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3Y1 - 차량의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3Y1
KR200400953Y1 KR20-2005-0024883U KR20050024883U KR200400953Y1 KR 200400953 Y1 KR200400953 Y1 KR 200400953Y1 KR 20050024883 U KR20050024883 U KR 20050024883U KR 200400953 Y1 KR200400953 Y1 KR 200400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vehicle body
auxiliary shaf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삼
Original Assignee
강성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삼 filed Critical 강성삼
Priority to KR20-2005-0024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협소한 곳에서 주차가 가능하며 골목길을 잘 빠져나갈 수 있고, 또한 리프팅한 상태에서 차량의 경정비가 가능하며, 차체의 큰 구조적 변경이 없고, 무게도 많이 나가지 않으며 조작이 간편하도록 한 차량의 주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된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체측 바닥 3개소 또는 4개소에 차량 바퀴를 지면에서 소정량 이격시켜 차량을 측방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차량주차유닛이 각기 설치되고, 상기 차량주차유닛은, 상기 차체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차체상승용 보조축과;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의 타단에 장착된 기어드모터와; 상기 기어드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측방을 향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된 주차바퀴와; 고정단이 상기 차체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을 회동시키는 작동기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기에 공급된 압력으로 차체상승용 보조축을 회동 입설시켜 차량바퀴가 지면에서 일정량 이격되도록 차체를 상승시킨 후 상기 기어드모터를 작동시켜 주차바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차량이 측방 이동되거나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차장치{Parking device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의 변형 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경량이며 협소한 장소에서 차량의 측방 수평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고 부가적으로 리프팅 상태에서 경정비가 가능토록 한 차량의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증가로 주차 공간이 날로 심각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좁은 골목길이나 노면에 주차시키고자 할 경우 전,후진을 통하여 주차하기 어려운 협소한 장소에서는 주차를 포기해야 한다.
따라서 차량을 전후진 동작시키지 않고 그대로 좌우 측방을 이용하여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주차장치들은 차체의 변형을 가져와야 하고, 또 무게도 많이 나가 연비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가져온다.
따라서 차량을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주차시키는 장치는 차체의 구조적 변경이 없거나 적고, 또한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으므로써 연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주차 조작이 용이하므로서 특히 여성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소한 곳에서 주차가 가능하며 골목길을 잘 빠져나갈 수 있고, 또한 리프팅한 상태에서 차량의 경정비가 가능하며, 차체의 큰 구조적 변경이 없고, 무게도 많이 나가지 않으며 조작이 간편하도록 한 차량의 주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차량에 설치된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체측 바닥 3개소 또는 4개소에 차량 바퀴를 지면에서 소정량 이격시켜 차량을 측방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차량주차유닛이 각기 설치되고, 상기 차량주차유닛은,
상기 차체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차체상승용 보조축과;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의 타단에 장착된 기어드모터와;
상기 기어드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측방을 향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된 주차바퀴와;
고정단이 상기 차체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을 회동시키는 작동기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기에 공급된 압력으로 차체상승용 보조축을 회동 입설시켜 차량바퀴가 지면에서 일정량 이격되도록 차체를 상승시킨 후 상기 기어드모터를 작동시켜 주차바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차량이 측방 이동되거나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측 차체(12)의 저부 4개소에 차량주차 유닛(100)이 각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량주차 유닛(100)의 설치 위치는 차량(10)을 리프팅시 차량(10)이 지면과의 평행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위치이다.
상기 차량주차 유닛(100)은 차량 바퀴(14)를 지면에서 도 3과 같이 소정량 리프팅시켜 차량(10)을 측방 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주차유닛(10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2)의 바닥에 일단이 힌지(H1)로 연결된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이 설치되고,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의 타단에는 기어드모터(120)가 장착되고, 상기 기어드모터(120)의 출력단에는 차량(10)의 측방을 향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주차바퀴(130)가 장착된다.
따라서 기어드모터(120)의 출력단 회전 방향에 따라 주차바퀴(130)가 정,역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기어드모터(120)는 주지의 기술로서 도시안된 전자브레이크가 내장된 것을 채택한다.
상기 차제상승용 보조축(110)에 작동기(14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기(140)는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을 회전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동기(140)는 고정단이 상기 차체(12)에 힌지(H2) 연결되고 작동로드(140a)가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에 힌지(H3)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기(140)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왕복동 공압실린더 또는 왕복동 유압실린더가 될 수 있다.
공압으로 동작되는 작동기(140)의 경우, 작동기(140)는 차량(10)의 트렁크내에 탑재된 공기압축기(200)와, 상기 공기압축기(200)와 상기 작동기(140)를 연결하는 공압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실내측 주차용 온/오프 스위치(220)의 선택 위치에 따라 진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체(12)측에는 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110)과 작동기(1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차체의 승강 여부를 감지하는 차체 상승 및 하강 감지용 센서(150A,150B)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 상승 및 하강 감지용 센서(150A,150B)는 전기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210)에 연결되어 공압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차장치의 작용을 도 2, 도 3 및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주차유닛(100)이 접어져 있을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작동기(140)의 작동로드(140a)가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을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가 되고, 차상승용 보조축(110)은 힌지(41)를 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지면과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은 차체(12)의 바닥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므로 주행중 노면에 닿는 현상은 없다.
한편, 주행이 끝나고 원하는 장소에 주차를 하고자 할 경우, 특히 주차공간이 협소하거나 전,후진으로 주차하기 어려울 경우 차량주차유닛(110)을 이용하여 차량을 측방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주차 온/오프 스위치(220)를 온 상태로 절환 조작하게 되면(S10), 솔레노이드밸브(210)가 일측으로 절환되어(S11) 작동기(140)의 A포트로 공압이 작용하여 작동로드(140a)가 밀려나오고(S12), 이 작동로드(140a)에 연결된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이 힌지(H1)를 축으로 하여 도 3의 화살표(K)로 도시한 방향으로 하강 회전한다(S13).
이때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입설되면 이를 차체상승센서(150A)가 감지하고(S14) 감지된 상승신호는 솔레노이드밸브(210)를 중립위치로 절환시켜 압력이 차단되고 작동기(14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같이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이 차체(10)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회전되는 동안 주차바퀴(130)가 지면에 닿기 시작하면서 부터 차체(12)는 상방으로 리프팅을 시작하게 되고,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이 지면에서 입설되어 회전동작을 완료하게 되면 차량 바퀴(14)는 지면에서부터 일정 높이(L)로 이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주차바퀴(13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차량(10)의 중량을 지지한다.
이때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의 길이에 따라 차량 바퀴(14)와 지면과의 이격 높이는 조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작동기(140)가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을 내리는 동작 동안 주차바퀴(130)는 기어드모터(120)측 전자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어 지면과의 구름운동이 가능하다.
이같이 작동기(140)에 의해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이 지면을 향하여 입설되면 주차바퀴(130)는 지면에 차량(10)의 좌우 측방을 향하여 회전할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차내에서 스위치 조작에 의해 기어드모터(120)를 구동시키게 되면 그의 출력단 회전 방향에 따라 주차바퀴(130)는 회전구동하면서 차량(10)을 리프팅한 상태로 수평 이동시킨다(S15). 따라서 차량(10)은 정위치에서 전,후 움직임없이 측방으로만 수평 이동하여 원하는 협소 공간에 주차가 완료된다.
이같이 차량(10)의 주차가 이루어지면 기어드모터(120)내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10)을 더 이상 이동 못하도록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주차된 차량(10)을 다시 빼내어 주행하고자 할 경우 위 동작의 반대로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작동기(140)는 유압으로 동작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 5와 같이 차량(10)의 파워펌프(300)측 유압라인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차용 온/오프 스위치(320)의 선택 위치에 따라 작동기(140)를 진퇴 동작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작동기(140)에 공급된 유압 또는 공압의 압력으로 차체(12)를 리프팅시켜 적은 동력으로도 추차가 가능하다.
또한, 정위치에서 차량이 측방으로 수평 이동하므로 차량의 길이를 뺀 50㎝ 정도의 여유공간이 있는 협소한 곳에서도 주차가 손쉽게 가능하다.
또한, 전방 2개소에 있는 주차바퀴(140)와 후방 2개소에 있는 주차바퀴(140)의 방향을 달리하여 구동시키면 좁은 골목에서의 차량 회전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차체의 4개소에 차량주차유닛(100)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3개소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앞 2개소 뒤 1개소 또는 앞 1개소 뒤 2개소와 같이 하여 3각으로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주차장치에 따르면, 차체상승용 보조축을 회동 입설시켜 차량바퀴가 지면에서 일정량 이격되도록 차체를 상승시킨 후 상기 기어드모터를 작동시켜 주차바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차량이 측방 이동되거나 회전되도록 구성하므로서, 협소한 곳에서 주차가 가능하고 골목길을 잘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정비(바퀴 교환 등)코자 할 경우에도 본 장치를 리프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차체의 큰 구조적 변경이 없고, 무게도 많이 나가지 않으며 조작이 간편하여 특히 여성 운전자에게 유리하며, 승용 및 승합, RV차량 등에 모두 장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치의 설치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치의 구성도로서 주차하기 전 또는 주행중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치의 구성도로서 주차 중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차장치에 적용되는 작동기 유압회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주차유닛
110: 차체상승용 보조축
120: 기어드모터
130: 주차바퀴
140: 작동기
200: 공기압축기
210,310: 솔레노이드밸브
220, 320: 주차용 온/오프 스위치
300: 파워펌프

Claims (5)

  1. 차량(10)에 설치된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차체(12)측 바닥 3개소 또는 4개소에 차량 바퀴(14)를 지면에서 소정량 이격시켜 차량을 측방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차량주차유닛(100)이 각기 설치되고, 상기 차량주차유닛(100)은,
    상기 차체(12)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차체상승용 보조축(110)과;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의 타단에 장착된 기어드모터(120)와;
    상기 기어드모터(1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차량(10)의 측방을 향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된 주차바퀴(130)와;
    고정단이 상기 차체(12)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을 회동시키는 작동기(140)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기(140)에 공급된 압력으로 차체상승용 보조축(110)을 회동 입설시켜 차량바퀴(14)가 지면에서 일정량 이격되도록 차체(12)를 상승시킨 후 상기 기어드모터(120)를 작동시켜 주차바퀴(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차량(10)이 측방 이동되거나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모터(120)에는 상기 주차바퀴(13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브레이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2)측에는 각기 차체상승용 보조축(110)과 작동기(1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차체의 승강 여부를 감지하는 차체 상승 및 하강 감지용 센서(150A,150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140)는,
    차량(10)의 트렁크내에 탑재된 공기압축기(200)와,
    상기 공기압축기(200)와 상기 작동기(140)를 연결하는 공압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차용 온/오프 스위치(220)의 선택 위치에 따라 진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140)는,
    차량(10)의 파워펌프(300)측 유압라인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차용 온/오프 스위치(320)의 선택 위치에 따라 진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장치.
KR20-2005-0024883U 2005-08-30 2005-08-30 차량의 주차장치 KR200400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83U KR200400953Y1 (ko) 2005-08-30 2005-08-30 차량의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83U KR200400953Y1 (ko) 2005-08-30 2005-08-30 차량의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3Y1 true KR200400953Y1 (ko) 2005-11-10

Family

ID=4370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883U KR200400953Y1 (ko) 2005-08-30 2005-08-30 차량의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074B1 (ko) * 2018-03-06 2018-08-27 박종현 자동차 회전반경 축소장치
CN111098833A (zh) * 2019-12-26 2020-05-05 河南恒托电子科技有限公司 横展式同步双轮停车横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074B1 (ko) * 2018-03-06 2018-08-27 박종현 자동차 회전반경 축소장치
WO2019172529A1 (ko) * 2018-03-06 2019-09-12 박종현 자동차 회전반경 축소장치
CN111098833A (zh) * 2019-12-26 2020-05-05 河南恒托电子科技有限公司 横展式同步双轮停车横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76149Y (zh) 汽车横移装置
CN204701595U (zh) 汽车用多功能底盘
KR880000562B1 (ko)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US9758133B2 (en) Vehicle lifting and parallel parking aid
CN205601804U (zh) 小型汽车携升降平移器
KR200400953Y1 (ko) 차량의 주차장치
CN201300822Y (zh) 汽车横向移动装置
CN201626477U (zh) 车辆辅助机动装置
CN111677356A (zh) 一种可升降的自助停车操作终端
CN201300887Y (zh) 汽车横向移动装置
CN106965782A (zh) 泊车设备
CN201457327U (zh) 汽车平移辅助装置
CN208220312U (zh) 两层七位立体式车库
CN106926826B (zh) 一种汽车、汽车液压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612368A (zh) 两层七位式立体车库
CN206757657U (zh) 新型车型自动识别装置
CN101618713A (zh) 一种汽车底盘升降装置
CN110588595B (zh) 一种辅助泊车机器人
CN212796829U (zh) 一种空车位诱导装置
CN211223391U (zh) 压路机液压驻车制动机构和具有驻车制动功能的刹车轮
CN111206807B (zh) 一种四连杆举升式二元立体车库
CN210127387U (zh) 一种铣刨机右后支腿摆动自动控制系统及其铣刨机
CN110242078B (zh) 一种停车系统
WO2023065089A1 (zh) 一种车辆、迎宾踏板组件以及车辆控制方法
CN2765833Y (zh) 汽车原位侧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