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973A -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973A
KR20040088973A KR1020030023426A KR20030023426A KR20040088973A KR 20040088973 A KR20040088973 A KR 20040088973A KR 1020030023426 A KR1020030023426 A KR 1020030023426A KR 20030023426 A KR20030023426 A KR 20030023426A KR 20040088973 A KR20040088973 A KR 2004008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ad
limiting member
lower plate
temporar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405B1 (ko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협성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성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협성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4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2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laminated structures of alternating elastomeric and rigid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철편과 고무가 적층되며, 내부에 납심을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 패드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하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로 구성된 종래의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된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 타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며, 결합을 위해 면진받침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자체 프리셋팅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LEAD RUBBER BEARING DISTORTION}
본 발명은 연속시공(I.L.M.) 교량의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납면진 받침의 손상 없이 연속시공 교량의 추진 시 전단변형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납면진 받침에 프리셋팅(pre-setting)을 가할 수 있는 연속시공 교량의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시공에 의한 교량의 가설방법인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공법은 산악지형이나 계곡이 깊은 험준한 지역 등에서 비계를 사용하지 않고 교량 상판을 가설시키는데 특히 유용한 방법이며, 그 가설속도가 신속하여 최근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연속시공에 의한 교량에 있어서는 내진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량의 상, 하부 구조를 연결하는 부위에 교좌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재래식 교좌장치는 통상 I.L.M용 포트받침(I.L.M pot bearing)을 사용하여 왔었다.
상기한 I.L.M 포트받침은 하중을 전달하는 두꺼운 고무판이 밀폐된 금속 항아리 내부에 전체가 밀폐되어진 형태를 이루고있어 내진성이 우수함으로 상기한 연속시공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으나, 최근의 면진 설계개념에 있어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면진설계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포트받침을 대신하여 면진성이 높은 납면진받침(L.R.B(Lead Rubber Bearing))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보강철판과 고무로 구성되는 적층고무의 내부에 납심(lead)을 삽입하여 풍하중 또는 제동하중과 같은 단기하중에는 납의 초기강성으로 교량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온도변화와 같은 장기적인 거동에는 납이 쉽게 항복하여 온도응력을 상부구조에 전달하지 않으며, 지진시에는 납의 비선형 거동으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지진변위를 억제 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이는 미국특허 제4,117,637호, 제4,499,694호 및 제4,593 ,502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최근의 중요교량에는 이와 같은 납면진받침을 사용하여 지진력을 효율적으로 저감 함으로서 지진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기존교량의 보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교량받침을 납면진받침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기존 교각에서 요구되는 설계지진력을 줄여주기 때문에 하부구조의 보강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한 납면진받침을 사용하여 교량을 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교각 또는 교대 위에 콘크리트로 제작된 가설받침을 설치한 상태에서 교량 상판을 연속 시공한 후, 상기 가설받침을 해체하고 그 위에 납면진받침을 설치해왔었는데, 이와 같은 가설받침을 사용하는 교량의 시공에 있어서는 그 절차가 대단히 복잡하여 시공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야 했었으며, 교각 위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9-000801호(발명자: 이수종, 이명택, 문창화)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수종등이 제시한 이동제한 기구는 납면진 받침에 이동제한기구를 착탈하기 위해서 볼트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제작이 복잡하며, 납면진 받침의 손상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교량의 상부의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팽창을 대비하여 자체 프리셋팅을 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교량의 상부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점으로 인해, 온도의 변화에 따른 길이방향의 신축이 크게 일어난다. 따라서, 온도가 낮거나 높은 상태에서 납면진받침에 미리 전단변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량 상부를 시공하여 고정시킨 경우에는 온도의 변화에 의해 가해지는 전단변형이 납면진받침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여 면진기능이 크게 손실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기 온도에 따라서 납면진받침에 미리 전단변형을 가하는 프리셋팅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프리셋팅을 위해서 큰 용량의 잭을 이용하여 면진받침에 전단변형을 일으킨 후 상부를 고정하였으나, 큰 용량의 잭에 의해 추진반력을 얻기 위해 튼튼한 받침대를 협소한 교량 하부 구조물에 설치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며, 결합을 위해 면진받침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자체 프리셋팅 기능을 가지는 납면진받침의 변형방지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은 교각에 고정된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2는 도1의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1의 임시고정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5는 도1의 이동제한 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납면진 받침 패드 30: 하부 플레이트
31: (하부 플레이트) 후면 33, 34: (하부 플레이트) 측면
50: 하부 플레이트 51: (하부 플레이트) 후면
53, 54: (하부 플레이트) 측면 60: 임시 고정 플레이트
62: 고정홈 100a: 하부 플레이트 이동 제한 부재
100b: 하부 플레이트 이동 제한 부재 102: 고정리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철편과 고무가 적층되며, 내부에 납심을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 패드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하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의 시공시 발생하는 전단 변형을 방지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된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 타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원하는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원하는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기 로딩방향과 수직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제한부재에 고정리브가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는 볼트로 결합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철편과 고무가 적층되며, 내부에 납심을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 패드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하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의 시공시 발생하는 전단 변형을 방지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배치된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양단이 2개의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선형부재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단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이동제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은 교각에 고정된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2는 도1의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1의 임시고정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5는 도1의 이동제한 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면진 받침은 교각의 상부에 앵커(12) 결합된 메이손리 플레이트(masonry plate: 80)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 구조물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0)가 설치된다.
상기 납면진 받침은 다수개의 철편(23)과 고무(22)가 적층되며, 내부에 납심(21)을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 패드(20)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20)의 하면에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30)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상면에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0)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임시고정플레이트(60)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의 내면 양측단에 고정된 이동제한 부재(100a, 100b)와, 양단이 2개의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선형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50)는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90)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51)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53, 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50)는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20)에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0)를 볼트로 결합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상기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90)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31)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31)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33, 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상기 메이손리 플레이트(80)에 볼트(30)로 결합되며,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20)에도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는 내면(61)의 양측단에 상기 로딩방향(90)과 수직으로 고정홈(6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2)에 상기 이동제한 부재(100)와 결합하기 위한 각각 3개의 볼트공(64)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2)의 외측에는 상기 선형부재(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선형부재 결합공(63)이 3개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제한 부재(100a, 100b)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0)의 전면 혹은 후면(51)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100b)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로 나뉘어 진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100b)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0)의 전면 혹은 후면(51)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지지면(106)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100a)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전면 혹은 후면(31)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지지면(105)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 부재(100a, 100b)는 상기 고정홈(6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고정리브(102)가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의 볼트공(64)과 함께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리브(102)를 관통하여 볼트공(104)이 형성되며,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의 선형부재 결합공(63)과 함께 선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선형부재 결합공(10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선형부재(70)는 전산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립과정 및 동작에 관하여 기술한다.
납면진 받침 패드(20)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50)를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하면에 하부 플레이트(30)를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을 한다.
적절한 프리셋팅 양을 산정한 후 그 양에 맞추어 지지면(105, 106)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이동제한 부재(100a, 100b)를 제작한 후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의 고정홈(62)에 고정리브(102)를 삽입한 후 볼트공(64, 104)에 볼트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산정된 프레셋팅의 크기만큼 상기 상부 플레이트(50)와 하부 플레이트(30)에 엇갈린 하중을 가하여 납면진 받침 패드(20)에 전단 변형을 가한 후 패드(20)의 양측면에 상기 임시고정 플레이트(60)를 대고, 상기 선형부재(70)를 선형부재 결합공(63, 103)에 삽입한 후 볼트 결합을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 지지면(106)이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을 지지하고, 하부 플레이트 지지면(105)이 하부 플레이트의 후면(31)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도3과에 도시된 프리셋팅(d)이 가해진 납면진 받침 패드(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납면진 받침의 하부 플레이트(30)를 상기 메이손리 플레이트(80)에 볼트(32)를 사용하여 결합(32)하고, 상부 플레이트(50)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0)를 고정한다.
각 교각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납면진 받침 패드(20)를 고정한 후에 교량의 상부를 슬라이딩 이동 시켜 설치시킨다. 이때, 교량의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0)에 가하는 마찰력에 의해 납면진 받침에 전단력이 가해지나, 임시 고정플레이트(60)와 이동제한 부재(100a, 100b)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5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어, 납면진 받침 패드(20)에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전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교량의 상부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선형부재(70)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의 결합을 해제한 후,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60)와 이에 고정된 이동제한 부재(100a, 100b)를 제거하면, 교량의 시공이 완료되며, 이동 제한 부재의해체에 의해 교량 상판 등의 상부나 교각에 열팽창이나 지지력이 가해질 경우 납면진받침에서 이를 흡수하여 줌으로서, 지진하중의 감소 및 각 교각의 하중을 배분할 수 있고, 단기 하중에 의한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리셋팅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더 넓은 범위의 온도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하여,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방진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는 선형부재를 임시 고정플레이트에 고정함으로서, 납면진 받침에 손상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동제한 부재가 상기 임시 고정플레이트에 착탈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잭등으로 복잡하게 구성하지 않고도 프리셋팅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셋팅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제한 부재만 재작성하여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 가능하므로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제한 부재가 고정홈과 고정리브로 끼워짐으로서 보다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선형부재를 사용하여 임시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이 납면진 받침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종래와 같이, 임시 고정 플레이트를 납면진 받침에 직접 고정을 하여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프리셋팅을 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이동제한 부재가 볼트로 결합함으로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일체로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시예는 전산볼트를 임시 고정플레이트에 고정함으로서, 납면진 받침에 손상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전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제한 부재가 상기 임시 고정플레이트에 착탈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잭등으로 복잡하게 구성하지 않고도 프리셋팅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셋팅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제한 부재만 재작성하여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 가능하므로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제한 부재가 고정홈과 고정리브로 끼워짐으로서 보다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Claims (10)

  1. 다수개의 철편과 고무가 적층되며, 내부에 납심을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 패드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하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의 시공시 발생하는 전단 변형을 방지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된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 타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원하는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원하는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기 로딩방향과 수직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제한부재에 고정리브가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는 볼트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5. 다수개의 철편과 고무가 적층되며, 내부에 납심을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 패드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하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양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의 시공시 발생하는 전단 변형을 방지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배치된 임시 고정 플레이트와;
    양단이 2개의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선형부재와;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단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이동제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재는
    전산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재는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기 로딩방향과 수직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제한부재에 고정리브가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10. 다수개의 철편과 고무가 적층되며, 내부에 납심을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 패드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하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납면진 받침 패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교량의 상부가 슬라이딩하는 로딩방향을 바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단에 형성된 후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납면진 받침의 시공시 발생하는 전단 변형을 방지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볼트 결합된 임시고정 플레이트와;
    양단이 2개의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전산볼트와;
    상기 임시고정 플레이트의 일측단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와;
    상기 임시고정 플레이트의 타측단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혹은 후면을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이동제한 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이 필요한 프리셋팅 양만큼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임시 고정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기 로딩방향과 수직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제한부재에 고정리브가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면진 받침의 변형방지 장치.
KR1020030023426A 2003-04-14 2003-04-14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 KR10057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426A KR100574405B1 (ko) 2003-04-14 2003-04-14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426A KR100574405B1 (ko) 2003-04-14 2003-04-14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973A true KR20040088973A (ko) 2004-10-20
KR100574405B1 KR100574405B1 (ko) 2006-04-27

Family

ID=3737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426A KR100574405B1 (ko) 2003-04-14 2003-04-14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4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82B1 (ko) * 2007-11-10 2008-02-25 대경산업(주) 일체형탄성받침 프리셋팅장치
KR101291808B1 (ko) * 2010-08-30 2013-07-31 진형건설(주) 교량용 면진장치
CN107881906A (zh) * 2017-12-14 2018-04-06 西南交通大学 一种桥梁抗震钢支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82B1 (ko) * 2007-11-10 2008-02-25 대경산업(주) 일체형탄성받침 프리셋팅장치
KR101291808B1 (ko) * 2010-08-30 2013-07-31 진형건설(주) 교량용 면진장치
CN107881906A (zh) * 2017-12-14 2018-04-06 西南交通大学 一种桥梁抗震钢支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405B1 (ko)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026B2 (en) Bearing brace apparatus
CN210529715U (zh) 可拆卸的深基坑开挖支撑系统
KR100976405B1 (ko) 유지보수용 받침
KR100574405B1 (ko) 납면진 받침의 변형 방지 장치
KR101949248B1 (ko) 프리셋팅 장치가 부착된 탄성받침
CN114165093A (zh) 一种装配式的减震结构及可恢复功能的剪力墙
KR100722220B1 (ko) 교량 포트받침용 내진 보강장치
KR102179116B1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탄성받침 및 교체방법
CN108678481B (zh) 一种抗震钢结构住宅建筑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US3073065A (en) Expansion joint uni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CN111364506A (zh) 一种自复位抗震耗能分体柱
JP4233337B2 (ja) すべり支承装置
JP2003206510A (ja)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KR20110100333A (ko) 자체복원능력을 갖는 지진격리장치
KR100313031B1 (ko) 연속시공 교량의 납면진받침 이동제한방법 및 그 기구
JP3581691B2 (ja) 構造物の水平力緩衝装置の取付け方法および取付け構造
KR101490896B1 (ko) 공극 발생을 극소화한 교량용 지지장치의 설치공법 및 이를 위한 교량용 지지장치
JP4149089B2 (ja) 免震部材の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KR100952182B1 (ko) 탄성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KR100393418B1 (ko) 교량용 내진형 탄성받침과 그 시공방법
KR20150144155A (ko) 교량 받침의 교체에 관한 시공방법 및 그 교량 받침
CN214739787U (zh) 一种爬架稳定底座
KR102374688B1 (ko) 에어 포켓을 갖는 교량 받침
JP2929922B2 (ja) 免震支承のせん断変形修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