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054A -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054A
KR20110090054A KR1020100009625A KR20100009625A KR20110090054A KR 20110090054 A KR20110090054 A KR 20110090054A KR 1020100009625 A KR1020100009625 A KR 1020100009625A KR 20100009625 A KR20100009625 A KR 20100009625A KR 20110090054 A KR20110090054 A KR 20110090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metal shielding
shielding layer
layer
sur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365B1 (ko
Inventor
한전건
최인식
최윤석
김성일
조성훈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3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10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 H01B11/1058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using a coating, e.g. a loaded polymer, ink or print
    • H01B11/1066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using a coating, e.g. a loaded polymer, ink or print the coating containing conductive or semi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69Construction of the layers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에서 금속 차폐층을 금속 코팅 층으로 대처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중심 도체 (100), 상기 중심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층 (200)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 감싸는 금속 차폐층(300)으로 전면코팅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마이크로 동축 케이블의 생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특히 금속 차폐층이 횡권이나 편조등으로 구성되지 않고 코팅에 의한 완전 실딩방식으로서 하네스 공정의 탈피성과 더불어 고주파 특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Micro coaxial cable comprising coated metallic shie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동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중심도체와 중심도체의 동축상에 외부도체가 형성되는 구조의 케이블로서, 크기별/종류별로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주로 건물 지하의 안테나 또는 CATV 등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내시경 등 의료기기 등의 극소형화가 진행되어,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직경 1mm이하의 극세동축케이블의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극세동축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구리합금 등의 재질의 원형선재로 이루어진 중심도체, 중심도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된 절연층, 절연층을 원형의 선재로 15-40 횡권하여 차폐특성을 갖는 금속차폐층 및 이를 보호하는 시스(Sheath)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극세동축케이블은 전자기신호(Electromagnetic Signal)가 손실되지 않도록 절연층의 외주면에 원형의 금속선을 횡권하여 완전히 감싸지도록 금속차폐층을 형성하게 된다. 혹은 도전성 Tube안으로 절연된 선재를 넣고 인발(drawing)하여 금속차폐층을 형성하거나 (Tubing후 인발법) 절연된 선재를 도전성 Tape로 감거나 감싸서 금속차폐층을 형성하게 된다(Tape Lapping법).
그러나 휴대폰이나 전자제품의 슬림화 및 소형화로 케이블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원형의 금속선의 직경도 줄여야 하기 때문에 횡권시 선재의 단선율이 높아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원형의 금속선은 횡권시 금속선이 올라타는 경우가 발생하고, 금속선과 금속선 사이의 틈이 발생하여 차폐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ubing후 인발법이나 Tape Lapping법 역시 극세동축케이블 제조에는 제조상 어려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등록특허 제 10-0910431호에 따르면, 극세동축케이블은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으로 이루어진 중심도체; 중심도체를 둘러 감싸는 절연층; 절연층을 두 개 이상의 평각형상의 금속선으로 횡권하여 둘러 감싸는 금속 차폐층 및 금속 차폐층을 둘러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되,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두 개 이상의 평각형상의 금속선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에 의하면 평각성형된 금속선을 횡권하여 금속 차폐층을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의 차폐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경우 생산 공정이 선재를 감싸는 공정은 상당히 까다롭고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횡권으로 제작한 차폐층은 하네스 공정에서 상당한 불량률을 가지고 온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중심도체 (100); 상기 중심도체를 둘러 감싸는 유전 절연층 (200); 및 상기 유전 절연층을 둘러감싸는 금속 차폐층 (330)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도체(100);
상기 중심도체(100)를 둘러 감싸는 유전 절연층(200); 및 상기 유전 절연층을 둘러 감싸는 금속차폐층(300)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1 금속차폐층(310) 및 상기 제 1 금속차폐층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중심도체(100);
상기 중심도체(100)를 둘러 감싸는 유전 절연층(200); 및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금속차폐층(300)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상기 금속차폐층(300)을 둘러 감싸는 자켓층(40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중심도체(100)는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이 연선된(Strand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Cr 및 T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1 금속차폐층(310)의 두께가 1 ~ 400 nm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 Al 및 A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01 ~ 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2 ~ 4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중심도체(100)에 유전 절연층(200)으로 압출하고, 상기 유전 절연층 위에 전면 금속차폐층(30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1 금속차폐층(310) 및
상기 제 1 금속차폐층(310)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중심도체(100)에 유전 절연층(200)으로 압출하고, 상기 유전 절연층(200) 위에 전면 금속차폐층(30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상기 금속차폐층(300)에 자켓층(400)을 추가로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중심도체(100)가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이 연선된(Strand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Cr 및 T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1 금속차폐층(310)의 두께가 1 ~ 400 nm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 Al 및 A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01 ~ 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은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2 ~ 4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마이크로 동축 케이블 경우 생산 공정이 선재를 감싸는 공정은 상당히 까다롭고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횡권으로 제작한 차폐층은 하네스 공정에서 상당한 불량률을 가져왔다. 본 발명의 금속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케이블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자동화된 하네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에서 유전 절연층(200) 및 금속차폐층(300)을 확대한 그림이다.
도 4는 하네스 공정 후 종래의 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하네스 공정 후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선(Stranding)된 중심도체
20 : 유전 절연층
30 : 횡권 혹은 편조된 외부도체층
40 : 자켓층
100 : 연선(Stranding)된 중심도체
200 : 유전 절연층
300 : 전면 코팅된 금속차폐층
400 : 자켓층
310 : 제 1 금속차폐층
320 : 제 2 금속차폐층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는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동축케이블의 단면으로서, 7가닥의 중심도체(10)에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와 같은 유전 절연층(20)을 압출을 한 후, 외측 금속차폐층 형성은 도체선을 사용하여 횡권하거나 편조하여 제작하며 그 후 자켓을 피복하여 제조한 동축케이블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은 중심도체(100)에 유전 절연층(200)을 절연하고, 이를 도포한 금속차폐층(300)을 가지는 동축케이블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에서 유전 절연층 및 금속차폐층을 확대한 그림으로써, 금속차폐층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1금속차폐층(310) 및 상기 제 1 금속차폐층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 를 포함한다. 특히, 제 1 금속차폐층(310)은 Ni, Cr 및 T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점착층일 수 있고, 그 두께가 1 ~ 400 nm이다. 또한,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 Al 및 A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층이며, 그 두께가 0.01 ~ 100㎛이다.
한편, 도 4는 하네스 공정 후 종래의 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5는 하네스 공정 후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동축케이블의 제조
AWG 36 ⅹ1C (0.05mm) 구리선 혹은 구리합금선을 주석 혹은 은으로 코팅한 후 7가닥을 1가닥으로 연선(Stranding)한 후, 이를 절연체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로 76㎛ 두께로 절연 압출을 하였다. 그 다음에, Ni 점착층을 두께가 10 ~ 200 nm로 전면증착시키고, Cu층을 0.2 ~ 40㎛ 두께로 전면 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켓층(시스)을 50 ㎛ 두께로 압출시켰다.
실시예 2: 동측 케이블의 효과 비교
종래의 횡권으로 제작된 마이크로 동축 케이블과 전면 증착으로 제작된 마이크로 동축케이블과의 물성 비교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위 표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동축 케이블이 종래의 케이블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고주파 영역(1000Mhz)에서 전송선로 손실 및 정재파비가 각각 약 3배 및 1.2배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네스 공정 중 금속 차폐층의 탈피성은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Claims (22)

  1. 중심도체(100);
    상기 중심도체(100)를 둘러 감싸는 유전 절연층(200); 및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금속차폐층(300)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1 금속차폐층(310) 및 상기 제 1 금속차폐층(310)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2. 중심도체(100);
    상기 중심도체(100)를 둘러 감싸는 유전 절연층(200); 및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금속차폐층(300)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을 둘러 감싸는 자켓층(40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심도체(100)는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이 연선된(Strand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Cr 및 T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6. 제 5항에 있어서,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7. 제 5항에 있어서,
    제 1 금속차폐층(310)의 두께가 1 ~ 400 nm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 Al 및 A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9. 제 8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10. 제 8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01 ~ 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2 ~ 4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12. 중심도체(100)에 유전 절연층(200)으로 압출하고, 상기 유전 절연층(200) 위에 전면 금속차폐층(30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1 금속차폐층(310) 및
    상기 제 1 금속차폐층(310)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13. 중심도체(100)에 유전 절연층(200)으로 압출하고, 상기 유전 절연층(200) 위에 전면 금속차폐층(30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은 상기 유전 절연층(200)을 둘러 감싸는 제 2 금속차폐층(320)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폐층(300)에 자켓층(400)을 추가로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중심도체(100)는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이 연선된(Strand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Cr 및 T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제 1 금속차폐층(310)이 Ni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제 1 금속차폐층(310)의 두께가 1 ~ 400 nm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 Al 및 A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이 Cu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01 ~ 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제 2 금속차폐층(320)의 두께가 0.2 ~ 4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00009625A 2010-02-02 2010-02-02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25A KR101120365B1 (ko) 2010-02-02 2010-02-02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25A KR101120365B1 (ko) 2010-02-02 2010-02-02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54A true KR20110090054A (ko) 2011-08-10
KR101120365B1 KR101120365B1 (ko) 2012-02-24

Family

ID=4492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625A KR101120365B1 (ko) 2010-02-02 2010-02-02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235A (ko) 2017-10-31 2019-05-09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740B2 (ja) * 1999-06-14 2005-01-26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ケーブル
JP2006331824A (ja) 2005-05-26 2006-12-07 Fujikura Ltd 同軸ケーブル、絶縁ケーブル及びその接続加工方法
KR100842986B1 (ko) * 2006-07-21 2008-07-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극세동축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365B1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8179B2 (ja) 2重横巻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JP6409993B1 (ja) シールドケーブル
CN102017018A (zh) 电线及其制造方法
CN112447325B (zh) 同轴线缆
JP7148011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JP3900864B2 (ja) 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JP2006294551A (ja) 同軸ケーブル
JP3994698B2 (ja) セミフレキシブル極細同軸線及びその端末接続方法
JP2014191884A (ja) 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07956B1 (ko) 고차폐성 및 고절연성을 갖는 오디오케이블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디오케이블
JP2007280762A (ja) ノンハロゲン同軸ケーブル及びこれを用いた多芯ケーブル
CN110268483B (zh) 同轴电缆
JP2001195924A (ja) 2芯平行シールドケーブルおよびフラットシールドケーブル
KR101120365B1 (ko)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64039A (ja) 2芯平行ケーブル
JP2011198487A (ja) 同軸ケーブル
JP2003031046A (ja) 蒸着テープ縦添え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CN104485171A (zh) 抗强电磁干扰野外控制电缆
JP7081699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KR101152391B1 (ko) 이중 금속차폐층을 가지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JP2005166560A (ja) ケーブルコア及び伝送ケーブル
CN203444867U (zh) 具有芳纶加强芯的通信电缆
WO2022138898A1 (ja) 通信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01034B1 (ja) 同軸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US20220028582A1 (en) High-frequency coaxial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