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248A -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248A
KR20040087248A KR1020030079395A KR20030079395A KR20040087248A KR 20040087248 A KR20040087248 A KR 20040087248A KR 1020030079395 A KR1020030079395 A KR 1020030079395A KR 20030079395 A KR20030079395 A KR 20030079395A KR 20040087248 A KR20040087248 A KR 20040087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source
led
light
sour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731B1 (ko
Inventor
데라다도시유키
세키도게이조
가토시게카즈
이리토노기미히로
Original Assignee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87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함께 설치된 휴대용 기기에 부속되는 광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LED 소자를 발광원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는 광량이 부족하고, 충분한 광량을 얻기 위해서는 대형화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는 적어도 1개의 LED 소자(2)를 포함하는 백색 발광원과, 상기 발광원을 수용하고 렌즈를 가지는 케이스(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원의 상기 LED 소자(2)는 조사범위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열에 정렬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LED 소자의 정렬방향으로 직선이 생기도록 된 리니어 프레넬컷(linear fresnel cut)(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로 함으로써, 리니어프레넬컷(3a)에 의해 사진촬영 범위와 일치하는 배광(配光)으로서 조명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구동전류를 펄스형상의 대전력으로 인가함으로써 소형이면서도 충분한 밝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촬영용 광원장치{Light Source Device For Electronic Photographic Apparatus}
본 발명은 근래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함께 설치된 휴대전화, 휴대용 컴퓨터 등의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밤시간대 혹은 어두운 실내에서 촬영할 때, 조명용 광원으로서 상기 휴대용 기기에 부속되는 광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LED 소자를 발광원으로 채용한 조명장치로는, 바람직하게는 적(R), 녹(G), 청(B)의 삼원색의 LED 소자 각 1개를 입체회로 형성품(MID; Molded Interconnect Device)에 형성한 오목한 부분 안에 설치하고, 각각의 LED 소자로부터의 발광색을 혼색하여 연색성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광원이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11-163412호 공보(단락 20-82, 도 1-24))
하지만, 상술한 종래 구성의 광원, 예를 들어, R, G, B 한개씩을 조합하여 하나의 조로 하는 LED 소자에 의한 광원으로부터의 광출력은, 사진을 찍기에 광량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필요한 조명조도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사용하는 LED 소자의 갯수를 늘려야했다. 이 때, 3원색 혹은 특허문헌 1과 같이 4색의 LED 소자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광량을 늘리기 위해 3개(혹은 4개) 단위로 LED 소자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대형화가 현저해진다.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대상이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기기이기 때문에, 사진촬영을 위한 충분한 밝기를 우선시하여 LED 소자의 갯수를 설정하면 대형화에 의해 조명장치의 설치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역으로 탑재가능한 LED 소자의 수를 우선시하면 조도 부족으로 인해 만족할 만한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에 채용되는 LED 소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LED 소자의 배광특성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LED 소자의 구동전류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의 제 2 실시예에서, LED 소자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요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2 : LED 소자
21 : LED 칩 22 : 투명수지
23 : 형광체 3 : 케이스
3a : 리니어프레넬컷 3b : 회로기판
4 : 스프링 접합편 5 : 글라스 기판
5a : 투명전극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휴대용 기기에 함께 설치되는 카메라의 조명용으로 설치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용 광원장치는 적어도 1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백색 발광원과, 상기 발광원을 수용하고 렌즈를 가지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원의 상기 LED 소자는 조사범위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열에 정렬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LED 소자의 정렬방향으로 직선이 생기도록 된 리니어 프레넬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조명용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휴대용 기기는 크기가 작은 휴대전화이기 때문에,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로는 소형인 것, 예를 들어 가로폭×세로폭×두께가 9×6×3mm 정도의 칫수 이내인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도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의 발광원으로서는 LED 소자(2)를 채용하고 있으며, 상기 LED 소자(2)는 예를 들어, 회로기판(3b) 위에 적절한 갯수가 설치되고, 더욱이 리니어프레넬컷(linear fresnel cut)(3a)이 설치된 케이스(3)로 덮여 발광방향의 일체화가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3b) 등에 설치된 스프링 접합편(4)에 의한 부착과 전원공급을 겸하는 부착수단 등, 간편한 수단으로 휴대용 기기에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서는 백색광원의 LED 소자(2)를 적절 갯수 채용하고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상기 LED 소자(2)의 적절 개수란, 한 개 이상이고 휴대전화 등 휴대용 기기를 대형화하는 등의 변경없이 부착할 수 있는 범위의 수이며, 상기에 설정되는 케이스(3)의 칫수에서는 4개(도시한 상태) 내지 8개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LED 소자(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범위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 또는 복수열로 정렬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조사범위란, 본 광원장치가 광을 조사하는 범위를 말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가 채용하는 백색광원 LED 소자(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청색을 발광하는 LED 칩(21)을 에폭시 수지 등 투명수지(22)로 덮어 방습할 때, 이 투명 수지(22) 안, 혹은 그 일부에 형광체(23)를 습화(濕和)해 둠으로써, LED 칩(21)의 발광에 의해 형광체(23)를 여기시켜 백색광을 얻는 것이며, 조합하는 형광체(23)로는 YAG, In계라고 불리는 황색발광하는 것이 선택되는 경우와,각각이 R(적), G(녹), B(청)의 삼원색 발광하는 것을 조합한 형광체(23)가 선택되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경우에도, LED 칩(21)으로부터의 광은 형광체(23)에 닿게 되므로, 광은 확산되어 배광특성(D)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밝기가 50%로 저하할 때의 각도, 즉 반감각(半減角)이 한 쪽 약 60°정도로 넓으며, 이러한 종류의 사진에 설정되어 있는 사각(寫角) 값, 한 쪽 약 25°에 비하여 넓은 범위로 확산된다.
이는 사진촬영에 불필요한 범위까지 광을 배포하게 되어 즉, 필요한 범위의 단위 면적당 배포되는 광량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LED 소자(2)로부터 방사되는 광은, 광속(光束)의 단면이 대략 원형의 배광형상을 가지며, 이에 반하여 카메라는 대략 직사각형의 범위를 촬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광이 형상적으로도 달라, 조명을 한층 어둡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3)에 리니어프레넬컷(3a)을 한 것으로, 이 리니어프레넬컷(3a)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범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볼록렌즈(P)를 설정하고, 이 볼록렌즈(P)를 프레넬화한 단면형상을 케이스(3) 위에서 조사범위의 길이방향에 따라 평행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리니어프레넬렌즈를 채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진의 짧은변측에 대해서는 반감각이 20°정도인 광의 수속(收束)이 이루어지고, 긴변측에는 반감각이 35° 정도인 수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르면, 본래 광량이 적은 LED 소자(2)로부터의 광을 적절히 수속하여, 카메라가 촬영하는 범위내로 효율적으로 배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리니어프레넬컷(3a)의 채용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LED 소자(2)의 점등방법도 연구하였으며, 도 6은 상기 LED 소자(2)에 인가하는 전류파형(W)의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전류파형(W)의 기본형상은 인가시간(t)과 배율(b)에 의한 단일펄스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인가시간(t)으로는, 본 발명과 같은 광원장치의 발광시간으로 통상 요구되는 10~600msec가 설정되고, 이에 따라, 배율(b)로는 정격전류의 3~50배가 설정되어 있다. 단, 인가시간(t)과 배율(b)은 대체로 반비례의 관계에 있어, 배율(b)을 크게 설정할 때에 인가시간(t)은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LED 소자(2)로부터의 발광량은 거의 인가되는 전류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50배의 전류를 인가한다는 것은, 같은 점등시간이라면, 50배수의 LED 소자(2)를 설치한 것과 등가의 밝기가 얻어지게 된다. 한편, 실제로는 인가하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광량에 거의 포화의 경향이 나타나게 되어, 정확하게는 50배의 밝기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보정이 필요하다.
한편, 휴대전화 등 휴대용 기기에서는 사용되고 있는 전원이 전지 등으로, 비교적 전원전압이 낮고, 또한 전류용량도 적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소자(2)에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를 흘리기 위해서는, 전원전압 이상의 전압이 요구되는 경우도 당연히 발생한다. 또한, 필요한 밝기를 얻기 위하여 LED 소자(2)에 정격전류의 50배의 전류를 흘려야 하는 경우, 정격전류가 20mA라면, 필요한 전류치는 LED 소자(2) 1개당 1A가 되며, LED 소자(2)의 사용 갯수에 따라서는 전원용량을 넘게되는 상황도 예상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내에는, 예를 들어, 인버터 회로 등에 의해 필요한 전압까지 승압하는 승압수단 및, 이 승압한 전압에서의 필요전력을 상기 LED 소자(2)에 공급할 때까지 보유해 두는 콘덴서 회로 등에 의한 전력의 보유수단 등도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채용하는 LED 소자(2)가 청색발광의 LED 칩(21)과 황색발광의 형광체(23)의 조합인 경우, 확실히 발광색은 백색이긴 하지만, 조사광안에 적색 성분이 적어, 이 LED 소자(2)로부터의 광으로 조사된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은 청색을 띄게 되어, 안색이 나빠보이는 등 보는 사람에게 적지 않은 위화감을 주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4개의 LED 소자(2) 중 적어도 1개를 적색 발광하는 적 LED 소자(2R)로 함으로써 적색광을 보강하여,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의 연색성을 향상시켜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백색광원의 LED 소자(2)는 근자외발광의 LED 칩(21)과 삼원색의 형광체(23)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얻는 방식도 있으며, 이 방식에 의한 것을 발광원으로 채용하는 경우에는, 방사되는 광에 R(적), G(녹), B(청)의 삼원색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적 LED 소자(2R)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상기예의 경우 4개 모두를 백색발광의 LED 소자(2)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한편, 도 2에 부호 4로 나타내는 것은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프링 접합편이며, 도면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안에 부착할 때에는, 휴대용 기기 본체(10)의 오목한 부분(10a) 안에 설치된 접점(11)에 하우징 커버(12)로 꽉 누르는 등 스프링 접합편(4)의 탄성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에 조합하여, 조립작업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이상에 설명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휴대전화 등 소형 휴대용 기기에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할 때, 밤시간 등 외광이 부족한 조건에서도 촬영가능하게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를 휴대전화 등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의 제 2 실시예이며, 앞의 실시예에서는 발광원으로서 백색광원의 LED 소자(2)를 사용하였는데, 촬영할 화상이 컬러 화상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삼원색의 형광체를 사용했을 때에도 백색광의 색온도가 고정되어, 품질이 그렇게 높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태양광에서 촬영한 화상과,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의 조명광에 의해 촬영한 화상에 색채의 위화를 일으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일으키게 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LED 소자(2)에, 적색발광하는 적 LED 소자(2R)와, 녹색발광하는 녹 LED 소자(2G)와, 청색발광하는 청 LED 소자(2B)의 삼원색을 발광하는 것을 조합하여, 각 색의 혼합비를 이른바 백색의 범위내에서 조정함으로써, 조명광의 색온도를 조정하여, 태양광으로 촬영했을 때와의 발색(發色)을 통일하는 것이다.
여기서, 발명자에 의한 시험제작, 실험, 검토의 결과에 따르면, 상기 LED 소자(2)가 발하는 광은, 한 지점으로부터 방사되는 비교적 지향성이 강한 광이기 때문에, 이 실시예와 같이 3개의 LED 소자(2)를 조합시키면 색의 혼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않고, 예를 들어, 얼굴 반쪽이 붉게 되거나, 얼굴 반쪽이 푸른기를 띠는 등의 현상을 일으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각 색의 혼합을 한층 좋게 하기 위하여 삼원색의 LED 소자(2)(R, G, B)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며, 이 매트릭스의 행 및 열의 수를 적어도 색의 갯수, 즉 3이상으로 하여, 어느 행 및 열에서도 반드이 3가지 색이 배치되게 하고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각 색의 LED 소자(2)(R, G, B)의 배치 상태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렌즈(4) 등은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LED 소자(2)(R, G, B)의 각 색에 주는 전류치를 조정함으로써 광원색의 색온도의 설정을 자유롭게 하여, 예를 들어, 5000~6000 켈빈 등 태양광에 근사한 색온도로 하여, 주간에 태양광으로 촬영한 사진과의 색채의 차이를 적게 하고, 위화감을 주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삼원색의 혼색도 좋아져 부분적으로 색번짐을 일으키는 것도 해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이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도 자세히 보면, R, G, B의 발광위치가 각각이 독립되어 있어, 예를 들어, 피사체에 매우 근접한 상태에서는 색번짐이 발생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었다. 이에, 이 제 3 실시예는 LED 칩(21) 자체가 투명하다는 것을 이용하여 색의 교차을 방지하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색의 LED 칩(21)(R, G, B)은, 예를 들어 한쪽면에 양음극을 가지는 플립 칩(flip chip) 타입 등으로 형성하여, 각각을 투명전극(5a)이 설치된 글라스 기판(5)위에 마운트하고, 다시 마운트가 이루어진 각 LED 칩(21)(R, G, B)은 상기 사진촬영용 광원장치(1)의 조사방향을 향하여 겹쳐 쌓는다.
또한, 겹쳐 쌓을 때에는, 발광효율이 높은 LED 칩(21)이 아랫층이 되도록 쌓으며, 일반적으로는 아랫층으로부터 적, 녹, 청의 순이 된다. 따라서, 맨 아랫층의 LED 칩(21R)으로부터의 광은 LED 칩(21G)과 LED 칩(21B)을 투과하여 조사방향으로 조사되며, LED 칩(21G)의 발광은 LED 칩(21B)을 투과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LED칩(21)(R, G, B)은 한 지점으로부터 방사되는 것과 등가가 되며, 즉 최상단의 LED 칩(21)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R, G, B가 혼합된 백색광이 되기 때문에, 어떻게 피사체에 접근하여 비추더라도 색번짐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함께 설치되는 카메라의 조명용으로 설치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용 광원장치는 적어도 1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백색 발광원과, 상기 발광원을 수용하고 렌즈를 가지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원의 상기 LED 소자는 조사범위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열에 정렬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LED 소자의 정렬방향으로 직선이 생기도록 된 리니어 프레넬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로 함으로써, 적은 수의 LED 소자로 이러한 종류의 휴대용 기기에 함께 설치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범위라면 충분한 조명을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LED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소형화, 고신뢰성, 저비용화 등도 가능하며, 휴대전화 등 이러한 종류의 카메라 부착 휴대용 기기의 상품성의 향상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8)

  1. 휴대용 기기에 함께 설치되는 카메라의 조명용으로 설치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용 광원장치는
    적어도 1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백색 발광원과;
    상기 발광원을 수용하고 렌즈를 가지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원의 상기 LED 소자는 조사범위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열에 정렬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LED 소자의 정렬방향으로 직선이 생기도록 된 리니어 프레넬컷(linear fresnel cu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소자의 점등시에는 LED 소자 정격의 3~50배의 전류로 10~600msec의 점등시간을 가지는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은 청색발광 LED 칩과 황색발광 형광체가 조합된 LED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은 적어도 1개의 적색발광 LED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은 근자외발광 LED 칩과 삼원색 발광 형광체가 조합된 LED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휴대용 기기의 전기적 접속은 스프링 접합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은 삼원색의 복수개의 LED 소자이며, 적어도 원색 개수만큼의 행 및 열을 가지는 매트릭스 배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은 상기 사진촬영용 광원장치의 조사축방향을 향하여 겹쳐 쌓는 배열이 이루어져 있는 삼원색의 LED 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KR1020030079395A 2003-04-04 2003-11-11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KR100984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1756A JP2004309710A (ja) 2003-04-04 2003-04-04 写真撮影用光源装置
JPJP-P-2003-00101756 2003-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248A true KR20040087248A (ko) 2004-10-13
KR100984731B1 KR100984731B1 (ko) 2010-10-01

Family

ID=3309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395A KR100984731B1 (ko) 2003-04-04 2003-11-11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52151B2 (ko)
JP (1) JP2004309710A (ko)
KR (1) KR100984731B1 (ko)
CN (1) CN10047409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3121A (zh) * 2013-09-10 2015-03-18 浙江中博光电科技有限公司 无干扰摄像led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413A (ja) * 2003-10-27 2005-05-19 Pentax Corp 照明制御装置
US7630014B2 (en) * 2004-04-30 2009-12-08 Brett James Pardikes Ligh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camera's tripod mount and method of use
JP2005338278A (ja) * 2004-05-25 2005-12-08 Nikon Corp 撮影用照明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KR100593910B1 (ko) * 2004-05-31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플래쉬용 led 구동 장치
ITRM20040633A1 (it) * 2004-12-23 2005-03-23 St Microelectronics Srl Trasmettitore ottico multi-sorgente e dispositivo di visualizzazione fotonico.
TWM286903U (en) * 2005-01-25 2006-02-01 Shu-Shiung Guo Jewelry lamp
DE602005013637D1 (de) * 2005-02-03 2009-05-14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Optisches Gerät
JP4309864B2 (ja) * 2005-03-28 2009-08-05 株式会社東芝 照明装置、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6278889A (ja) * 2005-03-30 2006-10-12 Sharp Corp 半導体ランプおよび電子機器
JP4764088B2 (ja) * 2005-07-27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7519287B2 (en) * 2005-08-19 2009-04-1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flash,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lash of light having a rectangular radiation pattern
US7400826B2 (en) * 2005-08-29 2008-07-15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lash of light with pulsing
US20070064420A1 (en) * 2005-09-19 2007-03-22 Ng Kee Y LED device with enhanced light output
JP2007086178A (ja) * 2005-09-20 2007-04-05 Fujifilm Corp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及び撮像装置
US20070121333A1 (en) * 2005-11-30 2007-05-31 Ronald Woodward Semiconductor light engine for automotive lighting
US7570881B2 (en) * 2006-02-21 2009-08-04 Nokia Corporation Color balanced camera with a flash light unit
US7364338B2 (en) * 2006-03-29 2008-04-29 Tpo Displays Corp. Systems for providing backlight module with stacked light source
US7711257B2 (en) 2006-04-24 2010-05-04 Nokia Corporation Image quality in cameras using flash
US7661840B1 (en) 2006-06-21 2010-02-16 Ilight Technologies, Inc. Lighting device with illuminated front panel
US7686478B1 (en) 2007-01-12 2010-03-30 Ilight Technologies, Inc. Bulb for light-emitting diode with color-converting insert
US8109656B1 (en) 2007-01-12 2012-02-07 Ilight Technologies, Inc. Bulb for light-emitting diode with modified inner cavity
US7663315B1 (en) 2007-07-24 2010-02-16 Ilight Technologies, Inc. Spherical bulb for light-emitting diode with spherical inner cavity
FR2927179B1 (fr) * 2008-02-01 2010-11-26 Solystic Systeme d'acquisition d'images pour l'identification de signes sur des envois postaux.
WO2010048754A1 (zh) * 2008-10-30 2010-05-06 Zhan Xiaoming Led摄影灯
DE102009007496A1 (de) * 2009-02-05 2010-08-19 E:Cue Control Gmbh Lampe
CN102396014A (zh) * 2009-02-11 2012-03-28 光成企业(株) 提高可视性和形态性的led组件,该led组件的附着方法和利用该led组件的广告牌
US8235538B2 (en) * 2009-08-28 2012-08-07 Chih-Hung Wei LED device with high color-rendering index
JP2011164152A (ja) * 2010-02-04 2011-08-25 Stanley Electric Co Ltd ストロボ装置
JP5539849B2 (ja) * 2010-12-13 2014-07-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70205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시스템
US9240538B2 (en) * 2012-11-12 2016-01-19 Andrey Zykin LED spirit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4181752A (zh) * 2013-05-24 2014-12-03 新世纪光电股份有限公司 闪光灯模组及配置该闪光灯模组的摄像装置
CN110177190B (zh) * 2019-04-26 2021-04-30 达闼机器人有限公司 补光设备、补光的校准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1069A (en) * 1969-11-12 1971-10-05 Gen Electric Multiple color light emitting diodes
GB8502973D0 (en) * 1985-02-06 1985-03-06 Achiever Ind Ltd Hot shoe attachments
US5287135A (en) * 1987-01-13 1994-02-15 Asahi Kogaku Kogyo K.K. Built-in flash system
US5175528A (en) * 1989-10-11 1992-12-29 Grace Technology, Inc. Double oscillator battery powered flashing superluminescent light emitting diode safety warning light
US5617163A (en) * 1993-12-22 1997-04-01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illuminating optical system
FR2726126A1 (fr) * 1994-10-24 1996-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Procede de fabrication de dispositifs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a lumiere visible
JPH10206942A (ja) * 1997-01-21 1998-08-07 Minolta Co Ltd 閃光発光装置及びこの閃光発光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H10232432A (ja) * 1997-02-19 1998-09-02 Asahi Optical Co Ltd ストロボ配光用レンズ及びズームストロボ装置
TW380213B (en) 1999-01-21 2000-01-21 Ind Tech Res Inst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includes the same
AU1963400A (en) * 1999-03-08 2000-09-28 Gunther Bebenroth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 luminous element
AU3226101A (en) * 2000-02-09 2001-08-20 Nippon Leiz Corporation Light source
JP4288553B2 (ja) * 2000-07-25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US6525464B1 (en) * 2000-09-08 2003-02-25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Stacked light-mixing LED
US20030180037A1 (en) * 2002-03-21 2003-09-25 Mathew Sommers LED flash device for came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3121A (zh) * 2013-09-10 2015-03-18 浙江中博光电科技有限公司 无干扰摄像led灯
CN104423121B (zh) * 2013-09-10 2017-08-04 浙江中博光电科技有限公司 无干扰摄像led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52151B2 (en) 2006-05-30
KR100984731B1 (ko) 2010-10-01
US20040196643A1 (en) 2004-10-07
CN1536663A (zh) 2004-10-13
JP2004309710A (ja) 2004-11-04
CN100474094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731B1 (ko) 사진촬영용 광원장치
US8687109B2 (en)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pulsed LED flash
EP2120088B1 (en)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 Emitting Diod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284871B2 (en) Light-emitting diode module for flash and auto-focus application
JP5045166B2 (ja) 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624771A (zh) 光電半導體元件及手電筒
JP2006173622A (ja) 発光スペクトルが改善された発光ダイオード・フラッシュモジュール
JP2006278125A (ja) 面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070039503A (ko) 발광 다이오드 배열 시스템
US20060008266A1 (en) Lighting apparatus, electronic flash apparatus and camera
KR102427049B1 (ko) 플래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JPH11162232A (ja) Led照明モジュール
JP2010536057A (ja) 画像を投影するための結像装置
US7221864B2 (en) Light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JP2008210691A (ja) 面状照明装置
JP2006066328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この光源モジュールを用いた面照明装置
KR20110128006A (ko) 발광 소자
US20040223339A1 (en) Light source device
Keuper et al. P‐126: Ultra‐Compact LED based Image Projector for Portable Applications
JP5061572B2 (ja)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7300010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CN217692089U (zh) 光源组件和显示设备
KR102424947B1 (ko) 플래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7048726A (ja) 照明用ledモジュール
JP2010192448A (ja) 面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