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061A -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83061A KR20040083061A KR10-2004-7008859A KR20047008859A KR20040083061A KR 20040083061 A KR20040083061 A KR 20040083061A KR 20047008859 A KR20047008859 A KR 20047008859A KR 20040083061 A KR20040083061 A KR 200400830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ng
- displacement
- support member
- rocking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two sets of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구동기구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여 요동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폭 두께의 생지를 편성할 때의 실 유도바디의 과대한 요동운동을 억제하도록 하며, 그 수단으로서 전후 2열의 니들열(1a, 1b)에 대해서 전방 바닥실용 바디(5a), 연결사용 바디(5c), 후방 바닥실용 바디(5b)로 이루어진 실 유도바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에서,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에 동조하는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에 대하여 이것과는 별도의 요동변위를 발생시켜 합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변위와는 독립된 요동변위를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에 부여하여,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의 니들열로의 작용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래 전후 2열의 니들열을 갖는 더블 라셸기에 의해 2면식 경편지를 편성할 때에는 양 니들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실 유도바디가 각각의 니들열의 니들후크에 대해서 코를 형성하기 위한 편사의 건너지르기 동작을 위해, 편기(編機)의 전후방향으로 운동하는 요동운동을 실시한다.
상기 실 유도바디의 요동운동의 요동폭은 상대하는 양 니들열의 간격이나 편성조직에 따라 다르다.
니들열의 위쪽에는 각각 역할을 가진 복수의 실 유도바디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방 니들열에서의 바탕천 편성을 위해 설치되는 전방 바닥실용 바디, 후방 니들열에서의 바탕천 편성을 위해 설치되는 후방 바닥실용 바디, 및 상기 전후 니들열에 의해 각각 편성되는 전방 바탕천 및 후방 바탕천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사를 유도하기 위한 연결사용 바디가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배열되는 실 유도 바디에 의해, 2면식 경편지의 편성을 실시하는 것이지만, 생지(生地) 두께가 두꺼운 것, 예를 들어 두께 20㎜~50㎜ 또는 이 이상의 생지 두께인 것을 편성하는 데에는 전후 니들열의 간격을 이 생지 두께에 대응하여 넓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실 유도 바디의 특히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폭에 대해서는 전후의 바탕천을 편성하는 전후의 니들열에 대한 건너지르기 동작을 하는 것으로부터, 생지 두께가 두꺼운 것을 편성하는 경우일수록 요동폭은 커진다.
한편, 바탕천 형성용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에 대해서는 전방 또는 후방의 바탕천만의 편성으로 좋으므로, 그들의 요동폭은 작아서 좋다. 따라서, 상기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폭에 비해,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폭에 대해서는 크게 할 필요는 없으므로,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 각각의 요동폭과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폭을 변경 가능하게, 이들의 실 유도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요동용 지지축을 각각 따로따로 병렬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는 요동용의 회전 가능한 지지축이 2~3개 필요해지고, 각각의 지지축에 대해서 상기 지지축을 유지하는 메탈 등의 부착 스페이스가 많이 필요해지고, 또한 상기 지지축에 회전 변위를 부여하기 위해 각 지지축 마다 구동 레버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짐과 동시에, 각 지지축에 일련으로 부속되는 암, 레버, 캠 등의 많은 구동부재를 필요로 하고, 이 종류의 실 유도바디의 구동기구가 복잡해지는 것은 부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 2면식 경편지를 편성하는 더블 라셸기에서 실 유도바디의 요동운동을 위한 구동기구를 간소하게 하고 레버, 암, 캠 등의구동부재의 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요동위치의 조정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 더 바람직하게는 생지 두께가 두꺼운 생지를 편성할 때에도, 실 유도바디의 과대한 요동운동을 억제하고, 요동량을 적게 하여 필요 최소한의 요동량에 그치게 할 수 있는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더블 라셸기의 개략을 도시한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더블 라셸기에 대해서 가마 간 즉 전후의 트릭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크게 한 경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면의 장치의 실 유도바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면의 Ⅳ-Ⅳ선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후방의 니들열에 대한 실 유도바디의 오버래핑의 편성 타이밍의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전방의 니들열에 대한 실 유도바디의 오버래핑의 편성 타이밍의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전후의 트릭 플레이트 간의 간격이 24㎜의 경우에 대한, 전후의 니들열의 요동운동과,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 및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운동을 도시한 선도, 및
도 8은 전후의 트릭 플레이트간의 간격이 50㎜인 경우에 대한, 전후의 니들열의 요동운동과,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 및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운동을 도시한 선도이다.
본 발명은 전후 2열의 니들열과, 상기 2열의 니들열에 대응하여 전방 바닥실용 바디, 연결사용 바디, 후방 바닥실용 바디로 이루어진 실 유도바디를 구비하고, 이들의 실 유도바디가 지지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에 있어서,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에 동조하는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에 대해서, 이것과는 별도의 요동변위를 발생시켜 합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변위와는 독립된 요동변위를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에 부여하고,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의 니들열로의 작용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더블 라셸기에서의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 및 연결사용 바디로 이루어진 전체 실 유도바디의 요동변위가, 하나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 간소한 구동기구에 모아지게 되어, 그 결과 레버, 암 등의 구동부재의 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또한 각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2면식 경편지의 편성에서도,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변위에 대해서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량, 즉 요동폭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에서의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변위를 합성하는 수단은 회전 가능한 지지축에 부착되어 요동하는 부재로서, 연결사용 바디가 부착된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일부에 설치된 요동지지축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전방 바닥실용 바디 및 후방 바닥실용 바디가 부착된 제 2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축에 부여되는 회전변위에 의해 생기는 요동변위에 대해서, 제 2 지지부재의 한 단부에 부여되는 왕복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요동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생기는 제 2 지지부재의 요동변위를 합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연결사용 바디가 부착된 제 1 지지부재의 요동변위와,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가 부착된 제 2 지지부재의 요동변위가 효과적으로 합성되고,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변위가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변위에 대해서 독립된 것이 되고, 이 결과 각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량 즉 요동폭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열의 니들열이 실 유도바디의 요동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요동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실 유도바디의 요동량이 니들열의 요동량과 분담되므로, 최소한도의 요동량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편기의 진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따라서 편기의 회전수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더블 라셸기의 개략을 도시한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상기의 더블 라셸기에 대해서 가마 간 즉 전후의 트릭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크게 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도면의 장치의 실 유도바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면의 Ⅳ-Ⅳ선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a"는 전방 니들열, "1b"는 후방 니들열이고, 각각 니들이 편기 폭방향(도 1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다수 병렬하고 있다. "2a"는 전방 트릭 플레이트, "2b"는 후방의 트릭 플레이트이고, 각각 상기 니들열(1a, 1b)에 대응하여 편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3a"는 전방의 스티치 코움(stitch comb), "3b"는 후방의 스티치 코움이고, 상기 니들열(1a, 1b)에 대응하여 편기 폭방향으로 정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후방의 니들열(1a, 1b), 전후방의 트릭 플레이트(2a, 2b), 전후방의 스티치 코움(3a, 3b)은 각각 후술하는 전후방의 중간 프레임에 관통 설치된 전후방의 지지축(4a, 4b)에 유지부재나 레버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고, 각각 후술하는 캠축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편성상의 소정의 승강 및/또는 유동운동이 생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통상, 니들열(1a, 1b)은 후술하는 실 유도바디의 요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된다.
"5a"는 전방 니들열(1a)에서의 바탕천 편성을 위한 전방 바닥실용 바디, "5b"는 후방 니들열(1b)에서의 바탕천 편성을 위한 후방 바닥실용 바디, "5c"는 전방 바탕천 및 후방 바탕천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사를 유도하기 위한 연결사용 바디이고, 각각 상기 니들열(1a, 1b)에 대응하여 다수의 실 유도 가이드가 편기 폭방향으로 정렬되어 이루어진다. 이들의 각 실 유도바디는 각각 상기 니들열(1a, 1b)에 의한 편성부분의 상방부에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면의 실시예의 경우,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는 각각 3열이, 연결사용 바디(5c)는 2열이 병렬되어 있다. 도면 중의 F는 편성된 입체 경편지를 나타내고 있다.
"6"은 상기 편성부분의 위쪽에서 상기 각 실 유도바디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요동용 지지축이고, 편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트래버스(30)의 하부에 갖는 브래킷(31)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6)에는 제 1 지지부재(7)가 편기 폭방향으로 소요의 간격을 두고 복수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재(7)에 각각 요동지지축(8)을 통하여,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아치형을 이루는 제 2 지지부재(9)가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사용 바디(5c)는 상기 제 1 지지부재(7)에 부착되고, 또한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는 각각 상기 연결사용 바디(5c)를 끼고 전후 양쪽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재(9)에 부착되어 있다.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 및 연결사용 바디(5c)의 각 선단의 간격이나 세트 각도는 가마 간 즉 전후방의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에 따라 다르다. 즉,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5a, 5b)와 연결사용 바디(5c)는 약간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지만, 도 1에 도시한 가마 간이 24㎜인 경우에 비해, 도 2(도 3)에 도시한 가마 간이 50㎜인 경우쪽이,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5a, 5b)와 연결사용 바디(5c)의 사이가 넓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치각도의 조정은 제 1 지지부재(7) 및 제 2 지지부재(9)에 대한 각 실 유도바디의 부착위치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은 상기 지지축(6)에 연결된 구동 레버이고, 후술한 바와 같이 캠축의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요동되고, 상기 지지축(6)을 회전 변위시켜 제 1 지지부재(7)와 이에 부착된 연결사용 바디(5c), 또한 요동지지축(8)을 통하여 연결된 제 2 지지부재(9)와 이에 부착된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지지축(6)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운동을 부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11a, 11b"는 전후의 기계 받침대(도시 생략) 상에 편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가 설치된 전후의 중간 프레임이다. 상기 전후의 중간 프레임(11a, 11b)의 상부에 각각 상기 지지축(4a, 4b)이 편기 폭방향으로(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12a, 12b"는 전후방의 중간 프레임(11a, 11b)의 하부에서 각각 편기 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용 캠축이고, 쌍방의 캠축(12a, 12b)에는 각각 상기 각 구성부재에 소요의 운동을 부여하는 복수의 캠(13a, 13b)이 고정되어 있다.
전후 한쪽의 캠축,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전방의 캠축(12a) 측에는 상기 구동레버(10)를 통하여 지지축(6)을 회전 변위시키고, 제 1 지지부재(7)를 구동하여 요동시키는 캠(13a)에 관련하여 캠레버(14a)가 설치된다. 또한, 다른쪽 캠축,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후방의 캠축(12b)의 측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7)와는 별도로 상기 제 2 지지부재(9)를 구동하여 요동 변위시키는 캠(13b)에 관련하여 캠레버(14b)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부재(7)에 부착된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에 동조하는 전후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에 대해서, 이것과는 별도의 요동변위를 발생시켜 합성하고,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변위와는 독립된 요동변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5a"는 전후의 캠레버(14a)를 축 지지하는 캠 레버축, "15b"는 후방의 캠 레버(14b)를 축 지지하는 캠 레버축이다.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전방의 캠 레버(14a)는 연결로드(16a)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암(17a)과 연결되고, 또한 상기 암(17a)은 그 일부에 한 단부가 축 부착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구동로드(18a)를 통하여 상기 구동레버(10)와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캠축(12a)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레버(10)를 통하여 상기 지지축(6)이 구동하여 회전 변위되고, 제 1 지지부재(7), 즉 연결사용 바디(5c)가 요동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9a"는 상기 암(17a)을 지지하는 축이고, 중간 프레임(11a)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레버(14a), 연결로드(16a), 암(17a), 구동로드(18a) 및 구동레버(10)의 각 연결부는 상호 회전 가능한 연결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위치는 제 1 지지부재(7)에 대해서 가마 간 즉 전후의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에 맞는 소망의 요동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때문에, 상기 암(17a) 및 구동레버(10)에 상기 연결로드(16a) 및 구동로드(18a)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구멍(20a, 21a 및 22a)이 각각 복수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통상, 이들의 연결용 구멍(20a, 21a 및 22a)의 1개분의 변경으로,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2㎜정도의 간격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들의 연결위치의 조합에 의해, 미세조정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캠레버(14a)에 대해서도, 연결로드(16a)의 연결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해 둘 수 있다.
또한, 도 1에 대해서 전후의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을 크게 한 도 2에서는 전방측의 연결로드(16a), 암(17a) 및 구동로드(18a)의 연결위치를 변경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후방의 캠레버(14b)는 연결로드(16b)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암(17b)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암(17b)와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동축상에 설치된 암(17d)이 그 일부에 한 단부(하단부)가 축 부착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구동로드(18b)를 통하여 상기 제 2 지지부재(9)의 후방측의 연장단부(9a)와 연결되어 있고, 캠축(12b)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지지부재(9), 즉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가 상기 요동지지축(8)을 지지점으로 요동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9b"는 상기 암(17b, 17d)을 지지하는 축이고 중간 프레임(11b)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레버(14b), 연결로드(16b), 암(17b, 17d), 구동로드(18b) 및 제 2 지지부재(9)의 각 연결부는 상호 회전 가능한 연결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위치는 제 2 지지부재(9)에 대해서 요동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망의 요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암(17b 및 17d)에는 상기 연결로드(16b) 및 구동로드(18b)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구멍(20b, 21b)이 각각 복수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레버(14b)에 대해서도 연결로드(16b)의 연결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해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의 캠축(12a, 12b)의 부분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7)나 제 2 지지부재(9) 등을 구동하는 캠레버(14a, 14b) 외에, 상기 전후방의니들열(1a, 1b) 및 트릭 플레이트(2a, 2b), 전후방의 스티치 코움(3a, 3b)을 구동하는 캠레버가 각각 설치되고, 캠축의 회전에 수반하는 캠레버의 변위가 로드나 레버 등의 구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지지축(4a, 4b)상의 암에 연결구성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도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재(7)에 부착된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에 동조하는 전후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에 대해서, 이것과는 다른 요동변위를 발생시켜 합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변위와는 독립된 요동변위를 부여하는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사용 바디(5c)가 부착되는 제 1 지지부재(7)가 지지축(6)에 대해서 상하로부터 끼워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71"은 고정용 체결볼트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지지부재(7)에 각각 요동 지지축(8)이 고정되고, 상기 요동지지축(8)에 베어링 부재(23)를 통하여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가 부착되는 제 2 지지부재(9)가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부재(9)의 한 단부 즉 후방측 단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 단부(9a)에 상기 구동로드(18b)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부재(9)는 상기 캠축(12a)의 회전에 연동하는 지지축(6)의 회전 변위에 의해 제 1 지지부재(7)와 함께 지지축(6)을 지지점으로 요동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요동과는 별도로 캠축(12b)의 회전에 연동하는 구동로드(18b)의 왕복변위에 의해 요동 지지축(8)을 지지점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결과, 상기 제 1 지지부재(7)에 부착된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에 동조하는 전후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에 대해서 이것과는 별도의 요동변위가 발생 합성되어,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변위와는 독립된 요동변위가 부여된다.
즉, 제 1 지지부재(7)의 요동에 동조하는 제 2 지지부재(9)의 요동에 대해서 상기 지지부재(9)의 한 단부(연장단부(9a))에 왕복 변위를 작용시킴으로써, 요동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변위를 발생시켜 상기 요동을 지지축(6)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변위에 합성함으로써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대해서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변위와는 독립된 요동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변위가 상기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변위에 대해서 작은 요동량(요동폭)이 되도록 캠축(12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9)의 한 단부에 대해서 소정의 왕복변위를 부여한다.
즉, 연결사용 바디(5c)에 대해서는 전후의 바탕천을 편성하는 전후방의 니들열(1a, 1b)에 대해서 번갈아 연결사를 건너지름으로써,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이 클수록, 그 요동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대해서는 전방의 바탕천을 편성하는 전방 니들열(1a) 또는 후방의 바탕천을 편성하는 후방 니들열(2b)에 대해서만 실을 유도하는 것으로 좋으므로, 그 요동변위량을 그만큼 크게 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변위는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변위에 대해서 작은 요동폭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트릭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이 50㎜인 경우에서, 후방 니들열(1b)에 대한 실 유도 바디의 오버래핑의 편성 타이밍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전방의 니들열(1a)에 대한 실 유도바디의 오버래핑의 편성 타이밍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 제 1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사용 바디(5c)는 구동 레버를 통하여 회전 변위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부착된 제 1 지지부재와 함께, 도면 중의 흰색 화살표 A1의 방향(후방 니들열(1b)측)으로 요동하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제 2 지지부재에 부착된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요동지지축을 통하여 부착된 상기 제 2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흰색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지만,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대해서 요동지지축을 중심으로 다른 요동이 발생되고, 이것이 상기 화살표 A1의 방향의 요동에 합성되는 결과, 전체적으로 요동변위가 억제되고, 전방의 바닥실용 바디(5a)는 연결사용 바디(5c)에 대해서 이반하도록 변위되며, 또한 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b)는 연결사용 바디(5c)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변위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 제 1 지지부재에 부착된 연결사용 바디(5c)는 상기와는 반대로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지지부재와 함께 도면 중의 흰색 화살표(A2)의 방향(전방의 니들열(1a)측))으로 요동하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제 2 지지부재에 부착된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흰색 화살표(A2)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지만,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대해서 요동 지지축을 중심으로 다른 요동, 특히 도 5의 경우와는 반대방향의 요동이 발생되고, 이것이 상기 화살표 A2의 방향의 요동에 합성되는 결과 전체적으로 요동변위가 억제되고, 전방 바닥실용 바디(5a)는 연결사용 바디(5c)에 대해서 접근하도록 변위되고, 또한 후방 바닥실용 바디(5b)는 연결사용 바디(5c)에 대해서 이반하도록 변위하고 있다.
즉, 상기 연결사용 바디(5c)는 전후의 니들열(1a, 1b)간에 걸쳐 요동변위하는 데에 비해,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변위는 작은 요동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요동변위에 의한 요동위치, 즉 니들열로의 작용위치는 제 1 지지부재(7)의 요동량과, 상기 지지부재(7)에 대한 연결사용 바디(5c)의 부착위치, 및 제 2 지지부재(9)의 요동량과, 상기 지지부재(9)에 대한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부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들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이 24㎜인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상기와 동일하지만, 상기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폭(요동량), 및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변위에 의한 요동폭은 작아진다. 단,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폭과,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폭의 차이는 작아진다.
특히, 실제의 편성에서는 전후의 니들열(1a, 1b)과 트릭 플레이트(2a, 2b)도 기본적으로 상기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 및 연결사용 바디(5c) 등의 각 실 유도바디의 요동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요동하게 되므로, 상기 바닥실용 바디(5a, 5b) 및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량(요동폭)은 더욱 작아진다. 통상, 니들열이 비요동의 경우의 1/2정도가 된다.
도 7의 선도는 상기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이 24㎜인 경우에 대한, 전후의 니들열(1a, 1b)의 승강운동과, 바닥실용 바디(5a, 5b) 및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운동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의 선도는 상기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이 50㎜인 경우에 대한, 전후의 니들열(1a, 1b)의 승강운동과, 바닥실용 바디(5a, 5b) 및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운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두 선도에 의하면,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폭은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폭 보다 작고, 특히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이 큰 경우일수록,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5a, 5b)의 요동폭은 연결사용 바디(5c)의 요동폭에 대해서 작아지고, 그 요동폭의 차이가 커지고 있다.
즉, 트릭 플레이트(2a, 2b)간의 간격, 즉 편성되는 2면식 경편지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일수록, 본 발명 장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커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를 채용함으로써, 2면식 경편지를 편성하는 더블 라셸기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운동을 위한 구동기구를 간소하게 하여 레버, 암 등의 구동부재의 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요동위치의 조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후의 바탕천 간의 두께가 두꺼운 생지를 편성할 때도 실 유도바디의 과대한 요동운동을 억제하고, 요동량을 적게 하여 필요 최소한의 요동량에 그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편기의 진동이나 소음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따라서 편기의 회전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면식 경편지를 편성하는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운동을 위한 구동기구로서, 그 구성을 간소하게 하여 실 유도바디의 요동폭의 조정도 용이하므로, 전후의 바탕천간의 두께의 대소, 상대하는 전후의 니들열의 간격이나 편성조직에 따라서, 실 유도바디의 요동폭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더블 라셸기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 전후 2열의 니들열과, 상기 2열의 니들열에 대응하여 전방 바닥실용 바디, 연결사용 바디, 후방 바닥실용 바디로 이루어진 실 유도바디를 구비하고, 이들의 실 유도바디가 지지축에 지지된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더블 라셸기에 있어서,연결사용 바디의 요동에 동조하는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의 요동에 대해서, 이것과는 다른 요동변위를 발생시켜 합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연결사용 바디의 요동변위와는 독립된 요동변위를 전후방의 바닥실용 바디에 부여하여, 전후방 바닥실용 바디의 니들열에 대한 작용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요동변위를 합성하는 수단은 회전 가능한 지지축에 부착되어 요동하는 부재로서, 연결사용 바디가 부착된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일부에 설치된 요동지지축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전방 바닥실용 바디 및 후방 바닥실용 바디가 부착된 제 2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축에 부여되는 회전 변위에 의해 발생되는 요동 변위에 대하여 제 2 지지부재의 한 단부에 부여되는 왕복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요동 지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발생하는 제 2 지지부재의 요동변위를 합성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요동위치 조정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2열의 니들열이 실 유도바디의 요동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047196A JP3704607B2 (ja) | 2002-02-22 | 2002-02-22 |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おける導糸筬の振り位置調整装置 |
JPJP-P-2002-00047196 | 2002-02-22 | ||
PCT/JP2003/001667 WO2003071018A1 (fr) | 2002-02-22 | 2003-02-17 | Dispositif de reglage de la position d'oscillation du peigne de guidage d'un metier rachel double fon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3061A true KR20040083061A (ko) | 2004-09-30 |
KR100604511B1 KR100604511B1 (ko) | 2006-07-25 |
Family
ID=2775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08859A KR100604511B1 (ko) | 2002-02-22 | 2003-02-17 |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704607B2 (ko) |
KR (1) | KR100604511B1 (ko) |
CN (1) | CN100436685C (ko) |
WO (1) | WO200307101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042A (ko) * | 2018-02-27 | 2019-09-04 |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 이중 바 경편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BS20060060A1 (it) | 2006-03-16 | 2007-09-17 | Santoni & C Spa | Macchina tessile lineare |
ITBS20060066A1 (it) * | 2006-03-23 | 2007-09-24 | Santoni & C Spa | Dispositivo di comando di oscillazione di barre porta passette per macchine tessili lineari |
DE102008047684B4 (de) * | 2008-09-18 | 2016-12-15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Wirkmaschine, insbesondere Kettenwirkmaschine |
JP4981012B2 (ja) * | 2008-11-05 | 2012-07-18 |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おける筬振り装置 |
CN102260957A (zh) * | 2011-06-14 | 2011-11-30 |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 一种经编机摆幅调节装置 |
CN102505330A (zh) * | 2011-10-28 | 2012-06-20 |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 一种经编机可调节的摆臂 |
CN102864574A (zh) * | 2012-09-06 | 2013-01-09 |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 一种经编机梳栉回复装置 |
CN103696119B (zh) * | 2013-12-27 | 2015-12-30 | 常州市润源经编机械有限公司 | 经编机的人造血管编织花梳系统 |
CN104480625B (zh) * | 2014-12-09 | 2017-06-13 |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 一种经编机 |
CN105803658A (zh) * | 2016-04-26 | 2016-07-27 |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 一种经编机地梳调节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261979B1 (ko) * | 1949-12-29 | 1951-04-17 | ||
US3646782A (en) * | 1969-11-01 | 1972-03-07 | Karl Kohl | Warp knitting machine for pile fabrics |
DE4001621A1 (de) * | 1990-01-20 | 1991-07-25 | Mayer Textilmaschf | Kettenwir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ware sowie zugehoerige polware |
JPH10168719A (ja) * | 1996-12-12 | 1998-06-23 | Nippon Mayer Ltd | 経編機における編成要素の運動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
JPH1150364A (ja) * | 1997-07-31 | 1999-02-23 | Nippon Mayer Ltd |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の地筬位置調節機構 |
-
2002
- 2002-02-22 JP JP2002047196A patent/JP370460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2-17 KR KR1020047008859A patent/KR10060451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2-17 WO PCT/JP2003/001667 patent/WO200307101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2-17 CN CNB038018462A patent/CN100436685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042A (ko) * | 2018-02-27 | 2019-09-04 |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 이중 바 경편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436685C (zh) | 2008-11-26 |
KR100604511B1 (ko) | 2006-07-25 |
CN1610772A (zh) | 2005-04-27 |
WO2003071018A1 (fr) | 2003-08-28 |
JP2003247153A (ja) | 2003-09-05 |
JP3704607B2 (ja) | 2005-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81012B2 (ja) |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おける筬振り装置 | |
KR100604511B1 (ko) | 더블 라셸기에서의 실 유도바디의 요동위치 조정장치 | |
KR100867487B1 (ko) | 더블 라셸기의 트릭 플레이트간 및 바닥실용 바디간의 간격변경 장치 | |
EP164761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three-dimensional warp knitted fabric having varied cross-sections | |
US3221520A (en) | Double-needle-bed warp knitting machine | |
US3646782A (en) | Warp knitting machine for pile fabrics | |
KR20190103042A (ko) | 이중 바 경편기 | |
KR101944450B1 (ko) | 경편기 | |
CN109537157A (zh) | 一种具有贾卡驱动装置的经编机 | |
KR101363228B1 (ko) | 공간직물 제조장치 | |
US4202185A (en) | Warp knitting machine | |
KR100272352B1 (ko) | 뜨개 레일을 구비한 경편기 | |
US4267709A (en) | Twin-bedded warp knitting machine | |
JPH04333653A (ja) | タフティング工法およびこの工法を実施する装置 | |
JPS5812380B2 (ja) | 経編機及びその使用法 | |
US3279219A (en) | Warp knitting machine | |
JP2004324020A (ja) | 異形断面立体経編地の製造方法と装置及び異形断面立体経編地 | |
CN210765757U (zh) | 一种双针床经编机 | |
US3491558A (en) | Needle mechanism for a raschel warp knitting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3464236A (en) | Knitting machine employing compensating motion for knitting effect thread | |
KR19980086781A (ko) | 스티치 콤 및 녹-오버 바를 지니는 라셀 편기 | |
JPS626153Y2 (ko) | ||
CN110607604A (zh) | 一种双针床经编机 | |
US3464235A (en) | Raschel warp knitting machine | |
US3898820A (en) | Warp knit fabr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