘레로는 외향나사부(33)가 형성되며, 하부 내측둘레부로는 관통홀(34) 및 내향환단턱(35)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외향나사부(33)로 내측몸체(20)의 상단에 형성된 내향나사부(21)와 나사결합된다.
한편, 상기의 결합구(30) 내측으로는, 상부로 브러시(50)가 구비되고, 하부로 스프링(49)이 끼움된 토출구(4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40)는 하부로 경사둘레부(41)가 형성되고, 중앙부로 수직용액안내통로(42)와 수평용액안내통로(43)를 형성시켜 중심부의 상부로 관통시킨 토출공(44)과 연통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44)의 내부로 역지변(45)과 스프링(46)이 삽입 설치된다.
또,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토출구(40)를 형성하는 토출공(44)의 상부로는 브러시(50)가 구비된 용액이송관(51)이 끼움 결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40)의 적정 둘레부에는 요입홈(47)을 형성시켜 밀폐오링 (48)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브러시(50)와 토출구(40) 및 결합구(30)로 결합된 내측몸체(20)가 상기 외측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어 상부로 상부동체(60) 및 뚜껑(70)을 결합함으로써, 도1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용브러시(1)가 구성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8은 밀폐오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내측몸체(20)의 상부로 결합된 결합구(30)의 내측으로 스프링(49)이 끼움된 토출구(40)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49)의 탄발력에 의해 내측몸체(20)는 하향한 상태를 하고 있다.
이때, 결합구(30)의 내측으로 끼움 설치된 토출구(40)는 하단으로 형성된 경사둘레부(41)가 상기 결합구(30)의 하단으로 형성된 관통홀(34)보다 상승한 상태로 되어 상기 관통홀(34)이 개방되어 상기 토출구(40)에 형성된 수직,수평용액안내통로(42)(43)와 토출공(44) 및 용액이송관(51)이 연통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관통홀(34)에 의해 연통된 결합구(30)의 내부와 수직,수평용액안내통로(42)(43)에는 화장용액이 유입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내측몸체(20)가 하향하여 어떠한 압력도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서 상기 토출공(44)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역지변(45)은 상기 수직용액안내통로(42)의 상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관통홀(34)이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용브러시(1)를 브러 시(50)가 아래로 향하도록 한 후에 내측몸체(20)의 하단부를 누르게 되면,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면에서는 상부로 향하도록 도시하였음) 내측몸체(20)와 상부로 결합된 결합구(30)가 이동을 하여 상기 결합구(30)에 끼움된 토출구(40)의 하단부가 관통홀(34)을 지나 내측몸체(20)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결합구(30)의 하단에 형성된 내향환단턱(35)이 토출구(40)의 하부둘레부에 위치하게 되어 관통홀(44)이 폐쇄됨과 동시에 밀폐링(22)이 삽입된 내측몸체(20)의 누름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토출공(44)에 삽입 설치된 역지변(45)이 상승되어 개방되면서 결합구(30)의 내부와 수직,수평용액안내통로(42)(43)에 유입된 화장용액이 토출공(44) 및 역지변(45)의 둘레부로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45a)을 통하여 용액이송관(51)으로 이송되어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내측몸체(20)의 반복 누름에 의해 관통홀(34)이 개방 및 폐쇄가 되는 본 발명의 화장용브러시(1)는 내측몸체(20)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을 브러시(50)측으로 토출시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외측몸체(10)의 내부로 결합된 내측몸체(20)의 하부를 눌러줌에 따라 내측몸체(20)가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내측몸체(2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밀폐링(22)에 의하여 내측몸체(20)의 내부가 압축되면서 내측몸체(20)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을 순간적으로 토출구(40)의 하단둘레부에 형성된 경사둘레부(41)와 결합구(30)의 내측 하단부로 형성된 관통홀(34)을 통하여 결합구(30)의 내측으로 적정량을 밀어 넣게 되고, 내측몸체(20)를 완전히 누르게 되면 내측몸체(20)가 최대한 상승하여 결합구(30)의 하단에 형성된 내향환단턱(35)이 토출구(40)의 하단둘레부에 위치하게 되어 관통홀(34)이 폐쇄하게 된 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30)의 내측으로 이송된 화장용액은 토출구(40)에 형성된 수직용액안내통로(42)와 수평용액안내통로(43), 토출공(44) 및 용액이송관(51)을 통하여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되며, 상기 용액이송관(51)은 토출되는 화장용액을 브러시(50)측에 적절한 분포로 분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강제로 이송되는 화장용액은 토출공(34)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역지변(45)을 상부로 밀어 주어 수직용액안내통로(42)의 상부를 개방시킨다.
한편, 토출구(40)의 둘레부로 형성된 요입홈(47)에 개재된 밀폐오링(48)은 결합구(30)의 내부로 유입된 화장용액이 결합구(3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누르고 있던 내측몸체(20)에 힘을 해제하면 결합구(30)의 내측에서 토출구(40)에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49)의 탄발력에 의하여 내측몸체(20)가 원상복귀하게 되어 초기 상태로 된다.
또, 상기의 내측몸체(20)가 원상복귀하면서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토출공(44)에 삽입된 역지변(45)이 흡인되면서 상기 수직용액안내통로(42)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브러시()가 구비된 화장용브러시()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토출구(40)를 형성하는 토출공(44)의 상부로 함습체(도시생략)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 설명한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상부가 결합구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 밀폐링이 구비된 내측몸체의 하부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내측몸체가 상, 하 승강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내측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액이 토출구에 형성된 용액안내통로 및 토출공과 용액이송관을 지나 브러시측으로 토출되어 화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결합구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내측몸체는 화장용액의 소진시에 분리하여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장용액의 리필사용이 가능한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몸체(20)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화장용액을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되도록 한 화장용브러시(1)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구(12)를 갖는 상부끼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끼움부(11)의 하단 내측 둘레부로는 내향환륜턱(13)이 형성된 외측몸체(10)와;
    상단 내측둘레부로 내향나사부(21)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로 밀폐링(22)이 빡빡한 상태로 밀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외측몸체(1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내측몸체(20)와;
    중앙 상부로 토출구끼움홀(31)이 형성되며, 중앙 외측둘레부로는 외향환단턱(32)이 형성되고, 하부 외측둘레로는 외향나사부(33)가 형성되며, 하부 내측둘레부로는 관통홀(34) 및 내향환단턱(35)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몸체(20)의 상단에 형성된 내향나사부(21)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구(30)와;
    하부로 경사둘레부(41)가 형성되고, 중앙부로 수직용액안내통로(42)와 수평용액안내통로(43)를 형성시켜 중심부의 상부로 관통시킨 토출공(44)과 연통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44)의 내부로 역지변(45)과 스프링(46)이 삽입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30)의 내측으로 끼움 설치되는 토출구(40)와;
    상기 토출구(40)의 상부로 용액이송관(51)에 의해 결합되는 브러시(50)와;
    상기 외측몸체(10)의 상부로 형성된 상부끼움부(11)로 상부동체(60) 및 뚜껑(70)을 복착 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화장용브러시.
KR1020050095352A 2005-04-29 2005-10-11 화장용브러시 KR100703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69,803 US7101107B1 (en) 2005-04-29 2005-11-09 Cosmetics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21 2005-04-29
KR20050035921 2005-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36A KR20060113336A (ko) 2006-11-02
KR100703179B1 true KR100703179B1 (ko) 2007-04-06

Family

ID=3765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352A KR100703179B1 (ko) 2005-04-29 2005-10-11 화장용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80B1 (ko) 2007-06-14 2008-04-21 변영광 화장용브러시
WO2013054982A1 (ko) * 2011-10-12 2013-04-18 (주)연우 리필이 가능한 펌핑식 앰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02B1 (ko) * 2006-09-28 2007-06-28 변영광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101Y1 (ko) 2000-06-23 2000-12-01 최영기 화장용 펜
KR200242722Y1 (ko) 1999-01-30 2001-09-25 장기홍 화장용 브러시
KR200274588Y1 (ko) 2001-11-15 2002-05-08 강성일 얼굴 화장용 화장분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22Y1 (ko) 1999-01-30 2001-09-25 장기홍 화장용 브러시
KR200206101Y1 (ko) 2000-06-23 2000-12-01 최영기 화장용 펜
KR200274588Y1 (ko) 2001-11-15 2002-05-08 강성일 얼굴 화장용 화장분 도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80B1 (ko) 2007-06-14 2008-04-21 변영광 화장용브러시
WO2013054982A1 (ko) * 2011-10-12 2013-04-18 (주)연우 리필이 가능한 펌핑식 앰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36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290B1 (ko)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KR100733002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100781975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용액 토출유도구의 구조
KR100903973B1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사이드 진공펌프
KR200479855Y1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10102475A (ko) 휴대용 충전식 분무기
JP2006263464A (ja) 液状化粧品容器
KR101366696B1 (ko)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US8662360B2 (en) Liquid distributor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liquid distributor
KR100703179B1 (ko) 화장용브러시
WO2019109259A1 (zh) 电子烟储油注油瓶
CN204908366U (zh) 包括具有弹性直立喷嘴的按钮的化妆品容器
KR20070092087A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100784B1 (ko) 폴리케톤 재질의 부품을 갖는 펌프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KR100823880B1 (ko) 화장용브러시
KR20090003811U (ko) 액상화장품용기
KR101087352B1 (ko) 파우더 수납형 화장솔
KR200477737Y1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CN202011551U (zh) 气压喷壶的喷嘴结构
KR20150003202U (ko) 퍼프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CN205851166U (zh) 一种化妆品用喷雾瓶
US5114256A (en) Cleaning brush
KR200217646Y1 (ko) 재충전용 부탄가스통
CN107028220A (zh) 一种新型电子烟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