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401A -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401A
KR20040085401A KR1020030020071A KR20030020071A KR20040085401A KR 20040085401 A KR20040085401 A KR 20040085401A KR 1020030020071 A KR1020030020071 A KR 1020030020071A KR 20030020071 A KR20030020071 A KR 20030020071A KR 20040085401 A KR20040085401 A KR 20040085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hinge
end module
unit
hea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호창
소원섭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5401A/ko
Publication of KR2004008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4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swivel mounted on the vehic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6Shoulder-strap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1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body usin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헤드램프부가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자동차 헤드램프부와; 상기 헤드램프부가 설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헤드램프부와, 상기 헤드램프부가 설치되는 캐리어에는, 서로 맞물려 미끄러질 수 있는 슬라이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에 의하면, 헤드램프부를 캐리어로부터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 슬라이드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한 헤드램프부와 캐리어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벌브 교체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되고 작업시간도 절감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헤드램프부가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요부를 크게 분류하면 섀시와 바디로 구분할 수 있다. 섀시(Sash)는 자동차가 자력으로 주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기능을 가진 요소로, 프레임에 엔진과 주행에 필요한 장치를 갖춘 것이다.
바디(Body)는 사람 및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차실, 화물칸, 엔진룸, 트렁크룸, 팬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에 섀시부품이 취부되는데,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부, 헤드램프부, 범퍼조립체 등이 개별적으로 바디에 설치되지 않고, 조립의 간편화 및 조립공수의 절감을 위하여 캐리어(carrier)에 각각 장착되어 프론트 엔드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이 자동차의 전방 바디부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프론트 엔드 모듈이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일부분의 부분해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엔드 모듈은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라디에이터부(20), 헤드램프부(30), 범퍼조립체(40), 및 기타 부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램프부(30)는, 캐리어(10)의 헤드램프 지지패널(11)에 장착되는데, 그 확대사시도를 도2에 나타내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램프부(30)의 뒷부분에는 체결구멍(32)이 형성된 고정용 브라켓(31)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31)에 대응하는 캐리어(10)의 헤드램프 지지패널(11)에는 상기 체결구멍(32)에 대응하는 체결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램프부(30)를 상기 캐리어(10)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체결구멍(32,32')이 서로 일치되도록 헤드램프부(30)를 캐리어(10)의 헤드램프 지지패널(11)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체결구멍(32,32')에 볼트(33)를 조임으로써 헤드램프부(30)를 캐리어(10)에 체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헤드램프부(30)는 체결된 볼트(33)를 모두 풀어서 제거하기 전에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헤드램프부(30)의 내부에 설치된 벌브(bulb,미도시) 등을 교체할 때에는, 헤드램프부(30)를 캐리어(10)로부터 탈거한 후에 교체작업을 행하고, 다시 캐리어(10)에 체결하여야 하였으므로, 교체작업이 번거로우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도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드램프부가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헤드램프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벌브 등을 교체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되는 구조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헤드램프부가 장착된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일 실시예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a)는 도3의 일부분의 결합전의 사시도이고, 도4(b)는 도4(a)의 결합후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의 결합 및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결합 및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캐리어, 30,300... 헤드램프부,
11,101... 헤드램프지지패널, 31,301... 고정용 브라켓,
32,302... 체결구멍, 400...슬라이드부,
401... 슬라이더, 401-1... 상면부,
401-2... 측면부, 401-3... 중앙부,
401-4... 레일홈, 402... 가이더,
402-1... 중간부, 402-2... 하면부,
402-3... 슬라이딩홈, 402-4... 수용부,
402-5... 여유부, 401'... 힌지몸체,
402'... 힌지고정부재, 403'... 힌지축,
404'... 힌지축구멍, W... 간격.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자동차 헤드램프부와; 상기 헤드램프부가 설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헤드램프부와, 상기 헤드램프부가 설치되는 캐리어에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슬라이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헤드램프부의 하면과 상기 캐리어의 상기 헤드램프부의 하면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슬라이더과, 상기 슬라이더에 맞물리는 가이더로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램프부와 상기 캐리어 중 어느 한쪽에는 슬라이더이 설치되고, 다른 한쪽에는 가이더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 중앙의 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더는, 그 중앙에는 수평방향으로 중간부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하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중앙부가 수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홈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그 내부가 빈 직육면체 모양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자동차 헤드램프부와; 상기 헤드램프부가 설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헤드램프부와 상기 헤드램프부가 설치되는 캐리어에는, 힌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헤드램프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힌지축구멍이 형성된 힌지몸체와, 상기 힌지몸체가 수용되는 힌치축구멍이 형성된 힌지고정부재, 및 힌지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램프부의 일측부와 상기 헤드램프부의 일측부에 대향하는 캐리어의 일부분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힌지몸체가 설치되고, 다른 한 쪽에는 상기 힌지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고정부재에 수용되고, 힌지축이 상기 힌지몸체와힌지고정부재의 힌지축구멍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일 실시예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결합 및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헤드램프부(300)가 설치되는 캐리어(100)와, 헤드램프부(300)와, 상기 헤드램프부(300) 및 캐리어(100)에 각각 설치되는 슬라이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100)에는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헤드램프부(300), 라디에이터(미도시) 및 범퍼조립체(미도시) 등의 많은 부품이 장착되지만, 여기에서는 본 발명과 무관한 사항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램프부(300)가 장착되는 캐리어(100)의 헤드램프지지패널(101)에 있어서, 헤드램프부(300)의 하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401)이 설치되며, 헤드램프부(300)의 고정용 브라켓(301)에 대향하는 면에는 고정용 브라켓(301)의 체결구멍(302)과 대응하는 체결구멍(302')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램프부(300)에 있어서, 그 뒤쪽 상부에는 헤드램프부(300)를 캐리어(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301)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401)에 대응하는 가이더(402, 확대도참조)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더(402)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고정용 브라켓(30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100)의체결구멍(302')에 대응하는 체결구멍(30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구멍(302,302')을 서로 일치시킨 후에 고정볼트(303)를 끼움으로써 헤드램프부(300)가 캐리어(100)에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드부(400)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01)와가이더(4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401)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부(401-1)와, 상기 상면부(401-1) 중앙의 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앙부(401-3)와, 상기 상면부(401-1)의 양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401-2)를 포함하는데, 상기 측면부(401-2)에는 수평방향으로 레일홈(401-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더(402)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 내부가 빈 직육면체 모양의 부재로서, 그 중앙에는 수평방향으로 중간부(402-1)가 형성되어 가이더(402)의 내부는 여유부(402-5)와 수용부(402-4)로 구분되는 한편, 그 하면에는 하면부(402-2)가 형성된다. 상기 여유부(402-5)는 헤드램프부(300)를 캐리어(100)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시켜 조립 및 작탈작업시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용부(402-4) 내에는 상기 슬라이더(401)의 상면부(401-1) 및 중앙부(401-3)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하면부(402-2)에는 상기 슬라이더(401)의 중앙부(401-3)가 수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홈(402-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도3에는, 상기 슬라이더(401)가 캐리어(100)의 헤드램프지지패널(101)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더(402)가 헤드램프부(300)의 하부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그와 반대로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의 결합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헤드램프부(300)를 캐리어(100)의 헤드램프지지패널(101)에 위치시켜, 상기 슬라이더(401) 및 가이더(402)가 서로 물리도록 헤드램프부(300)를 헤드램프지지패널(101) 쪽으로 밀어넣는다. 이에 따라,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01)의 상면부(401-1)가 가이더(402)의 수용부(402-4) 내에 수용되고, 슬라이더(401)의 중앙부(401-3)가 가이더(402)의 슬라이딩홈(402-3) 내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되는 한편, 가이더(402)의 하면부(402-2)가 슬라이더(401)의 측면부(401-2)의 레일홈(401-4) 내에 수용되어 슬라이드된다.
이 때, 가이더(402)의 중간부(402-1)의 하면과, 하면부(402-2)의 하면이 각각 슬라이더(401)의 상면부(401-1)의 상면과 측면부(401-2)의 레일홈(401-4)의 상면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슬라이더(401)의 상면부(401-1)의 하면이 가이더(402)의 하면부(402-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슬라이더(401)와 가이더(402)는 서로 지지되는 상태로 결합된다(도4(b) 참조).
그 후, 고정용브라켓(301) 및 캐리어(100)의 체결구멍(302,302')를 일치시켜 고정볼트(303)를 체결함으로써 결합을 완료한다. 그 후, 벌브를 교환하는 것과 같이 헤드램프부(300)를 정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고정볼트(303)를 풀어내고 헤드램프부(300)를 차량의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드부(400)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헤드램프부(300)가 앞쪽으로 미끄러진다(도5참조). 이에 따라, 헤드램프부(300)의 후면과 캐리어(100) 사이에 간격(W)이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간격(W)을 통하여 헤드램프부(300)를 정비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분의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결합 및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캐리어(100), 헤드램프부(300), 및 힌지부로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사항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캐리어(100)의 헤드램프지지패널(101)의 일측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힌지고정부재(402')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체결구멍(302')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램프부(300)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재(402')와 대향하는 면에는 힌지몸체(401')가 설치되는데, 그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힌지몸체(401')에는 수직방향으로 힌지축구멍(404')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는, 전술한 힌지몸체부(401')와, 힌지고정부재(402')와, 힌지축(4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몸체부(401') 및 힌지고정부재(402')에는 힌지축구멍(404')이 형성되어, 힌지축(403')이 상기 힌지축구멍(404')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됨으로써, 헤드램프부(300)는 캐리어(100)에 힌지결합된다.
도5에서는 힌지몸체(401')가 헤드램프부(300)에 설치되고, 힌지고정부재(402')가 캐리어(100)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그 반대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결합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힌지몸체(401')를 힌지고정부재(401') 사이에 위치시켜, 힌지축구멍(404')을 일치시킨 후에힌지축(403')을 상기 힌지축구멍(404')으로 관통시켜 힌지결합한다. 한편, 헤드램프부(300)의 고정용브라켓(301)의 체결구멍(302)을 캐리어(100)의 체결구멍(302')과 일치시킨 후에, 체결볼트(303)로 체결함으로써 헤드램프부(300)와 캐리어(100)와의 결합을 종료한다.
그 후, 벌브를 교환하는 것과 같이 헤드램프부(300)를 정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고정볼트(303)를 풀어내고 헤드램프부(300)를 회전시키면 힌지부의 작용으로 인하여 헤드램프부(300)가 회전하게 된다(도6참조). 이에 따라, 헤드램프부(300)의 후면과 캐리어(100)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간격을 통하여 헤드램프부(300)를 정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에 의하면, 헤드램프부를 캐리어로부터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 슬라이드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한 헤드램프부와 캐리어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벌브 교체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되고 작업시간도 절감된다.

Claims (7)

  1. 자동차 헤드램프부(300)와; 상기 헤드램프부(300)가 설치되는 캐리어(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부(300)와, 상기 헤드램프부(300)가 설치되는 캐리어(100)에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슬라이드부(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400)는, 상기 헤드램프부(300)의 하면과 상기 헤드램프부(300)의 하면에 대향하는 캐리어(1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400)는,
    슬라이더(401)과, 상기 슬라이더(401)에 맞물리는 가이더(402)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램프부(300)와 상기 캐리어(100) 중 어느 한쪽에는 슬라이더(401)이 설치되고, 다른 한쪽에는 가이더(40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1)는, 상면부(401-1)과, 상기 상면부(401-1) 중앙의 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앙부(401-3)과, 상기 상면부(401-1)의 양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401-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401-2)에는 수평방향으로 레일홈(40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402)는, 그 중앙에는 수평방향으로 중간부(402-1)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하면부(402-2)가 형성되며, 상기 하면부(402-2)에는 상기 슬라이더(401)의 중앙부(401-3)가 수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홈(402-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그 내부가 빈 직육면체 모양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6. 자동차 헤드램프부(300)와; 상기 헤드램프부(300)가 설치되는 캐리어(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부(300)와 상기 헤드램프부(300)가 설치되는 캐리어(100)에 힌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헤드램프부(300)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힌지축구멍(404')이 형성된 힌지몸체(401')와, 상기 힌지몸체(401')가 수용되는 힌지축구멍(404')이 형성된 힌지고정부재(402') 및 힌지축(40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램프부(300)의 일측부와 상기 헤드램프부(300)의 일측부에 대향하는 캐리어(100)의 일부분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힌지몸체(401')가 설치되고, 다른 한 쪽에 상기 힌지고정부재(402')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몸체(401')가 상기 힌지고정부재(402')에 수용되고, 힌지축(403')이 상기 힌지몸체(401')와 힌지고정부재(402')의 힌지축구멍(40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0030020071A 2003-03-31 2003-03-31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KR20040085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071A KR20040085401A (ko) 2003-03-31 2003-03-31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071A KR20040085401A (ko) 2003-03-31 2003-03-31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401A true KR20040085401A (ko) 2004-10-08

Family

ID=3736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071A KR20040085401A (ko) 2003-03-31 2003-03-31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54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1451A1 (de) 2007-02-19 2008-08-28 Hbpo Gmbh Frontendmodul für fahrzeuge
FR2914614A1 (fr) * 2007-04-06 2008-10-10 Faurecia Bloc Avant Bloc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KR20120062959A (ko) * 2010-12-07 2012-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KR20140000942A (ko) * 2012-06-26 2014-01-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FR3068109A1 (fr) * 2017-06-27 2018-12-28 Valeo Vision Dispositif et systeme d'eclairage pour vehicule automobile utilisant une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EP4082832A1 (de) * 2021-04-27 2022-11-02 Marelli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ermany) GmbH Vorrichtung, komponente und kraftfahrzeu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1451A1 (de) 2007-02-19 2008-08-28 Hbpo Gmbh Frontendmodul für fahrzeuge
FR2914614A1 (fr) * 2007-04-06 2008-10-10 Faurecia Bloc Avant Bloc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KR20120062959A (ko) * 2010-12-07 2012-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KR20140000942A (ko) * 2012-06-26 2014-01-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FR3068109A1 (fr) * 2017-06-27 2018-12-28 Valeo Vision Dispositif et systeme d'eclairage pour vehicule automobile utilisant une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EP3421876A1 (fr) * 2017-06-27 2019-01-02 Valeo Vision Dispositif et systeme d'eclairage pour vehicule automobile utilisant une source lumineuse surfacique
US10989383B2 (en) 2017-06-27 2021-04-27 Valeo Vision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motor vehicle using a surface light source
EP4082832A1 (de) * 2021-04-27 2022-11-02 Marelli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ermany) GmbH Vorrichtung, komponente und kraft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26955A (ja) 自動車用開放リ―フ把手
KR19990037950A (ko) 정형판넬상의 와이어 장착대 조립체
US6098265A (en) Setting fixture
KR20040085401A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80007343A (ko) 차량 구성요소
JP2005319906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070065033A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마운팅 구조
JP3377017B2 (ja) 自動車用ドアフレームの組立構造
JP4797512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11104390B2 (en) Motor vehicle with air-guide and drive
JP2000052852A (ja) ランプ取付構造
KR100309347B1 (ko) 자동차의 번호판등 장착구조
KR100534260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KR100857067B1 (ko) 아웃사이드미러 가장착 구조
KR100332572B1 (ko) 자동차용 배터리 장치
KR100536608B1 (ko) 사이드 트림 및 셀프 트림 결합장치
CN117681635B (zh) 全地形车、车门组件及车门风挡的拆装方法
KR200230989Y1 (ko) 패널결합장치
KR0125162Y1 (ko) 자동차용 트림 고정구
KR100435892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JPH10309998A (ja) 電話機ホルダー
KR200266241Y1 (ko)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결합 구조
KR20070056437A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0156443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 부착장치
KR100507005B1 (ko) 차량의 도어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