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23B1 -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 Google Patents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23B1
KR101975223B1 KR1020180096271A KR20180096271A KR101975223B1 KR 101975223 B1 KR101975223 B1 KR 101975223B1 KR 1020180096271 A KR1020180096271 A KR 1020180096271A KR 20180096271 A KR20180096271 A KR 20180096271A KR 101975223 B1 KR101975223 B1 KR 101975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owder body
sealing sheet
l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선영
Original Assignee
신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선영 filed Critical 신선영
Priority to KR102018009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용기에 결합하여 즉석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캡슐기구에 있어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대상 용기에 결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결합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뚜껑(20);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분말의 밀봉 저장을 위한 봉함시트(32)를 구비하는 분말체(30); 및 상기 분말체(3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봉함시트(32)에 접촉되는 톱니부(42)를 구비하는 파열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회전으로 파열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파열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분말의 신속하고 잔량없는 낙하를 유발함에 노약자를 비롯한 다양한 수요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Capsule device for producing ready-to-drink beverage}
본 발명은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수병 등에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된 분말을 혼합하기 위한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호식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판매되는 음료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다. 통상 음료는 다른 고형 식품에 비하여 먹기 편할뿐더러 생수 등에 혼합하여 음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다수의 음료 용기를 보관하거나 휴대하는 것이 불편한 점을 고려하여 분말 형태로 수용된 캡슐 구조가 선호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1312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47673호(선행문헌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분말이 담긴 분말용기를 주름부가 형성된 캡에 수용하여 지지한 다음 절개침 지지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밀봉커버로 밀봉된 병에 결합함으로써 분말용기가 결합된 캡과 병의 조립이 간편하고, 분말용기와 생수 또는 액상 음료의 밀봉이 각각 확실하게 유지되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캡에 결합된 누름부재의 원통형몸체와 결합부가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있고, 캡의 하부에 절개침이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부재의 누름 작동시에 원통형 몸체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캡에 수용된 분말용기를 가압하여 필름커버가 파열되게 한다. 이에, 분말을 용기 내의 생수와 간단히 혼합시키고 보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한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외부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 임의로 눌러질 가능성이 있고, 노약자 등에 의한 누르는 동작에 불편과 위험이 수반되며, 중앙의 파열부가 작아 분말의 낙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1312호 "분말용기가 결합된 캡을 갖춘 음료용기" (공개일자 : 2010.02.0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47673호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공개일자 : 2009.05.2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르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회전으로 파열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파열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분말의 신속하고 잔량없는 낙하를 유발하기 위한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 용기에 결합하여 즉석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캡슐기구에 있어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대상 용기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뚜껑;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분말의 밀봉 저장을 위한 봉함시트를 구비하는 분말체; 및 상기 분말체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봉함시트에 접촉되는 톱니부를 구비하는 파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분말체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편을 파열체의 나선홈에 맞물려 회전운동에 의한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파열체는 그 내주면과 동심을 이루는 원주상의 적어도 일부에 톱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와 파열체는 동심의 원주상으로 배치되어 암수 구조로 맞물리는 후크부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뚜껑과 분말체는 상호 대향하는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각각의 스플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으로 파열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파열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분말의 신속하고 잔량없는 낙하를 유발함에 노약자를 비롯한 다양한 수요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반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주요부 확대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대상 용기에 결합하여 즉석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캡슐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대상 용기는 주변에서 흔하게 접하는 생수병에 해당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석 음료는 각종 기호성, 기능성 식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보관, 휴대, 사용이 용이하도록 캡슐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캡슐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체(10), 뚜껑(20), 분말체(30), 파열체(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하좌우의 방향과 관련된 용어는 도 1을 기준으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대상 용기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본체(10)는 상하로 개구를 지닌 원통형이면서 손으로 파지되는 하부에서 직경이 증가된다. 본체(10)의 하부 내면에는 대상 용기에 긴밀하게 결합하기 위한 암나선부(12)를 지닌다. 암나선부(12)와 대향하는 외면에는 대상 용기에 결합할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knurling)을 지닌다. 본체(10)의 하단에는 뚜껑(20)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14)를 지닌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20)은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뚜껑(20)은 하단이 개방되고 연결부(24)를 지닌 원통형 구조로서 본체(10)와 결합되면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체(10)의 연결부(14)와 뚜껑(20)의 연결부(24)는 크게 2가지의 공지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째, 양자의 연결부(14)(24)를 통합하여 두께가 축소된 환형의 절취부와 그 단부에 노출된 파지부를 형성하면, 파지부를 뜯어 올림에 따라 절취부가 파단되면서 띠 형태로 분리된다. 이는 본체(10)와 뚜껑(20)을 일회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둘째, 연결부(14)(24)의 일측에 2열의 환형테를 타측에 1열의 환형테를 형성하여 맞물리면, 본체(10)와 뚜껑(20)을 측방향(반경 방향)으로 꺾는 순간 탄성변형으로 환형테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는 본체(10)와 뚜껑(20)을 항시 착탈하기 용이하고, 맞물린 상태에서 상호 상대적인 회전도 가능하다.
한편, 뚜껑(2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22)는 위 연결부(14)(24)의 둘째 구성과 연계되어 손잡이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체(30)는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분말의 밀봉 저장을 위한 봉함시트(32)를 구비한다. 분말체(30)는 뚜껑(20)과 유사한 형태이면서 크기가 작게 형성되고, 하단의 봉함시트(32)와 더불어 분말을 저장하는 캡슐 형태를 이루고 있다. 봉함시트(32)는 강도와 내후성을 지니지만 파열이 용이한 수지재 필름 형태로 적용된다. 분말체(30)는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지하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분말체(30)의 외주면에 환형테 형태로 돌출되는 지지부(36)는 뚜껑(20)의 내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면서 불필요한 요동과 그에 따른 손상과 소음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열체(40)는 상기 분말체(3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봉함시트(32)에 접촉되는 톱니부(4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파열체(40)는 상하로 개구를 지닌 원통형 구조로서 내부에 봉함시트(32)의 파열을 위한 톱니부(42)를 구비한다. 톱니부(42)는 종래의 중앙에 배치되는 1~2개의 칼날보다 절단력을 높이도록 다수로 배치된다. 톱니부(42)가 봉함시트(32)에 진입하는 운동은 분말체(30)의 회전운동에 연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분말체(30)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편(34)을 파열체(40)의 나선홈(44)에 맞물려 회전운동에 의한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말체(30)의 외주면에 2개의 돌편(34)이 원형 단면으로 돌출되고, 파열체(40)의 대향하는 2개소에 나선홈(44)이 형성된다. 분말체(30)와 파열체(40)가 각각의 돌편(34)과 나선홈(44)을 통하여 맞물려 연결되므로, 분말체(30)를 회전시키면 돌편(34)이 나선홈(44)을 따라 하향하면서 분말체(30)의 하강운동을 유발한다. 이에, 분말체(3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봉함시트(32)가 톱니부(42)에 접촉하기 때문에 봉함시트(32)가 다수의 지점에서 파열되어 분말의 신속한 낙하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파열체(40)는 그 내주면과 동심을 이루는 원주상의 적어도 일부에 톱니부(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톱니부(42)가 파열체(4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원주상에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톱니부(42)의 톱니는 최대한으로 해당 원주의 전둘레(360˚)에 형성되지만, 최소한으로 해당 원주의 27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톱니부(42)의 톱니가 너무 작은 범위로 형성되면 봉함시트(32)의 파열 영역이 충분하지 않다. 반면 톱니가 360˚로 형성되어 봉함시트(32)가 완전히 절단되어도 분말의 낙하를 방해하거나 대상 용기로 낙하될 수 있다.
이에, 톱니부(42)의 톱니가 해당 원주상에서 대략 5~15˚정도 남긴 여타의 영역에 형성되면 봉함시트(32)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유로의 완전 개방이 가능하여 분말의 신속한 낙하를 유발한다.
이때, 나선홈(44)의 상부측에 미세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8)은 돌편(34)이 평상시 임의로 하강하지 않도록 저항력을 작용한다. 사용자가 분말체(30)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돌편(34)이 걸림턱(48)을 통과하여 나선홈(44)의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봉함시트(32)의 파열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와 파열체(40)는 동심의 원주상으로 배치되어 암수 구조로 맞물리는 후크부(16)(46)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본체(10)와 파열체(40) 간의 후크부(16)(46)에 의한 맞물림 구조가 잘 드러난다. 본체(10)의 후크부(16)는 내부에 형성된 원통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하도록 돌출된다. 파열체(40)의 후크부(46)는 U자형으로 절곡된 하단의 내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내향하도록 돌출된다.
이에, 파열체(40)를 본체(10)의 상부 개구에 밀어 넣으면 후크부(16)(46)가 자연스럽게 암수로 맞물린다. 경우에 따라 본체(10)의 하부 개구를 통하여 후크부(16)(46)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조립의 용이성 뿐만아니라 일회용이 아닌 반복적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사용에 있어서, 대상 용기인 생수병의 뚜껑을 열고 본 발명의 기구에서 본체(10)를 결합한 다음, 연결부(14)(24)를 분리하여 뚜껑(20)을 제거하고 분말체(30)가 드러나도록 하며, 분말체(30)를 손으로 쥐고 돌려 파열체(40)의 하강을 유발하면, 봉함시트(32)가 톱니부(42)에 의해 파열되고 분말이 생수병으로 혼입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뚜껑(20)과 분말체(30)는 상호 대향하는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각각의 스플라인(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뚜껑(20)의 내면과 분말체(30)의 외면에 각각 스플라인(50)이 형성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5의 경우 연결부(14)(24)는 전술한 2가지 형태 중에서 회전 가능한 방식을 적용한다. 나머지 본체(10), 파열체(40) 등의 구성은 동일성을 유지한다. 변형예의 구조에 의하면, 뚜껑(20)을 돌리는 동작에 의하여 분말체(30)의 회전이 유발되고, 분말체(30)의 회전으로 파열체(40)에 접근이 유발되어, 봉함시트(32)가 톱니부(42)에 의하여 파열되는 동작은 동일하다.
어느 경우에나,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체(30)만 교체하면 본체(10), 뚜껑(20), 파열체(40)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분말체(30)에 분말이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체 또는 겔 상태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암나선부
14: 연결부 16: 후크부
20: 뚜껑 22: 날개
24: 연결부 30: 분말체
32: 봉함시트 34: 돌편
36: 지지부 40: 파열체
42: 톱니부 44: 나선홈
46: 후크부 48: 걸림턱
50: 스플라인

Claims (5)

  1. 대상 용기에 결합하여 즉석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캡슐기구에 있어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대상 용기에 결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결합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뚜껑(20);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분말의 밀봉 저장을 위한 봉함시트(32)를 구비하는 분말체(30); 및
    상기 분말체(3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봉함시트(32)에 접촉되는 톱니부(42)를 구비하는 파열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말체(30)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편(34)을 파열체(40)의 나선홈(44)에 맞물려 회전운동에 의한 상하운동을 유발하고,
    상기 나선홈(44)의 상부측에 돌편(34)의 임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걸림턱(48)이 돌출되며,
    상기 파열체(40)는 그 내주면과 동심을 이루는 원주상의 적어도 일부에 톱니부(42)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와 파열체(40)는 동심의 원주상으로 배치되어 암수 구조로 맞물리는 후크부(16)(46)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20)과 분말체(30)는 상호 대향하는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각각의 스플라인(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KR1020180096271A 2018-08-17 2018-08-17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KR101975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71A KR101975223B1 (ko) 2018-08-17 2018-08-17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71A KR101975223B1 (ko) 2018-08-17 2018-08-17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223B1 true KR101975223B1 (ko) 2019-05-07

Family

ID=6665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271A KR101975223B1 (ko) 2018-08-17 2018-08-17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82U (ja) * 1993-04-20 1994-11-04 株式会社資生堂 2種類の収納物を混合するための容器
JP2003112782A (ja) * 2001-09-19 2003-04-18 Kemikosu Creations Kk 2種の物質の分離貯蔵・混合容器
KR100727293B1 (ko) * 2002-03-29 2007-06-12 기근서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100001312A (ko) 2008-06-26 2010-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동차 강판 시편용 시험기
KR100947673B1 (ko) 2007-11-20 2010-03-15 김두연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82U (ja) * 1993-04-20 1994-11-04 株式会社資生堂 2種類の収納物を混合するための容器
JP2003112782A (ja) * 2001-09-19 2003-04-18 Kemikosu Creations Kk 2種の物質の分離貯蔵・混合容器
KR100727293B1 (ko) * 2002-03-29 2007-06-12 기근서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100947673B1 (ko) 2007-11-20 2010-03-15 김두연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KR20100001312A (ko) 2008-06-26 2010-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동차 강판 시편용 시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322B2 (en) Cap allowing addition of adjunct into a container
EP2055647B1 (fr) Bouchon muni d'une capsule contenant une substance destinée à être ajoutée au contenu d'un récipient ainsi bouché et récipient correspondant
US7066323B1 (en) Interlocking personal beverage mixing container
EP1801028B1 (en) Cap structure for beverage container
RU2331559C9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сосудов, состоящих из двух частей
US7210575B2 (en) Two-component packaging unit
JP2009509884A (ja) 閉止装置
KR101012929B1 (ko) 건강식품 혼합용 병 또는 용기의 탑재형 뚜껑.
WO2006062418A1 (en) Cartridge for a container
JP3225484U (ja) 液体容器用のドーザキャップ
KR101975223B1 (ko)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CN109292248B (zh) 容器的封帽
CN212314383U (zh) 穿刺瓶盖及瓶
CA2835309A1 (en) Dispenser for dispensing material into a container
KR100794167B1 (ko) 이종물질 낙하 및 혼합용 병뚜껑
US20230126929A1 (en) Dispensing closure, method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US20200385192A1 (en) Recyclable interference-fit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US6561371B2 (en) Self sealing cap
WO2009083495A1 (fr) Conditionnement d'un article consommable
CN214494058U (zh) 穿刺瓶盖及瓶
CN214494057U (zh) 穿刺瓶盖及瓶
CN211495200U (zh) 用于无菌灌装的定量瓶盖及瓶
CN113120422B (zh) 用于无菌灌装的定量瓶盖及瓶
CN214139666U (zh) 一种防止误操作的粉末储库型瓶盖
WO2013128443A1 (en) Single-use/disposable dosing capsule fo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