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68Y1 - 스피커 유닛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68Y1
KR200452968Y1 KR2020100005550U KR20100005550U KR200452968Y1 KR 200452968 Y1 KR200452968 Y1 KR 200452968Y1 KR 2020100005550 U KR2020100005550 U KR 2020100005550U KR 20100005550 U KR20100005550 U KR 20100005550U KR 200452968 Y1 KR200452968 Y1 KR 200452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edge
speaker unit
adhesi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31/00Details of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covered by H04R31/00,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4R2231/001Moulding aspects of diaphragm or sur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피커 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피커에서 진동을 일으켜 사운드를 재생하는 진동판과, 일측이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에지를 구비하여 된 스피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진동판의 바깥 가장자리와 상기 에지의 안쪽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은 접착면에 접착제가 주입되도록 주입홀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피커 유닛{SPEAKER UNIT}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판과 에지의 접착면의 접착강도가 증대되도록 하기 위해 접착 구조가 개선된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100)은, 프레임(frame)(10), 자기회로부(20) 및 진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20)는, 프레임(10)의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의 외측에는 요크(yoke)(21)와, 이 요크(21)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결합되는 마그네트(magnet)(23), 플레이트(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진동부(30)가 설치되는데, 이 진동부(30)는 상단부측이 프레임(10)의 상측에 결합된 진동판(또는 콘지)(31)과, 상단부측은 진동판(31)에 결합되고 하단부측은 자기회로부(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회로부(20)와의 작용에 의해 상하 진동하는 보이스코일(voice coil)(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판(31)의 가장자리에는 에지(edge)(41)가 접착되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 유닛(100)은 보이스코일(45)에 전원이 인가되면, 보이스코일(45)에서 발생하는 전기력과 자기회로부(2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보이스코일(45)이 진동하면서 진동판(31)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한다.
한편, 상기 진동판(31)과 에지(41)가 접착되는 접착면은 서로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접착제가 도포된 후 열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접착을 한다.
그런데, 특히 소형 및 박형 또는 슬림형 전자제품(예: 디지털 TV 등)에 적용되는 스피커 유닛이 소형화, 슬림화, 고출력화가 되어가면서 상기 접착면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있다.
그 이유는, 소형화 및 슬림화가 구현된 스피커 유닛의 경우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이와 함께 진동판(31)과 에지(41)의 크기도 작아져 접착면적 또한 줄어들어 접합면이 취약해진다.
그리고 고출력화가 구현된 스피커 유닛의 경우에는 고가의 고강도 접착제를 사용하여 진동판(31)과 에지(41)를 접착하여도 1초당 수천 번에서 수만 번의 상하 진폭운동이 강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상하진동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서로 접착된 접합면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판과 에지의 접착면의 접착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접착면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 스피커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피커 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피커에서 진동을 일으켜 사운드를 재생하는 진동판과, 일측이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에지를 구비하여 된 스피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진동판의 바깥 가장자리와 상기 에지의 안쪽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은 접착면에 접착제가 주입되도록 주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주입홀은, 원형홀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판의 접착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주입되어 진동판과 에지의 접착면에 적절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접착제 주입홀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제가 스며들어 진동판을 잡아 주게 되어 접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접착제가 주입홀을 통해 잘 스며들어 퍼짐으로써 접착제 도포부의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더욱 더 넓은 접착면적을 유지할 수 있어 접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을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을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의 구성은 전술한 도 1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은, 프레임(도 1의 10 참조)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진동을 일으켜 사운드를 재생하는 진동판(또는 콘지 또는 콘페이퍼)(300)과, 일측이 상기 진동판(30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타측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에지(200)를 구비하여 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은 스피커 유닛의 크기와 형상을 결정하는 부품으로서 진동계와 자기회로부를 고정하는 뼈대가 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300)은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키는 판으로, 주로 종이를 이용한다. 종이로 된 진동판(300)은 습기에 다소 약한 면을 있으나, 다른 소재와 비교해서 성형시에 제조상의 제한이 적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고, 또한 경량의 진동판(300)이면서 적당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 진동판(300)은 파워 앰프의 큰 출력에 대해서 진동판(300)이 변형하지 않는 강성과 불필요한 진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에지(200)는 진동판(300)의 몸체(body) 부분이 진동을 원활히 하도록 하며 항상 중심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이다.
상기와 같이 스피커 유닛에서 진동판(300)과 에지(200)의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진동판(300)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진동판(300)의 바깥 가장자리와 에지(200)의 안쪽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은 접착면(210,310)에 접착제(B)가 주입되도록 주입홀(301)이 형성된다.
이 주입홀(301)은 주입홀(301)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형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주입홀(301)이 원형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주입홀(301)은 일정 간격으로 진동판(300)의 접착면(310) 전체에 걸쳐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홀(301)은 진동판(300)과 에지(200)가 접착될 때, 가능한 접착면(310)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진동판(300) 가장자리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스피커 유닛의 작용은 전술한 도 1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은, 상기 진동판(300)의 가장자리에 접착제(B)가 주입되어 진동판(30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에지(200)의 안쪽 가장자리가 접착되는 접착면(210,310)에 흘러 들도록 주입홀(301)을 형성한다.
이러한 주입홀(3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300)의 가장자리 전체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주입홀(301)이 형성된 진동판(300)과 에지(2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맞대어 접착한 후, 상기 주입홀(301)을 통해 적절한 량의 접착제(B)를 주입한다.
이어서, 적절한 량의 접착제(B)가 주입되면, 열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접착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은, 기존의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300)과 에지(200)의 접착방식과는 달리, 진동판(300)의 접착면(310)에 주입홀(301)을 형성함으로써 주입홀(301)을 통해 접착제(B)를 주입하게 되면 접착 작업시 진동판(300)을 잡아주게 되며, 접착제(B)가 잘 스며들어 접착제(B)가 접착면(210,310) 전체에 걸쳐 도포되어 접착성을 향상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러한 스피커 유닛은 일반형, 슬림형, 또는 고출력형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에지
210,310. 접착면
300. 진동판
301. 주입홀
B. 접착제

Claims (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피커에서 진동을 일으켜 사운드를 재생하는 진동판(300)과, 일측이 상기 진동판(30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에지(200)를 구비하여 된 스피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300)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진동판(300)의 바깥 가장자리와 상기 에지(200)의 안쪽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은 접착면(210,310)에 접착제(B)가 주입되도록 주입홀(301)이 형성되되,
    상기 주입홀(301)은, 원형홀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판(300)의 접착면(310)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5550U 2010-05-27 2010-05-27 스피커 유닛 KR200452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50U KR200452968Y1 (ko) 2010-05-27 2010-05-27 스피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50U KR200452968Y1 (ko) 2010-05-27 2010-05-27 스피커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968Y1 true KR200452968Y1 (ko) 2011-04-04

Family

ID=4424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50U KR200452968Y1 (ko) 2010-05-27 2010-05-27 스피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6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128A (ko) * 2003-04-09 2004-10-16 엠엠기어 주식회사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KR20080043525A (ko) * 2006-11-14 2008-05-19 유니슨음향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128A (ko) * 2003-04-09 2004-10-16 엠엠기어 주식회사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KR20080043525A (ko) * 2006-11-14 2008-05-19 유니슨음향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315B1 (ko) 스피커 진동 시스템
KR101748344B1 (ko) 스피커 모듈
WO2017000504A1 (zh) 微型扬声器
WO2017008383A1 (zh) 电子设备及其扬声器
US20160112804A1 (en) Magnetic assembly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ing same
CN107889553B (zh) 扬声器及耳机
CN204578771U (zh) 扬声器
CN207665206U (zh) 电声转换器及电子设备
CN202352325U (zh) 一种新型压电式蜂鸣器
WO2017161668A1 (zh) 一种振膜和振膜的制造方法
CN203368739U (zh) 微型扬声器
US20140064525A1 (en) Vibrating panel device for electromagnetic vibrator and its manufacture method
US9302292B2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WO2014034250A1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74660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101150508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CN104244154A (zh) Mems麦克风组件中的开口腔基板及其制造方法
CN206640781U (zh) 一种发声装置中的振动系统及发声装置
CN207283798U (zh) 扬声器单体以及电子设备
CN206640776U (zh) 一种发声装置中的振动系统及发声装置
CN203446021U (zh) 一种扬声器模组
CN102905203B (zh) 扬声器装置
KR200452968Y1 (ko) 스피커 유닛
KR101439935B1 (ko) 음향 출력 장치
CN204442656U (zh) 一种具有凹凸型加强筋的振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