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409A -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 Google Patents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409A
KR20040086409A KR10-2004-7012896A KR20047012896A KR20040086409A KR 20040086409 A KR20040086409 A KR 20040086409A KR 20047012896 A KR20047012896 A KR 20047012896A KR 20040086409 A KR20040086409 A KR 20040086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biological component
measuring
substanc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우찌가즈히또
Original Assignee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5/00Other methods of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 C23F15/005Inhibiting incru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7/00Detai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10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277Special precautions to avoid contamination (e.g. enclosures, glove- boxes, sealed sample carriers,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당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억제제; 상기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 방법; 상기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데 유효한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및 상기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INHIBITOR OF THE ADHESION OF METAL OXIDE-CONTAINING MATERIAL TO WASTE LIQUOR LINE OF AUTOMATIC ANALYZER}
임상진단에서,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을 일반적으로 행하였다. 자동분석기를 사용하여 검체 중의 생체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 반응 세포 내에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반응시킨 후에 반응 세포를 알칼리성 세정액으로 세정한다.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반응시킨 후에 생성되는 반응액과 알칼리성 세정액으로 반응 세포를 세정한 후에 생성되는 용액을 폐액 라인을 통해 폐기한다.
그러나,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중에 금속 이온, 특히 2가의 금속 이온이 함유된 경우, 알칼리성 세정액으로 세정한 후에 물에 불용성이거나 난용성인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이 생성되고, 상기 물질은 폐액 라인에 부착된다. 따라서, 자동분석기로 다수의 검체를 연속 측정하는 경우, 폐액 라인에 부착된 금속 수산화물함유물이 점차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 예를 들어, 폐액 라인에 부착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이 반응 세포에 낙하함으로 인한 반응 세포의 오염, 폐액 라인 중의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축적에 기인하는 알킬리성 세정액의 유출로 인한 반응 세포의 오염, 반응 세포의 오염으로 인한 측정 정확성의 저하 및 다른 측정 항목의 측정에 대한 영향,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에 의해 야기된 폐액 라인의 폐쇄로 인한 연속 측정의 중단에 기인한 측정 효율의 저하, 및 자동측정기에 대한 과도한 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 방법,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및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에서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 방법, 폐액 라인에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시키는데 유효한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및 폐액 라인에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시키는데 유효한 생체 성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1) 내지 (10)에 관한 것이다.
(1) 다당류를 함유하는,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2) (1)에 있어서, 다당류가 알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덱스트란인 억제제.
(3) (1) 또는 (2)에 기재된 억제제의 사용을 포함하는, 자동분석기의 폐액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 방법.
(4) (1) 또는 (2)에 기재된 억제제를 함유하는,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5) (4)에 있어서, 2가의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시약.
(6) (5)에 있어서, 2가의 금속이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코발트 이온 및 망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가 이온인 시약.
(7)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성분이 생화학적 방법으로 측정되는 성분인 시약.
(8)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이 자동 분석기를 사용한 측정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시약인 시약.
(9) (8)에 있어서,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측정 방법이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 방법인 시약.
(10)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약의 사용을 포함하는,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 방법.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측정 방법에 관하여, 비록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반응 세포를 알칼리성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인 한, 특정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측정 방법의 예는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1) 검체 및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반응 세포에 첨가하는 공정,
(2)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 공정,
(3) 공정 (2)에서 생성된 검출가능한 물질의 측정 공정 및
(4) 반응 세포를 알칼리성 세정액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공정.
반응 세포를 알칼리성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공정은 반응 세포에 알칼리성 세정액을 첨가하는 공정 및 알칼리성 세정액으로 세정후 생성된 용액(이하,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으로 언급됨)을 폐액 라인을 통해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각 공정이 항상 완전히 독립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이 두 시약(제 1 시약 및 제 2 시약)을 포함하는 키트(kit)의 형태인 경우, 검체와 제 1 시약의 반응 후, 제 2 시약을 첨가할 수 있다.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검체의 연속 측정 방법에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 후, 반응 세포 중의 반응액을 폐액 라인을 통해 폐기한다. 그 후, 반응 세포에 알칼리성 세정액을 첨가하고, 세정 후, 세포의 세정 후 생성된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을 폐액 라인을 통해 폐기한다. 폐액 라인은 반응 세포 중의 반응액 및 반응 세포 중의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을 흡입(suck)하는 노즐, 및 노즐에 연결된 폐액 튜브를 포함한다. 알칼리성 세정액에 대하여, 용액이 자동분석기의 반응 세포를 세정하는 알칼리성 세정액인 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이의 예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함유 수성액을 포함한다. 알칼리성 세정액 중의 알칼리 농도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농도는 예를 들어, 0.1 내지 5.0 mol/L이다. 알칼리성 세정액은 필요하다면,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 방법에서 사용되는 자동분석기는, 반응 세포 내에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 이후 반응액을 폐기하기 위한 폐액 라인 및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을 폐기하기 위한 폐액 라인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자동분석기일 수 있다. 반응 세포 내에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 이후 반응액을 폐기하기 위한 폐액 라인 및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을 폐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폐액 라인이 동일한 자동분석기의 예는 Hitachi 자동분석기 7250, Hitachi 자동분석기 7600 및 Hitachi 자동분석기 7170을 포함한다. 두 폐액 라인이 동일한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에서, 반응액 및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은 교대로 폐액 라인을 통과한다. 즉, 반응액이 폐액 라인을 통과한 후에, 반응액이 잔류하는 폐액 라인 상의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의 통과와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이 잔류하는 폐액 라인 상의 반응액의 통과가 교대로 반복된다.
본 발명에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은 그것이 물에 불용성이거나 난용성이고, 폐액 라인에 대한 부착의 원인이 되는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인 한, 어떠한 것도 될 수 있고, 예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코발트 및 수산화망간 및 이러한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과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중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억제제로 사용되는 다당류의 예는 시클로덱스트린, 풀루란, 덱스트란, 알긴산 또는 그의 염 및 덱스트란 황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고,바람직한 것은 덱스트란, 알긴산 또는 그의 염이다. 덱스트란의 예는 200,000, 500,000 및 2,000,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덱스트란을 포함한다. 알긴산의 염 및 덱스트란 황산의 염의 예는 리튬 염, 나트륨 염, 칼륨 염 및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억제제는 그 자체로서 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또는 알칼리성 세정액 내에 함유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억제제가 그 자체로 시약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그것으로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산화물 함유물의 부착이 억제되는 함량인 한, 시약 중의 다당류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함량은, 예를 들어, 반응액 중 0.5 내지 20 g/L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g/L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억제제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중에 함유되는 경우, 그것이 생체 성분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산화물 함유물의 부착이 억제되는 한,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중의 다당류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함량은, 예를 들어, 반응액 중 0.5 내지 20 g/L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g/L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억제제가 알칼리성 세정액에 함유되는 경우,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이 억제되는 한, 알칼리성 세정액 중의 다당류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함량은, 예를 들어, 반응액 중 0.5 내지 20 g/L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g/L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억제제 및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을 위해 필요한 물질을 함유한다.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이 2가의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억제제는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를 위해 유효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이 사용될 경우,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시에도 반응액과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의 반응시에 폐액 라인 중에 생성되는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폐액 라인에 대한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2가 금속 이온의 예는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코발트 이온 및 망간 이온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내의 2가 금속 이온의 함량에 특별한 제한이 없고, 이는, 예를 들어, 반응액 중의 0.5 내지 5 g/L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존재 및 보전 형태는 동결 건조 상태 또는 수용액 상태일 수 있고, 이는 1 시약계 형태 또는 2 시약계 이상을 포함하는 키트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사용하여 생체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검체의 예는 전혈(total blood), 혈장, 혈청, 뇌척수액, 타액, 양수, 뇨, 땀 및 췌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성분의 예는 생화학적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성분, 면역학적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성분 및 유전자적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바람직한 것은 생화학적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성분이다. 생화학적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성분의 예는 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생체 성분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인 예는 글루코즈, 1,5-언히드로글루시톨, 푸코스, 요소, 요산, 암모니아,크레아티닌, 총 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질단백질 중 콜레스테롤(HDL-C), 저밀도 지질단백질 중 콜레스테롤(LDL-C), 초저밀도 지질단백질 중 콜레스테롤(VLDL-C), 잔류형 지질단백질 중 콜레스테롤(RLP-C), 트리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총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빌리루빈, 담즙산, 시알산, 유산, 피루빈산, 유리 지방산, 세룰로플라즈민,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T),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제(CPK), 포스포키나제(PK), 아밀라제, 리파제, 콜린 에스테라제, γ-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제, 루신 아미노펩티다제, L-유산 디히드로게나제(LDH), 알돌라제,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산성 포스파타제, N-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제, 구아나제 및 모노아민 옥시다제를 포함한다.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성분의 예는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측정하는 생체 성분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인 예는 IgG, IgM, IgA, IgE, 아포단백질 AI, 아포단백질 AII, 아포단백질 B, 아포단백질 E, 류마티스 인자, D-이합체, 산화 LDL, 글리코알부민, T3, T4, 항간질제와 같은 약제, α-페토단백질(AFP), 암태아성 항원(CEA), CA19-9, CA125, 인융모막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인슐린, c-펩티드, 에스트로젠, 항-GAD 항체, 펩시노젠, HB 항원, 항-HB 항체, HCV 항원, 항-HCV 항체, HTLV-I 항원, 항-HTLV-I 항체, HIV 항체, 결핵 항체, 미코플라즈마 항체 및 헤모글로빈 Alc를 포함한다. 유전자적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성분의 예는 혼성화(hybridization)에 의해 측정하는 생체 성분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인 예는 DNA, RNA 및 펩티드 핵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에 의하여 생체 성분이 검출 가능한물질로 전환시, 또는 생체 성분으로부터 검출 가능한 물질이 발생되는 경우, 검출 가능한 물질의 측정에 의해 생체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검출가능한 물질의 예는 색소, NAD(P)H, 형광 및 발광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을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로서, 단독으로 생체 성분을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복수 물질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예는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 및 상기 과산화수소를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의 조합물 및 생체 성분을 NAD(P)H로 전환하는 물질 및 상기 NAD(P)H를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으로부터 색소를 발생시키는 물질로서, 단독으로 색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복수 물질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는 생체 성분 중의 효소의 작용에 의해 색소를 생성하는 효소 기질,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 및 상기 과산화수소를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의 조합물 및 생체 성분으로부터 NAD(P)H를 발생시키는 물질 및 상기 NAD(P)H를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로서, 상기 성분에 대한 옥시다제가 언급되고, 상기 성분에 대한 옥시다제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성분을 상응하는 옥시다제가 존재하는 물질로 전환하는 물질과 옥시다제 등을 함유하는 물질의 조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생체 성분과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의 조합에 관하여, 하기 조합이 예시될 수 있다.
콜린: 콜린 옥시다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요산: 유리카제,
트리글리세라이드: 지질단백질 리파제 및 글리세롤 옥시다제,
유리 지방산 : 아실 CoA 합성효소 및 아실 CoA 옥시다제,
글루코즈: 피라노즈 옥시다제,
인지질: 포스포리파제 D 및 콜린 옥시다제,
크레아틴: 크레아티나제 및 사르코신 옥시다제,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니나제, 크레아티나제 및 사르코신 옥시다제,
유산: 유산 옥시다제,
무기인: 퓨린 뉴클레오사이드 포스포릴라제 및 잔틴 옥시다제,
o-톨루오일콜린: 콜린 에스테라제 및 콜린 옥시다제,
모노아민(알릴아민 등): 모노아민 옥시다제.
과산화수소를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로서, 퍼옥시다제와 같은 과산화활성 물질과 산화 발색형 색원체 등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산화 발색형 색원체의 예는 루코형 색원체, 산화 커플링(coupling) 발색형 색원체 등을 포함한다.
루코형 색원체는 과산화수소 및 퍼옥시다제와 같은 과산화활성 물질의 존재하에 단독으로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이고, 예는
10-N-카르복시메틸카르바모일-3,7-비스(디메틸아미노)-10H-페노티아진(CCAP), 10-N-메틸카르바모일-3,7-비스(디메틸아미노)-10H-페노티아진(MCDP), N-(카르복시메틸아미노카르보닐)-4,4'-비스(디메틸아미노)디페닐아민 나트륨 염(DA-64),4,4'-비스(디메틸아미노)디페닐아민 및 비스[3-비스(4-클로로페닐)메틸-4-디메틸아미노페닐]아민(BCMA)를 포함한다.
산화 커플링 발색형 색원체는 과산화수소 및 퍼옥시다제와 같은 과산화활성 물질의 존재하에 두 화합물의 산화적 커플링에 의해 색소를 생성하는 물질이다. 두화합물의 조합물의 예는 커플러(coupler)와 아닐린 화합물의 조합물, 및 커플러와 페놀 화합물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커플러의 예는 4-아미노안티피린(4-AA), 및 3-메틸-2-벤조티아졸리논 히드라진을 포함한다. 아닐린 화합물의 예는 N-에틸-N-(3-메틸페닐)-N'-숙시닐 에틸렌디아민(EMSE), N-(3,5-디메톡시페닐)-N'-숙시닐 에틸렌디아민 나트륨 염(DOSE),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m-톨루이딘, N-에틸-N-술포프로필아닐린, N-에틸-N-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 N-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 N-에틸-N-술포프로필-3,5-디메틸아닐린, N-에틸-N-술포프로필-m-톨루이딘,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m-아니시딘,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아닐린,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메틸아닐린 나트륨 염 디히드레이트(TOOS),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 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5-디메톡시아닐린 나트륨 염(HSDA),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3,5-디메틸아닐린, N-술포프로필아닐린, N-에틸-N-술포프로필아닐린, 프로필-m-아니딘 및 N-에틸-N-(2-히드록시-3-술포프로필)-4-플루오로-3,5-디메톡시아닐린 나트륨 염(F-DAOS)를 포함한다. 페놀 화합물의 예는 페놀 및 3-히드록시-2,4,6-트리요오도벤조산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을 NAD(P)H로 전환하는 물질로서, 생체 성분에 대한 디히드로게나제가 언급될 수 있고, 생체 성분의 디히드로게나제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생체 성분을 상응하는 디히드로게나제가 존재하는 물질로 전환하는 물질과 디히드로게나제 등을 함유하는 물질의 조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생체 성분과 생체 성분을 NAD(P)H로 전환하는 물질의 조합으로서, 하기 조합이 예시될 수 있다.
글루코즈: 글루코키나제,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글루코즈-6-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및 NAD(P)+,
1,5-안히드로글루시톨: 헥소키나제 또는 글루코키나제,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또는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1,5-안히드로글루시톨-6-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및 NAD(P)+.
NAD(P)H를 색소로 전환하는 물질로서, 환원 발색형 색소체 등이 언급된다. 환원 발색형의 색소체의 예는 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MTT), 2-(4-요오도페닐)-3-(4-니트로페닐)-5-(2,4-디술포페닐)-2H-테트라졸리움 모노나트륨 염(WST-1) 및 2-(4-요오도페닐)-3-(2,4-디니트로페닐)-5-(2,4-디술포페닐)-2H-테트라졸리움 모노나트륨 염(WST-3)을 포함한다.
효소의 작용에 의해 색소를 생성하는 효소 기질로서, α-아밀라제 등의 작용에 의해 4-니트로페닐을 생성하는 4-니트로페닐 β-D-갈락토실-α-말토펜타오사이드가 언급된다.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생성하는 물질로서, 생체 성분이 옥시다제인 경우 옥시다제의 기질이 언급될 수 있고, 생체 성분이 옥시다제 이외의 효소인경우, 효소에 대한 기질, 효소와 기질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질을 상응하는 옥시다제가 존재하는 물질로 전환하는 물질, 및 옥시다제를 함유하는 물질의 조합물이 언급된다. 생체 성분과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생성하는 물질의 조합으로서, 하기의 조합이 예시될 수 있다.
콜린에스테라제: 2,4-디메톡시벤조일콜린 및 콜린 옥시다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알릴아민.
생체 성분으로부터 NAD(P)H를 생성하는 물질로서, 생체 성분이 디히드로게나제인 경우 디히드로게나제에 대한 기질이 언급될 수 있고, 생체 성분이 디히드로게나제 이외의 효소인 경우, 효소에 대한 기질, 효소와 기질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질을 상응하는 디히드로게나제가 존재하는 물질로 전환하는 물질, 및 디히드로게나제를 함유하는 물질의 조합물이 언급된다. 생체 성분과 생체 성분으로부터 NAD(P)H를 생성하는 물질의 조합으로서, 하기 조합이 예시될 수 있다.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제: 크레아틴 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글루코즈, NAD(P)+, 및 글루코즈-6-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생체 성분으로부터 전환되거나 또는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생되는 물질이 NAD(P)+인 경우, NAD(P)H의 감소를 측정함에 의해 생체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NAD(P)H의 감소가 측정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은 NAD(P)+대신 NAD(P)H를 함유한다.
생체 성분으로부터 전환되거나 또는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생된 물질이 형광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에 함유되고, 생체 성분을 형광으로 전환하거나 생체 성분으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는 물질, 자체로 형광으로 전환하는 물질 또는 자체로 형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복수 물질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생체 성분을 형광으로 전환하거나 생체 성분으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예는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 및 상기 과산화수소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조합물,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 및 상기 과산화수소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조합물 등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의 예는 상기 언급된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 등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의 예는 상기 언급된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 등을 포함한다. 과산화수소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예는 퍼옥시다제와 같은 과산화활성 물질과 형광 물질의 조합물 등을 포함한다. 형광 물질의 예는 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3-(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쿠마린 등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으로부터 전환된 물질 또는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생된 물질이 발광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에 함유된 물질 및 생체 성분을 발광으로 전환하는 물질 또는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광을 발생시키는 물질로서, 자체로 발광으로 전환하는 물질 또는 자체로 발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복수 물질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생체 성분을 발광으로 전환하거나또는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예는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과 과산화수소로부터 발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조합물,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과 과산화수소로부터 발광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조합물 등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의 예는 상기 언급된 생체 성분을 과산화수소로 전환하는 물질 등을 포함한다.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의 예는 상기 언급된 생체 성분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 등을 포함한다. 과산화수소로부터 발광을 발생시키는 물질로서, 화학발광 물질이 언급될 수 있다. 화학발광 물질의 예는 루미놀, 이소루미놀, 루시제닌 및 아크리디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은, 필요하다면, 완충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영향 물질 소거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완충제의 예는 pH 1 내지 11의 완충제, 예를 들어 유산 완충제, 시트르산 완충제, 초산 완충제, 숙신산 완충제, 프탈산 완충제, 인산 완충제, 트리에타놀아민 완충제, 디에타놀아민 완충제, 라이신 완충제, 바르비투르산(barbiturate) 완충제,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완충제, 이미다졸 완충제, 말레산 완충제, 옥살산 완충제, 글리신 완충제, 붕산 완충제, 탄산 완충제, 글리신 완충제 및 굳스(Good`s) 완충제를 포함한다. 굳스(Good`s) 완충제의 예는 2-모르폴리노에탄술폰산(MES), 비스(2-히드록시에틸)-이미노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탄(Bis-Tris), N-(2-아세트아미도)-이미노디아세트산(ADA), 피페라진-N,N'-비스(2-에탄-술폰산)(PIPES), N-(2-아세트아미노)-2-아미노에탄술폰산(ACES), 3-모르폴리노-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MOPSO), N,N-비스(2-히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술폰산(BES),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MOPS),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TES), 2-[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에탄술폰산(HEPES), 3-[N,N-비스(2-히드록시)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DIPSO),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히드록시-3-아미노프로판술폰산(TAPSO), 피페라진-N,N'-비스(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POPSO), 3-[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HEPPSO), 3-[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시크로헥실산[(H)EPPS],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글리신(Tricine),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Bicine), N-트리스(히드록시에틸)메틸-3-아미노프로판술폰산(TAPS), N-시클로헥실-2-아미노에탄술폰산(CHES), N-시클로헥실-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CAPSO) 및 N-시클로헥실-3-아미노프로판술폰산(CAPS)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의 예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방부제의 예는 아지드화나트륨 및 항생물질을 포함한다. 영향물질의 소거제로서, 빌리루빈에 의한 영향을 소거하기 위해 페로시안화칼륨, 페로센 화합물 등이 언급되고, 아스코르빈산의 영향을 소거하기 위해 아스코르빈산 옥시다제 등이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사용한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방법에 있어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검출가능한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인 한,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는 흡광도법, 형광법, 및발광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을 사용한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 방법으로서, 엔드포인트(endpoint) 방법 또는 레이트(rate)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흡광도법으로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NAD(P)H와 같은 색소의 흡광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하는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에 의해 색소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검체 중의 생체 성분으로부터 전환되거나 검체 중의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생된 과산화수소를 퍼옥시다제와 같은 과산화활성 물질의 존재 하에 상기 언급된 산화 발색형의 색소체에 의해 색소로 전환하는 방법, 생체 성분으로부터 전환된 NAD(P)H 또는 검체 중의 셍체 성분으로부터 발생된 NAD(P)H를 1-메톡시-5-메틸페나지움 메틸술페이트와 같은 전자 캐리어 및 디아포라제의 존재 하에 상기 언급된 환원 발색형의 색원체에 의해 색소로 전환하는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형광법으로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형광을 형광광도계로 측정하는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에 의해 형광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퍼옥시다제와 같은 과산화활성 물질의 존재 하에 검체 중의 생체 성분으로부터 전환된 과산화수소 또는 검체 중의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생된 과산화수소와 상기 언급된 형광 물질의 반응에 의해 형광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발광법으로서,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발광을 발광측정기(luminometer)로 측정하는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검체와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의 반응에 의해 발광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검체 중의 생체 성분으로부터 전환된 과산화수소 또는 검체 중의 생체 성분으로부터 발생된 과산화수소와 상기 언급된 화학발광 물질의 반응에 의해 발광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에 보여질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시약 및 효소는 하기 제조업체의 제품이다.
PIPES 시약(Dojindo Laboratories사 제), MOPS 완충제(Dojindo Laboratories), Triton X-100(Sigma사 제), 마그네슘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Wako Pure Chemical Industries사 제), TOOS(Dojindo Laboratories사 제), 4-AA(Kanto Kagaku사 제), ATP 이나트륨 염(Kyowa Hakko Kogyo사 제), 아지드화나트륨(Wako Pure Chemical Industries사 제), 덱스트란황산나트륨(Fluka사 제), 콜산(cholate)나트륨(Tokyo Kasei 사 제), 알긴산나트륨(Fuji Chemical Industry사 제), 덱스트란(분자량:500,000)(Pharmacia사 제), 글리세롤 키나제(Asahi Kasei사 제), 글리세롤-3-인산 옥시다제(Asahi Kasei사 제), 지질단백질 리파제(Toyobo사 제), 아스코르빈산 옥시다제(Asahi Kasei사 제), 개질 지질단벡질 리파제(Toyobo사 제), 퍼옥시다제(Toyobo사 제) 및 개질 콜레스테롤 옥시다제(Kyowa Hakko Kogyo사 제).
실시예 1.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용 시약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용 시약을 하기 조성에 따라 조제하였다.
(제 1 시약)
PIPES 완충제(pH 7.4) 9 g/L
Triton X-100 0.2%
마그네슘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 g/L
TOOS 0.3 g/L
ATP 이나트륨 염 2.5 g/L
글리세롤 키나제 1 kU/L
글리세롤-3-인산 옥시다제 8 kU/L
퍼옥시다제 10 kU/L
알긴산 나트륨 1.5 g/L
(제 2 시약)
PIPES 완충제(pH 6.8) 9 g/L
Triton X-100 0.2%
4-AA 0.5 g/L
지질단백질 리파제 3 kU/L
퍼옥시다제 10 kU/L
실시예 2.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용 시약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용 시약을 하기 조성에 따라 조제하였다.
(제 1 시약)
PIPES 완충제(pH 7.4) 9 g/L
Triton X-100 0.2%
마그네슘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 g/L
TOOS 0.3 g/L
ATP 이나트륨 염 2.5 g/L
글리세롤 키나제 1 kU/L
글리세롤-3-인산 옥시다제 8 kU/L
퍼옥시다제 10 kU/L
덱스트란(분자량:500,000) 5 g/L
(제 2 시약)
PIPES 완충제(pH 6.8) 9 g/L
Triton X-100 0.2%
4-AA 0.5 g/L
지질단백질 리파제 3 kU/L
퍼옥시다제 10 kU/L
비교예 1.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용 시약
본 발명의 부착 억제제를 함유하지 않는 트리글리세라이트 측정용 시약을 하기 조성에 따라 조제하였다.
(제 1 시약)
PIPES 완충제(pH 7.4) 9 g/L
Triton X-100 0.2%
마그네슘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 g/L
TOOS 0.3 g/L
ATP 이나트륨 염 2.5 g/L
글리세롤 키나제 1 kU/L
글리세롤-3-인산 옥시다제 8 kU/L
퍼옥시다제 10 kU/L
(제 2 시약)
PIPES 완충제(pH 6.8) 9 g/L
Triton X-100 0.2%
4-AA 0.5 g/L
지질단백질 리파제 3 kU/L
퍼옥시다제 10 kU/L
시험예 1. 자동분석기(Hitachi 7250)를 이용한 검체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연속 측정
검체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연속 측정을 Hitachi 자동분석기 725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연속 측정에서, 실시예 1의 시약을 첫번 째 통로(channel)에 넣고, 비교예 1의 시약을 두번 째 통로에 넣으며, 그 후 검체의 연속 측정을 시행하였다.
검체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측정에서부터 반응 세포의 세정에 이르기까지의 하나의 검체를 위한 일련의 조작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즉, 검체 (5μL) 및 제 1 시약 (240 μL)을 반응 세포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37℃에서 5분간 가열하였으며, 제 2 시약(80 μL)을 여기에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37℃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반응액의 흡광을, 흡광도가 16-34이고 주파장/부파장이 546nm/700nm인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후에, 반응 세포 중의 반응액을 폐액 라인을 통해 폐기하였고, 그 후 반응 세포를 세정하기 위해 주성분으로서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알칼리성 세정액(Hitachi High Alkali)을 첨가하였으며, 반응액 함유 알칼리성 세정액을 상기 언급된 것과 동일한 폐액 라인을 통해 폐기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각각의 검체에 대해 연속적인 방식으로 반복 수행하였다. 그 후, 통로 1 내의 실시예 1의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 연속 측정을 위해 사용된 폐액 라인의 상태를 통로 2의 비교예 1의 시약을 하는 경우의 상태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비교예 1의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 약 12,000개의 검체의 연속 측정이 폐액 라인을 폐쇄(clog)하여 연속 측정을 중단한 반면, 실시예 1의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 20,000개 이상의 검체의 연속 측정도 폐액 라인을 폐쇄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시험예 2. 자동분석기(Hitachi 7250)를 이용한 검체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연속 측정
실시예 1의 시약 대신 실시예 2의 시약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검체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연속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비교예 1의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 약 12,000개의 검체의 연속 측정이 폐액 라인을 폐쇄(clog)하여 연속 측정을 중단한 반면, 실시예 2의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 20,000개 이상의 검체의 연속 측정도 폐액 라인을 폐쇄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 HDL 중의 콜레스테롤(HDL-C) 측정용 시약
HDL 중의 콜레스테롤(HDL-C) 측정용 시약을 하기의 조성에 따라 조제하였다.
(제 1 시약)
MOPS 완충제(pH 7.0) 4 g/L
덱스트란황산나트륨 0.5 g/L
마그네슘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 g/L
TOOS 0.3 g/L
아지드화나트륨 0.2 g/L
퍼옥시다제 5 kU/L
아스코르빈산 옥시다제 1 kU/L
알긴산 나트륨 2 g/L
(제 2 시약)
MOPS (pH 7.0) 4 g/L
4-AA 0.5 g/L
콜산나트륨 4 g/L
아지드화나트륨 0.2 g/L
퍼옥시다제 10 kU/L
개질 지질단백질 리파제 1 kU/L
개질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7 kU/L
비교예 2. HDL 중의 콜레스테롤(HDL-C) 측정용 시약
본 발명의 부착 억제제를 함유하지 않는 HDL 중의 콜레스테롤(HDL-C) 측정용 시약을 하기의 조성에 따라 조제하였다.
(제 1 시약)
MOPS 완충제(pH 7.0) 4 g/L
덱스트란황산나트륨 0.5 g/L
마그네슘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 g/L
TOOS 0.3 g/L
아지드화나트륨 0.2 g/L
퍼옥시다제 5 kU/L
아스코르빈산 옥시다제 1 kU/L
(제 2 시약)
MOPS (pH 7.0) 4 g/L
4-AA 0.5 g/L
콜산나트륨 4 g/L
아지드화나트륨 0.2 g/L
퍼옥시다제 10 kU/L
개질 지질단백질 리파제 1 kU/L
개질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7 kU/L
시험예 3. 자동분석기(Hitachi 7250)를 이용한 검체 중의 HDL-C의 연속 측정
실시예 1의 시약 대신 실시예 3의 시약을 사용하고, 비교예 1의 시약 대신 비교예 2의 시약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검체 중의 HDL-C의 연속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비교예 2의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 약 5,000개의 검체의 연속 측정이 폐액 라인을 폐쇄(clog)하여 연속 측정을 중단한 반면, 실시예 3의 시약을 사용하는 경우, 20,000개 이상의 검체의 연속 측정도 폐액 라인을 폐쇄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측정시,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세포의 오염 및 연속 측정의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측정 정확성의 저하 및 다른 측정 항목의 측정에 대한 영향이 억제되고, 측정 효율이 향상되며 자동분석기에 대한 과도한 부하가 억제된다.

Claims (10)

  1. 다당류를 함유하는,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당류가 알긴산 또는 그의 염 또는 덱스트란인 억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억제제의 사용을 포함하는,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억제제를 함유하는,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
  5. 제 4 항에 있어서, 2가의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시약.
  6. 제 5 항에 있어서, 2가의 금속이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코발트 이온 및 망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가 이온인 시약.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성분이 생화학적 방법으로 측정되는 성분인 시약.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용 시약이 자동 분석기를 사용한 측정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시약인 시약.
  9. 제 8 항에 있어서, 자동분석기를 사용한 측정 방법이 다수 검체의 연속 측정 방법인 시약.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약의 사용을 포함하는, 검체 중의 생체 성분 측정 방법.
KR10-2004-7012896A 2002-02-19 2003-02-17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KR20040086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40923 2002-02-19
JPJP-P-2002-00040923 2002-02-19
PCT/JP2003/001671 WO2003071282A1 (fr) 2002-02-19 2003-02-17 Inhibiteur de l'adherence d'un materiau contenant de l'oxyde metallique dans la conduite de liquide residuaire d'un analyseur automa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09A true KR20040086409A (ko) 2004-10-08

Family

ID=2775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896A KR20040086409A (ko) 2002-02-19 2003-02-17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130323A1 (ko)
EP (1) EP1477811A4 (ko)
JP (1) JPWO2003071282A1 (ko)
KR (1) KR20040086409A (ko)
CN (1) CN1628250A (ko)
AU (1) AU2003211344A1 (ko)
CA (1) CA2476495A1 (ko)
TW (1) TW200303987A (ko)
WO (1) WO2003071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1008B2 (ja) * 2018-03-23 2022-09-06 東洋紡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オキシダーゼの安定化方法
CN111455020A (zh) * 2020-02-25 2020-07-28 深圳市安帝宝科技有限公司 一种1,5-脱水山梨醇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5351A (en) * 1954-05-01 1957-01-09 G & J Weir Ltd Preventing scale-formation during the evaporation of sea water, estuarine water or the like
JPS57149966A (en) * 1981-03-13 1982-09-16 Wako Pure Chem Ind Ltd Determination method (1) for calcium in vital sample
JPS5976598A (ja) * 1982-10-25 1984-05-01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スケ−ル防止剤
JP3842372B2 (ja) * 1996-04-23 2006-11-08 株式会社三菱化学ヤトロン 分析装置用の沈殿防止性組成物
JPH11153604A (ja) * 1997-11-20 1999-06-08 Hitachi Ltd 自動分析方法および装置
AUPP084997A0 (en) * 1997-12-11 1998-01-08 Nalco Chemical Company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bayer process
AU7434200A (en) * 1999-09-23 2001-04-24 Reckitt Benckiser (Uk) Limited Method for combating hard water and scale by using algins
JP2001124780A (ja) * 1999-10-28 2001-05-11 Showa Denko Kk リポ蛋白質コレステロールの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8250A (zh) 2005-06-15
EP1477811A4 (en) 2005-04-27
EP1477811A1 (en) 2004-11-17
JPWO2003071282A1 (ja) 2005-06-16
WO2003071282A1 (fr) 2003-08-28
CA2476495A1 (en) 2003-08-28
US20050130323A1 (en) 2005-06-16
AU2003211344A1 (en) 2003-09-09
TW200303987A (en)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898B1 (ko) 고밀도 리포 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의 측정 방법 및 시약
US8119360B2 (en) Method, reagent and kit for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in remnant-like particles (RLP)
CA2869998C (en) Method for measuring component to be measured in specimen
JP5112861B2 (ja) 高密度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測定方法
US9671348B2 (en) Method for measuring component by treating aqueous sample with alpha-keto acid and then converting component to hydrogen peroxide
KR20040086409A (ko) 자동분석기의 폐액 라인에 대한 금속 수산화물 함유물의 부착 억제제
KR20140001996A (ko) Hdl 소분획 중의 콜레스테롤의 측정 방법, 측정용 시약 및 측정용 키트
JP3821773B2 (ja) ピロ燐酸定量用乾式分析素子
JPWO2003018614A1 (ja) 水性溶媒中で変質する物質の安定化方法
WO2023085323A1 (ja) 溶血ヘモグロビンによる測定誤差を低減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