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526B1 -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526B1
KR101036526B1 KR20077008539A KR20077008539A KR101036526B1 KR 101036526 B1 KR101036526 B1 KR 101036526B1 KR 20077008539 A KR20077008539 A KR 20077008539A KR 20077008539 A KR20077008539 A KR 20077008539A KR 101036526 B1 KR101036526 B1 KR 10103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ate
cell
uplink data
mobile st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364A (ko
Inventor
마사후미 우스다
아닐 우메시
다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7005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핸스드 업링크에서, 실패율이 낮은 소프트 핸드오버 제어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동 통신 제어 방법은, 제1 기지국(Node-B) #1과 이동국(UE) 사이의 통신 중에, 이동국(UE)으로부터 제1 기지국(Node-B) #1로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공정;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하는 공정; 제1 기지국(Node-B) #1 및 이동국(UE)에 대해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이동국(UE) 및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및 기지국{MOBI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LINE CONTROL APPARATUS, AND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성능(통신 용량이나 통신 품질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기지국 및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W-CDMA" 방식 또는 "CDMA2000" 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개별 채널을 설정할 때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가, 기지국(Node-B)의 무선 리소스, 업링크 데이터 통신에서의 간섭량, 이동국(UE)의 송신 전력, 이동국(UE)의 송신 처리 성능,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전송 속도 등을 감안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계층-3(Radio Resource Control Layer)의 메시지에 의해, 이동국(UE) 및 기지국(Node-B)의 각각에 대하여, 결정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통지한다.
여기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기지국의 상위에 위치해서, 기지국(Node-B)이나 이동국(UE)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음성 통신이나 텔레비전 전화 통신에 비해, 트 래픽이 버스트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많은 수의 기지국(Node-B)을 중앙에서 총괄하여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처리 부하나 처리 지연 등의 이유에 의해, 고속(예를 들면, 1~10Oms 정도)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할 수 있다고 해도, 장치의 설치 비용이나 네트워크의 운용 비용이 크게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백 밀리초 ~ 수초 정도로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트적으로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 높은 지연 및 낮은 전송 효율을 허용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하든가, 또는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를 확보하여, 이용가능한 상태의 무선 대역 리소스 또는 기지국에서의 하드웨어 리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허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단, 도 2에서, 세로축의 무선 리소스에는 상술한 무선 대역 리소스 및 하드웨어 리소스의 양쪽을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 및 "3GPP2"에서, 무선 리소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계층-1 및 MAC 하위 계층에서의 고속의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어 왔다. 이하, 이러한 검토 또는 검토된 기능을 총칭하여 "인핸스드 업링크"(또는 업링크 고효율 전송)라고 한다.
이하, "인핸스드 업링크" 중에서 검토되고 있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을 크게 2가지로 분류해서, 그 개요를 설명한다.
제1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으로서 "Dedicated rate Control"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Dedicated rate Control" 방식에서는, 기지국(Node-B)이, 소정 타이밍마다 각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 속도(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각 이동국(UE)에 통지함으로써, 각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한다. 기지국(Node-B)에 의해 지정된 이동국(UE)은, 결정된 전송 속도(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범위 내의 전송 속도)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여기서, "Dedicated rate Control" 방식에서는, 기지국(Node-B)과 접속 중인 모든 이동국(UE)에 매회 송신 기회를 부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부의 이동국에만 순서대로 송신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제2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으로서 "Common rate Control"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Common rate Control" 방식에서는, 기지국(Node-B)이, 통신 중인 이동국(UE)에 공통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이와 같은 전송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하, 이러한 전송 속도 또는 이와 같은 전송 속도를 계산하 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합쳐서 "전송 속도 정보"라고 한다)를 통보하고, 각 이동국(UE)이, 통보된 전송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한다.
(참조 문헌 1) 3GPP TR 25.896 v2.0.0, 2004년 3월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는, 소프트 핸드오버(SHO)를 개시할 때의 동작에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가, 이동국(UE)으로부터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에 기초하여, 개별 채널에 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각 기지국(Node-B)에서의 무선 리소스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가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를 지시하는 시점에서의 각 기지국(Node-B)의 하드웨어 리소스의 사용 상황을 파악해 두고,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 리소스는 부족하지 않기 때문에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는 통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핸스드 업링크에서는, 각 기지국(Node-B)이 무선 리소스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제어하에 있는 기지국(Node-B)의 하드웨어 리소스의 사용 상황을 파악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때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지정해도, 새롭게 소프트 핸드오버에 참가하는 기지국(Node-B)에서는 지정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준비할 수 없어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없다고 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국(UE)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마다,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새롭게 소프트 핸드오버에 참가하는 기지국(Node-B)은 준비해야 할 하드웨어 리소스를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핸스드 업링크에서, 실패율이 낮은 소프트 핸드오버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기지국, 및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국의 서빙 셀인 제1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셀에 대해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상기 이동국 및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의 서빙 셀을 상기 제1 셀로부터 상기 제2 셀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셀에 대하여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제어 방법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이동국과 제2 셀 사이의 동기가 확립된 이후,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의 정지 기간 중에 이동국으로부터 제1 셀로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지정하는 공정과, 이동국이, 정지 기간 중에,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2 셀에 대해서, 제1 셀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2 셀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 할당하도록 요구하는 공정과, 제2 셀이, 상기 할당이 가능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할당이 가능한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의 전송 속도를 보고하는 공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이동국의 서빙 셀인 제1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셀에 대해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저지하도록 지시하는 정지 지시부; 상기 이동국 및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의 서빙 셀을 상기 제1 셀로부터 상기 제2 셀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변경 지시부;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셀에 대해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재개 지시부를 포함하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정지 지시부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의 정지 기간 중에 이동국으로부터 제1 셀에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제2 셀에 대해서, 제1 셀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2 셀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 할당하도록 요구하는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와, 제2 셀로부터의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셀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초기값을 설정하고, 이동국 및 제2 셀에 대해서, 초기값을 통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소프트 핸드오버 개시 지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이동국과의 사이에서의 통신 중에,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의 서빙 셀을 제1 셀로부터 제2 셀로 변경하도록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가,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는, 상기 이동국과 제2 셀 사이의 동기가 확립된 이후,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의 정지 기간 중에,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는, 이동국과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서, 무선 제어 회선 장치에 의해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무선 회선 제어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이동국과 행하는 통신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고, 할당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에 보고하고, 할당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할당이 가능한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의 전송 속도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에 보고하는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를 구비하는 기지국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있어서,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는, 할당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존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할당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 기술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의 (a)~(c)는 종래 기술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무선 회선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 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에서,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차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차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3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교환기망,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기지국(Node-B), 이동국(UE #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국(UE #1~#3)은 각각 개별 채널(#1~#3)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다운링크 공유 채널(3GPP에서의 HS-DSCH)이 사용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는 주로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또, 보조 개별 채널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각 이동국(UE)에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양방향의 채널이다. 업링크 보조 개별 채널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이외에, 파일럿 심볼, 다운링크 보조 개별 채널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적응 변조 및 부호화에 사용하기 위한 다운링크 품질 정보 등이 전송된다. 또, 다운링크 보조 개별 채널에서는, 업 링크 보조 개별 채널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 등이 전송된다. 도 4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낸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는, 현시점에서 채널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도 5에,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보고 수신부(11), 결정부(12), 정지 지시부(13),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14), 동기 지시부(15), 및 SHO 개시 지시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측정 보고 수신부(11)는, 제1 기지국(Node-B) #1과의 사이에서 통신 중인 이동국(UE)으로부터, 이동국(UE)에서 측정한 제2 기지국(Node-B) #2와의 사이에서의 전송 경로 품질을 보고하기 위한 측정 보고(3GPP에서의 "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한다. 측정 보고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결정부(12)는, 측정 보고 수신부(11)가 수신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행할 것을 결정한다.
정지 지시부(13)는, 결정부(12)에 의해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된 경우, 제1 기지국(Node-B) #1 및 이동국(UE)에 대해서, 이동국(UE)으로부터 제1 기지국(Node-B) #1로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지시한다.
또, 정지 지시부(13)는, 상기 지시와 함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전술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의 정지 기간 중에, 이동국(UE)으로부터 제1 기지국(Node-B) #1에 대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14)는,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제2 기지국(Node-B) #2와 이동국(UE)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즉, 해당 전송 속도에서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면,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14)는,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제1 기지국(Node-B) #1과 이동국(UE) 사이의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2 기지국(Node-B) #2와 이동국(UE) 사이의 통신에 할당하도록 요구한다.
동기 지시부(15)는,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제2 기지국(Node-B) #2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사이에서 동기를 취하도록 지시하고, 제2 기지국(Node-B) #2 및 이동국(UE)에 대해서는, 제2 기지국(Node-B) #2와 이동국(UE) 사이에서 동기를 취하도록 지시한다.
SHO 개시 지시부(16)는, 이동국(UE), 제1 기지국(Node-B) #1 및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SHO 개시 지시부(16)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술한 전송 속도의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초기값을 설정하고, 이동국(UE) 및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상기 초기값을 통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SHO 개시 지시부(16)는, 제2 기지국(Node-B) #2가,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하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보고한 경우, 이와 같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한편, SHO 개시 지시부(16)는, 제2 기지국(Node-B) #2가,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할당이 가능한 최대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보고한 경우, 보고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도 6에, 본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Node-B)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Node-B)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 전송 속도용 무선 리소스 관리부(22), 정지 지시 수신부(23),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 동기 지시 수신부(25), 동기 처리부(26), SHO 개시 지시 수신부(27), 및 SHO 개시 처리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는, 이동국(UE)과의 통신 중에, 이동국(UE)으로부터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한다.
도 7에,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가, 이동국(UE)과 기지국(Node-B) 사이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Dedicated rate Control)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는, 소정의 타이밍마 다, 각 이동국(UE)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정보(또는, 전송 속도 요구)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어떻게 변경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결정한다.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는, 이와 같은 결정을 나타내는 전송 속도 제어 정보를 각 이동국(UE)에 통지하며, 각 이동국(UE)은, 통지된 전송 속도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전송 속도 이하로, EDCH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전송 속도 제어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이도록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비트 "Up",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낮추도록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비트 "Down", 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비트 "Kee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 제1 기지국(Node-B) #1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는, 정지 지시 수신부(2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즉,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된 경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1 기지국(Node-B) #1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는,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동기가 확립된 후,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1 기지국(Node-B) #1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는, 업링크 데이터 의 전송 속도에 대한 변경 제어를 정지하는 정지 기간 중에, 이동국(UE)과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서, 정지 지시 수신부(23)에 의해 정지 지시와 함께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즉, 무선 제어 회선 장치(RNC)에 의해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1 기지국(Node-B) #1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는, 이동국(UE)이 소프트 핸드오버를 행하고 있는 기간 동안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계속해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송 속도용 무선 리소스 제어부(22)는, 기지국(Node-B)에서 소정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실현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특히, 하드웨어 리소스)의 사용 상황을 관리한다.
정지 지시 수신부(23)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 송신된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21)에 지시한다.
또, 정지 지시 수신부(23)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의 정지가 완료된 경우, 그 취지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통지한다.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의해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이동국(UE)과 기지국(Node-B) 사이의 업링크 통신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무선 회선 제 어 장치(RNC)에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Node-B)에서 할당이 가능한 최대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존의 이동국과의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에 새롭게 추가되는 제2 기지국(Node-B) #2의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c)에 나타낸 파이프는, 기지국(Node-B)이 가지는 하드웨어 리소스(역확산부, RAKE 합성부, 버퍼, 채널 디코더 등)을 모식화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때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가, 새롭게 추가되는 제2 기지국(Node-B) #2에, 제2 기지국(Node-B) #2와 이동국(UE)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도록 명령한다. 도 8의 (a)의 예에서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서, x[kbps]를 할당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기지국(Node-B) #2의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가, 이 미 다수의 무선 리소스(하드웨어 리소스)를 다른 이동국에 할당하고 있어서, x[kbps]의 할당이 곤란한 경우, 도 8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기지국(Node-B) #2의 2가지 방식의 동작을 생각할 수 있다.
제1 동작으로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기지국(Node-B) #2의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가, 기존 채널의 대역(즉, 다른 이동국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을 변경하지 않고, 할당이 가능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도 8의 (b)의 예에서는, y[kbps]}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보고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제2 동작으로서,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기지국(Node-B) #2의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가, 기존 채널의 대역을 작게 하여(즉, 다른 이동국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을 변경하여),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 x[kbps]를,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통신에 할당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한 후에,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감소하는 것은, 사용자로서는 바람직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2 기지국(Node-B) #2의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는, 도 8의 (c)과 같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복잡도(complexity) 등을 고려하면, 도 8의 (b)와 같은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제2 기지국(Node-B) #2의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24)가, 도 8의 (c)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우선도(priority) 등에 따른 적응성 있는 업링크 데 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가 가능해진다.
동기 지시 수신부(25)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 송신된 동기 지시를 수신하여, 동기 처리부(26)에 소정의 동기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동기 처리부(26)는, 동기 지시 수신부(2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동기 처리(다운링크 회선 및 업링크 회선), 또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와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동기 처리(다운링크 회선 및 업링크 회선)를 행한다.
SHO 개시 지시 수신부(27)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 송신된 SHO 개시 지시를 수신하여, SHO 개시 처리부(28)에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SHO 개시 처리부(28)는, SHO 개시 지시 수신부(2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도 9에,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UE)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UE)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보고 송신부(31),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 업링크 데이터 송신부(33), 동기 지시 수신부(34), 동기 처리부(35), SHO 개시 지시 수신부(36), SHO 개시 처리부(37), 및 정지 지시 수신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측정 보고 송신부(31)는, 소정 조건이 만족되면,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대해서,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측정 보고 송신부(31)가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통신 중인 기지국)과 제2 기지국(Node-B) #2(새롭게 검출된 기지국)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면, 제1 기지국(Node-B) #1로부터의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전력 및 제2 기지국(Node-B) #2로부터의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전력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동한다.
측정 보고 송신부(31)는, 전술한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전력의 차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그 취지를 보고한다.
도 11의 예에서, 측정 보고 송신부(31)는, 전술한 공통 파일럿 채널의 수신 전력의 차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Th에 도달한 시간 t1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측정 보고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기지국(Node-B)과의 통신 중에, 기지국(Node-B)에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한다.
또,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정지 지시 수신부(3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즉,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된 경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동기가 확립된 후,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 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의 정지 기간 중에, 제1 기지국(Node-B) #1과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서, 정지 지시 수신부(38)에 의해 정지 지시와 함께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즉, 무선 제어 회선 장치(RNC)에 의해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이동국(UE)이 소프트 핸드오버를 행하고 있는 기간 중에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계속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동국(UE)이 소프트 핸드오버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제1 기지국(Node-B) #1 및 제2 기지국(Node-B) #2의 양쪽에 대해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여도 되는 상태가 되지 않는 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도 12는, 제1 기지국(Node-B) #1 및 제2 기지국(Node-B) #2로부터의 전송 속도 제어 정보(전송 속도 제어 비트 복호값), 및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위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UE)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접속 중인 모든 기지국(Node-B) #1 및 #2가 "Up"을 지시하지 않는 한, 업링크 데이터 의 전송 속도를 높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동국(UE)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Keep"을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정보 및 "Down"을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에는, "Down"을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정보를 우선한다.
업링크 데이터 송신부(33)는,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에 의해 결정된 전송 속도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동기 지시 수신부(34)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 송신된 동기 지시를 수신하여, 동기 처리부(35)에 소정의 동기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동기 처리부(35)는, 동기 지시 수신부(3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동기 처리(다운링크 회선 및 업링크 회선)를 행한다.
SHO 개시 지시 수신부(36)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 송신된 SHO 개시 지시를 수신하여, SHO 개시 처리부(37)에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SHO 개시 처리부(37)는, SHO 개시 지시 수신부(3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이동국(UE)이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정지 지시 수신부(38)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 송신된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에 지시한다.
또한, 정지 지시 수신부(38)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의 정지가 완료한 경우, 그 취지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01에서, 이동국(UE)은 제1 기지국(Node-B) #1과 통신을 행하며, 제1 기지국(Node-B) #1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와 통신을 행하고 있다.
단계 S1002에서, 이동국(UE)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기 때문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단계 S1003에서, 측정 보고를 수신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제1 기지국(Node-B) #1 및 이동국(UE)에 지시한다.
이 경우,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제1 기지국(Node-B) #1 및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동일한 타이밍에서 정지 되도록 타이밍 지정을 행한다.
단계 S1004에서, 이동국(UE) 및 제1 기지국(Node-B) #1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시킨 취지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대해서 응답한다.
이 경우,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서는, 제1 기지국(Node-B) #1이나 이동국(UE), 또는 제1 기지국(Node-B) #1 및 이동국(UE)의 양쪽으로부터, 업링크 데이 터의 전송 속도 제어의 정지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통지된다.
단계 S1005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수신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1006에서, 제2 기지국(Node-B) #2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통신에 해당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고, 이를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한편, 제2 기지국(Node-B) #2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2 기지국(Node-B) #2에서 할당 가능한 최대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포함하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1007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수신한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1005에서 요구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 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초기값)로 결정한다.
한편,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수신한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포함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초기값)로 결정한다.
그 결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초기값으로서 결정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의해 업링크 회선의 동기 처리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1008에서, 제2 기지국(Node-B) #2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의 동기 지시에 의해 지시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 동기 처리를 개시한다. 제2 기지국(Node-B) #2는, 제2 기지국(Node-B) #2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사이의 업링크 회선의 동기가 확립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동기 확립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1009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제2 기지국(Node-B) #2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사이의 업링크 회선의 동기 확립 응답을 받아, 이동국(UE)에 대해서, 제2 기지국(Node-B) #2와 이동국(UE) 사이의 다운링크 회선의 동기를 확립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1010에서, 이동국(UE)은, 제2 기지국(Node-B) #2와의 사이에서의 다운링크 회선의 동기를 확립하고, 이와 같은 동기가 확립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동기 확립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1011에서, 이동국(UE)은, 제1 기지국(Node-B) #1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업링크 데이터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인핸스드 업링크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에,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기 때문 에, 확실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가능해져, 실패율이 낮은 소프트 핸드오버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안정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의 동기가 확립된 후,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기 때문에, 이동국(UE)과 제2 기지국(Node-B) #2 사이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가 낭비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소프트 핸드오버에 새롭게 추가되는 제2 기지국(Node-B) #2에 대해서, 하드웨어 리소스에 관한 문의(할당이 가능한지 여부,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어느 정도의 전송 속도이면 할당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의)를 행한 후,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안정된 소프트 핸드오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소프트 핸드오버 후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에 대하여, 모든 기지국(Node-B)에 대해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여도 되는 상태로 되지 않는 한, 해당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이지 않기 때문에, 소프트 핸드오버에 의해 필요한 수신 전력 레벨을 유지하면서, 각 기지국(Node-B)에서의 노이즈 라이즈의 제어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에서, "Common rate Control" 기술을 채용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mmon rate Control" 기술에서는, 기지국(Node-B)이, 예를 들면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 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에 상당하는 파라미터를 송신하고, 각 이동국(UE)은,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의 범위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Node-B)은, 어느 이동국이 어느 정도의 전송 속도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전술한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 레이트를 완만하게 높여 가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UE)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도 15는, 제1 기지국(Node-B) #1 및 제2 기지국(Node-B) #2로부터의 전송 속도 제어 정보(전송 속도 제어 비트 복호값) 및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위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UE)의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32)는, 접속 중인 모든 기지국(Node-B) #1 및 #2에 의해 지시되는 최대 전송 속도 중에서 가장 낮은 최대 전송 속도에 맞추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를,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시에, 각 기지국(Node-B) #1 및 #2가 통보하는 최대 전송 속도의 최소값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된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Node-B)의 기능의 일부인 이동국(UE)의 서빙 셀(도 16의 예에서는, 셀 #3)이, 이동국(UE)에 대해서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 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 및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 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을 송신하고, 기지국(Node-B)의 기능의 일부인 이동국(UE)의 비-서빙 셀(도 16의 예에서는, 셀 #4)이, 이동국(UE)에 대해서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은,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또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빙 셀에 의해 송신되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은,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증감을 지시하는 정보("Up", "Down" 또는 "Keep")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비-서빙 셀에 의해 송신되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은, 이동 국(UE)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정보("Down")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제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01에서, 이동국(UE)은, 제1 기지국(Node-B) #1에서의 셀 #3(서빙 셀)과 통신을 행하고, 제1 기지국(Node-B) #1에서의 셀 #3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와 통신을 행하고 있다.
단계 S2002에서, 이동국(UE)은, 소정 조건이 만족되었기 때문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대해서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단계 S2003에서, 측정 보고를 수신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셀 #3 및 이동국(UE)에 지시한다.
이 경우,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셀 #3 및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가 동일한 타이밍에서 정지되도록 타이밍 지정을 행한다.
단계 S2004에서, 이동국(UE) 및 셀 #3은,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한 취지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응답한다.
이 경우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서는, 셀 #3이나 이동국(UE), 또는 셀 #3 및 이동국(UE)의 양쪽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 제어의 정지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통지된다.
단계 S2005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수신한 무선 회선 제어 장 치(RNC)는, 제2 기지국(Node-B) #2에서의 셀 #4에 대해서,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2006에서, 셀 #4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동국(UE)과 셀 #4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에, 해당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고, 이를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한편, 셀 #4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셀 #4에서 할당 가능한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를 포함하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2007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수신한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하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2005에서 요구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초기값)로 결정한다.
한편,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수신한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하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포함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초기값)로 결정한다.
그 결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셀 #4에 대해서, 초기값으로서 결정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의해 업링크 회선의 동기 처리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2008에서, 셀 #4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의 동기 지시에 의해 지시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 동기 처리를 개시한다. 셀 #4는, 셀 #4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사이의 업링크 회선의 동기가 확립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동기 확립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2009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셀 #4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사이의 업링크 회선의 동기 확립 응답을 받아, 이동국(UE)에 대해서, 셀 #4와 이동국(UE) 사이의 다운링크 회선의 동기를 확립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2010에서, 이동국(UE)은, 셀 #4와의 사이에서의 다운링크 회선의 동기를 확립하고, 이와 같은 동기가 확립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동기 확립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2011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서빙 셀을 셀 #3으로부터 셀 #4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고, 이와 같은 서빙 셀의 변경을 지시하는 셀 변경 지시를 이동국(UE), 셀 #3 및 셀 #4에 통지한다.
단계 S2012에서, 이동국(UE), 셀 #3 및 셀 #4는, 전술한 서빙 셀의 변경이 완료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셀 변경 완료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2013에서, 이동국(UE)은, 셀 #3과 셀 #4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업링크 데이터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제2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01에서, 이동국(UE)은 제1 기지국(Node-B) #1에서의 셀 #3(서빙 셀)과 통신을 행하고, 제1 기지국(Node-B) #1에서의 셀 #3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와 통신을 행하고 있다.
단계 S3002에서, 이동국(UE)은, 소정 조건이 만족되었기 때문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단계 S3003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Node-B) #2에서의 셀 #4에 대해서,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3004에서, 셀 #4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동국(UE)과 셀 #4 사이의 통신에, 해당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하고, 이를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한편, 셀 #4는,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셀 #4에서 할당 가능한 업링크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를 포함하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3005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수신한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하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3003에서 요구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초기값)로 결정한다.
한편,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수신한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의해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할당이 가능하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전송 속도 할당 응답에 포함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소프트 핸드오버의 개시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초기값)로 결정한다.
그 결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셀 #4에 대해서, 초기값으로서 결정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의해 업링크 회선의 동기 처리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3006에서, 셀 #4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로부터의 동기 지시에 의해 지시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 동기 처리를 개시한다. 셀 #4는, 셀 #4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사이의 업링크 회선의 동기가 확립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동기 확립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여기서, 셀 #3은 이동국(UE)의 서빙 셀이며, 셀 #4는 이동국(UE)의 비-서빙 셀인 것으로 한다.
단계 S3007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셀 #4와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 사이의 업링크 회선의 동기 확립 응답을 받아, 이동국(UE)에 대해서, 셀 #4와 이동국(UE) 사이의 다운링크 회선의 동기를 확립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S3008에서, 이동국(UE)은, 셀 #4와의 사이에서의 다운링크 회선의 동기를 확립하고, 이와 같은 동기가 확립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동기 확립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3009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서빙 셀을 셀 #3으로부터 셀 #4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고,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 록, 셀 #3, 셀 #4 및 이동국(UE)에 지시한다.
이 경우,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셀 #3과 이동국(UE) 사이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가 동일한 타이밍에서 정지되도록, 또한 셀 #4와 이동국(UE) 사이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가 동일한 타이밍에서 정지되도록 타이밍 지정을 행한다.
단계 S3010에서, 이동국(UE), 셀 #3 및 셀 #4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한 취지를,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대하여 응답한다.
이 경우에,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서는, 셀 #3이나 이동국(UE), 또는 셀 #3 및 이동국(UE)의 양쪽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 제어의 정지시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통지된다.
단계 S3011에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는, 셀 #3으로부터 셀 #4로의 서빙 셀의 변경을 지시하는 셀 변경 지시를, 이동국(UE), 셀 #3 및 셀 #4에 통지한다.
단계 S3012에서, 이동국(UE), 셀 #3 및 셀 #4는, 전술한 서빙 셀의 변경이 완료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셀 변경 완료 응답을, 무선 회선 제어 장치(RNC)에 송신한다.
단계 S3013에서, 이동국(UE)은, 셀 #3과 셀 #4 사이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업링크 데이터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 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수정 및 변경 태양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핸스드 업링크에서 실패율이 낮은 소프트 핸드오버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기지국 및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이동국의 서빙 셀을 제1 셀에서 제2 셀로 변경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서빙 셀인 상기 제1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셀에 대해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상기 이동국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의 서빙 셀을 상기 제1 셀로부터 상기 제2 셀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셀에 대하여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동기가 확립된 후,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고 있는 정지 기간 중에,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셀로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지정하는 공정;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정지 기간 중에, 지정된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에 대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기 제2 셀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 할당하도록 요구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셀이, 상기 할당이 가능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할당이 가능한 최대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보고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제어 방법.
  5. 이동국의 서빙 셀을 제1 셀에서 제2 셀로 변경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서빙 셀인 상기 제1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셀에 대해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저지하도록 지시하는 정지 지시부;
    상기 이동국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의 서빙 셀을 상기 제1 셀로부터 상기 제2 셀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변경 지시부;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셀에 대해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재개 지시부
    를 포함하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지시부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는 정지 기간 중에,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셀로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에 대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기 제2 셀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 할당하도록 요구하는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개 지시부는, 상기 제2 셀로부터의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초기값을 설정하고, 상기 이동국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서 상기 초기값을 통지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무선 회선 제어 장치.
  8. 이동국과의 사이에서의 통신 중에,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의 서빙 셀을 제1 셀로부터 제2 셀로 변경하기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가,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2 셀과의 사이에서 동기가 확립된 후,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다시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정지하는 정지 기간 중에, 상기 전송 속도 변경 제어부는,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로서, 무선 제어 회선 장치에 의해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11.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 장치에 의해 요구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이동국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고, 상기 할당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무선 회선 제어 장치에 보고하며, 상기 할당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할당이 가능한 최대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기 무선 회선 제어 장치에 보고하는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를 구비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 할당 처리부는, 상기 할당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존 이동국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상기 할당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077008539A 2004-09-15 2005-09-15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및 기지국 KR101036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8946 2004-09-15
JPJP-P-2004-00268946 2004-09-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697A Division KR20090038915A (ko) 2004-09-15 2005-09-15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동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364A KR20070051364A (ko) 2007-05-17
KR101036526B1 true KR101036526B1 (ko) 2011-05-24

Family

ID=360601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8539A KR101036526B1 (ko) 2004-09-15 2005-09-15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및 기지국
KR1020097003697A KR20090038915A (ko) 2004-09-15 2005-09-15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동국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697A KR20090038915A (ko) 2004-09-15 2005-09-15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동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1942B2 (ko)
EP (1) EP1802144A4 (ko)
JP (3) JP4776539B2 (ko)
KR (2) KR101036526B1 (ko)
CN (2) CN101695186A (ko)
WO (1) WO2006030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610A1 (ja) * 2005-01-11 2006-07-20 Ntt Docomo, Inc.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4569768B2 (ja) * 2005-06-17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移動端末送信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JP2007288550A (ja) * 2006-04-18 2007-11-01 Nakayo Telecommun Inc 無線lanシステム
US8331314B2 (en) * 2007-04-20 2012-12-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rmant session management associated with handover
US9668225B2 (en) 2007-07-10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ctiv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one rate feedback and probability adaptation in peer-to-peer networks
US9521680B2 (en) 2007-07-10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three rate reports from interfering device in peer-to-peer networks
US8849197B2 (en) * 2007-07-1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ctiv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peer-to-peer networks
US8855567B2 (en) * 2007-07-10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two rate feedback in peer-to-peer networks
US8874040B2 (en) * 2007-07-10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rate capping in peer-to-peer networks
JP5039593B2 (ja) * 2008-02-07 2012-10-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US8509783B2 (en) * 2008-03-25 2013-08-13 Ntt Docomo, Inc.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US8260206B2 (en) * 2008-04-16 2012-09-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and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JP5343747B2 (ja) * 2008-09-30 2013-11-1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および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KR101494108B1 (ko) * 2010-08-12 2015-02-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설정 방법, 무선 기지국, 이동국
US9198183B2 (en) 2013-06-19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Accommodating multi-SIM-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tuneaway events at a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EP2930981B1 (en) * 2014-04-08 2018-02-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with low power base station and high power base station
EP3497965B1 (en) * 2016-08-11 2022-04-13 Kyocera Corporation Ran-assisted rate adaptation
JP6368009B1 (ja) * 2017-06-19 2018-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帯域制御方法
WO2019173961A1 (en) * 2018-03-13 2019-09-19 Qualcomm Incorporated Sequence selection techniques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JP2023078556A (ja) * 2021-11-26 2023-06-0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の処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530A (ko) * 1999-06-17 2000-11-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이동통신시스템
KR20010025772A (ko) * 1999-09-01 2001-04-06 서평원 고속 순방향 전력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08B2 (ja) * 1991-11-07 2000-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通信網における隣接通話帯域予約接続方式
US5923650A (en) * 1997-04-08 1999-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EP1641141B1 (en) * 1997-12-10 2009-03-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power and data rate base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0049663A (ja) * 1998-04-17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伝送レ―ト制御方法
EP1122965B1 (en) * 1998-04-17 2004-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rate
US6597705B1 (en) * 1998-09-10 2003-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optimal reverse link scheduling of resources, such as a rate and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430414B1 (en) * 1999-12-29 2002-08-06 Qualcomm Incorporated Soft handoff algorith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hird generation CDMA systems
US6889050B1 (en) 2000-11-22 2005-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transmission rate services in a radio access network
JP4171186B2 (ja) * 2001-04-04 2008-10-2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設定方法
KR100891798B1 (ko) * 2002-01-14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부가 채널의 호 할당 제어 방법
US7031742B2 (en) 2002-02-07 2006-04-18 Qualcomm Incorporation Forward and reverse link power control of serving and non-serving bas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3249451A1 (en) * 2002-07-31 2004-02-23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dual-mode reverse link scheduling method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JP2004193786A (ja) * 2002-12-09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JP2006515973A (ja) * 2003-01-11 2006-06-0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ヒック分散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7385951B2 (en) * 2003-02-15 2008-06-1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and signaling over a reverse link in wireless systems
CA2457285A1 (en) 2003-02-15 2004-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B2402021A (en) * 2003-05-19 2004-11-24 Nec Corp Ra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acket transmission from a mobile phone to a base station
US7126928B2 (en) * 2003-08-05 2006-10-24 Qualcomm Incorporated Grant, acknowledgement, and rate control active se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530A (ko) * 1999-06-17 2000-11-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이동통신시스템
KR20010025772A (ko) * 1999-09-01 2001-04-06 서평원 고속 순방향 전력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6761A1 (en) 2008-01-31
KR20070051364A (ko) 2007-05-17
KR20090038915A (ko) 2009-04-21
WO2006030870A1 (ja) 2006-03-23
EP1802144A1 (en) 2007-06-27
JP4776539B2 (ja) 2011-09-21
EP1802144A4 (en) 2012-04-04
US8331942B2 (en) 2012-12-11
JPWO2006030870A1 (ja) 2008-05-15
CN101027923A (zh) 2007-08-29
JP2010183642A (ja) 2010-08-19
JP4776730B2 (ja) 2011-09-21
JP2009135981A (ja) 2009-06-18
CN101695186A (zh)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526B1 (ko)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회선 제어 장치, 및 기지국
EP3050359B1 (en) Controlling handover of a high-priority user equipment operating near a cell edge
KR100762647B1 (ko) 기지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자원 관리 방법
EP18840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uplink data transmission
JP464258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基地局、移動局
US20090181673A1 (en)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a radio link characteristic
US8254936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base station for prediction based allocation of processing resources in a non-serving base station
JP2012523186A (ja) ワイヤレスofdmaシステムに適用する動的資源トランザクションのメカニズム
KR10171968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캐리어들이 집적된 단말기의 캐리어들에 대한 효율적인 메저먼트 방법
WO2006109851A1 (ja) 移動局、基地局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
KR100876812B1 (ko) 비동기 방식의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목표잡음 증가 대 열 잡음 비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 장치 및방법
WO20050648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 rat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93063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並びに通信方法
WO2003075598A1 (fr) Dispositif de station de base et dispositif de terminal de communication
US20090181682A1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signalling therefor
JP2006080915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上り回線伝送レート制御方法
KR20040042483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28

Effective date: 2011040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