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128A -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 Google Patents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128A
KR20040088128A KR1020030022211A KR20030022211A KR20040088128A KR 20040088128 A KR20040088128 A KR 20040088128A KR 1020030022211 A KR1020030022211 A KR 1020030022211A KR 20030022211 A KR20030022211 A KR 20030022211A KR 20040088128 A KR20040088128 A KR 2004008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ring
closing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909B1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엠엠기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엠기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엠기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909B1/ko
Priority to PCT/KR2004/000819 priority patent/WO2004091253A1/en
Publication of KR2004008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43The cover being attached to a supporting lampshad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하는 음파(또는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배음)를 개방형 또는 밀폐형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개방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 유닛의 전면에서 발생한 음파(정음)의 울림 공간을 갖는 헤드폰의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과 청자의 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울림 공간을 형성되며,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일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울림형성부재; 및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또는 밀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울림 공간을 개방할 수 있고, 그 개방 정도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청자의 취향이나 음악 소스의 종류에 따라 청자가 마음대로 울림의 양을 조절하며,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배음을 둘러싸는 인클로져를 밀폐형 또는 개방형으로 선택이 가능하고, 그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청자의 취향이나 음악 소스의 종류에 따라 청자가 마음대로 음질의 성격을 조절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최적의 음질을 감상할 수 있으며, 후방 반사음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Sound wave opening and shutting type case of headphone}
본 발명은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하는 음파(또는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배음)를 개방형 또는 밀폐형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개방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헤드폰은,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하는 음파가 청자의 귀에 들어가지 전에 마치 목욕탕에서처럼 울림 현상이 형성되는 울림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울림 공간은, 음장(스테이징)을 좋게 하고, 음들의 혼합을 부드럽게 하여 청자로 하여금 편안하고, 마치 넓은 공간에서 연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느낌을 갖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울림 현상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취향에 따라 울림 현상을 아주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어떤 사람에게는 적당한 울림이 넓은 음장감을 형성하기만, 어떤 사람에게는 과도한 울림이 듣기 싫은 음의 뭉개짐을 유발하여 음의 해상도를 떨어지게 하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헤드폰의 특성과 사람들간의 취향의 차이를 잘 알고 있는 종래의 헤드폰 제작사에서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듣기 좋을 정도로 울림 공간의 울림 공간만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취향의 청자들의 요구를 모두 반영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청자인 경우에도, 음악을 들을 때와, 영화를 감상할 때와, 게임을 즐길 때 듣고 싶은 스피커의 음장 형성이나 울림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헤드폰은 각각의 경우를 모두 만족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헤드폰은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배음을 인클로져로 둘러싸서 완전히 밀폐시키는 방식의 밀폐형 헤드폰과,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배음을 구멍이 형성된 인클로져로 일부 개방하는 방식의 개방형 헤드폰이 있다.
이러한 상기 밀폐형 헤드폰과 개방형 헤드폰은, 각각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상기 밀폐형 헤드폰은, 스피커 진동판의 전후 떨림을 스피커 후면의 밀폐된 공기압이 잡아주기 때문에 특히, 저역에서의 듣기 싫은 부밍(스피커의 불필요한 진동)을 잡아주어 소위, 단단한 음을 재생할 수는 있는 반면, 스피커의 진동판이 밀폐된 공기압의 지나친 방해로 전기적 신호에 둔감하게 반응하여 해상도가 떨어지고, 다이내믹한 음을 재생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개방형 헤드폰은, 스피커 진동판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스피커의 전후 떨림을 공기가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해상도가 높고, 다이내믹한 음을 재생할 수 있는 반면, 스피커 진동판의 관성에 의해 특히, 저역에서 듣기 싫은 부밍이 일어나서 음이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폰은, 상기 개방형 헤드폰과, 밀폐형 헤드폰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개인적인 취향과 재생되는 소스의 종류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을 선택하거나, 개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헤드폰은, 청자의 귀를 완전히 둘러싸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한 음이 헤드폰 내부의 귀 뒷부분에 반사되는 후방 반사음이 발생된다.
흔히 사람들은 앞에서 들리는 음은 듣기 좋으나 뒤에서 들리는 음은 불안하고, 앞에서 들리는 음의 포커싱은 선명하나 뒤에서 들리는 음은 불분명하게 들리기 때문에 이러한 헤드폰의 후방 반사음은 마치 음이 사방에서 들리는 이른바 헤드폰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음의 포커싱이 불분명한 것은 물론, 음상이 앞에서 맺히지 않아서 선명하지 못하고, 사방에서 특히 후방에서 들리는 음에 신경이 쓰여서 안락하지 못하고 오래 들으면 피곤한 등 헤드폰만의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울림 공간을 개방할 수 있고, 그 개방 정도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청자의 취향이나 음악 소스의 종류에 따라 청자가 마음대로 울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최적의 음장감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배음을 둘러싸는 인클로져를 밀폐형 또는 개방형으로 선택이 가능하고, 그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청자의 취향이나 음악 소스의 종류에 따라 청자가 마음대로 음질의 성격을 조절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최적의 음질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폰의 후방 반사음을 제거하여 음상이 청자의 앞에서 맺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음상과 마치 음악이 바로 앞에서 연주되는 것과 같은 음장 및 포커싱을 달성할 수 있고, 헤드폰을 일반 스피커처럼 오래 들어도 피곤하지 않게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관통구의 일례들을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음파(배음) 개폐형 케이스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나타내는 착용 상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는, 스피커 유닛의 전면에서 발생한 음파의 울림 공간을 갖는 헤드폰의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과 청자의 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울림 공간을 형성되며,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일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울림형성부재; 및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또는 밀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울림형성부재는,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인클로져의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구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판과 트위스트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돌출판과 트위스트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관통구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도록 일측에 상기 울림형성부재에 형성된 관통구와 대응하는 형상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슬라이딩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울림형성부재는,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인클로져의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 슬릿이 하방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판과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상승시 관통 슬릿이 개방되고,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하강시 관통 슬릿이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링형상의 상하 슬라이딩 차단판인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울림형성부재는,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인클로져의 하면에 형성되고, 나선형 수나사돌기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구가 원주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 돌기 사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돌출판과 나사 전후진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나사전진시 관통구가 개방되고,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나사 후진시 관통구가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링형상의 나사 슬라이딩 차단판인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는,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한 배음의 울림 공간을 갖는 헤드폰의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한 배음의 울림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일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인클로져; 및 상기 인클로져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또는 밀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는, 사람이 착용한 상태에서 귀의 후방이 개방되도록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관통구가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후방으로 갈수록 커져서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이고, 상기관통구는 다수개가 설치되어 별도의 개폐수단이 없이 항상 개방되거나, 슬라이딩 개폐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는, 스피커 유닛의 전면에서 발생한 음파(정음)의 울림 공간을 갖는 헤드폰의 케이스(10)로서, 크게 울림형성부재(11) 및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울림형성부재(11)란, 스피커 유닛(1)과 청자의 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울림 공간을 형성되며,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일면에 관통구(13)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피커 유닛(1)을 둘러싸는 인클로져(14)의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구(13)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12)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판(12)의 관통구(13)는,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다수개가 형성되는 원형홀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울림형성부재(11)의 관통구(13)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또는 밀폐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판(12)의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판(12)과 트위스트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돌출판(12)과 트위스트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관통구(13)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도록 일측에 상기 울림형성부재(11)에 형성된 관통구(13)와 대응하는 형상의 개방구(16)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슬라이딩판(15)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판(15)은, 청자의 귀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 청자의 착용감을 위해 큐션(2)을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판(15)의 개방구(16)는 상기 다수개의 관통구(13) 중 개방되는 관통구(13)의 숫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 원주방향의 장방형 슬릿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청자는 자신의 취향이나 소스의 종류에 따라 울림을 많이 느끼고 싶으면, 상기 인클로져(14)를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판(15)을 비틀림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개방구(16)와 관통구(13)가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판(12)에 형성된 모든 관통구(13)를 막아 울림 공간의 음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하여 청취할 수 있고, 청자가 울림을 적게 느끼고 싶으면, 상기 슬라이딩판(15)을 비틀림 슬라이딩시켜서 개방구(16)와 관통구(13)를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돌출판(12)에 형성된 관통구(13)들 중 일부를 개방하여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방구(16)와 관통구(13)의 어긋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관통구(13)의 개방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울림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판(12)의 관통구(13)는, 반드시 원형홀일 필요는 없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갈수록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원주방향의 장방형 슬릿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장방형 슬릿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울림형성부재(11) 및 개폐수단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울림형성부재(11)는, 상기 스피커 유닛(1)을 둘러싸는 인클로져(14)의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 슬릿(18)이 하방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17)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17)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판(17)과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울림형성부재(11)의 상승시 관통 슬릿(18)이 개방되고, 상기 울림형성부재(11)의 하강시 관통 슬릿(18)이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링형상의 상하 슬라이딩 차단판(19)인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하 슬라이딩 차단판(19)의 외경면에는 청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별도의 큐션(2)이 함께 설치된다.
따라서, 청자는 상기 슬라이딩 차단판(19)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판(17)을 들어 올려서 상기 관통 슬릿(18)을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울림 공간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돌출판(17)을 내려서 상기 관통 슬릿(18)을 은폐시킴으로써 상기 울림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울림 공간에서의 음의 울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울림형성부재(11)는, 상기 스피커 유닛(1)을 둘러싸는 인클로져(14)의 하면에 형성되고, 나선형 수나사 돌기(21)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구(22)가 원주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 돌기(21) 사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20)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2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돌출판(20)과 나사 전후진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울림형성부재(11)의 나사전진시 관통구(22)가 개방되고, 상기 울림형성부재(11)의 나사 후진시 관통구(22)가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링형상의 나사 슬라이딩 차단판(23)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청자는 상기 나사 슬라이딩 차단판(23)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판(20)을 나사 전진시켜서 상기 관통구(22)를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울림 공간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돌출판(20)을 나사후진시켜서 상기 관통구(22)를 은폐시킴으로써 상기 울림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관통구(22)의 개방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울림 공간에서의 음의 울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울림형성부재(11)와 개폐수단의 종류 및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정면에서 발생하는 음파, 즉 정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도 이러한 원리를, 상기 스피커 유닛(1)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음파, 즉 배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한 배음의 울림 공간을 갖는 헤드폰의 케이스(30)는, 크게 인클로져(31) 및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인클로져(31)는, 스피커 유닛(1)의 후면에서 발생한 배음의 울림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1)의 후면을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일면에 관통구(32)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클로져(31)의 관통구(32)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또는 밀폐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인클로져(31)는, 상기 스피커 유닛(1)의 후면을 둘러싸는 돔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클로져(31)에 부착되어 상기 인클로져(31)와 트위스트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인클로져(31)와 트위스트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관통구(32)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도록 일측에 상기 인클로져(31)에 형성된 관통구(32)와 대응하는 형상의 개방구(34)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돔(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청자는 상기 내부 인클로져(31)를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돔(33)을 비틀림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관통구(32)를 모두 닫아서 밀폐형 헤드폰을 만들어 부밍을 방지하고 단단한 음을 즐길 수 있게 하거나, 상기 관통구(32)를 모두 열어서 개방형 헤드폰을 만들어 해상도를 높게 하고, 다이내믹한 음을 선택적으로 즐길 수 있고, 또한 관통구(3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취향과 음악 소스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음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클로져(31)는, 상기 스피커 유닛(1)의 후면을 둘러싸고, 일측에 개방된 개구(35)가 형성되는 돔형상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클로져(31)의 개구(35)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승시 관통 슬릿(36)이 개방되고, 하강시 관통 슬릿(36)이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하 슬라이딩 마개(37)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청자는 상기 슬라이딩 마개(37)를 상하 슬라이딩시키면서, 관통 슬릿(36)의 개방 및 밀폐 정도를 조절하여 자신의 취향과 음악 소스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음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클로져(31)는, 상기 스피커 유닛(1)의 후면을 둘러싸고, 일측에 개방된 개구(35)가 형성되는 돔형상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클로져(31)의 개구(35)에 삽입되어 나사 전후진 회전이 가능하며, 나사전진시 나선 돌기(38) 사이에 나란히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구(39)가 개방되고, 하강시 상기 관통구(39)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나사 전후진 마개(40)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청자는 상기 나사 전후진 마개(40)를 나사 전진 및 후진시키면서, 상기 관통구(39)의 개방 및 밀폐 정도를 조절하여 자신의 취향과 음악 소스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음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인클로져와 개폐수단의 종류 및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는, 사람이 착용한 상태에서 귀의 후방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울림형성부재(11)의 관통구(13)는 상기 울림형성부재(11)의 후방으로 갈수록 커져서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13)는 다수개가 반원형의 후방 원주면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고, 다수개가 설치되어 별도의 개폐수단이 없이 항상 개방되어 있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3)를 막는 착탈식 마개(10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자는 상기 마개(100)를 부착하거나 탈거하여 취향에 따라 듣기 싫은 후방 반사음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보다 선명하고 편안한 음상과 음장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경첩()을 형성하여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13)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접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관통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이러한 상기 헤드폰에도 역시, 프론트 스피커 유닛(F), 센터 스피커 유닛(C), 리어 스피커 유닛(R) 등을 설치하여 다채널 헤드폰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채널에 국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5.1 채널, 6.1 채널 등 다양한 형태의 다채널 스피커 유닛에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에 의하면, 울림 공간을 개방할 수 있고, 그 개방 정도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청자의 취향이나 음악 소스의 종류에 따라 청자가 마음대로 울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최적의 음장감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배음을 둘러싸는 인클로져를 밀폐형 또는 개방형으로 선택이 가능하고, 그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청자의 취향이나 음악 소스의 종류에 따라 청자가 마음대로 음질의 성격을 조절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최적의 음질을 감상할 수 있게 하고, 후방 반사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1)

  1. 스피커 유닛의 전면에서 발생한 음파(정음)의 울림 공간을 갖는 헤드폰의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과 청자의 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울림 공간을 형성되며,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일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울림형성부재; 및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또는 밀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형성부재는,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인클로져의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구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판과 트위스트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돌출판과 트위스트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관통구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도록 일측에 상기 울림형성부재에 형성된 관통구와 대응하는 형상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슬라이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의 관통구는,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다수개가 형성되는 원형홀이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개방구는 상기 다수개의 관통구 중 개방되는 관통구의 숫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 원주방향의 장방형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의 관통구는,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평평하거나 갈수록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원주방향의 장방형 슬릿이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개방구는 상기 관통구 중 개방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 원주방향의 장방형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형성부재는,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인클로져의 하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 슬릿이 하방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판과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상승시 관통 슬릿이 개방되고,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하강시 관통 슬릿이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링형상의 상하 슬라이딩 차단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형성부재는, 상기 스피커 유닛을 둘러싸는 인클로져의 하면에 형성되고, 나선형 수나사돌기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구가 원주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 돌기 사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돌출판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판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돌출판과 나사 전후진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나사전진시 관통구가 개방되고,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나사 후진시 관통구가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링형상의 나사 슬라이딩 차단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7.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한 배음의 울림 공간을 갖는 헤드폰의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의 후면에서 발생한 배음의 울림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울림 공간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일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인클로져; 및
    상기 인클로져의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울림 공간의 개방 또는 밀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면을 둘러싸는 돔형상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클로져에 부착되어 상기 인클로져와 트위스트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인클로져와 트위스트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관통구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도록 일측에 상기 인클로져에 형성된 관통구와 대응하는 형상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면을 둘러싸고, 일측에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돔형상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클로져의 개구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승시 관통 슬릿이 개방되고, 하강시 관통 슬릿이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하 슬라이딩 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면을 둘러싸고, 일측에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돔형상이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인클로져의 개구에 삽입되어 나사 전후진 회전이 가능하며, 나사전진시 나선 돌기 사이에 나란히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구가 개방되고, 하강시 상기 관통구 은폐되어 막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나사 전후진 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11. 제 1항에 있어서,
    사람이 착용한 상태에서 귀의 후방이 개방되도록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관통구는 상기 울림형성부재의 후방으로 갈수록 커져서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이고, 상기 관통구는 다수개가 설치되어 별도의 개폐수단이 없이 항상 개방되거나, 착탈식 마개나, 슬라이딩 개폐되는 접철장치 등의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KR10-2003-0022211A 2003-04-09 2003-04-09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KR10049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211A KR100496909B1 (ko) 2003-04-09 2003-04-09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PCT/KR2004/000819 WO2004091253A1 (en) 2003-04-09 2004-04-08 Sound wave opening and shutting type case of head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211A KR100496909B1 (ko) 2003-04-09 2003-04-09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128A true KR20040088128A (ko) 2004-10-16
KR100496909B1 KR100496909B1 (ko) 2005-06-23

Family

ID=3315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211A KR100496909B1 (ko) 2003-04-09 2003-04-09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6909B1 (ko)
WO (1) WO2004091253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60B1 (ko) * 2005-12-2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KR100767390B1 (ko) * 2006-08-07 2007-10-17 크레신 주식회사 이퀄라이저 기능을 가진 이어폰
KR100805979B1 (ko) * 2006-04-21 2008-02-25 장승철 저음 및 고음을 가변하는 휴대용 스피커 공명가변장치
KR100882328B1 (ko) * 2006-06-29 2009-02-11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피커와 하우징 사이에 후방 챔버의 조절 가능한 체적을가진 귀 삽입형 및 이어플러그 유형 이어폰
KR100882329B1 (ko) * 2006-06-29 2009-02-11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피커와 하우징 사이에 전방 챔버의 조절 가능한 체적을가진 귀 삽입형 및 이어플러그 유형 이어폰
KR100968406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웨이브가이더가 장착된 헤드폰
KR200452968Y1 (ko) * 2010-05-27 2011-04-04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스피커 유닛
KR101066556B1 (ko) * 2009-07-02 2011-09-21 주식회사 비에스이 음향 컴플라이언스의 조정을 위한 튜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1363989B1 (ko) * 2013-06-04 2014-02-18 윤영은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KR101682613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2614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7750B1 (ko) * 2015-06-15 2016-12-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2624445B1 (ko) * 2022-11-14 2024-01-15 주식회사 리텍 헤드셋용 부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91B1 (ko) 2006-08-07 2007-10-17 크레신 주식회사 이퀄라이저 기능을 가진 이어폰
KR100968407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노이즈제거 헤드폰
KR101165663B1 (ko) * 2011-12-27 2012-07-16 필스전자 주식회사 인클로져 개폐형 이어폰
CN104254035A (zh) * 2014-09-25 2014-12-3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耳机
SG10201504259VA (en) * 2015-05-29 2016-12-29 Creative Tech Ltd A headphone
US20190379962A1 (en) * 2018-06-08 2019-12-12 Dreamgear, Llc Venting headphon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502A (en) * 1987-05-08 1990-05-08 Allen Clayton H Means for stabilizing sound pressure produced at the eardrum under an earpad
JPH0389699A (ja) * 1989-09-01 1991-04-15 Nou Kuraya 前方開放筒型バッフル付き、耳介背方音響放射型ヘッドホン
US5555554A (en) * 1995-06-08 1996-09-10 Stanton Magnetics, Inc. Vented headset speaker
JP3791978B2 (ja) * 1996-08-30 2006-06-28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開放型ヘッドホン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007B2 (en) 2005-12-29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having variable duct unit
KR100694160B1 (ko) * 2005-12-2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KR100805979B1 (ko) * 2006-04-21 2008-02-25 장승철 저음 및 고음을 가변하는 휴대용 스피커 공명가변장치
KR100882328B1 (ko) * 2006-06-29 2009-02-11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피커와 하우징 사이에 후방 챔버의 조절 가능한 체적을가진 귀 삽입형 및 이어플러그 유형 이어폰
KR100882329B1 (ko) * 2006-06-29 2009-02-11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피커와 하우징 사이에 전방 챔버의 조절 가능한 체적을가진 귀 삽입형 및 이어플러그 유형 이어폰
KR100767390B1 (ko) * 2006-08-07 2007-10-17 크레신 주식회사 이퀄라이저 기능을 가진 이어폰
KR100968406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웨이브가이더가 장착된 헤드폰
KR101066556B1 (ko) * 2009-07-02 2011-09-21 주식회사 비에스이 음향 컴플라이언스의 조정을 위한 튜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200452968Y1 (ko) * 2010-05-27 2011-04-04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스피커 유닛
KR101363989B1 (ko) * 2013-06-04 2014-02-18 윤영은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KR101682613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2614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7750B1 (ko) * 2015-06-15 2016-12-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2624445B1 (ko) * 2022-11-14 2024-01-15 주식회사 리텍 헤드셋용 부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909B1 (ko) 2005-06-23
WO2004091253A1 (en)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909B1 (ko)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US9848257B2 (en) In-ear hearing device and broadcast streaming system
US3488457A (en) Earphone housing with offset opening for sound quality variation
JP3154214B2 (ja) ヘッドホン
US8818012B2 (en) Adjustable, dual speaker element in-ear phone
US7340071B2 (en) Headphones with a multichannel guiding mechanism
ES2281093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altavoz de acoplador/reflector conico.
CN105187996B (zh) 耳机
MXPA01000873A (es) Auriculares.
US20120087511A1 (en) Canal phones with structure and method for selectively passing or blocking environmental ambient sound and switchable electrical connections
GB2461929A (en) Earphones with compound drive units and level control
US9544676B2 (en) Oval shaped in-ear headphone
JP2007189673A (ja) 着用式導音装置
JP2004509541A (ja) 多チャンネルヘッドホンシステム
US5661270A (en) Sound capturing device
JP4854837B2 (ja) ヘッドホン
JP2003199187A (ja) ヘッドフォン
KR20040046279A (ko) 다채널 헤드폰
KR200271621Y1 (ko) 헤드폰
KR20050118375A (ko) 이어폰의 귀삽입구
JP4097735B2 (ja) スピーカ装置
KR100496907B1 (ko) 후방음 감소형 헤드폰
CN208572354U (zh) 改变耳机音调的调音部件
JPS62199198A (ja) 立体情報再生装置
JP2624256B2 (ja) ヘツ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