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384A - 동축 케이블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384A
KR20040092384A KR1020040012570A KR20040012570A KR20040092384A KR 20040092384 A KR20040092384 A KR 20040092384A KR 1020040012570 A KR1020040012570 A KR 1020040012570A KR 20040012570 A KR20040012570 A KR 20040012570A KR 20040092384 A KR20040092384 A KR 20040092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layer
coaxial cable
transverse
aroun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649B1 (ko
Inventor
시모사와카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ublication of KR2004009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1Deco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과제)폴더식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리드선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와 본체의 인터페이스 케이블과 같은, 외경이 가늘고, 작은 공간에 사용될 수 있고, 폴더식 휴대전화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시 또는 비사용시에 따라서, 빈번하게 개폐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가요성을 가짐과 아울러, 노이즈를 차단하는 실드 특성이 뛰어난 극세 동축 케이블을 제공한다.
(해결수단)중심도체의 주위에 절연체를 피복하고, 이 절연체의 주위에 횡권 실드층을 설치하고, 이 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외피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횡권 실드층은 실드재 소선을 상기 절연체의 주위에 권회하여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고, 또한, 이 제1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이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는 실드재 소선과 같은 방향으로 실드재 소선을 권회하여 제2횡권 실드층을 형성해서 구성된 2중 횡권 실드층이며, 이들 제1횡권 실드층 및 제2횡권 실드층을 압축한 후에 외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 동축 케이블.

Description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빈번하게 개폐 동작을 행하는 폴더식 휴대전화의 안테나의 리드선으로서 사용되는 외경이 매우 가는 극세 동축 케이블, 또는 높은 빈도로 개폐 동작을 받는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와 디스플레이 사이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케이블 등에 사용되는 외경이 매우 가는 극세 동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은 폴더식 휴대전화는, 안테나 및 디스플레이부 등을 갖는 수화부와, 음성신호 또는 조작키를 통해서 메일 등의 신호를 보내는 송화부를 구비하고, 이 수화부와 송화부를 힌지부로 회동가능에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 힌지부 내에는, 수화부의 안테나와, 음성신호 또는 조작키의 조작에 대응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화부의 신호발생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 케이블에는 지금까지 외래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서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힌지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 케이블의 일단측은 수화부의 안테나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측은 신호발생회로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그래서, 이런 종류의 폴더식 휴대전화는, 작동시에 수화부의 안테나를 통해서 신호발생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발신, 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폴더식 휴대전화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시 또는 비사용시 등에 따라서 빈번하게 폴더식 휴대전화의 개폐 동작을 행하면, 안테나와 신호발생회로 사이에서 고정설치되어 있는 접속 케이블은 힌지부 내 등에서, 굴곡 또는 꼬임을 받게 된다.
그 때, 접속 케이블로서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층으로서는, 중심도체에 피복되는 절연체의 주위에 구리 소선을 편조해서 형성한 편조 실드층, 또는 구리 소선을 횡권으로 권회하여 형성한 횡권 실드층이 사용되고 있지만, 외부도체층으로서 편조 실드층을 갖는 동축 케이블에서는, 노이즈를 차폐하는 실드 특성에는 뛰어나지만, 사용시 또는 비사용시에 따라서 빈번한 개폐 동작을 받는 폴더식 휴대전화에서는, 안테나와 신호발생회로 사이에서 고정설치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이 굴곡 또는 꼬임을 받고, 그 결과, 가요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조 실드층의 형성에는, 작업 시간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의 관점에서의 문제도 있다.
한편, 접속 케이블로서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층으로서 횡권 실드층을 사용한 것에서는, 폴더식 휴대전화가 빈번하게 개폐 동작을 받을 경우에, 편조 실드층을 사용한 것보다 가요성의 점에서는 뛰어나지만, 노이즈를 차단하는 실드 특성의 점에서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서, 노이즈를 차단하는 실드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횡권 실드층을 2중으로 형성하는 2중 횡권 실드층을 설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각 층의 구리 소선의 권회방향이 서로 달라서 교차되어 권회되고, 편조 실드의 형태와 비슷하게 되어, 노이즈를 차단하는 실드 특성의 점에서는 양호하지만, 가요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횡권 실드층의 형성에는, 구리 소선의 권회방향이 서로 달라서 교차되어 권회되므로, 그 작업시간에 많은 시간을 요하고, 생산성의 관점에서의 문제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한, 노이즈를 차단하는 실드 특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2중 횡권 실드층 이상의, 예를 들면 3중 횡권 실드층을 설치하는 경우도 고려되지만, 이 경우에는, 극세의 동축 케이블로서 외경의 증가를 초래하고, 중량도 커짐과 아울러 가요성도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6-34934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폴더식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리드선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와 본체의 인터페이스 케이블과 같은, 외경이 가늘고, 작은 공간에 사용될 수 있고, 폴더식 휴대전화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시 또는 비사용시에 따라서, 빈번하게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가요성을 가짐과 아울러, 노이즈를 차단하는 실드 특성이 뛰어난 극세 동축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극세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극세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는 폴더식 휴대전화의 개략 설명도.
도 4는 동축 케이블의 내굴곡성 시험에 사용하는 굴곡 시험기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 및 종래의 편조 실드층 및 횡권 실드층을 외부도체층으로서 갖는 동축 케이블의 실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6은 종래의 편조 실드층을 외부도체층으로서 갖는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심도체 2 절연체
3 제1횡권 실드층 4 제2횡권 실드층
5 2중 횡권 실드층 6 외피
10 극세 동축 케이블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관한 극세 동축 케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즉, 요약하면, 본 발명은 중심도체의 주위에 절연체를 피복하고, 이 절연체의 주위에 횡권 실드층을 설치하고, 이 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외피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횡권 실드층은 실드재 소선을 상기 절연체의 주위에 권회하여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고, 다시, 이 제1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이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는 실드재 소선과 같은 방향으로 실드재 소선을 권회하여 제2횡권 실드층을 형성해서 구성된 2중 횡권 실드층이며, 이들 제1횡권 실드층 및 제2횡권 실드층을 압축한 후에 외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 동축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극세 동축 케이블에 따르면, 중심도체의 주위에 절연체를 피복하고, 이 절연체의 주위에 횡권 실드층을 설치하고, 이 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외피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횡권 실드층은 실드재 소선을 상기 절연체의 주위에 권회하여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고, 또한, 이 제1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이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는 실드재 소선과 같은 방향으로 실드재 소선을 권회하여 제2횡권 실드층을 형성해서 구성된 2중 횡권 실드층이며, 이들 제1횡권 실드층 및 제2횡권 실드층을 압축한 후에 외피를 설치했으므로, 사용시 또는 비사용시에 따라서 빈번하게 개폐 동작을 받는 폴더식 휴대전화의 접속 케이블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케이블 등에 요구되는 굴곡성, 가요성에 더해서 실드 효과를 원하는 범위에서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극세 동축 케이블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극세 동축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극세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극세 동축 케이블에 사용되는 폴더식 휴대전화의 개략 설명도이며, 도 4는 동축 케이블의 내굴곡성 시험에 사용하는 굴곡 시험기의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 및 종래의 편조 실드층 및 횡권 실드층을 외부도체층으로서 갖는 동축 케이블의 실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도 6은 종래의 편조실드층을 외부도체층으로서 갖는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한 것으로, 각 부분의 척도는 고려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이해해야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10)이 나타내어져 있고, 이 극세 동축 케이블(10)은 예를 들면, 외경 약 50㎛의 은도금 주석이 함유된 동합금선을 7개 꼬아서 형성한 중심도체(1)의 주위에,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의 절연체(2)가 두께 약 45㎛로 피복되고, 이 절연체(2)의 주위에, 외부도체용 실드재 소선으로서, 외경 약 50㎛의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28개)의 주석도금 주석이 함유된 동합금선이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형성된 제1횡권 실드층(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1횡권 실드층(3)의 주위에는, 마찬가지로 외부도체용 실드재 소선으로서, 외경 약 50㎛의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4개)의 주석도금 주석이 함유된 동합금선이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형성된 제2횡권 실드층(4)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횡권 실드층(3) 및 제2횡권 실드층(4)으로 2중 횡권 실드층(5)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심도체(1)에 피복되는 절연체(2)의 주위에 형성된 제1횡권 실드층(3) 및 제2횡권 실드층(4)을 도시가 생략된 다이로 압축한다. 그 결과, 2중 횡권 실드층(5)에 있어서의 실드재 소선간은 기밀해진다.
그 후, 제1횡권 실드층(3) 및 제2횡권 실드층(4), 즉 압축된 2중 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외피로서, PFA를 피복해서 동축 케이블(10)의 외피(6)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극세 동축 케이블(10)을,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폴더식 휴대전화(30)에 설치한다.
도 3에 나타내는 폴더식 휴대전화(30)는, 안테나(31) 및 디스플레이부(32) 등을 갖는 수화부(33)와, 음성신호 또는 조작키를 통해서 메일 등의 신호를 보내는 송화부(3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수화부(33)와 송화부(34)를 힌지부(3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또한, 송화부(34)에는 음성신호 또는 조작키의 조작에 대응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린트 기판에 적재되는 신호발생회로(36)가 구비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30)에 있어서의 수화부(33)의 안테나(31)와,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화부(34)의 신호발생회로(36)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로서, 본 발명의 극세 동축 케이블(10)을 설치하기 위해서, 힌지부(35) 내를 통과 배치시키는 동축 케이블(10)의 일단측을 수화부(33)의 안테나(31)에 고정설치하고, 그 타단측을 신호발생회로(36)에 고정설치한다. 이렇게 해서, 폴더식 휴대전화(30)는 전원투입 후의 작동시에, 수화부(33)의 안테나(31)를 통해서 신호발생회로(36)로부터의 신호를 발신, 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폴더식 휴대전화(30)에, 접속 케이블 즉 안테나의 리드선으로서 설치된 본 발명의 극세 동축 케이블(10)의 내굴곡성을,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좌우 굴곡 시험기(40)를 사용해서 조사했다.
즉, 본 발명의 극세 동축 케이블(10)의 일단측을 좌우 굴곡 시험기(40)의 상단측(41)에 고정하고, 그 타단측은 이간된 한쌍의 심봉(mandrel)(42)을 갖는 굴곡부(43)의 심봉(42)사이를 통과함과 아울러, 그 최하단에는 하중(w)(127gf)이 매달리고, 이 상태로, 굴곡부(43)를 좌우 90도의 굴곡 각도로 굴곡시키면, 본 발명의 극세 동축 케이블(10)은 심봉(42)에 의해 좌우로 굴곡을 받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극세 동축 케이블(10)의 굴곡 시험을 행했다(굽힘 반경 7.5㎜). 이 내굴곡성 시험에서는, 내부도체 또는 외부도체가 도통되지 않은 회수를 구했다.
비교예1로서, 접속 케이블인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외경 약 50㎛의 주석도금 주석이 함유된 동합금선을 사용하여, 지수 6, 타수 8의 편조 실드구조로 하고, 그 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10)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한 동축 케이블을 제작했다.
다음에, 비교예2로서, 접속 케이블인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외경 약 50㎛의 다수개(28개)의 주석도금 주석이 함유된 동합금선을 사용하여,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형성된 횡권 실드구조로 하고, 그 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10)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한 동축 케이블을 제작했다.
상기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및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동축 케이블의 내굴곡성을 조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 표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외부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은 종래의 편조구조를 외부도체로서 갖고 있는 동축 케이블의 약 1.5배의 굴곡 수명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동축 케이블의 실드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A는 비교예1의 외부도체로서 편조 실드구조를 갖는 동축 케이블, B는 본 발명의 외부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 및 C는 비교예2의 외부도체로서 횡권 실드구조를 갖는 동축 케이블의 실드효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드효과의 측정은, CISPR Pub. 16의 규정에 준거한 흡수 클램프법에 의해 행했다.
표 1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1의 동축 케이블의 실드효과(A)는 뛰어나지만, 굴곡성, 가요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비교예2의 동축 케이블은 굴곡성, 가요성이 약간 뛰어나지만, 실드효과(C)는 불충분하다. 이에 대해서,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은 비교예1 및 비교예2에 있어서의 굴곡성, 가요성 또는 실드효과 중 어느 한쪽이 뛰어난 방향으로 치우치는 일없이, 폴더식 휴대전화 또는 노트북 컴퓨터에 요구되는 굴곡성, 가요성 및 실드효과를 원하는 범위에서 충분히 충족시키고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극세 동축에 따르면, 중심도체의 주위에 절연체를 피복하고, 이 절연체의 주위에 횡권 실드층을 설치하고, 이 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외피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횡권 실드층은 실드재 소선을 상기 절연체의 주위에 권회하여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고, 또한 이 제1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이 주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는 실드재 소선과 같은 방향으로 실드재 소선을 권회하여 제2횡권 실드층을 형성하여 구성된 2중 횡권 실드층이며, 이들의 제1횡권 실드층 및 제2횡권 실드층을 압축한 후에 외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 동축 케이블을 구성했으므로, 사용시 또는 비사용시에 따라서 빈번하게 개폐동작을 받는 폴더식 휴대전화의 접속 케이블 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케이블 등에 요구되는 굴곡성, 가요성에 더해서 실드효과를 원하는 범위에서 충분히 만족시킨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중심도체의 주위에 절연체를 피복하고, 이 절연체의 주위에 횡권 실드층을 형성하고, 이 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외피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횡권 실드층은 실드재 소선을 상기 절연체의 주위에 권회하여 제1횡권 실드층을 형성하고, 또한, 이 제1횡권 실드층의 주위에, 이 제1의 횡권 실드층을 형성하는 실드재 소선과 같은 방향으로 실드재 소선을 권회하여 제2횡권 실드층을 형성하여 구성된 2중 횡권 실드층이며, 이들 제1횡권 실드층 및 제2횡권 실드층을 압축한 후에 외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 동축 케이블.
KR1020040012570A 2003-04-25 2004-02-25 동축 케이블 KR101056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2864A JP4409202B2 (ja) 2003-04-25 2003-04-25 同軸ケーブル
JPJP-P-2003-00122864 2003-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384A true KR20040092384A (ko) 2004-11-03
KR101056649B1 KR101056649B1 (ko) 2011-08-12

Family

ID=3350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570A KR101056649B1 (ko) 2003-04-25 2004-02-25 동축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09202B2 (ko)
KR (1) KR101056649B1 (ko)
CN (1) CN100341076C (ko)
TW (1) TWI27981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98B1 (ko) * 2007-02-07 2008-04-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굽힘 특성이 우수한 미세 동축 케이블
KR100842986B1 (ko) * 2006-07-21 2008-07-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극세동축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6228A2 (de) * 2012-03-05 2013-09-13 Huber+Suhn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axialkabels, sowie Koaxialkabel.
CN109859428B (zh) * 2019-03-12 2020-07-28 上海荷福人工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综合防盗管理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2142U (zh) * 1989-05-13 1990-01-31 尤大千 有屏蔽零线的低压全塑电力电缆
US5414213A (en) * 1992-10-21 1995-05-09 Hillburn; Ralph D. Shielded electric cable
US5817982A (en) * 1996-04-26 1998-10-06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Nonlinear dielectric/glass insulated electrical cable and method for making
JPH11329105A (ja) * 1998-05-18 1999-11-30 Yoshinoka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横巻シールド及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
CN2429897Y (zh) * 2000-05-23 2001-05-09 郑州电缆(集团)股份有限公司 承荷探测电缆
JP3678179B2 (ja) 2001-07-25 2005-08-03 日立電線株式会社 2重横巻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986B1 (ko) * 2006-07-21 2008-07-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극세동축케이블
KR100820498B1 (ko) * 2007-02-07 2008-04-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굽힘 특성이 우수한 미세 동축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40683A (zh) 2004-10-27
JP4409202B2 (ja) 2010-02-03
TW200428413A (en) 2004-12-16
CN100341076C (zh) 2007-10-03
KR101056649B1 (ko) 2011-08-12
JP2004327345A (ja) 2004-11-18
TWI279814B (en) 200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1786B2 (en)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cable
JP5487661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
JP5421565B2 (ja) 同軸ケーブル
JP5338411B2 (ja) アンテナ装置
KR20080080148A (ko) 동축 케이블
JP486094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CA2404271A1 (en) Mini coaxial cable for digital network
KR101056649B1 (ko) 동축 케이블
CN201256027Y (zh) 低损耗φ1.13mm微同轴电缆
WO2005052957A1 (ja) 同軸ケーブル
KR100751664B1 (ko) 차동 신호 전송 케이블
JP6924037B2 (ja) 同軸ケーブル
JP2008263264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JPH0613014U (ja) 同軸ケーブル及び同軸入り複合ケーブル
CN210837312U (zh) 一种用于通信电缆外封闭屏蔽层的纵包模具
JP5244271B2 (ja) ケーブル
JP2005302309A (ja) 同軸ケーブル
JPH0743866Y2 (ja) プローブケーブル
JPH08222036A (ja) 同軸カールコード用導体
JP2006278188A (ja) 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16381A (ja) 同軸複合通信ケーブル
JP2003151380A (ja) 同軸ケーブル
JP2004199976A (ja) 2重横巻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JP2003086030A (ja) 極細同軸ケーブル
KR20110090054A (ko)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