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470A -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습도 조정용 부재 - Google Patents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습도 조정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470A
KR20040089470A KR1020040014433A KR20040014433A KR20040089470A KR 20040089470 A KR20040089470 A KR 20040089470A KR 1020040014433 A KR1020040014433 A KR 1020040014433A KR 20040014433 A KR20040014433 A KR 20040014433A KR 20040089470 A KR20040089470 A KR 2004008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humidity
molded body
floor
rubber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413B1 (ko
Inventor
스즈키가즈히로
미야하라도시오
모치즈키에이조
Original Assignee
에프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프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건축물 마루 밑 공간 내,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 박스 내와 같은공간 내의 습도를 장기간에 걸쳐 낮은 비용으로 소정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습도 조정수단을 제공한다.
흡수성이 우수한 흡수 폴리머를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에 소정량(조성물 전체의 40∼ 90중량%)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고무 조성물을 황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성형하고, 또한 그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한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제작하여, 이 고무 성형체를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 박스 내라는 공간 내에 설치한다.
또, 상기 고무 조성물을 황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성형하여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제작하고, 이 고무 성형체를 건축물 마루 밑 공간 내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습도 조정용 부재{RUBBER FORM FRAME FOR HUMIDITY CONTROL AND MEMBER FOR HUMIDITY CONTROL}
본 발명은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이나 박스 내에 배치하여 상기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이나 박스내의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표면 형상이 요철인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습도 조정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의 마루 밑 공간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습도 조정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의 습도 조정방법, 특히 장마철 등고습도시의 습도 조정방법으로서는, 에어컨, 환기 팬을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한편, 박스 내와 같은 작은 공간 내의 습도 조정방법으로서는, 실리카겔이나 칼슘과 같은 건조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일반적으로 주택에서의 마루 밑 환경은, 마루 밑 지면에서 발생하는수증기에 의해 고습도가 되기 쉽다.
따라서, 곰팡이가 발생하기 쉽고, 주택을 구성하는 몸체의 부식이 진행되기 쉽거나, 곰팡이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거나, 해충인 흰개미, 괄태충, 바퀴벌레, 쥐가 번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종래부터 마루 밑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판형 기초(mat foundation)로 함으로써, 마루 밑 지면으로부터의 수증기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비통기성 시트 위에, 통기성 시트에 수납된 실리카겔 입자 등의 흡습재를 형성하여 구성된 조습구(調濕具)를 마루 밑 지면 전체에 깔음으로써, 마루 밑 환경이 고습도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마루 밑에 물리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환기 팬을 기초 구조의 통기구부에 부설(敷設)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7(1995)-05521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 8(1996)-144388호 공보
그러나, 에어컨은 고가인데다 에어컨, 환기 팬은 운전에 에너지(전기)를 요하므로, 운영 비용이 높았다.
한편, 실리카겔이나 칼슘과 같은 건조제는, 습기를 한계까지 흡수하면 그 후에는 흡습 능력이 없어지므로, 습도 조정효과가 일과성으로 장기간 지속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 전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마루 밑 지면을 평판형 기초로 한 경우, 많은 비가 내릴 때에 있어서의 통기구로부터의 빗물의 침입이나, 수도 배관으로부터의 물이 새는 것 등에 의해 평판형 기초 상에 누수가 생겨버리면, 반대로 이와 같은 수분을 제거할 수 없어 마루 밑에 습기가 차기 쉽고, 곰팡이가 발생되기 쉬워진다.
평판형 기초의 경우, 경화된 콘크리트이므로 지진 등의 외적 부하에 의해 균열 등이 생긴 경우, 이 균열에서 마루 밑 공간에 습기가 침입하기 쉬워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마루 밑에서의 균열은 발견하기가 곤란하므로, 모르는 사이에 마루 밑 환경이 고습도로 된다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의 조습구의 경우, 흡습재가 통기성 시트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조습구의 취급시에 이 통기성 시트가 어딘가에 걸려 찢어져 파손되어 버리면, 내부의 흡습재가 산란되어 버린다.
또한, 흡습재를 통기성 시트에 수납하고 있으므로, 흡습구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시공, 운반 등의 취급이 번거로워진다.
또한, 실리카겔 입자 등의 흡습재는 재생에 고온을 요하므로, 햇빛이 없이 여름철이라도 비교적 온도가 낮은 마루 밑 환경에서는 흡습력을 재생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 박스내 라는 공간 내의 습도를 장기간에 걸쳐 낮은 비용으로 소정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습도 조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마루 밑에 간단히 부설할 수 있는 동시에, 마루 밑 지면으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할 수 있고, 또한 마루 밑 환경에서 곰팡이의 발생, 해충, 쥐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재와 그 시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검토를 실시한 결과, 흡수성이 우수한 흡수 폴리머를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에 소정량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황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성형하고, 또한 그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표면적을 증대시킨 고무 성형체를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 박스내라는 공간 내에 설치한 경우, 상기 공간 내의 습도를 어느 정도 일정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종래의 조습제의 구조에서 표면 형상이 평평한 것은, 표면적이 적고 흡방습(吸放濕)특성이 떨어졌었지만, 표면 형상이 요철인 상기 고무 성형체는, 형상이 평평한 조습제보다 흡방습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흡수성이 우수한 흡수 폴리머를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에 소정량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황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성형하고, 이 고무 성형체를 건축물 마루 밑 공간 내의 지면에 부설한 경우, 상기 공간 내의습도를 어느 정도 일정한 범위로 콘트롤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식견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와 흡수 폴리머 40∼90중량%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표면 형상이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루 밑 지면에 부설되는 고무 성형체로서,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와 흡수 폴리머 40∼90중량%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흡수 폴리머는, 전술한 건조제가 습기를 흡수하면 그 후에는 건조 능력이 없어지는 것과는 달리, 습도가 높을 때에는 습기를 흡수하고, 습도가 낮아지면 습기를 방출한다는 습도 조정기능을 가지며, 그 효과는 반영구적으로 지속된다.
또한, 흡수 폴리머에 의한 습도 조정에서는 에어컨, 환기 팬과 같은 운전 에너지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무를 황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므로, 흡수 폴리머의 흡습에 의한 팽창이 지장을 받지 않으며, 흡수 폴리머의 습도 조정기능이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옥내, 마루 밑, 옥외 지붕밑, 박스 내라고 하는 공간 내에 설치한 경우, 상기 공간 내의 습도를 장기간에 걸쳐 낮은 비용으로 소정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형상이 요철인 것은 표면 상태가 요철이 아닌 것보다 표면적이 증대하여 보다 우수한 흡방습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베이스가 되는 고무는 소정의 분자량의 것을 황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한다.
흡수 폴리머는 분말 형상이나 입자 형상으로 자체 무게의 수십배 이상의 흡수 능력을 갖는 폴리머이며, 수분을 흡수할 때에는 분자내에 수분을 받아 들여 팽창한다.
고무를 황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은, 이 흡수 폴리머의 팽창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황을 첨가하면 고무의 속박력이 강해져 흡수 폴리머의 팽창을 저해하여 그 습도 조정기능을 저하시킨다.
상기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로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브렌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합성 고무의 예로서는, 클로로푸렌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틸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푸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의 예로서는, 스틸렌계 에라스토머, 올레핀계 에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에라스토머, 우레탄계 에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에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에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흡수 폴리머와의 상용성의 점 및 흡수성에 관하여 극성이 큰점에서 아크릴 고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흡수 폴리머로서는 분위기내의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 흡습하여 분위기내의 습도를 저하시키고, 반대로 분위기내의 상대 습도가 낮아지면 방습하여 분위기내의 습도를 높이는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흡수 폴리머로서는, 아크릴산염ㆍ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ㆍ무수(無水)말레인산 반응물, 아세트산 비닐ㆍ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체 감화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흡수율, 안정성, 가격의 점에서 아크릴산염계 가교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는, 전술한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와 흡수 폴리머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에 의해 성형한다.
이 경우, 상기 고무 조성물에서의 흡수 폴리머의 함유량은 40∼90중량%로 한다. 흡수 폴리머의 함유량이 40중량% 미만이면 고무 성형체의 흡습 능력이 작아 실용에 견딜 수 없다.
흡수 폴리머의 함유량이 90중량%를 초과하면 고무로서의 형상 유지를 할 수 없게 되어, 성형이 곤란해진다. 흡수 폴리머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50∼ 80 중량%, 특히 65∼75중량%이다.
또, 고무 조성물에서의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30∼10중량%, 특히 25∼15중량%이다.
그리고, 고무 조성물에는 가소제, 활제, 안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고, 특히 마루 밑부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기피제, 살충제 및 항균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약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피제, 살충제의 구체예로서는, 천연 피레트린, 아레스린, 푸탈스린, 플라메트린, 프라레트린, 이미프로트린, 엠펜트린, 레스메트린, 테플트린, 벤플트린, 페노트린, 시페노트린, 펠메트린, 시펠메트린, 비펜트린, 시프루트린, 펜발레레이트, 에트펜프록스, 실라플루오펜 등 및 그들의 광학 및 기하(幾何) 이성체를 포함하는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디클로루보스, 클로루펜빈포스, 나레드, 크롤피리포스, 크롤피리포스메틸, 다이아디논, 피리다펜티온, 마라티온, 디메트에이트, 프로티오포스, 프로페노포스, 아세페이트, 프로페탄포스, 트리크롤폰 등의 유기 인계 화합물, 칼바릴, 프로폭술, 페놉카르브 등의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이미다크로프리드, 아세타미프리드 등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화합물, 칼탑, 피프로닐, 클로로케나필, 스피노삭 등 그 외의 살충제, 피리프록시펜, 페녹시카루브, 시로마딘, 부프로페딘, 디플루벤즈론, 트리푸룸론, 크롤풀아즈론, 풀페녹스론, 헥사푸룸론 등의 곤충성장 조절제, DEET 등의 기피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효력, 안전성 등의 점에서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항균제의 구체예로서는, 유기계 화합물에서는 피리딘계, 이미다졸계, 할로겐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니트릴계, 페놀계, 알데히드계, 카르본산계 등의 항균제, 무기계 화합물에서는 인산염계, 규산염계, 산화티탄계 등의 항균제를 들 수 있다.
항균제는 일반적으로 유기ㆍ무기의 혼합으로 배합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약제는 분말, 용액 또는 적당한 용매에 용해된 용액을 고무 성형체와 함께 혼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무니(mooney)점도가 20∼100, 특히 3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의 무니 점도가 너무 크면, 고무에 황을 첨가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생겨 흡수 폴리머 팽창의 저해요인이 된다.
한편, 고무 조성물의 무니 점도가 너무 작으면, 고무 조성물의 성형성이 악화되는 동시에, 고무 성형체가 수분을 흡수했을 때의 형상 유지성이 악화된다.
또, 상기 고무 조성물은 신장율이 50% 이상, 특히 60∼200%로, 50% 신장시의 인장 응력이 0.05∼0.5MPa, 특히 0.80∼0.25MPa인 것이 적당하다.
고무 조성물의 50%신장시의 인장응력이 0.05MPa 미만이면, 고무 조성물이 너무 연화되어 성형성이 나쁘고, 형상 유지를 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인장 응력이 0.5MPa 를 초과하면, 고무 조성물의 속박력이 너무 강하게 되어, 흡수 폴리머의 팽창을 저해하여 그 습도 조정기능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표면 형상이 요철인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는, 전술한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와 흡수 폴리머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한 것으로, 평탄한 표면을 갖는 고무 성형체보다 그 표면적의 확장이 30∼200%의 범위에서, 특히 50∼150%의 확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적의 확장이 너무 많으면, 고무 성형물의 돌기물 구조 부분이 증가하여성형이 곤란해져, 흡습 후에는 매우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흡습한 수분을 방습 후에는 원형으로 복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표면적의 확장이 적으면, 구조 형태에 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표면의 요철을 형성하는 형상으로서는, 입방체, 수직체, 파형의 것이라도 상관없으며,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 고무 성형체를 시트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시트형상 고무 성형체의 한쪽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인 습도 조정용 부재의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 성형체의 한쪽 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이는 것은, 고무 성형체를 매다는 경우에 구멍을 뚫어 걸기 쉽게 하기 위함이며, 고무 성형체가 흡습에 의해 무거워져 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및 고무 성형체를 마루 밑에 부설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제나, 상기 고무 성형체의 한쪽 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인 습도 조정용 부재는, 부직포 등의 습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대 형상물내에 넣은 습도 조정용 부재의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 성형체나 습도 조정용 부재를 포대 형상물 내에 넣는 것은, 습기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는 재료로, 접착성 화합물의 설치 부위에의 부착 방지 등을 도모하고, 취급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마루 밑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나, 상기 고무 성형체의 한쪽 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인 습도 조정용 부재는, 건설 시에 건축물의 마루밑이 되는 지면에 부설하는 경우, 시트형상의 고무 성형체의 한쪽 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인 것을 두루마리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마루 밑 지면 전체에 까는데 우수한 작업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리폼(reform)의 경우에는 건축물 바닥부분을 모두 제거하여 작업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알맞는 것도 아니라, 부설작업자는 건축물 마루 밑부에 진입하여 습도 조정용 부재를 부설하게 된다.
또한, 높이가 제한되는 마루 밑부에서는, 두루마리 형상의 시트를 넓게 까는 것은 곤란하여, 취급성이 나쁘다.
이 경우에는 마루 밑 습도 조정용 부재는, 세로+가로의 길이가 60㎝ 정도의 장방형이나 정방형 형상의 가공물로 하여, 지면에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취급성을 고려하면, 마루 밑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나 습도 조정용 부재를 부직포 등의 습도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대 형상물 내에 넣은 습도 조정용 부재의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 성형체나 습도 조정용 부재를 포대 형상물 내에 넣는 것은, 기피제, 살충제, 살균제 등을 배합한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유해물질의 체내로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표면형상이 요철인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습도 조정용 부재는, 예를 들면 미술관 등의 전시룸, 정밀부품의 보관 및 운송용 박스, 슈즈내 및 슈즈 박스, 벽장, 일반적인 실내, 지붕 밑, 마루 밑의 옥외, 금속류의 보관공간, 식품(김, 쌀과자 등)의 보관 공간이라는 각종 공간 내의 습도 조정에 사용할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옥내외에 사용하면 쾌적한 환경 만들기가 가능해져서, 금속류의 보관 공간에 사용하면 금속류의 산화방지가 가능해지고, 식품의 보관 공간에 사용하면 식품의 열화 방지가 가능해진다.
다음,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원료를 사용하여, 시트형상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의 한쪽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여 이루어지는 습도 조정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경우, 원료 ①∼⑥을 밀폐형 혼합기(가압형 니더(kneader))로 혼합하여, 캘린더(calender) 롤로 압연 및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여 샘플 1∼4의 시트형상 습도 조정용 부재를 얻었다.
또, 샘플 1은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샘플 2∼4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샘플 1∼4의 습도 조정용 부재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다음 항목에 따라 실시하였다.
〔무니점도〕
JIS-K-6300의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 물리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ML1+4(100℃)).
〔신장율, 인장 응력〕
JIS-K-6251의 황이 첨가된 고무의 인장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흡습율〕
바닥부에 물을 채운 데시케이터(desiccator)의 안에 물에 닿지 않도록 이미 알고 있는 중량으로 크기 2mm×50mm×50mm 의 시료를 넣고,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그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 증가의 비율을 흡습율(%)로 하였다.
〔흡습율 저하상황의 평가, 수분방출 속도〕
상기〔흡습율〕에서 평가한 수분흡습시트(72시간 흡습)를 용적 8리터의 데시케이터(습도 24% 환경하)의 안에 방치하고,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그 중량을 측정하고, 중량 저감의 비율을 수분 방출율로 규정하여, 그 잔존 수분량에 의한 수분의 흡습율(%)을 측정하여, 수분 방출속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면형상이 평평한 샘플 1은 흡습속도가 느리고, 고습도 환경하에서의 대응이 떨어짐과 함께, 습도 조정 능력이 나쁘지만, 마루 밑 지면에 부설한 경우에는사용 가능한 레벨이었다.
샘플 2, 3은 표면형상이 평평한 샘플 1 과 비교하면, 흡습 성능의 점에서 빠르게 흡습하고, 빠르게 방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았다.
샘플 4는 표면형상의 요철을 샘플 1보다 250% 증가시킨 것이며, 흡습 후,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고, 철부의 형상이 이그러지거나, 물건과 접촉함으로써 물건에서 떨어질 수 없게 되어, 수분을 방출한 후, 그 원형을 남기게 할 수 없는 것이었지만, 그다지 습도가 높지 않은 장소에서는 사용 가능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2)
표 2에 나타낸 원료를 사용하여, 시트형상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의 한쪽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여 이루어지는 습도 조정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경우, 원료 ①∼⑥을 밀폐형 혼합기(가압형 니더)로 혼합하여, 칼렌더 롤로 압연 및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여 샘플 5∼10의 시트형상 습도 조정용 부재를 얻었다.
다음에, 샘플 5∼10의 습도 조정용 부재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다음 항목에 따라 실시하였다.
〔무니점도〕
JIS-K-6300의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 물리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ML1+4(100℃)).
〔신장율, 인장 응력〕
JIS-K-6251의 황이 첨가된 고무의 인장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흡습율, 흡습속도〕
바닥부에 물을 채운 데시케이터의 안에 물에 닿지 않도록 이미 알고 있는 중량으로 크기 2mm×50mm×50mm 의 시료를 넣고,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그 중량을 측정하고, 중량 증가의 비율을 흡습율(%)로 하였다.
또, 흡습 속도는 12시간 후에 흡습율 30%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습도 조정능력〕
용적 8리터의 데시케이터의 덮개부분에 1mm 두께의 필름을 접착하고, 그 십자 방향 4개소에 10mm 폭의 칼집을 넣어, 데시케이터를 불완전 밀폐용기로 하였다.
이 안에 크기 2mm×50mm×50mm 의 시료 및 습도계를 넣고, 이것을 50℃에서 습도 90%와 습도 30%를 4시간마다 전환하는 시험기 속에 넣고, 72시간 경과 후에 습도 90%와 습도 30%의 외부 분위기시의 데시케이터내의 습도계의 값(%)을 판독하였다.
습도 조정능력은 습도 90%시에 80% 이하, 습도 30%시에 40%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양이 적은 샘플 5는 흡습 속도가 느리고, 고습도 환경하에서의 대응이 떨어짐과 함께, 습도 조정능력이 낮다.
샘플 6은 롤작업성에서 박리가 나쁘고, 가공성은 그다지 좋지 않지만, 흡습성능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다.
샘플 7 및 샘플 8은 모두 가공성, 흡습 성능 모두 양호하여 최적의 예이다.
샘플 9는 단단하므로 롤 작업성이 그다지 좋지 않지만, 흡습 성능은 양호하다.
샘플 10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더욱 많게 하고 있지만, 컴파운드(compound)로서 해결되지 않아 가공성의 점에서 나쁘다.
또한, 다음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의 살충제ㆍ기피제 배합능력 및 항균제 배합능력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의 살충제 ㆍ기피제 배합능력의 평가〕
샘플 7에서 제작한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살충제 ㆍ기피제로서 펠메트린을 함유하지 않은 성형체(샘플 7-a 배합), 0.5% 함유하는 성형체(샘플 7-b 배합), 1% 함유하는 성형체(샘플 7-c 배합)을 각각 제작하였다.
또한, 직경 7cm, 깊이 4.5cm의 플라스틱 컵에, 수분 20% 함유하는 모래 약 80g을 넣었다.
그리고, 상기 고무 성형체를 50ml 샘플병용 나사구(높이 약 2cm)의 주위에 부설하여 모래 위에 놓았다.
또한, 그 상면에 2.5cm×2.5cm×1cm 의 소나무조각을 재치하였다. 모래 위에 집흰개미 30마리를 방사하고, 부설 직후 및 100일 후에 사충률(死蟲率)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각의 성형체 샘플을 45℃에서 1개월 보존한 후에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성형체 샘플의 보존 전, 보존 후 모두 표 3에 나타낸 결과였다. 표 3에서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는 살충제 ㆍ기피제 배합능력이 높은 것을 알았다.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의 항균제 배합능력의 평가〕
샘플 7에서 제작한 시트형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항균제로서 은계 항균제(카네보우사 제품, 상품명「바쿠테킬러」)를 함유하지 않은 성형체(샘플 7-d 배합), 0.5% 함유하는 성형체(샘플 7-e 배합), 1% 함유하는 성형체(샘플 7-f 배합)을 각각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 성형체를 지면에 부설하여 5시간 후, 10시간 후, 24시간 후에서의 지면의 감균률을 조사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에서, 본 발명의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는 항균제 배합능력이 높은 것을 알았다.
즉, 항균제를 함유시킨 샘플 7-e 배합, 샘플 7-f 배합에서는, 10시간 후에는 감균률이 100% 로 되었지만, 항균제를 함유시키고 있지 않은 샘플 7-d 배합의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전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의해 본 발명의 시트형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에 항균제를 함유시키고, 그 항균제의 항균작용에 따라 시트형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와 지면과의 사이에 곰팡이나 균이 발생하여, 번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표면 형상이 요철인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에 의하면, 옥내, 옥외 마루 밑, 옥외 지붕 밑, 박스 내와 같은 공간 내의 습도를 장기간에 걸쳐 낮은 비용으로 거의 일정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마루 밑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에 의하면, 건축물 마루 밑 공간 내의 습도를 장기간에 걸쳐 낮은 비용으로 거의 일정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와 흡수 폴리머 40∼90중량%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표면 형상이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2. 마루 밑 지면에 부설되는 고무 성형체로서,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와 흡수 폴리머 40∼90중량%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3. 제1항에 있어서, 표면 상태를 요철로 함으로써, 표면 상태를 요철 상태로 하지 않은 것보다 표면적을 30∼200%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조성물을 무니 점도가 20∼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조성물의 신장율이 50% 이상으로, 50% 신장시의 인장 응력이 0.05∼0.5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폴리머가 아크릴산염계 가교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가 아크릴 고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피제, 살충제 및 항균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시트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상기 고무 성형체의 한쪽 면에 플라스틱 시트를 맞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를 습도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대 형상물 내에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부재.
  11. 제9항에 기재한 마루 밑 습도 조정용 부재를 습도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대 형상물 내에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정용 부재.
KR1020040014433A 2003-04-11 2004-03-03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습도 조정용 부재 KR101082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7423A JP3691822B2 (ja) 2003-04-11 2003-04-11 湿度調整用ゴム成形体および湿度調整用部材
JPJP-P-2003-00107423 2003-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470A true KR20040089470A (ko) 2004-10-21
KR101082413B1 KR101082413B1 (ko) 2011-11-10

Family

ID=3346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433A KR101082413B1 (ko) 2003-04-11 2004-03-03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습도 조정용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91822B2 (ko)
KR (1) KR101082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900A (ja) * 2008-02-12 2009-08-27 Japan Exlan Co Ltd 抗菌、防黴性に優れた全熱交換素子
CN103571119B (zh) * 2013-10-25 2015-06-10 浙江理工大学 一种复合防虫调湿剂的制备方法
JP2017159268A (ja) 2016-03-11 2017-09-14 株式会社東芝 水蒸気分離体とそれを用いた除湿装置
CN115403836A (zh) * 2021-05-27 2022-11-29 惠州市沃瑞科技有限公司 多孔型控湿材料及其生产方法和免维护干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2704B2 (ja) 2000-11-27 2008-07-23 凸版印刷株式会社 吸放湿性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59828A (ja) 2000-11-27 2002-06-04 Toppan Printing Co Ltd 吸放湿性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413B1 (ko) 2011-11-10
JP3691822B2 (ja) 2005-09-07
JP2004315557A (ja) 200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5304A (en) Barrier preventing wood pest access to wooden structures
JP2005500181A (ja) 木材構造物への木材害虫の接近を防ぐバリア
TW574025B (en) Insecticide-containing foam sheet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1999041983A1 (en) Barrier preventing wood pest access to wooden structures
JPH0977908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101082413B1 (ko) 습도 조정용 고무 성형체 및 습도 조정용 부재
CN101123997A (zh) 使用毒饵中的液态杀白蚁剂防治白蚁的方法
JP3858929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4614402B2 (ja) 全量噴射型エアゾールの噴霧処理方法
JPH0582176B2 (ko)
CN1461188A (zh) 居住环境改善材料、以及使用它的建材、铺设材料以及散布剂
JP3907246B2 (ja) 防カビ・防虫剤及びこれらを用いた高湿下における防カビ・防虫方法
JP2001029730A (ja) 防ダニ除湿シート
JPH01261217A (ja) 害虫防除用シリカゲルとそのシリカゲルによる害虫防除法
JPH11332449A (ja) 防虫消臭脱臭シート
JPH11147802A (ja) 環境改善用成形物
JP2005029951A (ja) 住環境改善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建材、散布剤並びに散布剤
Akelah et al. Polymers in the controlled release of agrochemicals
JPH09195299A (ja) 建築物床下の環境維持工法
AU2006222540B2 (en) A sheet for providing a barrier
JP2001158702A (ja) 薬剤担持資材
JP2023077406A (ja) カメムシ忌避剤
JPH01160903A (ja) 防虫剤組成物
JP2002199836A (ja) 調湿兼シロアリ防除具
JP2004244431A (ja) 防蟻塗装剤及びそれを塗布した建材用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