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769A -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769A
KR20040084769A KR1020040020007A KR20040020007A KR20040084769A KR 20040084769 A KR20040084769 A KR 20040084769A KR 1020040020007 A KR1020040020007 A KR 1020040020007A KR 20040020007 A KR20040020007 A KR 20040020007A KR 20040084769 A KR20040084769 A KR 20040084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lamp
locking clamp
housing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포터도널드알.
에프타나스제프리엠.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8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7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는 차량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 몸체 표면상에 배치되기에 적당하다. 이러한 장치는, 외부 몸체에 고정되는 지지 레일들, 이러한 지지 레일들에 걸쳐 놓여지는 크로스 바, 및 상기 크로스 바에 고정되는 브라켓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조립체들은 지지 레일들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 록킹 클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그리고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브라켓 조립체를 상기 지지 레일에 고정시킨다. 열린 위치는 닫힌 위치로부터 대략 180°이다. 하우징 안의 상세부는, 열린 위치에서 하부 록킹 클램프의 제2면에 접촉하고, 닫힌 위치에서는 하부 록킹 클램프의 제2면에 접촉하여, 하부 록킹 클램프가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의 180°보다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Vehicle article carrier apparatus}
본 차량 물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단순하고 개선된 잠금 메카니즘을 구비한 브라켓 조립체를 가지는 차량 물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 물품 캐리어들은, 차량의 외부 표면 위에 다양한 크기의 물품들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넓고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물품 캐리어들은 차량의 외부 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 레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레일들은 일반적으로 직선이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외부 몸체 표면상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 레일들은 보통 차량의 지붕, 뒤편 데크 뚜껑(deck lid), 혹은 트럭 적재함 바닥(bed)의 긴쪽 길이방향의 길이를 따라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바(cross bar)가 상기 두 개의 지지 레일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크로스 바는, 그 크로스 바의 각 단부에 죄어지는 브라켓 조립체들에 의해, 각 지지 레일에 고정된다. 각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대향하는 지지 레일들 중 해당하는 하나에 그것을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록킹 메카니즘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현재의 차량 물품 캐리어들이 그들의 의도된 용도를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들은 모두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히, 많은 현재의 물품 캐리어의 록킹 메카니즘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복잡한 부품들을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있어서, 록킹 메카니즘을 만드는 것이 다소 어려울 뿐 아니라 조립하는 것에 비용이 든다. 많은 그러한 록킹 메카니즘들은 필요로 하는 록킹 행위를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독립된 스프링들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록킹 메카니즘에 복잡성과 경비를 추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어떤 물품 캐리어들의 경우에, 록킹 메카니즘들은, 그것들이 열렸을 때 그들의 각 지지 레일로부터 완전하게 연결이 풀리기가 어려울 수 있고, 그 때문에 하나 혹은 두 개의 브라켓 조립체들이 그것의 해당하는 지지 레일을 따라 쉽게 재배치되거나 혹은 지지 레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쉽게 조립되고 생산하는 데 보다 저렴하며 그것의 잠기는 위치결정에 있어 뛰어난 신뢰성을 제공하는 단순화된 록킹 메카니즘을 각 단부에 포함하는 브라켓 조립체를 구비한 크로스 바를 갖는 차량 물품 캐리어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일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크로스 바의 일부분, 지지 레일의 일부분, 그리고 잠김 위치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브라켓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장치의 크로스 바의 일부분과 하나의 브라켓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각 지지 레일 상에서 잠김 위치에 있는 브라켓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 3의 조립된 브라켓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5-5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록킹 클램프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의 도 4의 브라켓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6 ... 지지 레일
18 ... 브라켓 조립체 20 ... 크로스 바
32 ... 하우징 33 ... 록킹 레버 조립체
36 ... 록킹 핀 38 ... 하부 록킹 클램프
46 ... 중앙 관통공 59 ... 상세부
90 ... 보스 부분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들을 차량의 위에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 몸체 표면상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필요성들을 만족시킨다. 상기 장치는 외부 몸체에 고정되는 지지 레일들, 상기지지 레일들에 걸쳐 놓여지는 크로스 바, 및 상기 크로스 바의 단부들에 고정되는 브라켓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조립체들은 지지 레일들에 연결되고, 각각은 그것의 브라켓 조립체의 하우징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 록킹 클램프를 포함한다. 록킹 레버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록킹 레버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하부 록킹 클램프에 의해 상기 지지 레일들에 작용되는 힘으로 인해, 브라켓 조립체를 지지 레일에 고정시킨다. 일단 하부 록킹 클램프가 닫힌 위치로 움직여지면, 그 이상의 록킹 레버의 회전은 하부 록킹 클램프의 더 이상의 회전을 일으키지 않으며, 하부 록킹 클램프에 의해 지지 레일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게 된다. 열린 위치는 닫힌 위치로부터 대략 180°이다. 하우징 안의 표면 상세부는, 하부 록킹 클램프가 열린 위치로 움직여졌을 때, 하부 록킹 클램프의 제1면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한다. 하부 록킹 클램프의 제2면은, 록킹 클램프가 닫힌 위치로 움직여졌을 때, 표면 상세부에 접촉하고, 따라서, 일단 록킹 클램프가 닫힌 위치로 움직여지면, 록킹 클램프의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것은 단지 록킹 레버의 회전 움직임만으로, 록킹 클램프가 완전히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록킹 레버가 닫힌 위치에 있고 그것의 관련된 지지 레일 위에 예비 조임(pre-tightened)이 되면, 록킹 레버는, 추가적인 죄는 힘이 작용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브라켓 조립체를 그것의 관련된 지지 레일에 더욱 잘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죄는 힘을 작용하는 제2 위치로 축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응용성의 범위는 이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 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특정한 예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함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더욱 충분하게 이해되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단순히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발명, 그것의 응용, 혹은 용도들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10)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물품 캐리어 장치(10)가 전형적인 차량(12)에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장치(10)는 차량(12)의 지붕 부분(14) 위에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지붕 부분(14)에 고정된 장치(10)를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그 장치(10)는 차량(12)의 외부에 대한 다른 표면들에도 손쉽게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질 것이다. 더욱이, 장치(10)는 예를 들어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port utility vehicle, 스테이션 웨건(station wagon), 세단(sedan) 등과 같은 차량(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의 어떠한 형태의 사용을 위해서도 적합하다.
장치(10)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긴 지지 레일(16), 적어도 두 개의 크로스 바 브라켓 조립체(cross bar bracket assembly; 18)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바(20)를 포함한다. 많은 적용예들에 있어서, 두 개의 조절할 수 있게 위치선정이 가능한 크로스 바(20)들이 사용될 것이지만, 크로스 바(20)들 중 하나는 손쉽게 고정된(즉, 움직이지 않는) 크로스 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질 것이다. 논의와 예시의 목적을 위해, 두 개의 크로스 바(20)들은 모두 조절할 수 있는 크로스 바들인 것으로 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 레일(16)들은 지붕(14)의 마주보는 측면을 따라 대체로 평행인 관계로 배치된다. 지지 레일(16)들은 적절한 지지 발(support feet; 15)들에 의해 지붕(14)의 위에 지지된다. 도 2는, 크로스 바(20)와 브라켓 조립체(18)들 중 하나는 물론이고, 지지 레일(16)들 중 하나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도면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레일(16)은, 하부 레일 표면(24), 상부 레일 표면(26), 내측 레일 표면(28), 그리고 외측 레일 표면(3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스 바 브라켓 조립체(18)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크로스 바(20)의 각 단부의 브라켓 조립체(18)가 구조상 동일하다는 것이 인식되어져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조립체(18)는 일반적으로, 하우징(32)과 록킹 레버(34)와 록킹 핀(36)을 가지는 록킹 레버 조립체(33), 그리고 하부 록킹 클램프(38)를 포함한다. 하우징(32)은 일반적으로 넥크 부분(neck potion; 40), 클램프 부분(clamp portion; 42), 록킹 레버(34)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리세스(upper recess; 44), 그리고 중앙 관통공(center through bore; 46)을 포함한다.
상기 넥크 부분(40)은 속이 빈 공동(空洞) 부분(48)을 포함한다. 공동 부분(48)은 크로스 바(20,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됨)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크로스 바(20)가 공동 부분(48) 안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크로스 바(20)는, 크로스 바(20)와 브라켓 조립체(18)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패스너(fastener; 미도시)들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방식으로 공동 부분(48) 안에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 부분(42)은 내측 표면(50), 상부 표면(52), 그리고 외측 표면(54)을 포함한다. 내측 표면(50), 상부 표면(52), 그리고 외측 표면(54)의 형상은 내측 레일 표면(28), 상부 레일 표면(26), 그리고 외측 레일 표면(30)의 형상과 각각 상보적이어서, 클램프 부분(42)은 지지 레일(16) 상에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클램프 부분(42)과 지지 레일(16) 사이의 상호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 혹은 패드(미도시)와 같은 다른 것이 내측 표면(50), 상부 표면(52), 그리고 외측 표면(5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세스(44)는, 상기 클램프 부분(42)의 반대편의 하우징(32)의 표면에 위치한다. 리세스(44)는, 록킹 레버(34)가 리세스(44) 안의 평평한 부분에 안착될 때(도 2), 록킹 레버(34)가 리세스(44)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깊이와 외형(contour)을 가진다. 상기 리세스(44)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사항인 패스너(미도시)의 수용을 위한 관통공(56)을 포함하는 데, 이때 상기 패스너는 지지 레일(16) 상의 특정한 위치에 브라켓 조립체(18)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레일 표면(26)안의 유사한 관통공(미도시)과 협력한다.
상기 중앙 관통공(46)은 우묵 들어간 부분(44)으로부터 하우징(32)의 하부표면까지 하우징(32)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통공(46)은 중앙 관통공(46)의 내측 벽으로부터 돌출된 상세부(detail; 즉, 리브(rib) 혹은 돌출부; 59)를 가진다. 상세부(59)는 제1면(60)과 제2면(61)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 레버(34)는 제1단부(64)와 제2단부(66)를 가지는 긴 레버이다. 상기 제1단부(64)는, 록킹 핀(36)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유지 구역(retention area; 68)과, 캠밍 표면(camming surface; 67)을 포함한다. 유지 구역(68)은, 레버(34)의 양쪽 측면 안에 제1구멍(70)과 제2구멍(72)을 포함한다. 제1구멍(70)과 제2구멍(72) 사이에는 중앙 슬릿(76)을 가지는 연장된 홈(well; 74)이 있다. 상기 제1단부(66)는, 바람직하게는 조작자의 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손가락에 의해 록킹레버(34)의 손쉬운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융기부(raised portion; 78)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핀(36)은 수직 샤프트 부분(80)과 머리 부분(82)을 가진다. 상기 샤프트 부분(80)은 제1단부(84)와 제2단부(86)를 가진다. 상기 제2단부(86)는 하부 록킹 클램프(38)와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나있다. 머리 부분(82)은 제1단부(84)에 위치하며, 록킹 핀(36)에 "T"형상을 제공하도록 수직 샤프트 부분(80)과 90도 각도를 이룬다.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38)는 평평한 지지 레일 접촉 부분(88)과 보스 표면 부분(boss surface portion; 90)을 포함한다. 지지 레일 접촉 부분(88)은 상부 표면(92)과 하부 표면(94)을 포함한다. 상부 표면(92)은, 평평한 하부 레일 표면(24)을 대응보완하기 위해 평평하다. 보스 부분(90)은 상부 표면(92)으로부터연장되며 원형이다.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96)이 보스 부분(90)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보스 부분(90)은 하부 원형 베이스 부분(98)과 상부 부분(100)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100)은 제1 반(semi)-원형 부분(102)과 제2 반-원형 부분(104)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반-원형 부분(102)은 베이스 부분(98)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제2 반-원형 부분(104)은 제1 반-원형 부분(10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1 반-원형 부분(102)과 제2 반-원형 부분(104) 사이의 직경들의 차이로 인하여, 제1 반-원형 부분(102)의 제1면(106)과 제2면(108, 도 5도 참조)이 만들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크로스 바(20)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크로스 바(20)는 일반적으로 긴 튜브 형태,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상(단면에서)의 부재를 포함하는데, 이 부재는 상부 부분(110), 바닥 부분(112), 제1 외측 단부(114)와 제2 외측 단부(116),그리고 중앙 지역(118)을 가진다. 브라켓 조립체(18)들 중 각각은, 그것의 공동 부분(48) 안에 고정되는 제1 외측 단부(114)와 제2 외측 단부(116)의 부분과 함께, 두 개의 제1 단부(114)와 제2 외측 단부(116)에 배치된다.
도 4와 도 5는, 지지 레일(16)들의 하나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죄어지도록 닫혀진 상태의 브라켓 조립체(18)안에 설치된 상태로 도 3의 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4에 보여지는 것처럼, 닫혀진 상태에서 록킹 레버(34)는 상부 리세스(44)안에 평행하게 고정된다. 록킹 핀(36)의 머리 부분(82)은 유지 구역(68) 안에 고정되도록, 머리 부분(82)이 제1구멍(70)으로부터 제2구멍(72) 까지 연장되어 있다. 수직 샤프트 부분(80)은 중앙 슬릿(76)을 통하여 연장된다. 록킹 핀(3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레버(34)의 평평한 베이스 부분(120)과 리세스 부분(44) 사이의 오버-센터 록킹 동작(over-center locking action)으로 인해, 위쪽으로 힘이 록킹 핀(36)에 작용하기 전까지는, 평행한 위치를 유지한다.
록킹 핀(36)의 수직 샤프트 부분(80)은, 중앙 관통공(46)을 통하여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96)안에 관여된다. 록킹 핀(36)은 전체 보스 부분(90)을 하우징(32) 안에 고정시킨다. 보스 부분(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리세스(105)안에 고정되고, 관통공(46)과 동축으로 정열된다. 하우징(32)안의 상세부(59)가 제1면(106)과 제2면(108) 사이에 위치되도록, 보스 부분(90)은 리세스(105) 안에 고정된다. 도 4와 도 5에 에 예시된 닫힌 상태에서, 지지 레일 접촉 부분(88)의 상부 표면(92)이 하부 레일 표면(24)에 접하도록, 하부 록킹 클램프(38)는 방향지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록킹 클램프(38)가 잠겨진 위치에 있을 때, 그 하부 록킹 클램프(38)가 지지 레일(16) 아래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제1 반-원형 부분(102)의 제1면(106)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세부(59)의 제1면(60)에 접한다. 그래서, 록킹 핀(36)이 제1 방향(즉,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죄어있지 않은 위치로부터, 하부 록킹 클램프(38)가 초기에 죄어있는 위치로 움직이고, 그런 후 더 회전되는 것이 제1면(60)에 의해 저지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96)과 접촉하고 있는 제2 단부(86)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약간의 마찰 맞물림은 하부 록킹 클램프(38)의 초기 회전 움직임을 제공한다.
도 6과 도 7은, 브라켓 조립체(18)가, 자유롭게 지지 레일(16) 상에 놓여지거나 혹은 지지 레일(16)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열린 위치에 있는 브라켓 조립체(18)와 설치되는 도 3의 요소들을 예시한다. 열린 위치에서 하부 록킹 클램프(38)는 하부 레일 표면(24)의 아래로부터 나와 위치한다(즉, 그것의 도 4의 방향으로부터 180도 회전하여 위치한다). 브라켓 조립체(18)가 지지 레일(16)로부터 쉽게 들어 올려질 수 있는 완전히 열린 위치 상태의 하부 록킹 클램프(38)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 반-원형 부분(102)의 제2면(108)이 상세부(59)의 제2면(61)에 접하도록, 록킹 클램프(38)의 보스 부분(90)은 방향지워진다.
도 4와 도 5의 잠김 위치로부터 도 6과 도 7의 열린위치로의 브라켓 조립체(18)의 움직임이 상세히 설명된다. 록킹 레버(34)는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려진 위치로 들린다. 록킹 레버(34)를 들어 올리기 위해 손가락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용기된 부분(78)을 잡은 조작자에 의해 올려진다. 이러한 동작은 레버(34), 록킹 핀(36) 그리고 하부 록킹 크램프(38)에 의해 적용된 클램핑 힘(clamping force)의 일부를 제거한다. 일단 레버(34)가 들어 올려지면, 하부 록킹 클램프(38)가 더 이상 하부 레일 표면(24) 아래(도 4 참조)에 위치하지 않고, 브라켓 조립체(18)가 지지 레일(16)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하부 레일 표면(2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도 6 참조), 조작자는 레버(34)를 180°회전(즉, 도 3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세부(59)는 브라켓 조립체가 들어올려 질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위치에서 하부 록킹 클램프(38)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브라켓 조립체(18)가 잠겨진 위치로 돌아가 브라켓 조립체(18)를 지지 레일(16)에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 록킹 레버(34)는 다시 180°(이번에는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회전된다. 그러면, 하부 록킹 클램프(38)의 지지 레일 접촉 부분(88)은 처음 지지 레일(16)의 아래로 이동하고, 보스 부분(90)의 제2면(108)은 상세부(59)에 인접하게 된다. 일단, 하부 록킹 클램프(38)가 하부 레일 표면(24)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게 되면, 사용자는 록킹 레버(34)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하부 레일 표면(24)에 대고 록킹 클램프(38)의 그립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하부 록킹 레버(34)가 회전됨에 따라, 노브 부분의 제2면(108)과 상세부(59)의 제2면(61) 사이의 접촉은, 하부 록킹 플램프(38)가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록킹 핀(36)이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96)안으로 더 진입하는 것은 허용한다. 록킹 핀(36)이 상기 관통공(96) 안으로 더 진입함에 따라, 하부 록킹 클램프(38)는 위쪽 하부 레일 표면(24)을 향해서 잡아당겨지고, 하부 레일 표면(24)과 접촉하게 되어, 브라켓 조립체(18)를 지지 레일(16)에 더 강하게 죄게 된다. 그런 후, 록킹 레버(34)는 리세스 부분(4) 안의 평행한 위치로 고정되도록 아래쪽으로 회전된다. 캐밍 표면(67)과 록킹 레버(34)의 오버 센터 동작은 록킹 레버(34)를 아래쪽 위치에 유지시켜서, 지지 레일(16)에 작은 추가적인 정도의 죄는 힘을 제공하면서, 잠긴 위치를 유지한다.
하지만, 열린 위치와 잠긴 위치는, 접촉 부분(88)의 폭과 그것 위의 보스 부분(90)의 위치선정에 따라, 180°보다 작게 떨어지도록 정해질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질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열린 위치와 잠긴 위치 사이에 적어도 90°범위의, 바람직하게는 브라켓 조립체(18)의 손쉬운 제거를 보장하는 180°이긴 하지만), 움직임이 요구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순한 예시일 뿐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남 없는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예정된다. 그러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쉽게 조립되고 생산하는 데 보다 저렴하며 그것의 잠기는 위치결정에 있어 뛰어난 신뢰성을 제공하는 단순화된 록킹 메카니즘을 각 단부에 포함하는 브라켓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 물품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차량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 몸체 표면상에 배치되기에 적당한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외부 몸체 표면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 레일;
    이격된 상기 지지 레일들에 걸쳐 놓여지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크로스 바; 및
    상기 크로스 바의 양단부들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 조립체로서, 상기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지지 레일들 사이에 상기 크로스 바 부재를 걸쳐놓기 위하여 상기 지지 레일의 각각의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한 쌍의 브라켓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로서,
    상기 브라켓 조립체의 각각은,
    상기 지지 레일들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수용하기 위한 클램프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레일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작동가능하며, 상기 닫힌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브라켓 조립체를 상기 지지 레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레일에 힘을 가하며, 상기 열린 위치는 상기 브라켓 조립체가 그것의 대응하는 상기 각 지지 레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적어도 대략90°인 하부 록킹 클램프;
    상기 열린 위치와 상기 닫힌 위치 사이에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에 고정된 록킹 레버 조립체로서, 이 록킹 레버 조립체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축회전가능하며(pivotally) 그리고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상기하부 록킹 클램프 상에 죄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움직였을 때,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를 상기 클램프 부분을 쪽으로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를 당기고 그리고 상기 지지 레일 상의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에 의해 가해진 상기 죄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는 록킹 레버 조립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를 수용하는 중앙 관통공; 및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가 상기 열린 위치를 지나서 회전되거나 상기 닫힌 위치를 지나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와 협력하는 상기 중앙 관통공 내부에 위치한 상세부(detail);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는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는,
    지지 레일 접촉 부분;과
    제1면 과 제2면을 구비한 보스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세부의 제1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하부 록킹 클램프가 상기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세부의 제2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 조립체는,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의 리세스 부분 안에서 수평 위치로 안착되어 있는 록킹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융기부를 더 포함하되, 이러한 융기부는 수평 위치와 수직 위치 사이에서 그 융기부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자의 하나 혹은 그이상의 손가락들을 수용할 수 있는 융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1축을 가로지르는 제2축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록킹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움직여질 때, 오버 센터 잠김 동작(over center locking action)을 행하는 것을 돕기 위한 캐밍 표면(camming surface)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록킹 레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9. 차량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 몸체 표면상에 배치되기에 작합하게 되어 잇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외부 몸체 표면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 레일; 및
    위에 놓여진 물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격된 상기 지지 레일들에 걸쳐 놓여지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크로스 바 조립체(cross bar assembly)로서, 상기 지지 레일들을 맞물며 상기 외부 몸체 표면 위에 상기 크로스 바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크로스 바 조립체의 마주보는 단부들에 한 쌍의 브라켓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로서,
    상기 브라켓 조립체의 각각은,
    상기 지지 레일들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접촉하기 위한 클램프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브라켓 조립체를 상기 각각의 지지 레일에 록킹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과 작동가능하게(operably) 연합되는 록킹 레버 조립체로서,
    서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레버와 록킹 핀을 구비하는 록킹 레버 조립체; 및
    상기 록킹 핀의 나사 부분과 나사결합으로 맞물리며, 상기 브라켓 어셈블 리가 상기 각각의 지지 레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락하면서 상기 각각의 지지 레일로부터 떨어지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지지 레일에 죄어지도록 상기 각각의 지지 레일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닫힌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록킹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클램핑 부재 중 하나는 한 쌍의 이격된 제1 표면들을 한정하는 구조적 상세부(structural detail)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클램핑 부재 중 다른 하나는 한 쌍의 제2 표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들과 제2 표면들은 상기 록킹 클램프이 회전 움직임을 적어도 대략 90 도의 원호로 제한하고, 상기 원호의 일단부는 상기 클램핑 부재를 위해 상기 열린 위치를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원호의 다른 단부는 상기 클램링 부재를 위해 닫힌 위치를 한정하고,
    상기 록킹 레버 조립체의 회전 움직임은, 상기 록킹 클램프의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의 회전 움직임을 일으키고,
    상기 제1과 제2표면들 중의 한 쌍은, 상기 열린 위치를 넘어서는 상기 클램핑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그리고 상기 제1과 제2표면들 중 다른 쌍은 상기 닫힌 위치를 넘어서는 상기 클램링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록킹 레버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위치(accessible position)인 제1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 상의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인 제2위치로 움직여지고, 저장 위치인 제2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인 제1위치와 상기 저장위치인 제2위치 사이를 움직일 때, 오버 센터 잠김 동작(over center locking action)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인 제1위치와 상기 저장위치인 제2위치 사이를 움직일 때, 오버 센터 잠김 동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과 협력하는 캠밍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클램프는 상기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대략 180도의 원호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보스(boss)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보스부분은 상기 구조적 상세부;와 상기 쌍의 제2 표면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조적 상세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클램프는 상기 쌍의 제2 표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클램프는, 상기 록킹 레버가 제1회전 방향으로 180에 회전되었을 때, 자동적으로서 상기 열린위치로부터 상기 닫힌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핀은, 상기 록킹 레버가 회전의 중심으로 하는 축을 가로지르며 길게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제2, 저장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록킹 레버가 수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KR1020040020007A 2003-03-27 2004-03-24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KR200400847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01,308 2003-03-27
US10/401,308 US6959844B2 (en) 2003-03-27 2003-03-27 Vehicle article carrier and bracke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769A true KR20040084769A (ko) 2004-10-06

Family

ID=3197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07A KR20040084769A (ko) 2003-03-27 2004-03-24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59844B2 (ko)
JP (1) JP2004291956A (ko)
KR (1) KR20040084769A (ko)
CA (1) CA2459650C (ko)
DE (1) DE102004014251A1 (ko)
GB (1) GB2399855B (ko)
SE (1) SE52643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7606A1 (en) * 2003-10-20 2005-04-28 Roof Rack Industries Pty Ltd. A vehicle roof rack end support
US8376306B2 (en) * 2006-01-30 2013-02-19 Be Aerospace, Inc. Anti-rattle track fastener
US20080029563A1 (en) * 2006-08-02 2008-02-07 Malone Larry D Adapter system for roofrack carrier
US20080121671A1 (en) * 2006-11-14 2008-05-29 Cronce Robert G Over-center locking lever and stanchion
DE102011053603A1 (de) * 2011-09-14 2013-03-14 Jac Products Europe Gmbh Dachlastenträger für Kraftfahrzeuge
US9358818B2 (en) * 2013-03-14 2016-06-07 Fujifilm Dimatix, Inc. Fluid ejection module mounting
DE112016005501T5 (de) * 2015-12-03 2018-09-20 Yakima Australia Pty Limited T-Nutenschraubenbefestigung und Verwendungen davon
US20180050738A1 (en) * 2017-10-27 2018-02-22 Tsung-En Lee Pickup truck having a folding rail structure
US10807540B1 (en) * 2019-09-18 2020-10-20 Fca Us Llc Vehicle having roof bow
US11577658B2 (en) 2020-11-25 2023-02-14 Plasman Us Holdco Llc Crossmember assembly with a scotch yoke for an adjustable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US11299104B1 (en) 2020-11-25 2022-04-12 Dus Operating Inc. Universal crossmember assembly for a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5885A (en) * 1958-03-04 1960-12-07 Volex Electrical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nel mountings
US4469261A (en) * 1982-05-06 1984-09-04 Masco Corporation Article carrier with adjustably positionable bracket
US4911348A (en) 1988-05-03 1990-03-27 Huron/St. Clair Company Adjustable cross rail for luggage carrier
US5133490A (en) 1989-03-27 1992-07-28 John A. Bott Article carrier
US4982886A (en) * 1989-03-27 1991-01-08 John A. Bott Article carrier
US4988026A (en) * 1989-05-15 1991-01-29 Huron/St. Clair Incorporated Discretely adjustable support rail for luggage carriers
US4979273A (en) * 1990-05-21 1990-12-25 Friedrickson Jr Paul L Adjustable clamp
DE69409456T2 (de) * 1993-09-14 1998-08-06 Jac Products Inc Blockiersystem für verstellbaren Gepäckträger
US5791536A (en) 1996-07-18 1998-08-11 Advanced Accessory Systems Llc Article carrier assembly
US5947356A (en) * 1998-07-10 1999-09-07 Delong; Ronald C. Quick latch system for tool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91956A (ja) 2004-10-21
GB2399855A (en) 2004-09-29
DE102004014251A1 (de) 2004-10-21
GB0401969D0 (en) 2004-03-03
SE526434C2 (sv) 2005-09-13
US20040188479A1 (en) 2004-09-30
US6959844B2 (en) 2005-11-01
GB2399855B (en) 2005-02-23
SE0400738L (sv) 2004-09-28
CA2459650A1 (en) 2004-09-27
SE0400738D0 (sv) 2004-03-23
CA2459650C (en) 2006-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047B2 (en) Retention dock
US5522527A (en) Beverage container fixing device for bicycle
KR20040035546A (ko)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
US6793186B2 (en) Clamp for a cross bar
KR20040084769A (ko)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US20140144959A1 (en) Adjustable boat carrier
US20130062379A1 (en) Bicycle fork securing device
US7772471B2 (en) Guitar support
JP6343022B2 (ja) ルーフラックアセンブリ、およびルーフラックアセンブリ用の固定機構
US6951358B1 (en) Insert for a tailgate cable assembly and a tailgate cable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JPS6022193Y2 (ja) ラツチ組立体
JP3113409U (ja) 挟み式タイヤロック器具
JP3363021B2 (ja) 容器の投入口開閉装置
KR100456935B1 (ko) 트럭 적재함 개폐장치 구조
JP2002364227A (ja) 扉の鎖錠装置
KR200397361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KR20050059879A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JP4138963B2 (ja)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ア
KR100490334B1 (ko) 차량 시트용 회전반의 록킹장치
JPH0858478A (ja) 車両用スキーキャリア
JP2597277Y2 (ja) 長尺物キャリア
KR20040048024A (ko) 차량의 컵홀더 구조물
JPH10250661A (ja) 施錠機能を有する自転車用傘装着具
KR200369570Y1 (ko) 중장비의 운전실 유리창용 록킹장치
KR200293225Y1 (ko) 차량 시트용 회전반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