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177A -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177A
KR20040085177A KR10-2004-7012189A KR20047012189A KR20040085177A KR 20040085177 A KR20040085177 A KR 20040085177A KR 20047012189 A KR20047012189 A KR 20047012189A KR 20040085177 A KR20040085177 A KR 2004008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power
slot
transm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오 첸
용빈 웨이
아브니쉬 자인
에드워드 지. 주니어 타이드만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8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1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control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60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rates for TPC comm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를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다(104). 일 측면에서, 다수의 기지국들(104)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을 제어하는 단일 명령어를 형성하도록 조합된다(740). 다른 측면에서, "Or-of-up" 규칙이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채널 품질 지시기가 서비스하는 기지국을 전력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730). 다양한 다른 측면들도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측면들은 이동국과 서비스하는 기지국 및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모두 사이의 효율적인 전력 제어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그에 따라 과도한 간섭을 방지하고 용량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POWER CONTROL OF SERVING AND NON-SERVING BASE STATIONS}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과 데어터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을 제공하기위해 폭넓게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또는 어떤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증가된 시스템 용량을 포함하여 다른 타입의 시스템들보다 몇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CDMA 시스템은 (1) "듀얼-모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 TIA/EIA-95-B 이동국-기지국 호환가능성 표준"(IS-95 표준), (2)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터"(3GPP)로 명명된 컨소시엄에 의해 제공되고 문서 번호 3G TS 25.211, 3G TS 25.212, 3G TS 25.213 및 3G TS 25.214를 포함하는 문서 세트에 구현된 표준(W-CDMA 표준), (3)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컨소시엄에 의해 제공되고 "cdma2000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을 위한 TR-45.5 물리적 레이어 표준"에 구체화된 표준(IS-2000 표준), 및 (4) 어떤 다른 표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CDMA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위에 명명된 표준들에서, 이용가능한 스펙트럼이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동시에 공유되고, 전력 제어와 소프트 핸드오프와 같은 기술들이 음성과 같은 지연에-민감한(delay-sensitive)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충분한 품질을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데이터 서비스들도 이용가능하다. 최근에는, 고차 변조, 이동국으로부터 반송파 대 간섭비(C/I)의 초고속 피드백, 초고속 스케줄링 및 더 완화된 지연 여건들을 갖는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 용량을 향상시키는 시스템들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 기술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만의 시스템의 예는 TIA/EIA/IS-856 표준(IS-856 표준)을 따르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High Data Rate, HDR) 시스템이다.
위에 명명된 다른 표준들과 반대로, IS-856 시스템은 동시에 단일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각각의 셀에서 이용가능한 전체 스펙트럼을 사용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링크 품질 및 데이터 보류(data pending) 등과 같은 다른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이렇게 할 때, 시스템은 채널이 양호할 때 더 높은 레이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해 더 높은 시간 퍼센트를 소모하고, 이에 의해 불충분한 레이트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자원을 투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순수한 효과는 더 높은 데이터 용량, 더 높은 피크 데이터 레이트 및 더 높은 평균 스루풋이다.
시스템들은 IS-856 표준에 기술된 것과 같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과 함께, IS-2000 표준에 지원된 음성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과 같은 지연에-민감한 데이터를 지원하는 것을 통합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시스템은 LG 일렉트로닉스, LSI 로직, 루슨트 테크날러지, Nortel 네트워크,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및 삼성에 의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에 제출된 제안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제안은 2001년 6월 11일에 문서 번호 C50-20010611-009로서 3GPP2에 제출된 "Updated Joint Physical Layer Proposal for 1xEV-DV"; 2001년 8월 20일에 문서 번호 C50-20010820-011로서 3GPP2에 제출된 "Results of L3NQS Simulation Study"; 및 2001년 8월 20일에 문서번호 C50-20010820-012로서 3GPP2에 제출된 "System Simulation Results for the L3NQS Framework Proposal for cdma 2000 1xEV-DV"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들 문서들 및 후속하여 만들어진 C.S0001.C 내지C.S0006.C를 포함하는 IS-2000 표준의 Revision C와 같은 관련된 문서들은 이후에는 1xEV-DV 제안으로 언급된다.
1xEV-DV 제안에 기술된 것과 같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4개 클래스들의 채널들: 즉, 오버헤드 채널들, 동적으로 변화하는 IS-95 및 IS-2000 채널들, 순방향 패킷 데이터 채널(Forward Packet Data Channel, F-PDCH), 및 약간의 여분 채널들을 포함한다. 오버헤드 채널 할당들은 느리게 변화하여서 몇 개월 동안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할당들은 통상적으로 주요한 네트워크 구성 변화가 있을 때 변화된다. 동적으로 변화하는 IS-95 및 IS-2000 채널들은 호출 베이스로 할당되거나, IS-95 또는 IS-2000 버전(Release) 0 내지 B 패킷 서비스를 위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오버헤드 채널들과 동적으로 변화하는 채널들이 할당된 후에 남아있는 이용가능한 기지국 전력은 나머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F-PDCH에 할당된다. IS-2000 채널들이 추가의 지연에-민감한 서비스들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F-PDCH는 지연에 덜 민감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S-856 표준 내의 트래픽 채널과 유사하게, F-PDCH는 동시에 각각의 셀에서 하나의 사용자에게 최고의 지원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사용된다. IS-856에서, 기지국의 전체 전력과 왈쉬 함수(Walsh function)들의 전체 공간은 이동국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제안된 1xEV-DV 시스템에서, 일부 기지국 전력과 일부 왈쉬 함수들은 오버헤드 채널 및 기존의 IS-95와 cdma2000 서비스에 할당된다. 오버헤드, IS-95 및 IS-2000을 위한 전력 및 왈쉬코드가 할당된 후에 지원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는 주로 이용가능한 전력 및 왈쉬 코드들에 의존한다. F-PDCH상에 전송된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왈쉬 코드들을 사용하여 확산된다.
1xEV-DV 제안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셀에서 패킷 서비스들을 사용하고 있을 지라도,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동시에 F-PDCH 상의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한다. (2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해 전송을 스케줄링하고 각각의 사용자에게 전력 및/또는 왈쉬 채널들을 적절히 할당함으로써 2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국들은 어떤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순방향 링크 전송을 위해 선택된다.
IS-856 또는 1xEV-DV와 유사한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은 이동국들이 서비스되는 채널 품질 피드백에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를 들어, IS-856에서, 이동국들은 순방향 링크 품질을 평가하고 현재 상황을 유지할 수 있다고 예상된 전송 레이트를 계산한다. 각각의 이동국으로부터 원하는 레이트가 기지국에 전송된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공유 통신 채널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송 레이트를 지원하는 전송을 위한 이동국을 선택한다. 다른 예로서, 1xEV-DV 시스템에서, 각각의 이동국은 역방향 채널 품질 지시기 채널(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R-CQICH)에 대한 채널 품질 평가로서 반송파 대 간섭비(C/I) 평가를 전송한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상기 채널 품질에 따른 적절한 레이트 및 전송 포맷뿐만 아니라, 전송을 위해 선택된 이동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미국특허 제6,229,795호에 기술된 Proportional-Fair algorithm과 같은 다양한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동국은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링크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술된 바와 같이, 이동국으로부터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링크 피드백은 순방향 링크 스케줄링 및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서비스하는 기지국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된 시스템들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는 이러한 순방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즉, 이동국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패킷 데이터 채널(F-PDCH)을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동국은 역방향 링크 스위칭 다이버서티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하지 않는(non-serving) 기지국들 및/또는 섹터들과 역방향 링크에서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에 있을 것이다. 이동국과 다중 기지국들 사이의 각각의 경로의 경로 손실 특성들이 일반적으로 상이할 것이기 때문에, 이동국으로의 전송을 위한 서비스하는 기지국 전력 제어 메커니즘은 동일한 이동국에 대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적당하지 않을 것이다. 시스템 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이동국과 전력제어될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 사이에서 시그널링하는 순방향 링크뿐만 아니라 역방향 링크에 대해서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에 대한 전력 제어 루프는 역방향 링크에 과도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2002년 2월 7일에 출원되고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POWER CONTROL DURING SOFT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으로 명명된 미국 가출원 제 60/355,223호; 2002년 2월 12일에 출원되고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POWER CONTROL DURING SOFT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으로 명명된 미국 가출원 제 60/356,929호; 2002년 2월 26일에 출원되고 "POWER CONTROL OF THE F-CPCCPH(FORWARD COMMON POWER CONTROL CHANNEL) IN IS-2000 REV.C(1XEV-DV)"로 명명된 미국 가출원 제 60/360,271호; 및 2002년 3월 5일에 출원되고 "POWER CONTROL USING PC BIT STREAMS OF DIFFERENT RATES"로 명명된 미국 가출원 제 60/362,11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출원 모두는 본 양수인에 양도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명백히 편입되어 있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를 위한 새롭고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시스템에서 구성된 예시적인 이동국과 기지국을 도시하고;
도 3은 이동국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서비스하는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트림 및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트림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는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도 6은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의 예시적인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7은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순방향 전력 제어의 예시적인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9는 R-CQICH 반복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도 10은 R-PCSCH 반복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도 11은 전력 제어 명령어들과 F-CPCCH 채널들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에 대한 요구를 처리한다. 일 측면에서, 다수의 기지국들에 대한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다수의 기지국들을 제어하는 단일 명령어를 형성하도록 조합된다. 다른 측면에서, "Or-of-up" 규칙이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채널 품질 지시기가 서비스하는 기지국(serving station)을 전력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다른 측면들이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측면들은 이동국과 서비스하는 기지국 및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모두 사이에서 효율적인 전력 제어를 제공하는 장점을 갖고, 따라서 과도한 간섭을 감소시키고 성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이하 더 자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을 실행하는 방법 들 및 시스템 요소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 성질 및 장점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가 전 도면에서 일관되게 사용되는 도면들을 참조한 이하의 자세할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CDMA 표준들 및 설계들(예를 들어, W-CDMA 표준, IS-95 표준, cdma2000 표준, HDR 사양, 1xEV-DV 제안)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다이어그램이다. 택일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또한 CDMA 시스템 이외의 다른 무선 표준 또는 설계를 사용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시스템(100)은 2개의 이동국들(106)과 통신하는 3개의 기지국들(104)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기지국과 그의 커버리지 영역은 종종 집합적으로 "셀(cell)"로 언급된다. IS-95에서, 셀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W-CDMA 사양에서, 각각의 기지국 섹터 및 상기 섹터의 커버리지 영역은 셀로서 언급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어 기지국은 용어 액세스 포인트나 노드 B(Node B)와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이동국은 용어 사용자 장치(UE),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액세스 단말기, 원격 단말기,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상응하는 용어들과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이동국은 고정된 무선 응용들을 수반한다.
실행되는 CDMA 시스템에 따라, 각각의 이동국(106)은 임의의 순간에 순방향 링크에서 하나의(또는 가능하게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104)과 통신할 수 있고,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프인지 아닌지에 따라 역방향 링크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즉, 다운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전송을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즉, 업링크)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의미한다.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예들은 기지국들을 신호의 발생자(originator)로 가정하고 이동국들을 순방향 링크에서의 신호들인 신호들의 수신자 또는 획득자로서 가정할 수 있다. 당업자는 기지국들뿐만 아니라 이동국들도 여기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측면들은 그러한 상황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단어 "예시적인(exemplary)"은 "예, 실증 또는 설명으로서 역할을 하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예시적인"으로 설명되는 어떤 실시예도 다른 실시예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이익이 되는 것으로 고려될 필요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IS-95 시스템과 같은 통신 자원을 동시에 공유하는 다중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거나, IS-856 시스템과 같은 동시에 하나의 사용자에게 전체 통신 자원을 할당할 수 있거나, 또는 두 가지 타입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통신 자원을 배분할 수 있다. 1xEV-DV 시스템은 두 가지 타입의 액세스 사이에 통신 자원을 분할하는 시스템의 예이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분배량(apportionment)을 동적으로 할당한다. 다음은 통신 자원이 두 가지 타입의 액세스 시스템들에서 다양한 사용자들을 수용하도록 할당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간략한 배경이다. 전력 제어는 IS-95 타입 채널들과 같은 다중 사용자들에 의한 동시 액세스를 위해 기술된다. 레이트 결정 및 스케줄링은 1xEV-DV 타입 시스템(즉, F-PDCH)의 데이터만의 부분(data-only portion) 또는 IS-856 시스템과 같이, 다중 사용자들에 의해 시간-공유된 액세스를 위해 논의된다. "외부 루프(outer loop)"는 두 가지 액세스 타입들과 관련하여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그의 의미는 두 가지 문맥들(contexts)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IS-95 CDMA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서의 용량은 시스템 내의 다양한 사용자들과 신호들을 송수신할 때 생성된 간섭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통상적인 CDMA 시스템의 특징은 이동국과의 송수신을 위해 신호를 인코딩하고 변조하여, 신호가 다른 이동국들에 의해 간섭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에서, 기지국과 하나의 이동국 사이의 채널 품질은 다른 사용자 간섭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이동국과의 원하는 통신 성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동국에 전용된 전송 전력은 그 채널에서의 다른 교란(disturbance) 및 악화(degradation)뿐만 아니라, 그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다른 이동국들에 전송된 전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비스되는 각각의 이동국에 필요한 최소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CDMA 시스템에서, 다중 이동국들이 기지국에 전송하고 있을 때, 정규화된 전력 레벨로 다수의 이동국 신호들을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시스템은 각각의 이동국으로부터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인접한 이동국들로부터의 신호들이 멀리 있는 이동국들로부터의 신호를 제압하지(overpower) 않도록 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에서와 같이, 각각의 이동국의 전송 전력을 원하는 성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전력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증가된 통화(talk) 및 대기(standby) 시간, 감소된 배터리 요건들 등과 같은 다른 전력 절감의 이익에 덧붙여, 용량이 최적화되도록 한다.
IS-95와 같은 통상적인 CDMA 시스템에서의 용량은, 다른 것보다, 다른 사용자 간섭에 의해 제한된다. 다른 사용자 간섭은 전력 제어를 사용하여 완화될 수 있다. 용량, 음성 품질,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스루풋을 포함하여, 시스템의 전체 성능은 기지국들이 원하는 성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가장 낮은 전력 레벨로 전송하는 것에 의존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전력 제어 기술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기술 클래스는 폐쇄 루프 전력 제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폐쇄 루프 전력 제어는 순방향 링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동국에서 내부 및 외부 전력 제어 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루프는 원하는 수신 에러율에 따라 목표 수신 전력 레벨(target received power level)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1%의 목표 프레임 에러율이 원하는 에러율로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외부 루프는 프레임 또는 블록 당 한번씩과 같이 비교적 느린 레이트로 목표 수신 전력 레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대응하여, 그 후에 내부 루프는 수신된 전력이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에 업 또는 다운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필요한 신호 대 잡음 및 간섭 비를 달성하기에 필요한 레벨까지 전송 전력을 빨리 적용하도록, 이러한 내부 루프 전력 제어 명령어는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국에 대한 순방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가장 낮은 레벨로 유지시키는 것은 각각의 이동국에서 보이는 다른 사용자 간섭을 감소시키고 다른 목적을 위해 이용가능한 전송 전력이 예비되도록 한다. IS-95와 같은 시스템에서, 나머지 이용가능한 전송 전력은 추가적인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xEV-DV와 같은 시스템에서, 나머지 이용가능한 전송 전력은 추가적인 사용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또는 시스템의 데이터만의 부분의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술된 전력 제어를 위해 외부 루프 또는 내부 루프는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만의 채널에서 사용하도록 한정된 유사하게 라벨링된 제어 루프와 상이할 수 있다.
IS-856과 같은 "데이터만의(data-only)" 시스템에서, 또는 1xEV-DV와 같은 시스템의 "데이터만의" 부분에서, 제어 루프는 시간-공유 방식으로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의 전송을 지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다음의 논의에서,동시에 하나의 이동국으로의 전송이 기술된다. 이는 동시 액세스 시스템, IS-95인 예, 또는 cdma2000 또는 1xEV-DV 시스템 내의 다양한 채널들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2가지 요점이 기술된다.
첫째, 용어 "데이터만의" 또는 데이터 채널"은 단지 논의의 명확성을 위해 IS-95 타입 음성 또는 데이터 채널들(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제어를 사용하는 동시 액세스 채널들)로부터 하나의 채널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데이터만의 또는 데이터 채널들이 음성(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VOIP))을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 특정한 데이터 타입에 대한 임의의 특정 실시예의 유용성은 부분적으로 스루풋 요건들, 지연시간(latency) 요건들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원하는 지연시간 레벨들, 스루풋, 서비스 품질 등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 파라미터들과 어느 하나의 액세스 타입을 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쉽게 적용할 것이다.
둘째, 통신 자원을 시간-공유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1xEV-DV에 대해 기술된 것과 같은 시스템의 데이터-만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의 액세스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자원이 특정 시간 동안 하나의 이동국 또는 사용자와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시간-공유되는 것으로 기술되는 실시예에서, 당업자는 이러한 예들을 그 시간대 이내에 하나 이상의 이동국 또는 사용자로의 시간-공유된 전송을 허용하도록 쉽게 적용시킬 것이다.
통상적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타입의 채널들을 포함할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들이 보통 사용된다. 또한, 인-밴드(in-band) 제어 시그널링이 데이터 채널에 포함될 수 있더라도,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들이 사용되는 것이 또한 보통이다. 예를 들어, 1xEV-DV 시스템에서,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F-PDCCH)과 순방향 패킷 데이터 채널(F-PDCH)은 각각 순방향 링크에서 제어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정의된다.
도 2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적용된 시스템(100) 내에 구성된 예시적인 이동국(106)과 기지국(104)을 도시한다. 기지국(104)과 이동국(106)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동국(106)은 수신하는 서브시스템(receiving subsystem, 220)에서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순방향 데이터 및 제어 채널들을 통신하는 기지국(104)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동국(106)에 대해 서비스하는 국으로 여기서 언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수신하는 서브시스템이 도 3에 대해 이하 더 자세히 기술된다. 반송파 대 간섭(C/I) 평가가 이동국(106)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를 위해 만들어진다. C/I 측정값은 채널 평가로서 사용되는 채널 품질 메트릭의 예이고, 택일적인 채널 품질 메트릭들이 택일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C/I 측정값은 기지국(104)에서 전송 서브시스템(210)으로 전달되고, 그의 예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기술된다.
전송 서브시스템(210)은 역방향 링크를 통해 C/I 평가를 전달하는데, 상기 역방향 링크에서 상기 평가는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소프트 핸드오프 상황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된 역방향 링크 신호들은 여기에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 언급되는, 서비스하는 기지국 이외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104)내의, 수신하는 서브시스템(230)은 이동국(106)으로부터 C/I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104)내의, 스케줄러(240)는 데이터가 서비스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에 전송되어야 하는 지 및 전송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임의의 타입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례가 1997년 2월 11일에 출원되고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RATE SCHEDULING"으로 명명된 미국특허출원 제 08/798,95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 양도되어 있다.
예시적인 1xEV-DV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그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C/I 측정값이 데이터가 특정 레이트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할 때 순방향 링크 전송을 위해 선택된다. 시스템 용량의 견지에서, 공유된 통신 자원이 항상 최대 지원가능한 레이트로 이용되도록 목표 이동국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선택된 통상적인 목표 이동국은 가장 큰 보고된 C/I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인자들이 또한 스케줄링 결정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의 서비스 보증(service guarantee) 품질이 다양한 사용자들에 대해 이루어져 왔다. 상대적으로 낮은 보고된 C/I를 가지고서, 이동국은 전송이 그 사용자에 대해 최소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예시적인 1xEV-DV 시스템에서, 스케줄러(240)는 어느 이동국을 전송할지, 및 그 전송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 변조 포맷과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IS-856 시스템과 같은 택일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지원가능한 레이트/변조 포맷 결정은 이동국에서 측정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송 포맷이 C/I 측정값을 대신하여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전송될 수 있다. 당업자는 지원가능한 레이트들, 변조 포맷들, 전력 레벨들, 및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의 수많은 조합들을 인식할 것이다. 나아가,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스케줄링 작업들이 기지국에서, 택일적인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더라도, 스케줄링 프로세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이동국에서 발생할 수 있다.
스케줄러(240)는 전송 서브시스템(250)이 선택된 레이트, 변조 포맷, 전력 레벨 등을 사용하여 순방향 링크인 선택된 이동국에 전송하도록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채널(F-PDCCH) 상의 메시지들은 데이터 채널(F-PDCH) 상의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제어 채널은 통신 세션 동안 사용가능한 다른 통신 파라미터들을 식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F-PDCH 상의 데이터의 수취(recipient) 이동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F-PDCCH가 상기 이동국이 전송의 목적지인 것을 지시할 때 F-PDCH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조하여야 한다. 이동국은 전송의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메시지로써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후속하는 역방향 링크에 응답한다. 공지된 재전송 기술들이 데이터 통신 시스템들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동국은 소프트 핸드오프로 알려진 조건인,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는 다중 BTS들로부터의 섹터들뿐만 아니라, 소프터 핸드오프로 알려진 하나의 기지국(또는 하나의 기지국 트랜시버 서브시스템(BTS))으로부터의 다중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에서의 기지국 섹터들은 일반적으로 이동국의 활성 세트(Active Set)에 저장된다. IS-95, IS-2000 또는 1xEV-DV 시스템의 상응하는 부분과 같은 동시에 공유된 통신 자원 시스템에서, 이동국은 활성 세트 내의 모든 섹터들로부터 전송된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조합할 수 있다. IS-856 또는 1xEV-DV 시스템의 상응하는 부분과 같은 데이터만의 시스템에서, 이동국은 활성 세트 내의 하나의 기지국인 (C.S0002.C 표준에 기술된 것과 같은 이동국 선택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링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예들이 이하 더 자세히 기술되는, 다른 순방향 링크 신호들도 또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동국으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신호들은 다중 기지국들에서 수신될 수 있고, 역방향 링크의 품질은 일반적으로 활성 세트 내의 기지국들에 대해 유지된다. 다중 기지국들에서 수신된 역방향 링크 신호들이 조합되는 것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함께 배열되지 않은(non-collocated) 기지국들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신호들을 소프트 조합하는 것은 매우 작은 지연과 상당한 네트워크 통신 대역폭을 요구할 것이고, 따라서 위에 리스트된 예시적인 시스템들은 이를 지원하지 않는다. 소프터 핸드오프에서, 단일 BTS 내의 다중 섹터들에서 수신된 역방향 링크 신호들은 네트워크 시그널링없이 조합될 수 있다. 임의의 역방향 링크 신호 조합 타입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전술한 예시적인 시스템들에서,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는 역방향 링크 프레임들이 하나의 BTS(스위칭 다이버시터)에서 성공적으로 디코딩되도록 품질을 유지한다.
IS-95, IS-2000 또는 1xEV-DV 시스템의 상응하는 부분과 같은 동시에 공유된 통신 자원 시스템에서, 이동국과의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에 있는 각 기지국(즉, 이동국의 활성 세트)은 이동국의 역방향 링크 파일롯 품질을 측정하고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스트림을 송출한다. IS-95 또는 IS-2000 Rev. B에서, 각각의 스트림은, 만을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면, 순방향 기본 채널(Forward Fundamental channel, F-FCH) 또는 순방향 전용 제어 채널(Forward Dedicated Control Channel, F-DCCH) 상으로 평처링된다(punctured). 이동국의 명령어들 스트림은 이동국에 대한 순방향 전력 제어 서브 채널(F-PCSCH)로 불린다. 이동국은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모든 활성 세트 멤버들로부터 병렬 명령어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이동국의 활성 세트내의 모든 경우에, 하나의 BTS로부터의 다중 섹터들은 그 이동국으로 동일한 명령어를 송신함), "업(up)" 또는 "다운(down)" 명령어가 송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이동국은 그에 따라 "Or-of-downs" 규칙을 사용하여 역방향 링크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하는데, 즉, 전송 전력 레벨은 어떤 "다운" 명령어가 수신되면 감소되고, 그렇지 않으면 증가된다.
F-PCSCH의 전송 전력 레벨은 통상적으로 서브채널을 전달하는 호스트 F-FCH 또는 F-DCCH의 레벨로 제한된다. 기지국에서의 호스트 F-FCH 또는 F-DCCH 전송 전력 레벨은 역방향 전력 제어 서브채널(R-PCSCH)에서 이동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서브채널은 역방향 파일럿 채널(R-PICH)의 최종 쿼터를 차지한다.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F-FCH 또는 F-DCCH는 트래픽 채널 프레임들의 단일 스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R-PCSCH는 이러한 레그(leg)들의 조합된 디코딩 결과를보고한다. F-FCH 또는 F-DCCH의 삭제(erasure)는 외부 루프의 원하는 Eb/Nt 세트 포인트를 결정하는데, 상기 포인트는 차례로 R-PCSCH 상의 내부 루프 명령어들 및 그에 따른 F-FCH, F-DCCH뿐만 아니라 이들 채널 상의 F-PCSCH의 기지국 전송 레벨들을 구동시킨다.
소프트 핸드오프에 있는 단일 이동국으로부터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에서의 전위차(potential difference) 때문에, 활성 세트 내의 기지국들 중 일부는 R-PCSCH를 신뢰할 수 있게 수신하지 못할 수 있고 F-FCH, F-DCCH 및 F-PCSCH의 순방향 링크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할 수 있다. 기지국들은 그들 사이의 전송 레벨을 재-정렬시켜,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프의 공간 다이버시터 이득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순방향 링크 레그들 중 일부는 이동국으로부의 피드백에서의 에러들 때문에 트래픽 신호 에너지를 거의 또는 전혀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상이한 기지국들은 동일한 역방향 링크 세트 포인트 또는 수신 품질을 위해 상이한 이동국 전송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상이할 수 있고 MS에서 소프트 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새로운 멤버들이 활성 세트에 부가되는 경우(즉, 소프트가 아닌 핸드오프로부터 일방향(1-way) 소프트 핸드오프, 또는 일방향으로부터 이방향(2-way) 소프트 핸드오프), F-PCSCH 전송 전력은 호스트 F-FCH 또는 F-DCCH에 대해 증가된다. 이는 후자가 공간 다이버시티(필요한 더 적은 전체 Eb/Nt) 및 로드 공유(레그 당 더 적은 에너지) 모두를 가지지만 전자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반대로, 1xEV-DV 시스템에서, 순방향 공통 전력 제어 채널(F-CPCCH)은 순방향 기본 채널(F-FCH) 또는 순방향 전용 제어 채널(F-DCCH)없이 이동국에 대한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를 운반한다. 1xEV-DV 제안의 초기 버전에서, F-CPCCH의 기지국 전송 전력 레벨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채널 품질 지시기 채널(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R-CQICH)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되었다. R-CQICH는 순방향 링크 채널 품질 측정값에 응답하여 적당한 순방향 링크 전송 포맷 및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스케줄링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에 있을 때, R-CQICH는 단지 서비스하는 기지국 섹터의 순방향 링크 파일롯 품질만을 보고하고, 따라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의 F-CPCCH를 직접 전력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이하 논의된다. 예시적인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은데: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가 모든 활성 세트 멤버들에 대해 유지된다. 이동국들은 역방향 링크 전송 레벨을 변경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Or-of-down" 규칙을 사용한다. R-CQICH는 서비스하는 기지국을 전력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추가로 기술되는, "Or-of-up" 규칙과 같은 다른 규칙은 모든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대해 단일 전력 제어 피드백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이동국에서 사용된다.
도 3은 이동국(106) 또는 기지국(104)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블록들은 일반적으로 기지국(104) 또는 이동국(106)에 포함된 부품들의 서브세트일 것이다. 당업자는 임의 개수의기지국 또는 이동국 구성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쉽게 적용할 것이다.
신호들은 안테나(310)에 수신되고 수신기(320)에 전달된다. 수신기(320)는 위에 리스트된 표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시스템 표준들에 따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수신기(320)는 기저대역 변환, 증폭,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 필터링 등에 대한 무선 주파수(RF)와 같은 다양한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다양한 수신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별도의 채널 품질 평가기(335)가 이하 기술되는 논의의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만, 디바이스가 각각 이동국 또는 기지국인 경우, 수신기(320)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링크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320)로부터의 신호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들에 따라 복조기(325)에서 복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1xEV-DV 신호들을 복조할 수 있는 복조기가 사용된다. 택일적인 실시예들에서, 택일적인 표준들이 지원될 수 있고, 실시예들은 다중 통신 포맷들을 지원할 수 있다. 복조기(330)는 RAKE 수신, 균등화(equalization), 조합(combining),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디코딩, 및 수신된 신호들의 포맷에서 필요한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복조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기지국(104)에서, 복조기(325)는 역방향 링크에 따라 복조할 것이다. 이동국(106)에서, 복조기(325)는 순방향 링크에 따라 복조할 것이다. 여기서 기술된 데이터와 제어 채널들 모두는 수신기(320) 및 복조기(325)에서 수신되고 복조될 수 있는 채널들의 예들이다. 순방향 데이터 채널의 복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채널 상의 시그널링에 따라 발생될 것이다.
메시지 디코더(330)는 복조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각 순방향 또는 역방향 링크들 상의 이동국(106) 또는 기지국(104)으로 유도된 신호들 또는 메시지들을 추출한다(extract). 메시지 디코더(330)는 시스템 상의 (음성 또는 데이터 세션들을 포함하여) 호출을 설정하고, 유지하고 해체(tearing down)할 때, 사용된 다양한 메시지들을 디코딩한다. 메시지는 C/I 측정값들, 전력 제어 메시지들, 또는 순방향 데이터 채널을 복조하기 위해 사용된 제어 채널 메시지들과 같은 채널 품질 표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메시지 타입들이 공지되어 있고, 지원되는 다양한 통신 표준들에 기술되어 있을 수 있다. 메시지들은 후속의 프로세싱에서 사용하기 위해 프로세서(350)에 전달된다. 별도의 블록이 논의의 명확화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만, 메시지 디코더(330)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모두는 프로세서(3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복조기(325)는 특정한 정보(예를 들어 ACK/NAK와 같은 단일 비트 메시지 또는 전력 제어 업/다운 명령어)를 디코딩할 수 있고, 상기 정보를 프로세서(35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채널 품질 평가기(335)는 수신기(320)에 연결되어, 여기에서 기술된 프로시저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전력 레벨 평가를 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또한 복조와 같은 통신에서 사용된 다양한 다른 프로세싱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동국(106)에서, C/I 측정이 행해질 수 있다. 덧붙여, 시스템에서 사용된 임의의 신호 또는 채널의 측정은 주어진 실시예의 채널 품질 평가기(335)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하 전체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전력 제어 채널들은 다른 예이다. 기지국(104) 또는 이동국(106)에서, 수신된 파일롯 전력과 같은 단일 세기 평가가행해질 수 있다. 채널 품질 평가기(335)는 단지 논의의 명확성을 위해 별도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신기(320) 또는 복조기(325)와 같이, 이와 같은 블록은 다른 블록 내에 통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양한 타입의 신호 세기 평가가 어느 신호 또는 어느 시스템 타입이 평가되고 있는지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 타입의 채널 품질 메트릭 평가 블록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채널 품질 평가기(335)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4)에서, 채널 품질 평가는 이하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역방향 링크 품질을 스케줄링하거나 결정할 때 사용하기 위해 프로세서(350)로 전달된다. 채널 품질 평가는 업 또는 다운 전력 제어 명령어가 순방향 또는 역방향 링크 전력을 원하는 세트 포인트로 구동하기 위해 요구된다. 원하는 세트 포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메커니즘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신호들은 안테나(310)를 통해 전송된다. 전송된 신호들은 상기 리스트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시스템 표준들에 따라 송신기(370)에서 포맷된다. 송신기(370)에 포함될 수 있는 부품들의 예는 증폭기들, 필터들,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 무선 주파수(RF) 변환기 등이다. 전송할 데이터는 변조기(365)에 의해 송신기(370)로 제공된다. 데이터 및 제어 채널들이 다양한 포맷들에 따라 전송하기 위해 포맷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 데이터 채널 상의 전송할 데이터는 C/I 또는 다른 채널 품질 측정에 따른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해 지시된 레이트 및 변조 포맷에 따라 변조기(365)에서 포맷될 수 있다. 전술한 스케줄러(240)와 같은 스케줄러는 프로세서(350)에 상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기(370)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전력 레벨에서 전송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변조기(365)에 통합될 수 있는 부품들의 예는 인코더들, 인터리버들, 확산기들, 및 다양한 타입의 변조기들을 포함한다.
메시지 생성기(360)는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메시지들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I 메시지들은 역방향 링크 상의 전송을 위해 이동국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타입의 제어 메시지들은 각각 순방향 또는 역방향 링크들 상의 전송을 위해 기지국(104) 또는 이동국(106)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복조기(325)에서 수신되고 복조된 데이터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해 프로세서(350)에 전달될 수 있고, 도한 다양한 다른 부품들에도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송할 데이터는 프로세서(350)로부터 변조기(365) 및 송신기(370)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데이터 응용들이 프로세서(350) 상에,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또는 106)에 포함된 다른 프로세서(미도시) 상에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104)은 다른 장치(미도시)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들(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국(106)은 랩톱 컴퓨터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로의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특정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수신기(320), 복조기(325), 메시지 디코더(330), 채널 품질 평가기(335), 메시지 생성기(360), 변조기(365), 또는 송신기(370)의 기능들 중 일 부 또는 모두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필요한 임의의 다른 프로세서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이러한 작업들(상세사항 미도시)에서 보조할 특정 목적 하드웨어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또는 음성 응용들은 외부에 연결된 랩톱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의 연결과 같은 외부 응용일 수 있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또는 106) 내의 부가적인 프로세서(미도시) 상에서 운영될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350) 자체에서 운영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시저 및 여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메모리(355)와 연결된다. 당업자는 메모리(355)가 프로세서(350) 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xEV-DV와 같은 데이터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트래픽 채널들은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높은 확률로서 디코딩되고(스위칭 다이버시티) 모든 역방향 링크 기지국들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R-CQICH의 신뢰할 수 있는 수신이 서비스하는 기지국에서 요구된다. R-CQICH는 BTS가 F-PDCH를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도록 순방향 링크 채널 조건을 빠르게 업데이트한다.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이동국은 이동국이 그 BTS와 소프터 핸드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의 서비스하는 섹터 이상에 의해 전송될 수있는 서비스하는 BTS로부터 단일 F-CPCCH를 수신한다. 상기 F-CPCCH를 위한 순방향 링크 전송 전력은 (전술한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외부 루프 없이 테이블-룩업을 통해 이동국으로부터의 R-CQICH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동국은 다중 BTS들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설계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다. 여러 접근 방법들이 이하 기술된다.
한가지 접근 방법은,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사용되는 것과 같이,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단일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피드백 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순방향 링크 전력 또는 용량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 F-CPCCH들을 도입함으로써 소비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시 말하자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은 이동국의 전송 전력을 전력제어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이동국은 R-CQICH를 제외한 순방향 링크 측정을 측정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역방향 링크 상의 추가적인 기지국들에 대해 피드백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접근 방법의 주요한 단점은 순방향 링크와 역방향 링크 사이에 불균형이 존재할 때 용량이 심각하게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때때로, 이동국으로부터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은 동일한 이동국으로부터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의 것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은 간섭이 발생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단이 없을 때 이동국으로부터의 높은 간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접근 방법은 각각의 서비스하지 않는 BTS마다 하나씩, 시분할 멀티플렉싱된 R-PCSCH 명령어 스트림들로써 모든 활성 세트 멤버 BTS로부터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피드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순방향/역방향 링크 불균형 문제를 완화시키지만, 다중 역방향 링크 피드백 신호들이 시간-멀티플렉싱되기 때문에, 지원가능한 레이트는 감소될 수 있고, 또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 레이트 및 관련된 간섭은 증가되어야 한다. 상기 레이트는 심볼 반복이 R-PCSCH가 모든 활성 세트 멤버 기지국들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로 전송 전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레이트의 증가는 추가적인 역방향 링크 전력 및 그에 따른 감소된 용량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4는 서비스하는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트림 및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 2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트림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동국(106)은 각각의 활성 세트 기지국(104A 내지 104C)으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트림, F-CPCCH를 수신한다. 상기 예에서, 각각의 기지국(104A 내지 104C, BS1내지 BS3)은 각각 (410A, 1 내지 410C, 1)으로 라벨링된 섹터 1과 섹터 2의 2개의 섹터들을 각각 포함한다. 이 예에서, 활성 세트는 섹터들(410A 1-2, 410B 1-2, 및 410C)을 포함한다. 이는 이동국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내의 다중 섹터들(소프터)뿐만 아니라 다중 기지국들(소프트)과의 핸드오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소위 소프트-소프터 핸드오프의 예이다. 각각의 활성 세트 섹터는 이동국(106)으로 F-CPCCH를 전송한다. 단일 기지국의 섹터들에 대한 F-CPCCH는 이동국에 조합하기 위한 동일한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에서 역방향 링크는 섹터 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공통 전력 제어 명령어 스트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106)은 모든 활성 세트 멤버 BTS로부터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피드백을 제공한다. R-CQICH가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대해 사용된다. 하나의 역방향 전력 제어 서브채널(R-PCSCH) 명령어 스트림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멤버 섹터는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F-CPCCH를 전송한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은 순방향 링크 조건 또는 R-CQICH로부터의 이동국에서의 F-CPCCH 수신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없고, 이동국은 R-CQICH에 부가하여 R-PCSCH를 송신한다. R-CQICH가 F-CPCCH 상의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지만, R-PCSCH는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 F-CPCCH의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해 전용된다.
각각의 BTS로부터 이동국까지 모든 섹터들을 통해 단지 하나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비트 스트림만이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이와 같이, 서비스하는 BTS의 서비스하지 않는 섹터들로부터 F-CPCCH에 대해 추가적인 전력 제어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터화된 BTS에서 역방향 링크의 수신은 모든 섹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BS3의 섹터 2(410C, 2)는 이 실시예에서 활성 세트 상태에 있지 않지만, 여전히 필요하다면 R-PCSCH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유의하라.
도 5는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는 단계(510)에서 시작되는데, 여기서 활성 세트인 각각의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링크 파일롯을 측정한다. 단계(520)로 진행된다. 단계(520)에서, 각각의 섹터는 측정된 파일롯 전력에 응답하여 생성된 전력 제어 명령어와 함께 F-CPCCH를 전송한다. 임의의 전력 제어 프로시저가 위에 예시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택일적인 실시예에서, 역방향 링크 파일롯 이외의 신호가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계(530)로 진행된다. 단계(530)에서, 이동국은 하나의 기지국의 섹터들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소프트 조합한다. 단계(540)로 진행된다. 단계(540)에서, 이동국은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의 "Or-of-downs"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역방향 링크 전송 전력을 변경시킨다. 그 후에 프로세스는 중지될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전력 제어 그룹 동안 한번 반복된다.
도 6은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의 예시적인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 예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상응하고, 도 5에 대해 자세히 설명된 단계들이 상응하는 단계 번호들을 갖는 타원형들(ovals)로 도시되어 있다. 역방향 링크 파일롯은 각각의 기지국(BS1-BS3)에서 수신된다. 전력 제어 그룹들은 (PCGi, PCGi +1, PCGi +2, 등으로 라벨링된다. 기지국들은 단계(51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PCGi동안 역방향 링크 파일롯들을 측정한다. 그 후에 각각의 섹터는 단계(52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F0CPCCH 상의 PCGi동안 파일롯 측정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 명령어를 전송한다. 이동국은 단계(530)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소프트 조합한다. 이러한 예에서, 이동국은 BS1으로부터 섹터 1 및 섹터 2로부터의 F-CPCCH를 소프트 조합하고, BS2로부터 섹터(1) 및 섹터 2로부터의 F-CPCCH를 소프트 조합한다. 그 후에 이동국은 단계(540)에 기술된 바와 같이 "Or-of-downs" 규칙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지 또는 감소시킬 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예에서, BS1및 BS2로부터의 조합된 명령어들은 BS3의 섹터 1으로부터의 F-CPCCH 상에 수신된 명령어를 갖는 ORed이다. 전송 전력은 도시된 바와 같이 PCGi +2동안 상응하게 조절된다. 이러한 단계들은 1 사이클에 대해 도 6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프로세스는 도 5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PCG를 반복할 수 있다.
최상의 순방향 링크는 보통 최상의 역방향 링크를 수반하기 때문에, "OR-of Down" 규칙은 서비스하는 기지국에서 적절한 R-CQICH 수신을 제공한다. 순방향 링크/역방향 링크 불균형이 일어나는 경우, 즉,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대한 역방향 링크가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 중 하나에 대한 역방향 링크보다 작은 경우,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자신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동작의 일부로서 불충분한 R-PICH 또는 R-CQICH 레벨을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후에,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많은 역방향 링크 용량 손실없이 F-PDCH 또는 F-CACH를 통해 R-CQICH 반복 특징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반복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도 7은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는 단계(710)에서 시작한다. 단계(710)에서, 이동국은 활성 세트의 멤버들로부터 각각의 F-CPCCH의 전력을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R-CQICH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력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F-CPCCH는 단지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을 위해 측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단계(720)에 도시되어 있다. 택일적인 실시예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대한 전력 제어는 서비스하는 기지국(F-CPCCH)의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710 및 720)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단계(730)로 진행한다.
단계(730)에서, R-CQICH는 서비스하는 기지국 순방향 링크의 측정된 품질을 지시하기 위해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R-CQICH는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룩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740)로 진행한다.
단계(740)에서, 전력 제어 명령어는 각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에 대해 결정된다. 이 예에서, "업" 또는 "다운" 명령어가 각각에 대해 생성된다. 다수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이 활성 세트 내에 있다면, 이동국은 단일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해 "Or-of-up" 규칙을 적용한다. 즉, 전력 제어 명령어는 만일 F-CPCCH 측정들 중 어느 것이라도 "업" 명령어를 초래한다면 "업"이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명령어는 "다운"이다. 하나 이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대한 전력 제어 명령어는 단일 R-PCSCH 상에 전송되고, 상기 R-PCSCH는 도 4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은 R-PCSCH에 응답하여 F-CPCCH(및 필요에 따라 임의의 다른 순방향 링크 채널들)의 전송 전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은 이러한 피드백 메커니즘이 없는 경우보다 더 낮은 레벨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대한 개별적인 결정에 기초하여 전송하라는 명령어의 결정에서의 다른 로직이 "Or-of-up" 로직을 대체하기 위해 적용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는 서비스하는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들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KE 수신기가 사용된다면, 제한된 개수의 핑거들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 추적하여 포착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공통 기술은 가장 강한 순방향 링크 경로들에 상기 핑거들을 할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RAKE 수신기는 가장 중요한 활성 세트 멤버들에 추적하여 포착될 수 있다. "Or-of-up" 규칙은 단지 미리 결정된 품질 레벨 또는 미리 결정된 개수의 "최상(best)" 기지국들을 갖는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을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들은 가장 높은 파일롯 Ec/Io를 갖는 활성 세트 멤버들에 상응할 수 있다. 나아가, "Or-of-up" 규칙을 활성 세트 멤버들의 서브세트로 제한하는 것은 F-CPCCH 비트 에러율을 증가시키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이동국이 다른 활성 세트 멤버들을 사용하기에 너무 약한 것으로 간주하여, 도 5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규칙 "Or-of-downs"이 활성 세트의 동일한 서브세트로 자연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약한 수신 F-CPCCH는 "업" 또는 "다운" 명령어가 발행되는 지를 결정할 것이고, 그에 따라 F-CPCCH 비트 에러율은 모든 F-CPCCH 상에서 낮게 유지된다.
택일적인 실시예들이 가장 약하지 않은 F-CPCCH에 대해 과도한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CPCCH 전송 레벨은 이동국으로의 순방향 링크 경로 손실이 가장 크지 않는, 더 양호하게-위치된(better-positioned)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대해 제한될 수 있다.
하나의 택일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이동국으로 하여금 파일롯 강도 측정 메시지(Pilot Strength Measurement Message, PSMM) 또는 대등한 것을 송신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이동국에서 측정된 순방향 링크 파일롯 품질은 기지국으로 보고된다. 상기 메시지로부터, 이동국으로의 활성 세트 멤버들 사이의 순방향 링크 경로 차이는 평가될 수 있다. 각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은 가장 큰 순방향 링크 경로 손실과 관련한 경로 손실 차이에 기초하여 전송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최악의 순방향 링크 경로 손실보다는 양호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의 기동 전송 레벨은 (활성 세트 또는 그의 서브세트에서) 기지국과 최악 기지국의 경로 손실과의 경로 손실 차이로 정해지는 델타(delta)만큼 낮춰질 수 있다. 첫번째 또는 후속의 PSMM이 수신될 때, 기지국 제어기(BSC) 또는 다른 시스템 부품은 또한 다양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이 사용하도록 상기 델타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즉, PSMM 또는 다른 이동국 보고(report)로부터, 기지국은 BS1, BS2, 및 BS3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순방향 링크 파일롯 Ec/Io 값들이 각각 -9dB, -10dB 및 -13dB이라는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예에대해, BS1은 서비스하는 기지국이라고 가정한다. BS2와 최악의 순방향 링크 기지국(BS3)의 경로 손실 사이의 경로 손실 차이는 3dB이다. 그 후에 BS2에 대한 보고를 송신한 이동국으로의 F-CPCCH의 초기 전송 레벨은 최악의 기지국(BS3)에 대한 것보다 대략 3dB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BS2로부터의 F-CPCCH의 불필요한 전송 전력이 제거될 수 잇는데, 왜냐하면 이동국이 BS2또는 BS3로부터 유사한 수신 F-CPCCH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택일적인 실시예에서, PSMM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고서, 각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은 다른 채널들에 대한 역방향 링크 파일롯을 측정함으로써 최악의 기지국의 경로 손실과의 각각의 경로 손실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폐쇄-루프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메커니즘의 일부일 수 있다.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이 순방향 링크 경로 손실과 상관될 가능성이 있고,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단지 하나의 전송 레벨이 있기 때문에, 기지국은 최악의 기지국의 경로 손실과의 경로 손실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델타 값들 세트가 결정되고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택일적인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즉, 역방향 링크 측정으로부터, 기지국은 BS1, BS2, 및 BS3에 대한 역방향 링크 파일롯 Ec/(Io+No) 값들이 각각 -21dB, -22dB 및 -24dB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BS1은 서비스하는 기지국이라고 가정한다. BS2와 최악의 순방향 링크 기지국(BS3)의 경로 손실 사이의 경로 손실 차이는 3dB이다. 그 후에 BS2에 대한 이동국으로의 F-CPCCH의 초기 전송 레벨은 최악의 기지국(BS3)에 대한 것보다 대략 3dB 낮아질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BS2로부터의 F-CPCCH의 불필요한 전송 전력은 제거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국이 BS2또는 BS3로부터의 유사한 수신 F-CPCCH를 측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도 7의 흐름도를 검토해 보자. 결정 블록(750)으로 진행한다. 결정 블록(750)에서, R-PCSCH가 반복되려면, 단계(760)로 진행하고 R-PCSCH 상의 미리 결정된 사이클들 수(N) 동안 "Or-of-up" 명령어를 반복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중지될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프로세스는 각각의 전력 제어 그룹에서 반복될 수 있다. 단계(750 및 760)의 반복 특징은 선택적이다. 반복이 변화하는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을 가질 수 있는 모든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도달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유용할 수 있다. 반복은 전송 전력에서의 상응하는 증가 없이도 증가된 신호 대 잡음비를 허용한다. 역방향 링크가 반복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때, 순방향 링크도 또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F-CPCCH도 또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 더 자세히 기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대한 R-CQICH는 또한 반복될 수 있고(도 7에 미도시), 서비스하는 기지국(F-CPCCH)의 상응하는 반복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 더 자세히 기술된다.
도 8은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의 예시적인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상응하고, 도 7을 참조하여 기술된 단계들은 상응하는 단계 번호들을 가진 타원에서 도시된다. F-CPCCH는 각각의 활성 세트 섹터로부터 전송된다. 이러한 예에서, F-CPCCH는 기지국(BS1및 BS2)의 섹터 1과 2, 및 기지국(BS3)의 섹터 1로부터 전송된다. 전력 제어 그룹들은 PCGi, PCGi +1, PCGi +2등으로 라벨링된다. PCGi +1동안, 이동국은 단계(760)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 파일롯들 및/또는 F-CPCCH들, R-PCSCH를 전송한다. PCGi+2동안, 이동국은 단계(740)에 기술된 바와 같이 R-PCSCH를 전송한다. 이는, 단계(76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필요한 만큼 반복될 수 있다. 이동국은 또한 단계(730)에 기술된 바와 같이 R-CQICH를 전송한다. 이러한 단계들은 1 사이클에 대해 도 8에 기술되어 있지만,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각각의 PCG를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은 R-CQICH에 응답하여 PCGi +3내의 순방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한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은 임의의 반복 심볼들을 포함하여 R-PCSCH를 수신한 다음에 R-PCSCH에 따라 전송 전력을 조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주어진 전송 레벨에 대해 충분한 신호 대 잡음비를 유지하기 위해 R-CQICH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는 R-CQICH 반복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는 단계(910)에서 시작되는데, 여기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1 내지 N 슬롯 동안 R-CQICH를 수신하고, 여기서 N은 반복 회수이다. 수신된 심볼들은 N>1인 경우에 조합될 수 있다. 단계(920)로 진행한다. 단계(920)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F-CPCCH)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은 R-CQICH에 응답하여 정해진다. F-CPCCH 상의 각각의 고유한 명령어는 R-CQICH의 반복에 따라 1 내지 N 슬롯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원하는 임계값 이상의 채널 각각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R-CQICH 및 F-CPCCH 모두에 충분히 낮은 비트 에러율을 허용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일부 예에서, 주어진 전송 레벨에 대해 충분한 신호 대 잡음비를 유지하기 위해 R-PCSCH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0은 R-PCSCH 반복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는 단계(1010)에서 시작되는데, 여기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1 내지 N 슬롯 동안 R-PCSCH를 수신하고, 여기서 N은 반복 회수이다. 수신된 심볼들은 N>1인 경우에 조합될 수 있다. 단계(1020)로 진행한다. 단계(1020)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F-CPCCH)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은 R-PCSCH에 응답하여 정해진다. F-CPCCH 상의 각각의 고유한 명령어는 R-PCSCH의 반복에 따라 1 내지 N 슬롯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원하는 임계값 이상의 채널 각각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R-PCSCH 및 F-CPCCH 모두에 충분히 낮은 비트 에러율을 허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각각의 F-CPCCH 채널들을 통해 전달되지만, 전력 제어 스트림들은 상이한 레이트들을 갖는 F-CPCCH 채널들을 통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활성 세트 멤버들 사이에 서비스하는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이 있다. 전력 제어 명령어들이 더 높은 레이트(예를 들어 800Hz)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반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한번 또는 그 이상 회수로 반복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명령어들은 더 낮은 레이트(예를 들어 400Hz 또는 200Hz)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F-CPCCH 채널은 임의의 레이트로 전송될 수 있다. "Or-of-downs" 규칙은 상이한 레이트들의 F-CPCCH 채널들을 평가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도 11은 전력 제어 명령어들과 F-CPCCH 채널들 사이의 상호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활성 세트 크기는 3이다.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전력 제어 비트들은 800Hz의 레이트로 도달하고, 2개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1 및 2))로부터의 역방향 링크(RL) 전력 제어 비트들은 200Hz의 레이트로 도달한다. 전력 제어 그룹(PCG) 주기들은 n, n+1, n+2 등으로 라벨링된다.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F-CPCCH는 PCG 당 한번씩 전송되고, 각각의 전송은 고유한 값을 포함한다. 이동국은 연속적인 PCG들 동안 RL 전력 제어 명령어들(Cn, Cn +1, Cn +2,등)을 추출한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1 및 2)에 대한 F-CPCCH는 또한 각각의 PCG 동안 전송된다. 그러나, 이 예에서, 하나의 값이 4개의 연속적인 전력 제어 그룹들에 대해 전송된다. 이동국은 4 PCG 주기에 대해 수신된 F-CPCCH 값들을 조합하고, 모든 4개의 PCG들마다 한번씩 RL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송신한다. 이는 F-CPCCH가 더 낮은 전력에서 송신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순방향 링크 용량을 보존한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1)은 RL 전력 제어 명령어들(Bn+2, Bn +7, Bn +11등)을 생성한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2)은 RL 전력 제어 명령어들(Dn+3, Dn +7, Dn +11등)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그룹들(n, n+1, n+2 및 n+3) 동안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1)으로부터의 F-CPCCH 심볼들은 동일한 RL 전력 제어 심볼을 전달하고, RL 전력 제어 명령어(Bn +3)는 PCGn +3의 마지막에 추출된다.
종래의 CDMA 시스템들에서,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동일한 레이트로 이동국에 도달하고, PCG 내의 명령어들은 이동국이 자신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따르는 결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음의 "Or-of-downs" 규칙으로 조합된다. 즉, 만일 임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이 다운 명령어라면, 이동국은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킨다. 이동국은 모든 전력 제어 명령어들이 업일 경우에만 자신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킨다. 변화하는 주파수들에서 생성되는, 전술한 RL 전력 제어 명령어들(Cj, Bj및 Dk)을 가정하면, 이동국은 응답하여 자신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전력 제어 명령어들이 상이한 레이트들로 도달할 때, 종래 기술의 "Or-of-downs" 규칙은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하 기술된다. 3개의 일반적인 해결책들, 즉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의 바이어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의 바이어스 및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사이에 균형을 이룬 해결책이 제공된다. 당업자는 다중 레이트 전력 제어 명령어 스트림들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다양한 해결책들에 상기 원리들을 쉽게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바이어싱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하자. 이 예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는 각각의 PCG 동안 RL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명령어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 생성되는 PCG 동안에, 서비스하는 기지국 및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명령어들은 전술한 "Or-of-donws" 규칙을 따라 조합된다. 예를 들어, Ci(i=n, n+1, n+2, n+4, n+5, n+6, n+8, ...)는 상응하는 PCG 동안 RL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Ci, Bi및 Di(i=n+3, n+7, n+11, ...)는 나머지 상응하는 PCG 동안 "Or-of-downs" 규칙을 사용하여 조합된다. 이러한 방법은 RL 전력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의해서 보다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의해 더 제어될 때,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바이어싱된다. 당업자에 명백한 바와 같이, 기술된 해결책은 단지 예시이다. 임의 개수의 기지국들이 전력 제어 명령어 스트림들을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고, 각각의 스트림은 임의의 레이트일 수 있다.
둘째,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 바이어싱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하자, 이러한 예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모든 명령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Or-of-downs" 명령어를 사용하여 최근에 수신된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명령어들과 조합된다. 예를 들어, Ci(i=n+3, n+4 및 n+5)는 상응하는 PCG들에 대한 RL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Or-of-downs" 규칙을 사용하여 Bn +3및 Dn +3과 각각 조합된다.이러한 방법은 RL 전력이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의해서 보다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에 의해서 더 제어될 때,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 바이어싱된다. 당업자에 명백한 바와 같이, 기술된 해결책은 단지 예시이다. 임의 개수의 기지국들이 전력 제어 명령어 스트림들을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고, 각각의 스트림은 임의의 레이트일 수 있다.
셋째,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사이의 균형을 이룬 방식으로 전송 전력에 제어되는 다수의 실시예들을 고려하자.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들은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의 명령어들보다 더 자주 도착하기 때문에, 상기 명령어들은 RL 전력을 제어할 때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사이의 어느 정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특히, RL 전력이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로부터의 순서를 따라 조절될 때, 전력 조절량은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들에만 기초하는 경우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1의 균형을 이룬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바이어싱된 제 1 예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한다.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들 만이 수신되는 PCG들 동안,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들은 전송 전력이 증가되거나 감소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전력 변경의 업 또는 다운 단계 크기는 제 1 파라미터(ST)에 비례하여 만들어진다.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들이 도착하는 PCG들 동안,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들은 조합된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Or-of-downs" 규칙을 사용하여) 조합된다. 업 또는 다운 결정은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 및 조합된 명령어에 대한 "Or-of-downs" 규칙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조합된 명령어가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와 동일할 때, 전력은 제 2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업 또는 다운 단계 크기로서 조절된다. 조합된 명령어가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들과 상이할 때, 전력은 제 3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업 또는 다운 단계 크기로서 조절된다.
도 11의 예에서, 명령어 스트림들의 상대적인 주파수들에 기인하여, 제 2 파라미터는 4*ST로 정해질 수 있고, 제 3 파라미터는 3*ST로 정해질 수 있다. 이 예는 임의 레이트의 전력 제어 명령어 스트림들까지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하는 기지국 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 사이의 비율은 K(K≥1)일 때, 제 2 파라미터는 K*ST로 정해질 수 있고, 제 3 파라미터는 (K-1)*ST로 정해질 수 있다.
제 2의 균형을 이룬 실시예가 또한 제 1 예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 바이어싱된다. 이전과 같이,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들은 전송 전력이 증가되거나 감소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전력 변경의 업 또는 다운 단계 크기는 제 1 파라미터(ST)에 비례하여 만들어진다.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어들이 도착하는 PCG들 동안에,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 명령어들은 조합된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Or-of-downs" 규칙을 사용하여) 조합된다. 업 또는 다운 결정은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와 조합된 명령어에 대해 "Or-of-downs" 규칙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예에서, 조합된 명령어와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는 메트릭(M)을 형성하기 위해 가중-조합된다. 전력은 제 2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업 또는 다운 단계 크기로서 조절되고, M*ST로서 계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 스트림들의 상대적인 주파수를 사용하여, 메트릭(M)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A+1은 업 명령어에 할당되고 a-1은 다운 명령어에 할당된다(당업자는 이러한 값들이 단지 예시들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임). 조합된 명령어(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의 "Or-of-downs")는 메트릭(M)을 형성하기 위해 4와 곱해지고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4개의 이전 명령어들의 합산에 가산된다. 예를 들어, PCGn +3에서, M은 다음과 같이, 즉 M=4*(Or-of-downs(Bn+3,Dn +3))+Cn +3+ Cn +2+ Cn +1+ Cn으로 계산된다.
이 예는 임의 레이터의 전력 제어 명령어 스트림들까지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하는 기지국 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 사이의 비율이 K(K≥1)일 때, 메트릭(M)은 M=(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들의 조합된 명령어) * K + (K개의 이전 서비스하는 기지국 명령어들의 합산)으로 계산될 수 있다.
서비스하는(serving) 및 서비스하지 않는(non-serving)의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명확성을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수신된 다중-레이트 전력 명령어 스트림들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들은 이들이 서비스하는 기지국 또는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이든지 간에, 임의의 기지국들의 집합에 적용된다. 실시예들은 "서비스하는"을 일차적(primary)"으로, 그리고 "서비스하지 않는"을 "기타(other)" 또는 "이차적(secondary)" 기지국으로 대체하여 기술될 수 있고, 개시된 원리들은 동일한 힘을 가지고서 적용될 것이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호교환될 수 있다고 유의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개시된 설명들은 많은 경우에 1xEV-DV 표준과 연관된 신호들, 파라미터들 및 프로시저들로 언급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는 다양한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 본 원리들을 쉽게 적용할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변형들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방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체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어들, 명령어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계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계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적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상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 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의 견지에서 위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실행되는 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과 특정 응용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행 결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개별적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적인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 또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택일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들과 같은 계산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 디스크, CD-ROM 도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대안으로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의 별개의 구성요소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만들거나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았고,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과 새로운 특징들과 합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Claims (52)

  1.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다수의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고 다수의 신호 전력 측정값들을 생성하는 전력 평가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로부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원격국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는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이 증가인 경우에 증가를 유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감소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은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의 전력 레벨은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전력 레벨은 상기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이 전력 레벨 감소를 유도하는 경우에 감소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 중 하나 이상은 슬롯들 내에 연속적으로 전송된 심볼들을 포함하고;
    연속적인 슬롯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심볼들은 상기 각각의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 명령어 생성 이전에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슬롯들에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에 대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 2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전송된 제 2 다수의 신호들을 추가로 수신하고;
    상기 전력 평가기는 추가로 상기 제 2 다수의 수신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고 제 2 다수의 신호 전력 측정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다수의 신호 전력 측정값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 2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추가로 생성하며;
    상기 송신기는 각각 상기 제 2 다수의 원격국들 각각에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 각각은 채널 품질 지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원격국과 연관된 전송 전력 레벨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각각의 전력 제어 채널이 슬롯들 시퀀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슬롯들의 시퀀스들 중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들로 전송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수신기;
    전송 전력 레벨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슬롯 동안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의 채널 상의 슬롯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이 감소를 지시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각각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이 감소를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제 1 전력 제어 채널은 상기 슬롯들의 시퀀스 각각 내에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로부터 슬롯 내에 수신된 임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가 상기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 명령어에 따른 제 1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고;
    만일 존재한다면, 상기 슬롯에 대한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가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 명령어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에 따른 제 2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제 3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들 내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레이트에 대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의 나머지 내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레이트의 비율은 K이고;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파라미터가 곱해진 K로 정해지며;
    상기 제 3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파라미터가 곱해진 K-1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제 1 전력 제어 채널은 상기 슬롯들 시퀀스 각각 내에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는 모든 K 슬롯들에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로부터 슬롯 내에 수신된 임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가 상기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 명령어에 따른 제 1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제 2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 상에 수신된 K개의 가장 최근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 및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이 곱해진 K의 합으로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구성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할 때 원격국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기들을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동작할 때 상기 원격국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드로 상기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모드로 구성될 때 채널 품질 지시기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며, 상기 제 2 모드로 구성될 때 전력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원격국에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채널들의 전력을 측정하고 신호 전력 측정값을 생성하는 전력 평가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신호 전력 측정값에 응답하여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원격국에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다수의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고 다수의 신호 전력 측정값들을 생성하는 전력 평가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로부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구성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할 때 원격국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기들을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동작할 대 상기 원격국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드로 상기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모드로 구성될 때 채널 품질 지시기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며, 상기 제 2 모드로 구성될 때 전력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원격국에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다수의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고 다수의 신호 전력 측정값들을 생성하는 전력 평가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로부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구성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할 때 원격국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기들을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동작할 때 상기 원격국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드로 상기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모드로 구성될 때 채널 품질 지시기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며, 상기 제 2 모드로 구성될 때 전력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원격국에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측정된 전력들에 따라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단일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격국들에 의한 수신을 위해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시리즈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증가 또는 감소를 지시하고,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는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이 증가인 경우에 증가로서 생성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감소로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원격국으로부터 추가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적인 신호를 측정하고 그에 응답하여 채널 품질 지시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적인 원격국에 의한 수신을 위해 상기 채널 품질 지시기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은 연속적인 전송 간격들에서 2번 이상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지시기는 연속적인 전송 간격들에서 2번 이상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신호들은 슬롯들의 시퀀스로 전송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전송이 수행되며;
    슬롯 내의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이 감소를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은 연속적인 슬롯들에서 반복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반복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기이전에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1. 각각이 슬롯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로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슬롯들의 시퀀스들 중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들로 전송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는 단계;
    전송 전력 레벨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슬롯 동안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조절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의 채널 상의 슬롯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이 감소를 지시하는 경우에 각각의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조절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각각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 중 하나 이상이 감소를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의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제 1 전력 제어 채널은 슬롯들의 시퀀스 각각 내에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전력 조절 단계는,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로부터 슬롯 내에 수신된 임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가 상기 슬롯 에 대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 명령어에 따라 제 1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
    만일 존재한다면, 상기 슬롯에 대한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가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 명령어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에 따라 제 2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제 3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들 내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레이트에 대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 내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레이트의 비율이 K이고;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파라미터가 곱해진 K로 정해지며;
    상기 제 3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파라미터가 곱해진 K-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6. 제 31항에 있어서,
    제 1 전력 제어 채널은 상기 슬롯들 시퀀스 각각 내에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는 모든 K 슬롯들에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 전력 조절 단계는,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로부터 슬롯에 수신된 임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나머지는 상기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 명령어에 따라 제 1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제 1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상기 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전력 제어 채널에 수신된 K개의 가장 최근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과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가 곱해진 K의 합으로서 계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7.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가능한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원격국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기들을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국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채널 품질 지시기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전력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원격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채널들의 전력을 측정하고 신호 전력 측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호 전력 측정값에 응답하여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국에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39.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 각각의 전력을 측정하는 수단;
    상기 다수의 측정된 전력들에 따라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생성하는 수단; 및
    단일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격국들에 의한 수신을 위해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시리즈를 전송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39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원격국으로부터 추가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추가적인 신호를 측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채널 품질 지시기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추가적인 원격국에 의한 수신을 위해 상기 채널 품질 지시기를 전송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각각이 슬롯들 시퀀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슬롯들 시퀀스들의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들에 전송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수신 수단;
    전송 전력 레벨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슬롯 동안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3.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원격국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기들을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국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채널 품질 지시기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2 모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전력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원격국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채널들의 전력을 측정하고 신호 전력 측정값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신호 전력 측정값에 응답하여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원격국에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전송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 각각의 전력을 측정하는 수단;
    상기 다수의 측정된 전력들에 따라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생성하는 수단; 및
    단일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격국들에 의한 수신을 위해 상기 조합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의 시리즈를 전송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7. 제 45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원격국으로부터 추가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추가적인 신호를 측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채널 품질 지시기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추가적인 원격국에 의한 수신을 위해 상기 채널 품질 지시기를 전송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8. 각각이 슬롯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슬롯들 시퀀스의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들에 전송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수신 수단;
    전송 전력 레벨에서 신호들을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슬롯 동안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9. 다수의 원격국들로부터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수신 신호들 각각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측정된 전력들에 따라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단일 전력 제어 명령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
  50. 제 49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원격국으로부터 추가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적인 신호를 측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채널 품질 지시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적인 원격국에 의한 수신을 위해 상기 채널 품질 지시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
  51. 각각의 슬롯들 시퀀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슬롯들 시퀀스의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들에 전송된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단계;
    전송 전력 레벨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전력 제어채널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슬롯 동안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
  52.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원격국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기들을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국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채널 품질 지시기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전력 제어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전력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원격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04-7012189A 2002-02-07 2003-02-07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40085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522302P 2002-02-07 2002-02-07
US60/355,223 2002-02-07
US35692902P 2002-02-12 2002-02-12
US60/356,929 2002-02-12
US36027102P 2002-02-26 2002-02-26
US60/360,271 2002-02-26
US36211902P 2002-03-05 2002-03-05
US60/362,119 2002-03-05
US10/360,169 2003-02-05
US10/360,169 US7031742B2 (en) 2002-02-07 2003-02-05 Forward and reverse link power control of serving and non-serving bas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3/003812 WO2003067783A2 (en) 2002-02-07 2003-02-07 Power control of serving and non-serving base st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177A true KR20040085177A (ko) 2004-10-07

Family

ID=2773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189A KR20040085177A (ko) 2002-02-07 2003-02-07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31742B2 (ko)
EP (1) EP1472806A2 (ko)
JP (1) JP2005517343A (ko)
KR (1) KR20040085177A (ko)
CN (1) CN1650539A (ko)
AU (1) AU2003209073A1 (ko)
BR (1) BR0307482A (ko)
CA (1) CA2474507A1 (ko)
MX (1) MXPA04007665A (ko)
NO (1) NO20043719L (ko)
WO (1) WO200306778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998B1 (ko) * 2006-06-20 2012-01-18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36878B1 (ko) * 2009-03-02 2013-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연속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4961A (en) 1994-06-20 1998-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DL having transmission rate of relatively high speed
US6249683B1 (en) * 1999-04-08 2001-06-19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 link power control of multiple data streams transmitted to a mobile station using a common power control channel
US7911993B2 (en) * 2000-07-19 2011-03-22 Ipr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soft handoff of a CDMA reverse link utilizing an orthogonal channel structure
US8537656B2 (en) 2000-07-19 2013-09-17 Ipr Licensing, Inc. Method for compensating for multi-path of a CDMA reverse link utilizing an orthogonal channel structure
US7295509B2 (en)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9130810B2 (en) 2000-09-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OFDM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6917581B2 (en) 2001-07-17 2005-07-12 Ipr Licensing, Inc. Use of orthogonal or near orthogonal codes in reverse link
US6819935B2 (en) * 2001-08-31 2004-11-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power levels at which to communicate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820803B1 (ko) * 2002-03-11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방향 채널에서의 간섭 전력비 전송 방법
TWI225339B (en) * 2002-06-06 2004-12-11 Via Telecom Co Ltd Power control of plural packet data control channels
WO2003105381A2 (en) * 2002-06-07 2003-12-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for data communications at multiple data rates
US7184791B2 (en) 2002-09-23 2007-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receiver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s using biased interpretation
JP4256158B2 (ja) * 2002-12-26 2009-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40179493A1 (en) * 2003-03-14 2004-09-16 Khan Farooq Ullah Methods of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556362B1 (ko) * 2003-04-28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 통신 서비스의 품질 향상 방법
US7158796B2 (en) * 2003-06-16 2007-01-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managing reverse link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US7979078B2 (en) * 2003-06-16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verse link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US20040258026A1 (en) * 2003-06-19 2004-12-23 Lau Kin Nang Method of uplink scheduling for multiple antenna systems
US7554954B2 (en) * 2003-08-12 2009-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er user rate control for the reverse link in CDMA networks
CA2535819C (en) 2003-08-18 2010-02-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quality of service-related inform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602004021005D1 (de) 2003-08-25 2009-06-18 Interdigital Tech Corp Erweiterte aufwärtsstreckenbetrieb bei soft-weiterreichung
CA2535124A1 (en) 2003-09-26 2005-04-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gain facto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US8532664B2 (en) * 2003-10-01 2013-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CDMA reverse link performance
US7046648B2 (en) 2003-11-05 2006-05-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Node-B's and supporting enhanced uplink transmissions during handover
DE60314924T2 (de) * 2003-12-22 2008-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ssverfahren zur räumlichen ablaufplanung
US20050163076A1 (en) * 2004-01-13 2005-07-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on a shared packet data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241440B2 (ja) * 2004-03-03 2009-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スケジュール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US7386045B2 (en) * 2004-03-09 2008-06-10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Dynamic differentiated link adaptation for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45278A1 (en) * 2004-04-29 2005-11-03 Rath Vannithamby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power control at non-serving radio sector transmitters
KR101079084B1 (ko) 2004-06-18 201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터 핸드오버 영역에서 상향링크 강화 전용 채널에대한 스케줄링 명령 전송 방법
US8116262B2 (en) * 2004-06-22 2012-02-14 Rockstar Bidco Lp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148256B2 (en) 2004-07-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based rank prediction for MIMO design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CN101695186A (zh) * 2004-09-15 2010-04-14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控制方法以及移动台
US7292856B2 (en) 2004-12-22 2007-1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forward-link and reverse-link handoffs
US20060153110A1 (en) * 2004-12-28 2006-07-13 Morgan William K Simplex reverse link in a communication network
GB0501403D0 (en) * 2005-01-22 2005-03-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JP4445933B2 (ja) * 2005-02-09 2010-04-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上り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US7590389B2 (en) * 2005-02-14 2009-09-15 Ipwireless, Inc. Radio link quality determin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246560B2 (en)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9154211B2 (en) 2005-03-1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ulti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KR101208520B1 (ko) * 2005-03-12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드백 정보 통신 방법
US20080280619A1 (en) * 2005-03-12 2008-11-13 Jin Young Chu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US9520972B2 (en)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61859B2 (en)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23447A1 (en) * 2005-03-31 2006-10-05 Ali Masoomzadeh-Fard Adaptive down bias to power changes for controlling random walk
US7519382B2 (en) * 2005-03-31 2009-04-14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power control for call migration
US9184870B2 (en) *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9408220B2 (en)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US7577438B2 (en) 2005-04-25 2009-08-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ddressing and power savings in wireless systems
US8565194B2 (en) 2005-10-2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signaling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79511B2 (en) 2005-10-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acknowled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11284B2 (en) 2005-05-3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upplemental assignments to decrement resources
US7983674B2 (en) 2005-06-16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54360B2 (en) 2005-06-16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OFDMA control channel interlacing
US9179319B2 (en) 2005-06-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cellular systems
US8885628B2 (en) 2005-08-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0602B2 (en) * 2005-08-22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014152B2 (en) * 2008-06-09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capac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743909B2 (en) * 2008-02-20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Frame termination
US8023955B2 (en) 2005-08-22 2011-09-20 Sony Corporation Uplink resource allocation to control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71344B2 (en) * 2005-08-22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209956B2 (en)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8611305B2 (en) * 2005-08-22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503356B2 (en) * 2005-08-26 2013-08-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s in an OFDMA system
US9136974B2 (en)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9955438B2 (en) * 2005-09-27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llocation and management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082619A1 (en) * 2005-10-06 2007-04-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for ofdma based evolved utra
US9144060B2 (en) 2005-10-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shared signaling channels
US9225488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9172453B2 (en)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US8045512B2 (en) 2005-10-27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088384B2 (en)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25416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signaling channels for a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10651B2 (en) 2005-10-2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693405B2 (en) 2005-10-27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SDMA resource management
CN1996806A (zh) * 2006-01-06 2007-07-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在竞争资源中传输数据的设备和方法
US8098644B2 (en) * 2006-01-18 2012-01-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493941B2 (en) * 2006-04-21 2013-07-23 Alcatel Lucent Method to control the effects of out-of-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ellular system using over-the-air feedback control
JP4856243B2 (ja) * 2006-05-17 2012-01-1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ベストエフォート型マクロダイバーシティ
JP2008011285A (ja) * 2006-06-30 2008-01-17 Fujitsu Ltd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4822957B2 (ja) * 2006-06-30 2011-11-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US20080037661A1 (en) * 2006-08-08 2008-02-14 Adaptix,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ple modulation zones
EP2092764B1 (en) 2006-10-24 2015-08-26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resource partition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917164B2 (en) * 2007-01-09 2011-03-29 Alcatel-Lucent Usa Inc. Reverse link power control
KR101162972B1 (ko) 2007-01-09 2012-07-09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US8045527B2 (en) * 2007-01-18 2011-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ad estimation for a cell in a wireless network
GB2445990B (en) * 2007-01-24 2009-01-21 Motorola Inc Pilot signal transmiss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00202A1 (en) * 2007-02-13 2008-08-2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with link imbalance on downlink and uplink
GB0704099D0 (en) * 2007-03-02 2007-04-11 Vodafone Plc Arrangement and technique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S20090005102A1 (en) * 2007-06-30 2009-01-01 Suman Das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Base Station Transmit Power
CN104734833B (zh) 2007-12-04 2019-04-23 蔚蓝公司 抑制小区间干扰的方法和装置
JP2009225329A (ja) * 2008-03-18 2009-10-01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US9237515B2 (en) * 2008-08-01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Successive detection and cancellation for cell pilot detection
US9277487B2 (en) 2008-08-01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Cell detec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US20100097955A1 (en) * 2008-10-16 2010-04-22 Qualcomm Incorporated Rate determination
CN101873657B (zh) * 2009-04-23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估算邻区上行信号质量的方法和切换优化方法
US9160577B2 (en) 2009-04-3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SAIC receiver
US8787509B2 (en) * 2009-06-04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US9332464B2 (en) * 2009-06-19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measurement procedures in multicarrier operation
US8831149B2 (en) * 2009-09-03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Symbol estim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CN102076062B (zh) * 2009-11-20 2015-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发送功率控制参数的获取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1063568A1 (en) 2009-11-27 2011-06-03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capac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1063569A1 (en) 2009-11-27 2011-06-03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capac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2520121B1 (en) * 2009-12-29 2014-08-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of a radio system
CN102300306B (zh) * 2010-06-22 2014-11-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功率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2811478B (zh) * 2011-05-31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路损补偿方法和基站及用户设备
US9332509B2 (en) 2013-02-10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contro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P2930981B1 (en) 2014-04-08 2018-02-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with low power base station and high power base station
US10499378B2 (en) * 2014-09-29 2019-1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handling a feedback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238A (en) * 1990-11-16 1996-07-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pread spectrum adaptive power contro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JP2974274B2 (ja) * 1994-05-12 1999-11-1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装置
AU3260195A (en) * 1995-08-31 1997-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5745520A (en) 1996-03-15 1998-04-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reshold step-down size adjustment
US6335922B1 (en) 1997-02-11 2002-0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rate scheduling
US6411799B1 (en) * 1997-12-04 2002-06-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rnary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229795B1 (en) 1999-01-13 2001-05-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463296B1 (en) 1999-02-16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434367B1 (en) * 1999-06-11 2002-08-13 Lucent Technologies Inc. Using decoupled power control sub-channel to control reverse-link channel power
WO2001001599A1 (de) 1999-06-23 2001-01-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gelung der sendeleistung in einem funksystem und entsprechendes funksystem
CA2308651C (en) * 1999-07-12 2010-04-27 Nortel Networks Corpor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base station transmitting power during soft handoff
US6603752B1 (en) * 1999-07-29 2003-08-05 Ahmed Saifuddi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energy in a variable rate gated communication system
US6625198B1 (en) * 1999-08-13 2003-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ly processing multiple calls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597679B1 (en) * 1999-12-01 2003-07-22 Telefonaktiebolat Lm Ericsson Control of compressed mode transmission in WCDMA
US6442155B1 (en) 1999-12-03 2002-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mobile station in a multi-carrie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517030C2 (sv) * 2000-06-06 2002-04-02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 för val av modulerings- och kodningsregler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US6650905B1 (en) * 2000-06-30 2003-11-18 Nokia Mobile Phones, Lt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power control in soft handover
EP1437841B1 (en) * 2000-07-03 2006-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for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JP3552038B2 (ja) * 2000-12-25 2004-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受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TW520587B (en) * 2001-01-13 2003-0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190964B2 (en) * 2001-08-20 2007-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1xEV-DV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998B1 (ko) * 2006-06-20 2012-01-18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36878B1 (ko) * 2009-03-02 2013-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연속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620375B2 (en) 2009-03-02 2013-12-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opera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7783A3 (en) 2003-12-04
CA2474507A1 (en) 2003-08-14
AU2003209073A1 (en) 2003-09-02
US20040203991A1 (en) 2004-10-14
WO2003067783A2 (en) 2003-08-14
CN1650539A (zh) 2005-08-03
EP1472806A2 (en) 2004-11-03
BR0307482A (pt) 2005-02-09
US7031742B2 (en) 2006-04-18
NO20043719L (no) 2004-11-03
MXPA04007665A (es) 2004-11-10
JP2005517343A (ja)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5177A (ko) 서비스하는 기지국과 서비스하지 않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909584B1 (ko) 이동국으로 섹터 로드 정보를 운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63162B1 (ko) Cdma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채널의 전송 전력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56571B1 (ko)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CN106912093B (zh) 采用改进的信道参考的高数据速率方法
US81996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68196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EP13607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0555899C (zh) Cdma通信系统中控制辅助信道增益水平的方法和装置
KR20050094439A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마진 제어
KR20060015551A (ko) 소프트 핸드오프동안 통신 장치에 의한 증가된 업링크레이트 선택
US7769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level of a communication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40102198A (ko) 채널 품질 피드백 메카니즘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용의개선된 외부-루프 스케줄링 설계
KR20030076702A (ko) 소프트 및 소프터 핸드오프 동안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순방향 링크를 스케줄링하는 방법
KR20050101218A (ko)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된 채널에서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명령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8539620A (ja) 高速下り回線パケット接続(hsdpa)システムのための可変送信電力制御方法
JP4057417B2 (ja) 簡単化された品質インジケータビットのテスト方法
KR101193425B1 (ko) 개선된 채널 레퍼런스를 사용한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위한 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