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814A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814A
KR20040084814A KR1020040020273A KR20040020273A KR20040084814A KR 20040084814 A KR20040084814 A KR 20040084814A KR 1020040020273 A KR1020040020273 A KR 1020040020273A KR 20040020273 A KR20040020273 A KR 20040020273A KR 20040084814 A KR20040084814 A KR 2004008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formula
short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간노
노리유끼 마쯔스에
가오리 사이또
유지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5Metal complexes of the platinum group, i.e. Os, Ir, Pt, Ru, Rh or P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양극 (2) 상에 홀 주입층 (3), 홀 수송층 (4), 청색광 발광층 (5), 오렌지광 발광층 (6), 전자 수송층 (7), 전자 주입층 (8) 및 음극 (9)가 순서대로 형성된다. 청색광 발광층 (5)는 보조 도펀트 및 청색광을 발하는 발광 도펀트가 도핑된 호스트 재료로 구성된다. 보조 도펀트에는 홀 수송층 (4)에 사용한 재료가 이용된다. 오렌지광 발광층 (6)은 오렌지광을 발하는 발광 도펀트가 도핑된 호스트 재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술(IT)의 발전에 따라 두께 수 mm 정도의 박형이면서도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박형 표시 소자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박형 표시 소자로서 유기 EL 소자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풀 컬러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방법(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1-93667호공보 참조), 및 백색 발광 소자와 광의 3 원색 단색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백색 발광 소자는 청색 발광 재료와 오렌지색 발광 재료를 포함하며, 청색 발광 재료가 발하는 청색광과 오렌지색 발광 재료가 발하는 오렌지광을 동시에 발광시켜 백색을 실현하였다.
그러나, 청색 발광 재료 및 오렌지색 발광 재료를 이용하여 백색 발광을 실현하는 경우, 각각의 발광이 고효율이 아니면 백색으로서의 고효율화를 실현할 수 없다. 종래의 백색 발광 소자에서는 10 cd/A의 발광 효율이 한계였다(예를 들면, 문헌 [J. Kido, M. Kumura, K. Nagai, Science, 267, 1332, 1995] 참조).
또한, 백색 발광 소자와 컬러 필터를 조합하여 풀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 컬러 필터에 의해 백색광의 일부가 흡수되어 고휘도의 광을 얻을 수 없었다. 그에 따라 백색 발광 소자와 컬러 필터를 조합하여 풀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풀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비 전력이 커짐과 동시에 휘도가 낮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서의 홀 수송층, 청색광 발광층, 도펀트, 및 보조 도펀트의 최저 공분자 궤도(LUMO) 및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HOMO)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서의 홀 수송층, 오렌지광 발광층, 도펀트, 및 보조 도펀트의 최저 공분자 궤도(LUM0) 및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 (HOMO)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 2, 4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가 발하는 광 강도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NPB 도핑 농도와 오렌지광 발광층의 발광 피크 강도, 및 발광색(CIE의 x치)과의 관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NPB 도핑 농도와 청색광 발광층의 발광 피크 강도, 및 발광색(CIE의 x치)과의 관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리 기판
2: 양극
3: 홀 주입층
4: 홀 수송층
5, 5a: 청색광 발광층
6, 6a: 오렌지광 발광층
7: 전자 수송층
8: 전자 주입층
9: 음극
10: 유기 박막층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발광층은 다른 2종 이상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다른 2종 이상의 발광 재료 중 1종 이상은 인광 발광 재료인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제1 및 제2 전극의 한쪽에서 발광층에 홀이 공급되고, 제1 및 제2 전극의 다른쪽에서 발광층에 전자가 공급된다. 그에 따라 발광층에 포함되는 다른 2종 이상의 발광 재료가 발광한다. 이 경우, 이들 광 중 1종 이상은 인광이다. 따라서,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광을 발한다. 그 결과,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발광층은 단파장 발광층과 장파장 발광층을 포함하며, 단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피크 파장 중 하나 이상은 430 nm 내지 520 nm의 범위에 있고, 장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피크 파장 중 하나 이상은 520 nm 내지 630 n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파장 발광층은 주로 청색광을 발하고, 장파장 발광층은 주로 오렌지광을 발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장파장 발광층은 제1 호스트 재료와 제1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인광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1 중의 A는 치환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L은 치환기이며, M은 중금속이고, m은 1, 2 또는 3이며, 2m+2n=6 또는 2m+n=6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장파장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오렌지광을 발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2 중의 R3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장파장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오렌지광을 발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A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3 중의 R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장파장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오렌지광을 발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제1 인광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4의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페닐퀴놀린)이리듐 골격을 가지며, 화학식 4 중의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장파장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오렌지광을 발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제2 전극은 음극이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장파장 발광층 및 단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장파장 발광층은 홀 수송 능력을 갖는 제1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장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장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음극으로부터 단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전자가 단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양극으로부터 장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의 대부분이 장파장 발광층에서 전자와 재결합함으로써, 장파장 발광층의 오렌지광의 발광 강도가 단파장 발광층의 청색광의 발광 강도와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인광 발광 재료 및 제1 보조 도펀트의 총 체적률은 장파장 발광층에 대하여 3 내지 40 %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장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장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전자가 단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제1 호스트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6, 제1 인광 발광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수준 H4, 및 제1 보조 도펀트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수준 H5는 하기 수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관계를 충족할 수도 있다.
H4<H5<H6
|H6-H5|<0.4eV
|H5-H4|<0.4eV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장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장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전자가 단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제1 보조 도펀트는 아민계 재료, 안트라센 유도체 또는 이리듐 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장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장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전자가 단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장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 강도와 단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 강도의 비는 100 : 20 내지 100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렌지광의 광 강도와 청색광의 광 강도가 동일한 정도가 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제2 전극은 음극이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장파장 발광층 및 단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단파장 발광층은 제2 호스트 재료와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하며, 보조 도펀트는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단파장 발광층의 보조 도펀트가 장파장 발광층의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단파장 발광층으로의 정공 주입량이 증대된다. 그에 따라, 단파장 발광층의 발광 강도가 향상된다.
단파장 발광층은 제2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파장 발광층이 광 강도가 높은 광을 발한다.
단파장 발광층은 제2 호스트 재료와 제2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인광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7 중의 A는 치환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며, L은 치환기이고, M은 중금속이며, m은 1, 2 또는 3이고, 2m+2n=6 또는 2m+n=6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파장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청색광을 발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A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8 중의 R1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파장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청색광을 발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제2 전극은 음극이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단파장 발광층 및 장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단파장 발광층은 홀 수송 능력을 갖는 제2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단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단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음극으로부터 장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전자가 장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양극으로부터 단파장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의 대부분이 단파장 발광층에서 전자와 재결합함으로써, 단파장 발광층의 청색광의 발광 강도가 장파장 발광층의 오렌지광의 발광 강도와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인광 발광 재료와 제2 보조 도펀트의 총 체적률은 단파장 발광층에 대하여 3 내지 40 %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단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단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전자가 장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제2 호스트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3, 제2 인광 발광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1, 및 제2 보조 도펀트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2는 하기 수학식 4로 표시되는 관계를 충족할 수도 있다.
H1<H2<H3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단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단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전자가 장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제2 보조 도펀트는 아민계 재료, 안트라센 유도체 또는 이리듐 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으로부터 단파장 발광층에 공급되는 홀이 단파장 발광층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공급된 홀과 전자가 장파장 발광층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진다.
단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 강도와 장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 강도의 비는 100 : 20 내지 100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청색광의 광 강도와 오렌지광의 광 강도가 동일한 정도가 된다. 따라서,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제2 전극은 음극이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단파장 발광층 및 장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장파장 발광층은 제1 호스트 재료를 더 포함하며, 단파장 발광층은 제2 호스트 재료와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하고, 보조 도펀트는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단파장 발광층의 보조 도펀트가 장파장 발광층의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단파장 발광층으로의 전자 주입량이 증대된다. 그에 따라, 단파장 발광층의 발광 강도가 향상된다.
장파장 발광층은 제1 호스트 재료와 제1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단파장 발광층은 제2 호스트 재료와 제2 인광 발광 재료 및 보조 도펀트를 포함하며, 보조 도펀트는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단파장 발광층의 보조 도펀트가 장파장 발광층의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단파장 발광층으로의 정공 또는 전자 주입량이 증대된다. 그에 따라, 단파장 발광층의 발광 강도가 향상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 EL 소자를 나타내는 모식적인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유기 EL 소자 (100)의 제조시에는 미리 유리 기판 (1) 상에 In2O3-SnO2(ITO)로 이루어지는 양극 (2)를 형성하고, 이 양극 (2) 상에 10-4Pa 대의 진공도로 증착법에 의해 홀 주입층 (3), 홀 수송층 (4), 청색광 발광층 (5), 오렌지광 발광층 (6), 전자 수송층 (7) 및 전자 주입층 (8)을 순서대로 형성하여 유기 박막층 (10)을 형성한다. 또한, 이 유기 박막층 (10) 상에 마그네슘과 인듐의 합금(Mg:In)으로 이루어지는 음극 (9)를 형성한다.
홀 수송층 (4)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이하, "NPB"라고 함), 하기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4,4'4"-트리스(N-(2-나프틸)-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N-(2-naphthyl)-N-phenyl-amino)-triphenylamine: 이하, "2TNATA"라고 함), N,N'-비스-(3-메틸페닐)-N,N'-비스-(페닐)-벤지딘(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이하, "TPD"라고 함) 등의 아민계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홀 수송층 (4)는 하기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루브렌(Rubrene) 등의 안트라센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페닐피리딘)이리듐(Tris(2-phenylpyridine)iridium: 이하, "Ir(ppy)"라고 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청색광 발광층 (5)는 발광 도펀트 및 보조 도펀트가 도핑된 호스트 재료로 구성된다.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tert-부틸 치환 디나프틸안트라센(이하, "화합물 A"라고 함)으로 구성된다.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발광 도펀트(인광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7 중의 R10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다. A는 치환기이고, L은 배위자이며, M은 중금속이다.
<화학식 7>
R10의 치환기는, 예를 들면 시아노기, 실릴기, 알키닐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니트릴기, 술포기, 카르복시기, 알데히드기 등을 들 수 있으며, 20까지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것이다.
또는, R10의 치환기는 피리딘환과 축합하는 아릴기, 복소 방향족기, 축합 방향족기 등이다. 이들 기는 알킬기, 알케닐기, 아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등을 가지며, 아닐기는 예를 들면 페닐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고, 헤테로 원자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 할로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술포기, 포스포기, 카르복시기, 알데히기 등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7 중의 M의 중금속이 백금, 팔라듐, 이리듐, 로듐, 레늄 등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7 중의 m, n은 2m+2n=6 또는 2m+n=6(m=1, 2, 3)의 관계를 갖는다. L은 M에 대하여 1 자리 또는 2 자리 배위자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7 중의 A의 치환기는 하기 화학식 8일 수도 있다.
<화학식 8>
또한, 화학식 8 중의 R1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11의 치환기는, 예를 들면 -CnH2n+1(n=0 내지 10), 페닐기, 나프틸기, 티오펜기, -CN, -N(CnH2n+1)2(n=1 내지 10), -COOCnH2n+1(n=1 내지 10), -F, -Cl, -Br, -I, -OCH3, -OC2H5등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7 중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비스(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피콜린산)이리듐("FIrpic"라고 함)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비스(2-(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딘)(피콜린산)이리듐("Ir(2,4,5-Fppy)2(pic)"라고 함)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이리듐("Ir(5-CF3ppy)3"이라고 함)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이리듐("Ir(4,5'-CF3ppy)3"이라고 함)일 수도 있다.
또한,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발광 도펀트(형광 발광 재료)는 하기 화학식 13의 분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화학식 13 중의 R20은 후술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n이 2 이상인 경우, R2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R20은, 예를 들면 페닐기, 헤테로아릴기 등의 아닐기이고, 헤테로 원자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 및(또는) 할로겐 원자를 가질 수도 있으며, 헤테로 원자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술포기, 포스포기, 카르복시기, 알데히드기, 카르바졸기 등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고, 헤테로 원자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 및(또는) 할로겐 원자 및 상기의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R20은 안트라센환의 어느 위치로 치환될 수도 있으며, 복수 안트라센환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R20은 서로 다른 복수의 치환기일 수도 있다.
상기 발광 도펀트가 발하는 광 강도의 피크 파장은 430 nm 내지 510 nm이다. 그에 따라, 청색광 발광층 (5)는 주로 청색광을 발한다.
예를 들면,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발광 도펀트(형광 발광 재료)에는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1,4,7,10-테트라-tert-부틸페릴렌(1,4,7,10-Tetra-tert-butylPerylene: 이하, "TBP"라고 함)이 사용된다.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에는, 홀 수송층으로서 사용한 NPB 또는 루브렌이 사용된다.
청색광 발광층 (5)는, 예를 들면 호스트 재료에 대하여 발광 도펀트의 체적률이 2 % 정도이고, 보조 도펀트의 체적률이 0 % 내지 40 %이다. 보조 도펀트의 바람직한 체적률은 3 % 내지 40 %이다.
오렌지광 발광층 (6)은 발광 도펀트가 도핑된 호스트 재료로 구성된다.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4,4'-비스(카르바졸-9-일)-비페닐(4,4'-Bis(carbazol-9-yl)-biphenyl:이하, "CBP"라고 함)로 구성된다.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발광 도펀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1 중의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다. A는 치환기이고, L은 배위자이며, M은 중금속이다.
<화학식 1>
R1 및 R2의 치환기는, 예를 들면 시아노기, 실릴기, 알키닐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니트릴기, 술포기, 카르복시기, 알데히드기 등을 들 수 있으며, 20개까지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것이다.
또는, R1 및 R2의 치환기는 피리딘환과 축합하는 아릴기, 복소 방향족기, 축합 방향족기 등이다. 이들 기는 알킬기, 알케닐기, 아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등을 가지며, 아닐기는 예를 들면 페닐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고, 헤테로 원자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 할로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술포기, 포스포기, 카르복시기, 알데히기 등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R1과 R2는 서로 결합 또는 환화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일 수도 있다. 화학식 2 중의 R3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또한, R3의 치환기는, 예를 들면 -CnH2n+1(n=0 내지 10), 페닐기, 나프틸기, 티오펜기, -CN, -N(CnH2n+1)2(n=1 내지 10), -COOCnH2n+1(n=1 내지 10), -F, -Cl, -Br, -I, -OCH3, -OC2H5등일 수도 있다.
화학식 1 중의 L의 배위자는, 예를 들면 할로겐 배위자, 피콜린산, 살리실산 등의 카르복실산 배위자, 이민 배위자, 아세틸아세톤, 디벤조일메탄 등의 디케톤 배위자, 인 배위자, 페닐피리딘 등의 오르토카르보메탈화 배위자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중의 M의 중금속이 백금, 팔라듐, 이리듐, 로듐, 레늄 등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m, n은 2m+2n=6 또는 2m+n=6(m=1, 2, 3)의 관계를 갖는다. L은 M에 대하여 1 자리 또는 2 자리 배위자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중의 A의 치환기는 하기 화학식 3일 수도 있다.
<화학식 3>
또한, 화학식 3 중의 R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4의 치환기는, 예를 들면 -CnH2n+1(n=0 내지 10), 페닐기, 나프틸기, 티오펜기, -CN, -N(CnH2n+1)2(n=1 내지 10), -COOCnH2n+1(n=1 내지 10), -F, -Cl, -Br, -I, -OCH3, -OC2H5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페닐퀴놀린)이리듐(Tris(2-phenylquinoline)iridium: 이하, "Ir(phq)"라고 함) 골격을 가질 수도 있다.
<화학식 4>
화학식 4 중의 R5 및 R6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다. R5 및R6의 치환기는, 예를 들면 -CnH2n+1(n=0 내지 10), 페닐기, 나프틸기, 티오펜기, -CN, -N(CnH2n+1)2(n=1 내지 10), -COOCnH2n+1(n=1 내지 10), -F, -Cl, -Br, -I, -OCH3, -OC2H5등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페닐퀴놀린)이리듐(Tris(2-phenylquinoline)iridium: "Ir(phq)"라고 함)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나프틸퀴놀린)이리듐(Tris(2-naphthylquinoline)iridium: "Ir(Naphq)"라고 함)일 수도 있다.
상기 발광 도펀트가 발하는 광 강도의 피크 파장은 520 nm 내지 680 nm이다.그에 따라, 오렌지광 발광층 (6)은 주로 오렌지광을 발한다. 또한, 오렌지광 발광층(6)은, 예를 들면 호스트 재료의 막두께에 대하여 발광 도펀트가 6.5 % 정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서의 홀 수송층 (4), 청색광 발광층 (5), 도펀트 및 보조 도펀트의 최저 공분자 궤도(LUMO) 및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HOMO)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 수송층 (4)와 보조 도펀트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홀 수송층 (4)의 HOMO 수준 H0과 보조 도펀트의 HOMO 수준 H2는 동일 에너지 준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색광 발광층 (5)에서는 (발광 도펀트의 HOMO 수준 H1)<(보조 도펀트의 HOMO 수준 H2)<(호스트 재료의 HOMO 수준 H3)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홀의 에너지는 화살표 방향으로 높아진다.
그에 따라, 홀 수송층 (4)로부터 청색광 발광층 (5)에 공급된 홀은 청색광 발광층 (5)를 통과하기 쉽고, 도 1의 오렌지광 발광층 (6)에 도달하기 쉽다. 그 결과, 전자와 홀이 오렌지광 발광층 (6)에서 재결합하기 쉬워져 오렌지광 발광층 (6)이 발하는 광의 강도가 커진다. 따라서, 홀 수송층 (4)로부터 청색광 발광층 (5)에 공급되는 홀의 대부분이 청색광 발광층 (5)에서 전자와 재결합함으로써, 청색광 발광층 (5)의 청색광의 발광 강도가 오렌지광 발광층 (6)에서의 오렌지광의 발광 강도와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청색광 발광층 (5)가 발하는 청색광의 강도와 오렌지광 발광층 (6)이 발하는 오렌지광의 강도의 비는 100 : 20 내지 100이 된다. 따라서, 도 1의 유기 EL 소자는 효율적으로 백색광을 발할 수 있다.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로서,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로서 CBP가 사용된다. 그에 따라, 청색광 발광층 (5)로의 전자 주입량이 증가하여 청색광의 발광 강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색광 발광층 (5)가 단파장 발광층에 상당하고, 오렌지광 발광층 (6)이 장파장 발광층에 상당하고,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가 제1 호스트 재료에 상당하고,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발광 도펀트가 제1 인광 발광 재료에 상당하고,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가 제1 보조 도펀트에 상당하고,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가 제2 호스트 재료에 상당하고,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발광 도펀트가 제2 인광 발광 재료에 상당하며,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가 제2 보조 도펀트에 상당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의 유기 EL 소자가 도 1의 유기 EL 소자와 다른 점은, 도 3의 청색광 발광층 (5a) 및 오렌지광 발광층 (6a)가 도 1의 청색광 발광층 (5) 및 오렌지광 발광층 (6)과 반대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오렌지광 발광층 (6a)는 도 1의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에 보조 도펀트가 도핑된 구성을 갖는다.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에는, 홀 수송층 (4)에 사용되는 NPB, 루브렌 또는 Ir(ppy)가 사용된다.
오렌지광 발광층 (6a)는, 예를 들면 호스트 재료에 대하여 발광 도펀트의 체적률이 6.5 % 정도이고, 보조 도펀트의 체적률이 0 % 내지 40 %이다. 보조 도펀트의 바람직한 체적률은 3 % 내지 40 %이다.
청색광 발광층 (5a)는 도 1의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에 보조 도펀트가 도핑되어 있지 않은 구성을 갖는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의 홀 수송층 (4), 오렌지광 발광층 (6a), 도펀트 및 보조 도펀트의 최저 공분자 궤도(LUMO) 및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HOMO)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 수송층 (4)와 보조 도펀트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홀 수송층 (4)의 HOMO 수준 H0과 보조 도펀트의 HOMO 수준 H5는 동일 에너지 준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렌지광 발광층 (6a)에서는 (발광 도펀트의 HOMO 수준 H4)<(보조 도펀트의 HOMO 수준 H5)<(호스트 재료의 HOMO 수준 H6)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각각의 HOMO 수준에 대하여 |(호스트 재료의 HOMO 수준 H6)-(보조 도펀트의 HOMO 수준 H5)|<0.4 eV의 관계와, |(보조 도펀트의 HOMO 수준 H5)-(발광 도펀트의 HOMO 수준 H4)|<0.4 eV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에 따라, 홀 수송층 (4)로부터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공급된 홀은 오렌지광 발광층 (6a)를 통과하기 쉽고, 도 3의 청색광 발광층 (5a)에 도달하기 쉽다. 그 결과, 전자와 홀이 청색광 발광층 (5a)에서 재결합하기 쉬워 청색광 발광층 (5a)가 발하는 광의 강도가 커진다. 따라서, 홀 수송층 (4)로부터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공급되는 홀의 대부분이 오렌지광 발광층 (6a)에서 전자와 재결합함으로써,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오렌지광의 발광 강도가 청색광 발광층 (5a)에서의 청색광의 발광 강도와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오렌지광 발광층 (6a)가 발하는 오렌지광의 강도와 청색광 발광층 (5a)가 발하는 청색광의 강도의 비는 100 : 20 내지 100이 된다. 따라서, 도 3의 유기 EL 소자는 효율적으로 백색광을 발할 수 있다.
청색광 발광층 (5a)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로서,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청색광 발광층 (5a)의 호스트 재료에 도핑되는 보조 도펀트로서 CBP가 사용된다. 그에 따라, 청색광 발광층 (5a)로의 홀 주입량이 증가하여 청색광의 발광 강도가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1 내지 8에서는 청색광 발광층 (5,5a) 및 오렌지광 발광층 (6,6a)에 사용하는 호스트 재료 및 도펀트의 종류, 및 이들의 구성 비율을 바꾸어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고, 호스트 재료 및 도펀트의 종류, 및 이들의 구성 비율이 발광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7 및 비교예 1의 유기 EL 소자는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가지며, 홀 주입층 (3)의 막두께가 10 nm, 홀 수송층 (4)의 막두께가 50 nm, 청색광 발광층 (5)의 막두께가 10 nm, 오렌지광 발광층 (6)의 막두께가 25 nm, 전자 수송층 (7)의 막두께가 20 nm, 전자 주입층 (8)의 막두께가 1 nm, 음극 (9)의 막두께가 200 nm이다.
실시예 4 내지 6, 8 및 비교예 2의 유기 EL 소자는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가지며, 홀 주입층 (3)의 막두께가 10 nm, 홀 수송층 (4)의 막두께가 50 nm,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막두께가 10 nm, 청색광 발광층 (5a)의 막두께가 25 nm, 전자 수송층 (7)의 막두께가 20 nm, 전자 주입층 (8)의 막두께가 1 nm, 음극 (9)의 막두께가 200 nm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구조 A라고 하고,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구조 B라고 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구조 A의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우선, 유리 기판 (1) 상에 양극 (2)를 80 nm 스퍼터에 의해 형성하였다. 양극 (2)를 형성한 유리 기판 (1)을 중성 세제 및 순수한 물로 세정한 후, 100 ℃에서 10 시간 이상 베이킹하였다. 그 후, UV/03 세정을 행하여 1×10-4Pa 이하까지 감압한 진공 증착 장치의 조 내에 세팅하였다.
홀 주입층 (3)으로서 CuPc를 형성한 후, 홀 수송층 (4)로서 NPB를 진공 증착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어서, 화합물 A를 호스트 재료로 하고, TBP를 발광 도펀트로 하여 청색광 발광층 (5)를 형성하였다. TBP는 청색광 발광층 (5)에 대하여 체적률이 2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이어서, CBP를 호스트 재료로 하고, Ir(phq)를 발광 도펀트로 하여 오렌지광 발광층 (6)을 형성하였다. Ir(phq)는 오렌지광 발광층 (6)에 대하여 체적률이 6.5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이어서, 전자 수송층 (7)로서 하기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네이토)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ato)aluminum: 이하, "Alq"라고 함)을 형성하였다. 전자 주입층 (8)로서 LiF를 형성하고, 음극 (9)로서 Al을 형성하였다. 유기 EL 소자를 건조제를 도포한 유리판을 이용하여 접착제로 노점 -80 ℃의 분위기하에서 밀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 화합물 A에 TBP를 도핑함과 동시에 보조 도펀트로서 NPB를 도핑하였다. TBP 및 NPB는 청색광 발광층 (5)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2 % 및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에서 화합물 A에 TBP 및 NPB를 도핑하는 대신에 TBP 및 루브렌을 도핑하였다. TBP 및 루브렌은 청색광 발광층 (5)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2 % 및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구조 B의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홀 수송층 (4)의 형성 후, CBP를 호스트 재료로 하고, Ir(phq)를 발광 도펀트로 하며, NPB를 보조 도펀트로 하여 오렌지광 발광층 (6a)를 형성하였다. Ir(phq) 및 NPB는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6.5 % 및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오렌지광 발광층 (6a)를 형성한 후, 화합물 A를 호스트 재료로 하고, TBP를 발광 도펀트로 하여 청색광 발광층 (5a)를 형성하였다. TBP는 청색광 발광층 (5a)에 대하여 체적률이 2.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4에서 Ir(phq) 및 NPB를 CBP에 도핑하는 대신에 Ir(phq) 및 루브렌을 CBP에 도핑하였다. Ir(phq) 및 루브렌은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6.5 % 및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4에서 Ir(phq) 및 NPB를 CBP에 도핑하는 대신에 Ir(phq) 및 Ir(ppy)를 CBP에 도핑하였다. Ir(phq) 및 Ir(ppy)는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6.5 % 및 2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에서 CBP에 Ir(phq)를 도핑하는 대신에 Alq를 호스트로 하여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갖는 (2-(1,1-디메틸에틸)-6-(2-(2,3,6,7-테트라히드로-1,1,7,7-테트라메틸--1II,5II-벤조[ij]퀴놀리진-9-일)에테닐)-4H-피란-4-일리덴)프로판디니트릴((2-(1,1-Dimethylethyl)-6-(2-(2,3,6,7-tetrahydro-1,1,7,7-tetramethyl-1II,5II-benzo[ij]quinolizin-9-yl)ethenyl)-4H-pyran-4-ylidene)propanedinitrile: 이하, "DCJTB"라고 함)을 도핑하였다. DCJTB는 오렌지광 발광층 (6)에 대하여 체적률이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4에서 NPB를 호스트 재료에 도핑하지 않았다.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 1)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구조, 각 층의 재료 및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는 오렌지광 발광층 (6) 또는 (6a)에 Ir(phq)가 도핑됨으로써,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발광 효율이 2배 이상이 되었다. 특히, 실시예 2, 4에서는 발광 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는 청색광 피크 강도와 오렌지광 피크 강도의 비가 개선되어 있다. 비교예 1, 2에서는 청색광 피크 강도 및 오렌지광 피크 강도 중 어느 하나의 광 피크 강도가 과도하게 높다. 그와 비교하여 실시예 2 내지 6에서는 청색광 피크 강도와 오렌지광 피크 강도의 비가 평활화되어 있다. 이것은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도펀트를 청색광 발광층 (5) 또는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도핑함으로써 홀이 통과하기 쉬워져 전자와 홀이 결합하는 위치가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도 5는 실시예 1, 2, 4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가 발하는 광 강도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종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횡축은 광의 파장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청색광은 광 강도가 높은 피크를 갖지만, 오렌지광은 광 강도의 피크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와 비교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청색광 및 오렌지광 모두 높은 피크를 갖는다. 그에 따라, 실시예 2의 유기 EL 소자는 효율적으로 백색광을 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오렌지광은 광 강도가 높은 피크를 갖지만, 청색광의 광 강도의 피크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와 비교하여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청색광 및 오렌지광 모두 광 강도가 높은 피크를 갖는다. 그에 따라, 실시예 4의 유기 EL 소자는 효율적으로 백색광을 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실시예 2에서 청색광 발광층 (5)에 대하여 NPB의 체적률을 0 % 내지 50 %까지 변화시켰다. 그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소자를 제조하였다.
(평가 2)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각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6은 NPB 도핑 농도와 오렌지광 발광층 (6)의 발광 피크 강도, 및 발광색(CIE의 x치)과의 관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종축은 청색광 발광층 (5)의 발광 피크 강도를 100이라고 했을 경우의 오렌지광 발광층 (6)의 발광 피크 강도의 비 및 CIE의 x치이다. 횡축은 청색광 발광층 (5)에 도핑한 NPB의 농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PB의 체적률이 10 %를 초과하면 오렌지광 발광층 (6)의 높은 발광 피크 강도비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실시예 4에서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대하여 NPB의 체적률을 0 % 내지 50 %까지 변화시켰다.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평가 3)
실시예 8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각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7은 NPB 도핑 농도와 청색광 발광층 (5a)의 발광 피크 강도, 및 발광색(CIE의 x치)과의 관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종축은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발광 피크 강도를 100이라고 했을 경우의 청색광 발광층 (5a)의 발광 피크 강도의 비 및 CIE의 x치이다. 횡축은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도핑한 NPB의 농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NPB의 체적률이 10 %를 초과하면 청색광 발광층 (5a)의 높은 발광 피크 강도비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서는 실시예 4에서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NPB로 이루어지는 보조 도펀트를 도핑하지 않고, 청색광 발광층 (5a)에 보조 도펀트로서 CBP를 도핑하였다. CBP는 청색광 발광층 (5a)에 대하여 체적률이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서는 실시예 4에서 청색광 발광층 (5a)에 보조 도펀트로서 CBP를 도핑하였다. CBP는 청색광 발광층 (5a)에 대하여 체적률이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실시예 9에서 청색광 발광층 (5a)에 보조 도펀트로서 CBP를 도핑하는 대신에 청색광 발광층 (5a)에 보조 도펀트로서 NBP를 도핑하였다. NBP는 청색광 발광층 (5a)에 대하여 체적률이 10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서는 실시예 1에서 청색광 발광층 (5)에 보조 도펀트로서 CBP를 도핑하고, 오렌지광 발광층 (6)에 발광 도펀트로서 Ir(Naphq)를 도핑하며, 보조 도펀트로서 Ir(phq)를 도핑하였다. CBP는 청색광 발광층 (5)에 대하여 체적률이 10%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Ir(Naphq) 및 Ir(phq)는 오렌지광 발광층 (6)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1 % 및 9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11에서 청색광 발광층 (5)에 보조 도펀트를 도핑하지 않았다. 그 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평가 4)
실시예 9 내지 11 및 비교예 3, 4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9 내지 11 및 비교예 3, 4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구조, 각 층의 재료 및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9, 10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비교예 3의 유기 EL 소자와 비교하여 발광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구동 전압이 감소되었다. 이것은 청색광 발광층 (5a)에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가 보조 도펀트로서 도핑됨으로써,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호스트 재료의 HOMO 수준과 청색광 발광층 (5a)의 보조 도펀트의 HOMO 수준이 동일한 에너지 준위가 되기 때문에, 청색광 발광층 (5a)로의 홀 주입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실시예 10에서는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NPB가 도핑됨으로써, 가장 균형잡힌 백색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비교예 4의 유기 EL 소자와 비교하여 발광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구동 전압이 감소되었다. 이것은 청색광 발광층 (5)에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가 보조 도펀트로서 도핑됨으로써, 오렌지광 발광층 (6)의 호스트 재료의 LUMO 수준과 청색광 발광층 (5)의 보조 도펀트의 LUMO 수준이 동일한 에너지 준위가 되기 때문에, 청색광 발광층 (5)로의 전자 주입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CBP는 홀 수송성 및 전자 수송성을 갖는 바이폴라 재료이다.
또한, 실시예 11에서는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보조 도펀트로서 Ir(phq)가 도핑됨으로써 균형잡힌 백색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서는 구조 A의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청색광 발광층 (5)의 호스트 재료로서 CBP를 사용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인광 발광 재료인 FIrpic를 사용하였다. FIrpic는 청색광 발광층 (5)에 대하여 체적률이 6.5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또한,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호스트 재료로서 CBP를 사용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인광 발광 재료인 Ir(phq)를 사용하며, 보조 도펀트로서 Ir(ppy)를 사용하였다. Ir(phq) 및 Ir(ppy)는 오렌지광 발광층 (6)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1 % 및 6.5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서는 구조 B의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청색광 발광층 (5a)의 호스트 재료로서 CBP를 사용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인광 발광 재료인 FIrpic를 사용하였다. FIrpic는 청색광 발광층 (5)에 대하여 체적률이 6.5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또한, 오렌지광 발광층 (6a)의 호스트 재료로서 CBP를 사용하고, 발광 도펀트로서 인광 발광 재료인 Ir(phq)를 사용하며, 보조 도펀트로서 Ir(ppy)를 사용하였다. Ir(phq) 및 Ir(ppy)는 오렌지광 발광층 (6a)에 대하여 체적률이 각각 1 % 및 6.5 %가 되도록 도핑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평가 5)
실시예 13, 14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발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3에 실시예 13, 14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의 구조, 각 층의 재료 및 발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13에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청색광 발광층 (5,5a) 및 오렌지광 발광층 (6,6a) 모두 발광 도펀트로서 인광 발광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발광 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층에 포함되는 다른 2종 이상의 발광 재료로부터 발해지는 광의 1종 이상이 인광이기 때문에, 발광층은 광 강도가 높은 광을 발한다. 그 결과, 고효율의 백색광을 취출할 수 있어 각종 표시 장치, 각종 광원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4)

  1.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상기 발광층은 다른 2종 이상의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2종 이상의 발광 재료 중 1종 이상은 인광 발광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단파장 발광층과 장파장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단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피크 파장 중 하나 이상은 430 nm 내지 520 nm의 범위에 있고, 상기 장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피크 파장 중 하나 이상은 520 nm 내지 630 n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발광층이 제1 호스트 재료와 제1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광 발광 재료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1 중의 A는 치환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L은 치환기이며, M은 중금속이고, m은 1, 2 또는 3이며, 2m+2n=6 또는 2m+n=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수소 원자이고, 상기 R2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2 중의 R3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2>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3 중의 R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3>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광 발광 재료가 하기 화학식 4의 분자 구조를 갖는 트리스(2-페닐퀴놀린)이리듐 골격을 가지며, 화학식 4 중의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4>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이며,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장파장 발광층 및 단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장파장 발광층은 홀 수송 능력을 갖는 제1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광 발광 재료 및 제1 보조 도펀트의 총 체적률이 상기 장파장 발광층에 대하여 3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트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6, 상기 제1 인광 발광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수준 H4, 및 상기 제1 보조 도펀트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수준 H5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수학식 1>
    H4<H5<H6
    <수학식 2>
    |H6-H5|<0.4eV
    <수학식 3>
    |H5-H4|<0.4eV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도펀트가 아민계 재료, 안트라센 유도체 또는 이리듐 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 강도와, 상기 단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강도의 비가 100 : 2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3.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이며,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장파장 발광층 및 단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단파장 발광층은 제2 호스트 재료와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도펀트는 상기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발광층이 제2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5.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발광층이 제2 호스트 재료와 제2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광 발광 재료가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7 중의 A는 치환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이며, L은 치환기이고, M은 중금속이며, m은 1, 2 또는 3이고, 2m+2n=6 또는 2m+n=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가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8 중의 R1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8>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이며,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단파장 발광층 및 장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단파장 발광층은 홀 수송 능력을 갖는 제2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광 발광 재료와 제2 보조 도펀트의 총 체적률이 상기 단파장 발광층에 대하여 3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스트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3, 상기 제2 인광 발광 재료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1, 및 상기 제2 보조 도펀트의 최고 피점유 분자 궤도의 에너지 수준 H2가 하기 수학식 4로 표시되는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수학식 4>
    H1<H2<H3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도펀트가 아민계 재료, 안트라센 유도체 또는 이리듐 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 강도와 상기 장파장 발광층이 발하는 광의 극대 발광 피크 강도의 비가 100 : 2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3.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이며,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단파장 발광층 및 장파장 발광층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장파장 발광층은 제1 호스트 재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파장 발광층은 제2 호스트 재료와 보조 도펀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도펀트는 상기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발광층이 제1 호스트 재료와 제1 인광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단파장 발광층이 제2 호스트 재료와 제2 인광 발광 재료 및 보조 도펀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도펀트는 상기 제1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40020273A 2003-03-27 2004-03-25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40084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9415 2003-03-27
JP2003089415 2003-03-27
JPJP-P-2004-00079216 2004-03-18
JP2004079216A JP3970253B2 (ja) 2003-03-27 2004-03-18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814A true KR20040084814A (ko) 2004-10-06

Family

ID=3347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273A KR20040084814A (ko) 2003-03-27 2004-03-25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1779B2 (ko)
JP (1) JP3970253B2 (ko)
KR (1) KR20040084814A (ko)
CN (1) CN100466326C (ko)
TW (1) TWI24635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383B1 (ko) * 2006-01-1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20110082557A (ko) * 2008-10-07 2011-07-19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복사 방출 장치
JP2020014002A (ja) * 2005-06-30 2020-01-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41401A (en) * 2004-02-13 2005-12-16 Idemitsu Kosan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4721668B2 (ja) * 2004-07-29 2011-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653469B2 (ja) * 2004-12-01 2011-03-16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CN101203968B (zh) * 2005-04-21 2010-05-1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器件和电子设备
US8487527B2 (en) * 2005-05-04 2013-07-1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7750561B2 (en) * 2005-05-20 2010-07-06 Lg Display Co., Ltd. Stacked OLED structure
KR100713989B1 (ko) 2005-07-15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8148891B2 (en) * 2005-10-04 2012-04-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lectron impeding layer for high efficiency phosphorescent OLEDs
WO2007055186A1 (ja) * 2005-11-09 2007-05-1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TWI297353B (en) * 2005-11-10 2008-06-01 Au Optronics Corp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20070126350A1 (en) * 2005-12-06 2007-06-07 Lee Jeong I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7651791B2 (en) 2005-12-15 2010-01-26 Idemitsu Kosan Co., Lt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electroluminescence device employing the same
US7977862B2 (en) 2005-12-21 2011-07-1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8518556B2 (en) * 2006-01-27 2013-08-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9112170B2 (en) 2006-03-21 2015-08-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321500B1 (ko) * 2006-09-29 2013-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1359630B1 (ko) * 2006-10-23 2014-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US8945722B2 (en) * 2006-10-27 2015-02-03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aterials and architectures for efficient harvesting of singlet and triplet excitons for white light emitting OLEDs
KR101328974B1 (ko) * 2006-10-31 201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JP2008159777A (ja) * 2006-12-22 2008-07-10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2008159776A (ja) * 2006-12-22 2008-07-10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254856B2 (ja) * 2006-12-22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2008159775A (ja) * 2006-12-22 2008-07-10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484081B2 (ja) 2006-12-22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8866377B2 (en) * 2006-12-28 2014-10-2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Long lifetim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structures
JPWO2008120355A1 (ja) * 2007-03-29 2010-07-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WO2008132965A1 (ja) * 2007-04-17 2010-07-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白色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US20090322211A1 (en) * 2007-05-14 2009-12-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Material,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933229B1 (ko) * 2007-11-12 2009-12-22 다우어드밴스드디스플레이머티리얼 유한회사 신규한 적색 인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있는 유기발광소자
US8040053B2 (en) * 2008-02-09 2011-10-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chitecture for reducing the number of organic materials
TWI371225B (en) * 2008-06-02 2012-08-21 Ind Tech Res Inst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5556063B2 (ja) 2008-06-23 2014-07-23 住友化学株式会社 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発光素子
DE102008035413A1 (de) * 2008-07-29 2010-02-04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EP2329544B1 (en) * 2008-09-04 2017-05-1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Whit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CN102227439B (zh) * 2008-10-02 2015-08-19 巴斯夫欧洲公司 络盐
EP2376593A4 (en) * 2008-12-12 2013-03-06 Du Pont PHOTO-ACTIVE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COMPOSITION
WO2010075411A2 (en) * 2008-12-22 2010-07-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active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made with the composition
JP5332690B2 (ja) * 2009-02-13 2013-11-06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金属錯体組成物、有機金属錯体含有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有機el照明
US8759818B2 (en) 2009-02-27 2014-06-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euterated compounds for electronic applications
EP2471123A2 (en) * 2009-08-24 2012-07-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uminaires
EP2471119A2 (en) * 2009-08-24 2012-07-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uminaires
JP5479009B2 (ja) * 2009-09-24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US8617720B2 (en) 2009-12-21 2013-12-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active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made with the composition
US8288187B2 (en) * 2010-01-20 2012-10-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devices for lighting applications
TWI565360B (zh) * 2010-08-05 2017-01-01 國立清華大學 改良之有機發光二極體元件
JP2012204103A (ja) * 2011-03-24 2012-10-22 Toshiba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EP2715825B1 (en) 2011-05-27 2017-10-2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having multi-component emissive layer
US9356242B2 (en) * 2011-10-06 2016-05-31 Merck Patent Gmbh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3137089A1 (en) 2012-03-14 2013-09-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CN107254306B (zh) * 2012-03-14 2020-08-2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装置、电子设备及照明装置
JP6076153B2 (ja) 2012-04-20 2017-02-0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発光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JP6159037B2 (ja) * 2012-04-20 2017-07-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照明装置、発光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
DE102013208844A1 (de) * 2012-06-01 2013-1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emittierendes Element,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Anzeigevorrichtung, elektronisches Gerät und Beleuchtungsvorrichtung
JP6095391B2 (ja) * 2013-02-06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KR102230139B1 (ko) 2013-05-17 2021-03-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조명 장치,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DE112014005471B4 (de) 2013-12-02 2022-10-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 emittierendes Element,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und Beleuchtungsvorrichtung
CN106816543A (zh) * 2017-01-16 2017-06-09 电子科技大学 黄光有机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6910843A (zh) * 2017-04-10 2017-06-30 电子科技大学 蓝色发光oled器件及其制备方法
JP6421211B2 (ja) * 2017-04-20 2018-11-07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11910702B2 (en) * 2017-11-07 2024-02-2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N112087836B (zh) * 2020-08-06 2023-09-29 复旦大学 一种可动态变色的柔性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7258A (ja) 1999-03-26 2000-10-06 Nec Kansai Ltd 電界発光灯
JP4187367B2 (ja) 1999-09-28 2008-11-26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そ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29571B1 (ko) 2000-03-27 2002-03-23 김순택 유기 전자 발광소자
JP4048521B2 (ja) * 2000-05-02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素子
JP2002033191A (ja) 2000-05-12 2002-01-3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010104215A (ko) 2000-05-12 2001-11-24 야마자끼 순페이 발광장치 제작방법
US6893743B2 (en) * 2000-10-04 2005-05-1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4039023B2 (ja) 2000-10-04 2008-01-30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3942544B2 (ja) 2001-02-14 2007-07-11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発光材料および有機化合物
JP4006266B2 (ja) 2001-06-15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WO2002104080A1 (fr) 2001-06-15 2002-12-27 Canon Kabushiki Kaisha Dispositif a electroluminescence organique
JP4310077B2 (ja) 2001-06-19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金属配位化合物及び有機発光素子
US6627333B2 (en) * 2001-08-15 2003-09-30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efficiency
JP4365199B2 (ja) * 2002-12-27 2009-1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4002A (ja) * 2005-06-30 2020-01-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US10903244B2 (en) 2005-06-30 2021-01-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11444106B2 (en) 2005-06-30 2022-09-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KR100670383B1 (ko) * 2006-01-1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20110082557A (ko) * 2008-10-07 2011-07-19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복사 방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6326C (zh) 2009-03-04
JP3970253B2 (ja) 2007-09-05
US20050074630A1 (en) 2005-04-07
TW200425796A (en) 2004-11-16
TWI246358B (en) 2005-12-21
US7611779B2 (en) 2009-11-03
JP2004311420A (ja) 2004-11-04
CN1541035A (zh)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0253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987121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4496949B2 (ja) 有機el素子
JP5746269B2 (ja) りん光増感蛍光発光層を有する有機発光装置
TWI605625B (zh) 長使用期限之磷光性有機發光裝置結構
TWI284009B (en) Organic EL device
JP6034600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WO2010113726A1 (ja) 燐光発光素子用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Pereira et al. Investigation of the energy transfer mechanism in OLEDs based on a new terbium β-diketonate complex
JP2006351638A (ja) 発光素子
KR20090082200A (ko) 백색 발광 oled용 단일항 및 삼중항 엑시톤의 효율적인 수집을 위한 물질 및 구조
CN104091899A (zh) 发光装置
KR20050052473A (ko) 유기 발광 물질 및 장치
TWI666215B (zh) 有機電場發光元件用材料及使用其的有機電場發光元件
JP2006269232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4218311B2 (ja) 有機金属錯体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2014017373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6310748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5649327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US2007027526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with a reduced phosphorescent dopant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s of same
Weaver et al. 11.1: invited paper: advances in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KR101131886B1 (ko) 고효율 청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
Bian et al. Electroluminescence based on lanthanide complexes
Brooks et al. Comparison of blue-emitting phosphorescent dopants: effect of molecular energy levels on device efficiency
Ren et al. P‐210: Phosphorescence Ranging from Blue to Red from tris‐Cyclometalated Iridium (III) Complexes and Application to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