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795A -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 Google Patents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795A
KR20040082795A KR1020030017475A KR20030017475A KR20040082795A KR 20040082795 A KR20040082795 A KR 20040082795A KR 1020030017475 A KR1020030017475 A KR 1020030017475A KR 20030017475 A KR20030017475 A KR 20030017475A KR 20040082795 A KR20040082795 A KR 2004008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ocal
support plate
curva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281B1 (ko
Inventor
조현수
Original Assignee
조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수 filed Critical 조현수
Priority to KR10-2003-001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281B1/ko
Priority to UAA200509072A priority patent/UA82507C2/uk
Priority to US10/545,451 priority patent/US7278735B2/en
Priority to BRPI0318234-7A priority patent/BR0318234A/pt
Priority to JP2004569618A priority patent/JP2006527383A/ja
Priority to CA002516812A priority patent/CA2516812A1/en
Priority to RU2005132278/28A priority patent/RU2334259C2/ru
Priority to AU2003277720A priority patent/AU2003277720A1/en
Priority to NZ542410A priority patent/NZ542410A/en
Priority to EP03816377A priority patent/EP1609021A1/en
Priority to CNA2003801097682A priority patent/CN1748170A/zh
Priority to PCT/KR2003/002401 priority patent/WO2004083939A1/en
Priority to TW093107499A priority patent/TWI263820B/zh
Publication of KR2004008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795A/ko
Priority to ZA200507511A priority patent/ZA200507511B/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28Consisting of two mould halves joined by an annular gaske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28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Len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와 이를 위한 성형몰드에 관한 것으로, 도수가 다른 근용원점도수렌즈와 근용근점도수렌즈를 이들의 초점이 일치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와, 상기 단초점 이중렌즈를 성형하기 위하여 초점이 되는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이분하여 각각 다른 도수에 해당하는 곡률과 두께 차를 갖도록 내주면을 형성한 성형몰드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근용렌즈에 의해 독서나 컴퓨터 작업 등의 근거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초점불일치로 인한 눈의 피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와 이를 위한 성형몰드{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본 발명은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와 이를 위한 성형몰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점 불일치로 인한 눈의 피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근거리 중에서 상대적으로 원거리를 보기 위한 영역과 상대적으로 근거리를 보기 위한 영역의 초점을 일치시킨 형태의 이중 렌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몰드에 관한 것이다.
안구의 수정체 등의 이상에 의해 일어나는 원시, 근시, 노안 등의 각종 형태의 비정상시를 교정하기 위하여 안경 렌즈가 이용되어 왔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도수를 갖는 렌즈가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이용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이중초점렌즈 등의 다초점렌즈이다.
예컨대, 나이가 들면서 근시와 노안이 함께 나타나는 사람의 경우, 먼 거리를 보는 근시안경과 가까운 거리를 보기 위한 노안안경을 함께 마련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해 근거리와 원거리를 함께 볼 수 있도록 만든 이중초점렌즈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중초점렌즈는 각각 다른 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원거리용과 근거리용, 두 종류의 렌즈가 하나의 렌즈로 구성되어, 원거리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상태에서 안경을 바꾸지 않고서도 가까이 있는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중초점렌즈를 포함한 다초점렌즈는 원용을 교정한 후 이에 따라 근용가입도를 정하여 원용렌즈에 근용렌즈를 끼워 넣은 것으로, 보통의 이중초점렌즈 내지 다초점렌즈의 경우에는 원용의 광학중심점과 근용의 광학중심점이 좌우 2㎜정도, 높이 10㎜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다. 이것은 원용에서 근용을 볼 때 눈이 코쪽으로 폭주되는 것과 원거리에서 근거리의 주시선의 각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이중초점렌즈 내지 다초점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몰드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초점을 가지며 단일거리에 대하여 교정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이 해당 곡률을 가지는 상/하형 받침판(1)(2)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은 압착고무판을 나타낸다.
종래의 이중초점렌즈는 상기와 같은 성형몰드에 의하여 각각 별개로 제작된 원용렌즈와 근용렌즈를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렌즈에 원용과 근용의 2개의 광학중심점 즉 초점이 각각 존재하도록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아지게된다 .
한편, 상기 경우와 달리, 예컨대 독서나 컴퓨터 등 근거리 작업을 할 경우에 있어서도, 책을 볼 때에는 좀 더 가까운 거리를 보게 되고, 컴퓨터 모니터를 주시하는 경우에는 약간 먼 거리를 보는 등 그 거리가 조금씩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하나의 도수를 갖는 통상의 근용안경을 착용할 경우 좀 더 먼 쪽의 모니터는 잘 보이지 않아 쉽게 피로하게 되고, 자세가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하나의 근용렌즈라 하더라도 좀 더 근점과 좀 더 원점의 물체를 모두 잘 볼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렌즈가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의 다초점렌즈 형태를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일으킨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중심점의 위치가 다르게 되면 각 초점에 있는 사물의 위치가 다르게 되기 때문에, 같은 거리의 근거리를 보고 있는 동안에 주시방향을 짧게 상하이동을 할 때 물체는 중심점의 위치에 의해 상이 흩어져 보이게 되어 오히려 눈의 피로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렌즈들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형태의 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같은 독서나 컴퓨터 작업 등과 같이 비교적 근거리의 작업에서 거리가 상대적으로 다른 물체를 모두 또렷하게 볼 수 있으며 착용자의 눈의 피로를 야기하지 않는 형태의 근용렌즈를 제공함에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렌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성형몰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초점렌즈를 위한 성형몰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초점 이중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초점 이중렌즈를 위한 성형몰드의 구조와 그에 따른 렌즈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0.3-1디옵터(diopter)의 도수차가 있는 근용원점도수렌즈와 근용근점도수렌즈를 이들의 초점이 일치된 형태로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초점 이중렌즈의 근용원점과 근용근점의 도수차는 0.5디옵터(diopter)로 하며, 상기 도수차는 곡률과 두께 차로 보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단일초점을 중심으로 이분된 영역이 각각 다른 도수를 가지는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를 성형하기 위하여 초점이 되는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이분된 내주면이 각각 다른 도수에 해당하는 곡률과 두께 차를 갖도록 형성된 성형몰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성형몰드가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도수에 따른 곡률과 두께 차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렌즈의 외향면을 형성하는 받침판(이하 상형받침판이라 함)과 렌즈의 내향면을 형성하는 받침판(이하 하형받침판이라 함)중에서, 상형받침판이나 하형받침판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받침판의 내주면만을 도수에 해당하는 곡률과 두께 차를 갖도록 하거나, 상하 받침판 모두 내주면이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다른 곡률과 두께 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하형 받침판의 곡률과 두께 차를 합하여 해당 도수에 따른 곡률과 두께 차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광학중심점을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은, 근용만을 볼 때, 예컨대 35-45cm의 거리에서는 폭주에 따른 거리의 차이와 주시각도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초점 이중렌즈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중심점(A)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곡률과 두께 차를 다르게 하여 도수차가 발생되도록 한 것으로, 상부는 근용원점도수렌즈(12)가 되고 하부는 근용근점도수렌즈(14)가 되며, 근용 원/근점 도수렌즈(12)(14)의 초점은 하나의 광학중심점(A)에 일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초점 이중렌즈에서 근용 원/근점 도수렌즈(12)(14)의 도수차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0.5 디옵터가 되도록 한다.
근용근점도수 근용원점도수
1.00 0.50
1.25 0.75
1.50 1.00
1.75 1.25
2.00 1.50
2.25 1.75
2.50 2.00
2.75 2.25
상기 표 1은 근용근점도수에 따른 근용원점도수의 기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근용근점도수는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근용거리(30~40㎝)에 적용되는 가입도를 나타내고, 근용원점도수는 근용근점도수에서 멀어지는 거리(40~50㎝)에 적용되는 가입도를 나타내며, 근용근점과 근용원점의 도수차는 0.5디옵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초점 이중렌즈를 위한 성형몰드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초점 이중렌즈를 위한 성형몰드의 구조와 그에 따른 렌즈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성형몰드의 단면도이고, (b)는 성형몰드의 평면도이며, (c)는 성형몰드에 의하여 생성된 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단초점 이중렌즈를 위한 성형몰드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형받침판(22)의 내주면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향받침판(24)의 내주면은 광학중심점(A)을 기준으로 이분하여 해당하는 도수차(본 실시예에서 도수차는 0.5디옵터 임)만큼 양측의 곡률과 두께 차를 다르게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26은 압착고무판을 나타낸다.
이와 형성된 상/하형 받침판(22)(24)을 이용하여 렌즈를 성형하면,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광학중심점(A)을 가지며 0.5디옵터의 도수차에 해당하는 곡률과 두께 차를 갖는 단초점 이중렌즈(10)가 성형된다.
이와 같은 단초점 이중렌즈(10)는 주로 컴퓨터 작업시 눈앞에 있는 워드작업물과 모니터 화면을 동시에 볼 때, 카드게임 등 거리가 다른 위치의 물체를 쳐다볼 때, 조립작업 등 미세한 작업에서 근용근점을 더욱 자세히 볼 필요가 있을 때, 주방에서 조리를 할 때, 기타 근용근점과 근용원점의 위치가 다른 작업을 수행 할 때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단초점 이중렌즈는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렌즈도수의 차이는 있지만 광학중심점이 일치됨으로써 상의 흩어짐이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눈의 피로도 대폭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초점 이중렌즈는 성형용 재료와 방법에 따라 그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수가 다른 렌즈의 광학중심점이 한 점에 있으므로 물체의 상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눈의 피로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다초점렌즈는 원용을 교정한 후 이에 따라 근용가입도를 산정하여 원용렌즈에 근용렌즈를 별도로 추가시키는 것이므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단초점 이중렌즈를 위한 성형몰드를 사용하므로, 이중렌즈를 도수 단위별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통 근용안경은 한 점에 초점이 맺기 때문에 초점과는 조금 먼 거리를 보게 되면 눈의 피로를 느끼게 되지만 본 발명의 단초점 이중렌즈는 근용과 원용의 초점이 동일하므로 거리차가 있어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0.3-1디옵터의 도수차가 있는 근용원점도수렌즈와 근용근점도수렌즈를 이들의 초점이 일치된 형태로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용원점도수렌즈와 근용근점도수렌즈의 도수차는 0.5디옵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용원점도수렌즈와 근용원점도수렌즈의 도수차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 곡률과 두께 차에 의하여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4. 렌즈의 외향면을 형성하는 받침판(이하 상형받침판이라 함)과 렌즈의 내향면을 형성하는 받침판(이하 하형받침판이라 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이분된 영역이 각각 다른 도수에 해당하는 곡률과 두께 차를 갖도록 내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용 성형몰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형받침판이나 하형받침판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하나의 받침판의 내주면만을 도수에 해당하는 곡률과 두께 차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용 성형몰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하형 받침판 모두 내주면이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다른 곡률과 두께 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하형 받침판의 곡률과 두께 차를 합하여 해당 도수에 따른 곡률과 두께 차가 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용 성형몰드.
KR10-2003-0017475A 2003-03-20 2003-03-20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KR10047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475A KR100478281B1 (ko) 2003-03-20 2003-03-20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UAA200509072A UA82507C2 (uk) 2003-03-20 2003-07-11 Однофокусна складена лінза та прес-форма для її виробництва
EP03816377A EP1609021A1 (en) 2003-03-20 2003-11-07 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JP2004569618A JP2006527383A (ja) 2003-03-20 2003-11-07 近用単焦点複合レンズの為の成形モールド
CA002516812A CA2516812A1 (en) 2003-03-20 2003-11-07 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RU2005132278/28A RU2334259C2 (ru) 2003-03-20 2003-11-07 Однофокусная составная линза и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10/545,451 US7278735B2 (en) 2003-03-20 2003-11-07 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NZ542410A NZ542410A (en) 2003-03-20 2003-11-07 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BRPI0318234-7A BR0318234A (pt) 2003-03-20 2003-11-07 lente composta monofocal e molde
CNA2003801097682A CN1748170A (zh) 2003-03-20 2003-11-07 单焦点复合透镜及其模具
PCT/KR2003/002401 WO2004083939A1 (en) 2003-03-20 2003-11-07 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AU2003277720A AU2003277720A1 (en) 2003-03-20 2003-11-07 Single focus compound lens and mold
TW093107499A TWI263820B (en) 2003-03-20 2004-03-19 Single focal compound lens and mold for the same
ZA200507511A ZA200507511B (en) 2003-03-20 2005-01-01 Single focus compounds lens and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475A KR100478281B1 (ko) 2003-03-20 2003-03-20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746U Division KR200350723Y1 (ko) 2004-02-14 2004-02-14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와 이를 위한 성형몰드
KR10-2004-0063480A Division KR100518802B1 (ko) 2004-08-12 2004-08-12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용 성형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795A true KR20040082795A (ko) 2004-09-30
KR100478281B1 KR100478281B1 (ko) 2005-03-25

Family

ID=3612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475A KR100478281B1 (ko) 2003-03-20 2003-03-20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278735B2 (ko)
EP (1) EP1609021A1 (ko)
JP (1) JP2006527383A (ko)
KR (1) KR100478281B1 (ko)
CN (1) CN1748170A (ko)
AU (1) AU2003277720A1 (ko)
BR (1) BR0318234A (ko)
CA (1) CA2516812A1 (ko)
NZ (1) NZ542410A (ko)
RU (1) RU2334259C2 (ko)
TW (1) TWI263820B (ko)
UA (1) UA82507C2 (ko)
WO (1) WO2004083939A1 (ko)
ZA (1) ZA200507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5345A1 (en) * 2011-03-31 2012-10-0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Method for designing a mould for casting a semi-finished ophthalmic lens blank, method for assembling a mould assembly, method for casting a semi-finished ophtalmic lens blan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s
CN104898299A (zh) * 2014-03-05 2015-09-09 张文会 松眼镜
CN106501885B (zh) * 2017-01-13 2019-07-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镜及其制造方法、以及光学显示设备
CN109634050A (zh) * 2018-12-12 2019-04-16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畸形透镜的分幅成像方法及其应用
JP2021184050A (ja) * 2020-05-22 2021-12-02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映像表示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6182A (en) * 1950-09-13 1954-04-20 Dow Corning Copolymeric siloxan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m
BE553159A (ko) * 1955-12-05
US3220972A (en) * 1962-07-02 1965-11-30 Gen Electric Organosilicon process using a chloroplatinic acid reaction product as the catalyst
US3159662A (en) * 1962-07-02 1964-12-01 Gen Electric Addition reaction
US3159601A (en) * 1962-07-02 1964-12-01 Gen Electric Platinum-olefin complex catalyzed addition of hydrogen- and alkenyl-substituted siloxanes
NL131800C (ko) * 1965-05-17
NL129346C (ko) * 1966-06-23
US3445426A (en) * 1966-08-22 1969-05-20 Dow Corning Pentavalent silane and tetravalent boron catecholates as polymerization catalysts
US3723497A (en) * 1971-11-19 1973-03-27 Dow Corning Silicone compositions catalyzed with platinum ii diacetylacetonate
JPS5330390A (en) * 1976-09-02 1978-03-22 Nippon Bunko Kogyo Kk Liquid chromatograph
JPS55144543A (en) * 1979-04-28 1980-11-11 Japan Spectroscopic Co Device for introducing trace specimen in chromaograph separator
US4374967A (en) * 1981-07-06 1983-02-22 Dow Corning Corporation Low temperature silicone gel
US4529789A (en) * 1984-03-23 1985-07-16 Dow Corning Corporation Liquid curable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s
US4981342A (en) * 1987-09-24 1991-01-01 Allergan Inc. Multifocal birefringent lens system
US4831070A (en) * 1987-11-02 1989-05-16 Dow Corning Corporation Moldable elastomer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4882377A (en) * 1988-09-21 1989-11-21 Dow Corning Corporation Low-viscosity pressure-adherent silicone elastomer compositions
JPH0365867A (ja) * 1989-08-03 1991-03-20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US5470892A (en) * 1992-05-01 1995-11-28 Innotech, Inc. Polymerizable resin for forming clear, hard plastics
JP2739407B2 (ja) * 1993-02-09 1998-04-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低弾性率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及びそのゲル状硬化物
US6048457A (en) * 1997-02-26 2000-04-11 Millipore Corporation Cast membrane structures for sample preparation
US6089710A (en) * 1998-07-20 2000-07-18 Oracle Lens Manufacturing Corporation Single-vision ophthalmic lens series
JPH11337886A (ja) * 1998-05-13 1999-12-10 Cheng Ching-Jen 眼鏡用レンズ
US6169155B1 (en) * 1999-01-14 2001-01-02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gel composition and silicone gel produced therefrom
JP3065867U (ja) * 1999-07-19 2000-02-08 マツバ眼鏡工業株式会社 異度数複合眼鏡
JP2002202481A (ja) * 2000-12-28 2002-07-19 Seika:Kk 簡易老眼鏡
KR20020060445A (ko) * 2001-01-11 2002-07-18 문재오 성형몰드 및 그 성형몰드에 의하여 성형된 누진다초점렌즈제조용 유리몰드
JP2002221694A (ja) * 2001-01-29 2002-08-09 Kiyoshi Yamaguchi 多焦点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8170A (zh) 2006-03-15
AU2003277720A1 (en) 2004-10-11
TW200426423A (en) 2004-12-01
CA2516812A1 (en) 2004-09-30
US20060073231A1 (en) 2006-04-06
ZA200507511B (en) 2007-08-29
BR0318234A (pt) 2006-08-29
EP1609021A1 (en) 2005-12-28
TWI263820B (en) 2006-10-11
NZ542410A (en) 2007-03-30
US7278735B2 (en) 2007-10-09
UA82507C2 (uk) 2008-04-25
WO2004083939A1 (en) 2004-09-30
RU2005132278A (ru) 2006-02-20
JP2006527383A (ja) 2006-11-30
RU2334259C2 (ru) 2008-09-20
KR100478281B1 (ko) 200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6348B2 (en) Spectacle lens
JP4674346B2 (ja) プログレッシブアディション・レンズ
JP6310847B2 (ja) 眼鏡用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眼鏡用レンズの製造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MXPA03009238A (es) Lentes de adicion progresiva.
CA3152087A1 (en) Ophthalmic lenses for reducing, minimizing, and/or eliminating interference on in-focus images by out-of-focus light
JP2019164392A (ja) 近視部と遠視部が接線連結される非累進二焦点レンズ
KR100478281B1 (ko)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
KR200350723Y1 (ko)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와 이를 위한 성형몰드
KR100518802B1 (ko) 근용 단초점 이중렌즈용 성형몰드
JPS5988718A (ja) 眼の輻輳を考慮した累進焦点眼鏡レンズ
KR101785993B1 (ko) 다기능 다초점 멀티 포컬 안경
US8092012B2 (en) Single vision spectacle lens
KR100638362B1 (ko) 콘택트 렌즈와 그 제조방법 및 콘택트 렌즈 제조용 몰드
JP3013396B2 (ja) 眼鏡レンズ
GB2503910A (en) Multifocal contact lens with two sets of focal length zones and movement-sensitive biasing
US20200409179A1 (en) Design structure of reverse curve of orthokeratology lens
JP3226108B2 (ja) 累進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1070234A (ja) 累進屈折力レンズ
CN109239945A (zh) 多功能阅读镜片及眼镜
CN108776395A (zh) 个性化定制的双焦点老花眼镜
JPH01243017A (ja) 眼鏡用レンズ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