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761A -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761A
KR20040083761A KR1020030018370A KR20030018370A KR20040083761A KR 20040083761 A KR20040083761 A KR 20040083761A KR 1020030018370 A KR1020030018370 A KR 1020030018370A KR 20030018370 A KR20030018370 A KR 20030018370A KR 20040083761 A KR20040083761 A KR 2004008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ensor
solenoid valve
outrigg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888B1 (ko
Inventor
엄현식
Original Assignee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8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웃트리거(10)를 신장시키는 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와, 아웃트리거(10)의 높이를 측정하는 위치센서(20),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센서(30), 아웃트리거(10)와 측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갭센서(40), 상기 아웃트리거(10)의 상한, 하한 작동거리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50), 상기 위치센서(20)와 수평센서(30) 및 갭센서(40)의 전기신호에 의해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와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로 구성되어, 원터치로 유압크레인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레벨링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A auto leveling device of a crane }
본 발명은 유압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시 유압크레인을 수평하게 지지하는 유압크레인의 수평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크레인은 좌우 양측에 아웃트리거를 각각 구비하여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아웃트리거를 신장시킴으로써 유압크레인의 수평을 유지시키게 되는데, 각각의 아웃트리거가 독립된 조작기구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작동이 복잡하고 전체를 작동시키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조작기구를 수동으로 각각 조정하여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수평유지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밖에 없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터치로 다수개의 아웃트리거를 동시에 조정하여 유압크레인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웃트리거를 신장시키는 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와,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센서, 아웃트리거와 측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갭센서, 상기 아웃트리거의 상한, 하한 작동거리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위치센서와 수평센서 및 갭센서의 전기신호에 의해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와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수평조정장치를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를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아웃트리거 11 : 수평빔
12 : 수직빔 13 : 수직실린더기구
20 : 위치센서 30 : 수평센서
40 : 갭센서 50 : 리미트스위치
60 : 제어부 71 : 수평 솔레노이드밸브
72 : 수직 솔레노이드밸브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는, 아웃트리거(10)를 측방으로 신장/수축시키는 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와, 아웃트리거(10)를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시키는 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와, 아웃트리거(10)의 높이를 측정하는 위치센서(20),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센서(30), 아웃트리거(10)의 측방으로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갭센서(40), 상기 아웃트리거(10)의 상하좌우의 완전작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50), 상기 위치센서(20)와 수평센서(30) 및 갭센서(40)의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와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트리거(10)는 크레인의 좌우 양측에 수평실린더기구에 의해 외측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빔(11)과, 수직실린더기구(1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빔(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빔(11)은 수평실린더기구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에 수직실린더기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실린더기구(13)는 상기 수평빔(11)과 수직하게 구비되고, 수직빔(12)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평실린더기구와 수직실린더기구(13)는 유압라인이 각각 연결되어 신축하거나 신장하게 되고, 각각의 유압라인 상에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와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를 각각 구비하며 제어부(60)로 개폐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아웃트리거(10)의 일측에 갭센서(40)가 구비되어 외부물체의 유무를 측정하게 되고, 리미트스위치(50)가 구비되어 최대 신장거리와 최소 신장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갭센서(40)는 상기 수평빔(11)이 신장할 때 외부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전기적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60)는 갭센서(4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를 폐쇄하게 되고 수평실린더기구의 스트로크를 멈추게 함으로써 아웃트리거(10)의 수평위치를 결정하게 되며, 이후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는 제어부(60)의 전기신호에 의해 수직실린더기구(13)를 작동시킴으로써 수직빔(12)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아웃트리거(10)의 일측에 위치센서(20)가 설치되어 아웃트리거(10)의 작동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제어부(60)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수직실린더기구(13)는 상기 수평실린더기구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작동을 시작하게 되고, 제어부(60)에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신장하게 되며, 그 설정값에 도달하면 위치센서(20)의 신호를 받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수직실린더기구(13)가 1차로 동작한 후 정지한 상태에서 수평센서(30)에 의해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수평센서(30)는 크레인의 일측에 설치되고,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제어부(60)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를 제어부(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수평센서(30)의 전기신호에 의해 수평상태를 판단한 결과 수평한 경우 자체 잠금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수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로 전기신호를 보내 기울어진 쪽의 수직실린더기구(13)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빔(12)이나 수직실린더기구(13)의 일측에 리미트스위치(50)가 구비되어 수직빔(12)의 완전 수축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60)로 전기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4개의 아웃트리거(10)는 위치센서(20)와 갭센서(40)를 각각 구비하여 각 측정상태를 제어부(60)로 각각 송출하게 되고, 제어부(60)는 각 위치센서(20)와 갭센서(40)의 측정상태로 각 아웃트리거(10)의 초기 이동거리를 결정하게 되며 수평센서(30)로부터 받은 전기신호로 각 아웃트리거(10)를 작동시켜 크레인을 수평상태로 보정하게 된다.
상기 아웃트리거(10)의 수평빔(11)과 수직빔(12)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수평빔(11)을 신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직빔(12)을 신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에 의하면, 원터치로 유압크레인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레벨링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정확한 측정치에 의해 수평을 조정하여 수작업에 의한 오차를 줄임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아웃트리거(10)를 상하방향으로 신장되게 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와;
    아웃트리거(10)의 높이를 측정하는 위치센서(20)와;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센서(30) 및;
    아웃트리거(10)를 측방으로 신장되게 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
    아웃트리거(10)와 측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갭센서(40);
    상기 위치센서(20)의 측정치에 의해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를 온오프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수평센서(30)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수직 솔레노이드밸브(72)를 작동시키며, 상기 갭센서(40)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수평 솔레노이드밸브(7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센서(40)는 초음파센서나 광센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20)는 리니어 스케일 센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KR10-2003-0018370A 2003-03-25 2003-03-25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KR100499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70A KR100499888B1 (ko) 2003-03-25 2003-03-25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70A KR100499888B1 (ko) 2003-03-25 2003-03-25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61A true KR20040083761A (ko) 2004-10-06
KR100499888B1 KR100499888B1 (ko) 2005-07-07

Family

ID=3736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70A KR100499888B1 (ko) 2003-03-25 2003-03-25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8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78B1 (ko) * 2013-03-04 2013-11-11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수평보상 장치가 구비된 벽면프린팅 시스템
KR20200129945A (ko) * 2019-05-10 2020-11-18 (주)드림티엔에스 고가 사다리차의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78B1 (ko) * 2013-03-04 2013-11-11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수평보상 장치가 구비된 벽면프린팅 시스템
KR20200129945A (ko) * 2019-05-10 2020-11-18 (주)드림티엔에스 고가 사다리차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9888B1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6846A (ko) 전기 조정 테이블 및 전기 조정 테이블의 제어 방법
JP2003053597A (ja) 特に曲げプレス機、裁断機、押抜き機等の機械のための保護装置
JPH04226824A (ja) 穴刳り装置
CN110467119B (zh) 用于垂直支腿展开、支腿展开的控制方法、系统及起重机
JP6560528B2 (ja) 成形装置及び成型装置を作動させる方法
CN109630487A (zh) 一种车架自动调平系统、调平及安全控制方法
KR100499888B1 (ko) 유압크레인의 자동 수평조정장치
CN104122901A (zh) 一种板材厚度控制方法
CN114929609A (zh) 电梯安全系统
KR20180124574A (ko) 전원 차단이나 비상정지 시 수직축에 부설된 스핀들헤드의 인상 량 자동 조정방법
KR20190058887A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CN209654332U (zh) 一种车架自动调平系统
CN112302068B (zh) 高度限定装置及挖掘机
KR20140021729A (ko) 금속성 제품용 쌍곡선 롤들을 구비하는 변형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CN210211452U (zh) 位置调节装置及压力机
KR100364515B1 (ko)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KR101976693B1 (ko)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CN220418429U (zh) 一种主梁应变监测传感器校准辅助装置
JPH09156478A (ja) アウトリガ張出位置検出装置
US103203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drive, and electrical drive
KR101921196B1 (ko) 크레인 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3815B1 (ko) 공작기계의 공구길이 측정장치
KR20180135573A (ko)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CN114919146B (zh) 一种合模机构的锁模力输出自动调整方法
CN210973749U (zh) 门架起升限位装置及叉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