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285A -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285A
KR20040082285A KR1020040016589A KR20040016589A KR20040082285A KR 20040082285 A KR20040082285 A KR 20040082285A KR 1020040016589 A KR1020040016589 A KR 1020040016589A KR 20040016589 A KR20040016589 A KR 20040016589A KR 20040082285 A KR20040082285 A KR 2004008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um
xanthan gum
weight
te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0407B1 (ko
Inventor
이혜원
박창훈
한상훈
남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01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40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CNB2004800423621A priority patent/CN100515382C/zh
Priority to JP2007502698A priority patent/JP2007528390A/ja
Priority to EP04774514A priority patent/EP1722744A4/en
Priority to PCT/KR2004/002253 priority patent/WO2005087190A1/en
Priority to US10/598,692 priority patent/US20080003309A1/en
Publication of KR2004008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285A/ko
Priority to TW093138876A priority patent/TWI394588B/zh
Priority to MYPI20045241A priority patent/MY144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07B1/ko
Priority to HK07107888.3A priority patent/HK1103628A1/xx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탄검과 만난검을 조합함으로써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도록 제조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딸기 등의 야채 또는 과일과 비타민 또는 요구르트 파우더를 더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Yoghurt-likecosmetic compositions}
본 발명은 잔탄검과 만난검을 조합함으로써 호상 요구르트, 일명 떠먹는요구르트와 유사한 외관 및 질감을 갖는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팩은 '둘러싸다', '포장하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일시적으로 얼굴에 얇은 피막을 씌워 외부의 공기유입이나 수분증발을 차단하여 피부를 유연하게 하고, 유효성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화장료이다. 팩제형에 있어서도 최근에 새롭게 제시되고있는 '웰빙(Well-Being)'의 트렌드와 어우러져 카테고리도 다양해지고, 천연 소재에 관한 관심과 수요도 증가하고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팩류의 제품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팩의 소재는 과일이나 곡물 등 식품과 관련된 것이 많으며, 그 중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가 요구르트이다. 요구르트는 부드러운 질감과 함께 각종 비타민 및 양질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품으로서,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팩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호상의 요구르트를 직접 피부에 발라 사용하는 경우, 흘러내림이 심하고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거즈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용이하게 피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이 향상된 제형을 개발하여 화장품의 제형을 팩으로 제공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취지를 가지고 손쉽게 피부에 발라 사용할 수 있는 요구르트 제형의 팩을 제공하고자, 호상 요구르트와 유사한 외관 및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 각종 고분자성 물질들을 검토하여 조합 실험하였다. 그 결과,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에 의해 호상 요구르트와 유사한 뭉글거리는 질감을 갖는 안정한 에멀젼 제형을 완성하게 되었다. 나아가, 딸기, 바나나, 사과, 키위, 브로콜리, 베리류(블루베리, 라스베리 등)들, 감자, 당근, 멜론, 키위, 파인애플, 복숭아 등의 과일 추출물 또는 야채 추출물; 과일 또는 야채의 분쇄물; 또는 우유, 비타민류, 요구르트파우더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더 부가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종래 호상의 요구르트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과일 또는 딸기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더 부가함으로써 향기 및 사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상 요구르트와 유사한 외관과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딸기 등 과일 추출물과 요구르트 파우더를 함유하는 개선된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화장료를 팔뚝에 도포한 후, 시간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화장료를 안면(이마, 뺨정면, 뺨, 턱)에 도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4의 화장료를 안면(이마, 뺨정면, 뺨, 턱)에 도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5의 화장료를 안면(이마, 뺨정면, 뺨, 턱)에 도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잔탄검과 만난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은 잔탄검 및 만난검을 함유하여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 및 외형을 갖는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잔탄검과 만난검은 중량비로 1:4∼4:1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범위 내에서 요구르트의 질감이 가장 우수할 뿐 아니라 팩 형태로 제조하는 데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식용의 식물성 성분으로서 과일 및 야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우유 및 요구르트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용의식물성 성분과 요구르트 파우더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과일 및 야채 성분은 추출물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즙 또는 분쇄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용의 과일 및 야채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딸기, 사과, 살구, 토마토, 바나나, 키위, 브로콜리, 블루베리, 라스베리 등의 베리류, 감자, 당근, 멜론, 키위, 파인애플, 복숭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료들은 가공처리 없이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한 전처리를 밟을 수도 있다. 예컨대, 감자의 경우 미리 삶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과일의 경우 씨를 함께 사용하거나 씨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식물성 성분들의 특성에 맞게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식용의 식물성 성분은 추출물, 즙, 분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형태 역시 당업자라면, 제품의 특성, 소비자의 기호 또는 사용감의 특이성 등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호상 요구르트라고 하는 것은, 발효 요구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예로는 떠먹는 요구르트 또는 짜먹는 요구르트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팩 제형이란, 얼굴에 발라서 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조된 제형을 지칭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팩의 예로는, 일시적으로 얼굴에 얇은 피막을 씌워 외부의공기유입이나수분증발을차단하여피부를유연하게하고, 유효성분의침투를용이하게하는화장료를들수있다.
상기 팩제형은 직접 얼굴에 펴서 바르는 제형뿐만 아니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얇은 천이나 종이 또는 부직포 등과 같은 투과막에 도포하거나 코팅하여 제조된 형태로의 제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팩의 제조에는 팩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분자성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화장품에서 점도를 상승시키거나 유화입자의 합일 현상을 방지하여 에멀젼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고분자성 물질의 특성에 따라 에멀젼의 질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에멀젼에서 나타나는 매끄러운 질감의 백탁 외관이 아닌 뭉글거리는 질감, 예컨데, 부드러운 과육의 잡히는 듯한 느낌을 나타내면서도 아울러 에멀젼으로서의 안정도를 가지는 제형을 개발하고자 각종 고분자성물질을 조합하여 실험하였다. 제형의 질감과 안정도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제형을 개발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고분자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카보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만난검, 잔탄검, 스타치 등으로, 각 고분자성 물질을 조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고 그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에 의해 호상 요구르트와 유사한 뭉글거리는 질감을 나타내는 안정한 에멀젼 제형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 함량을 조정함으로써 팩 제형으로서의 사용감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잔탄검과 만난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10중량%,바람직하게는 0.2∼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잔탄검과 만난검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뭉글거림이 거의 관찰되기 어려우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품으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도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에 스타치를 더 부가함으로써, 후술하는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더욱 향상된 외관과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스타치는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중량 1 중량에 대하여0 초과 10 이하의 중량비 만큼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딸기 등의 야채추출물 또는 과일 추출물이나 요구르트 파우더를 더 함유할 경우, 향상된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식용되고 있는 호상의 요구르트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딸기 등의 야채추출물 또는 과일 추출물이나 요구르트 파우더를 본 발명의 제형에서 화장료 조성물로 재현할 경우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야채와 과일에는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딸기의경우 포도당을 비롯해 저당, 과당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건조하고 거칠어진 피부를 활기있게 가꾸어줄 수 있다. 또한, 요구르트에는 비타민B2와 양질의 단백질이 들어 있어 거친 피부를 탄력있고 윤기있게 가꿔주는 미용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딸기 추출물과 요구르트 파우더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제형의 검색 및 선별
제형의 질감을 선별 및 판별하기 위하여 고분자성 물질로서, 카보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만난검, 잔탄검 및 스타치의 첨가량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조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에멀젼 제조를 위하여, 기타 유상부분으로는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수소첨가 폴리데센, 식물성 스쿠알렌, 세틸옥타노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를 사용하고, 수상부분으로는 정제수, 글리세린,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하였다. 상기 에멀젼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고분자성 물질의 조합예 (단위: 중량%)
조합예 잔탄검 만난검 카보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스타치 폴리비닐알코올
#1 0.1 0.1 - - - -
#2 0.1 - 0.1 - - -
#3 0.1 - - 0.1 - -
#4 0.1 - - - 1.0 -
#5 0.1 - - - - 1.0
#6 - 0.1 0.1 - - -
#7 - 0.1 - 0.1 - -
#8 - 0.1 - - 1.0 -
#9 - 0.1 - - - 1.0
#10 - - 0.1 0.1 - -
#11 - - 0.1 - 1.0 -
#12 - - 0.1 - - 1.0
#13 - - - 0.1 1.0 -
#14 - - - 0.1 - 1.0
#15 - - - - 1.0 1.0
#16 0.2 0.1 - - - -
#17 0.1 0.2 - - - -
#18 0.4 0.1 - - - -
#19 0.1 0.4 - - - -
#20 0.1 0.1 0.1 - - -
#21 0.1 0.1 - 0.2 - -
#22 0.1 0.1 - - 2.0 -
#23 0.1 0.1 - - - 5.0
한편, 표 1의 조합예 #1∼#19에서 각 고분자성 물질이 조합된 에멀젼 제형의 질감을 비교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고분자성 물질의 조합 실험 결과
조합예 외관 및 질감 상태 조합예 외관 및 질감 상태
#1 #13 ×
#2 × #14 ×
#3 × #15 ×
#4 × #16
#5 × #17
#6 × #18
#7 × #19
#8 × #20
#9 × #21
#10 × #22
#11 × #23 ×
#12 ×
(뭉글거림 : ◎, 약간 뭉글거림 : ○, 뭉글거림 없음 : ×)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잔탄검과 만난검이 조합되었을 경우 뭉글거리는 질감을 가장 많이 나타내었다.
또,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비율에 따른 외관 및 질감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에는 조합예 #1과 같은 경우에서 외관 및 질감 상태가 호상 요구르트와 가장 유사하였다. 그러나, 잔탄검과 만난검이 조합되는 대부분의 처방에서 뭉글거리는 질감이 나타났다.
그리고, 조합예 #20∼#23은 피부에 대한 사용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른 고분자성 물질과 조합 실험을 실시한 것으로, 조합예 #22의 경우가 외관 및 질감 상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
실험예 1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잔탄검과 만난검을 조합하여 수중유화에멀젼에 첨가하였다. 조합된 잔탄검과 만난검의 첨가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6중량%이었으며, 잔탄검과 만난검의 중량비율은 잔탄검:만난검 = 1:1(실시예 1, 실시예 3∼5) 또는 2:1(실시예 2)이었다. 그 조성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합된 잔탄검과 만난검의 외관 및 질감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비교예 1에서는 상기 잔탄검과 만난검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딸기, 바나나 및 당근 추출물과 요구르트 파우더를 함유할 때의 보습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각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를 조성하여 이들의 보습 효과에 대하여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딸기, 바나나 및 당근 추출물(바이오랜드사)과 요구르트파우더(Cosmetochem 사)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과 파우더는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용도 및 사용조건 등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직접 제조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요구르트 파우더는 저지방 또는 원하는 성상의 요구르트를 살균하고 건조함으로써 분말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의 제형은 수중유화 에멀젼(O/W제형)이며,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각 화장료는 다음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방법>
(1) 유상성분을 70∼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수상성분 1을 70∼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상기 (2)에 상기 (1)을 70∼75℃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교반하에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고, 수상성분 2를 연속적으로 투입한 후 28∼30℃까지 냉각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유상성분 세틸옥타노에이트 4.0 4.0 4.0 4.0 4.0 4.0
수소첨가 폴리데센 4.0 4.0 4.0 4.0 4.0 4.0
식물성 스쿠알렌 3.0 3.0 3.0 3.0 3.0 3.0
폴리소르베이트 60 1.20 1.20 1.20 1.20 1.20 1.2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30 0.30 0.30 0.30 0.30 0.3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0 0.50 0.500 0.50 0.50 0.50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05 0.05 0.05 0.05 0.05 0.05
수상성분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부틸렌글리콜 6.0 6.0 6.0 6.0 6.0 6.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수크로오즈 0.4 0.4 0.4 0.4 0.4 0.4
잔탄검 0.3 0.4 0.3 0.3 0.3 -
만난검 0.3 0.2 0.3 0.3 0.3 -
요구르트 파우더 - - 0.05 0.05 0.05 -
딸기 추출물 - - 20.0 - - -
바나나 추출물 - - - 20.0 - -
당근 추출물 - - - - 20.0 -
방부제 0.2 0.2 0.2 0.2 0.2 0.2
수상성분 2 스타치 - - 2.5 2.0 1.0 2.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및 비교예 1의 외관 및 질감상태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예들 중에서 특히, 실시예 1과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의 경우 외관 및 질감 상태가 호상 요구르트와 가장 유사하였다.
구분 외관 및 질감 상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
(뭉글거림: ◎, 약간 뭉글거림: ○, 뭉글거림 없음: ×)
<시험예 2>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녀 15명을 선발하여, 24∼26℃의 항온, 상대습도 40∼50%의 항습 조건에서 1시간을 대기시킨 후,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화장료를 팔뚝에 도포하여 피부 보습력의 상호 비교를 실시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0, 4, 6,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코니오미터 (Corneometer, C+K사, 독일)로 피부수분량을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별도로 실시예 3, 4 및 5에서 제조된 화장료를 피험자의 안면즉, 이마, 뺨정면,뺨, 턱에 도포하여,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0, 4, 6,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코니오미터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참고로, 뺨정면은 시선이 앞을 향하였을 때, 뺨 앞쪽을 말하는 것이며, 뺨이라고 하는 것은 뺨 중에서도 측면부위를 말한다.
결과는 도 2∼4에 나타나 있다.
또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설문에서는 매우양호, 양호, 보통, 미흡의 네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피부의 보습 효과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도포 군 응답자 수 (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 1 2 7 4 2
실시예 2 2 7 5 1
실시예 3 6 5 3 1
실시예 4 6 7 1 1
실시예 5 5 6 3 1
비교예 1 1 7 6 1
도 1의 결과로부터, 화장료 도포 후 피부 수분량에 있어서,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 5의 화장료가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1, 2의 화장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의 화장료를 안면에 도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의 수분량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피부 수분량의 증가는 하루가 지난24시간 후에도 계속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설문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으며, 상기한 표 5에서보는 바와 같이, 과일 및 야채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의 화장료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에 따른 상승효과를 이용하여 호상 요구르트와 유사한 외관 및 질감을 가짐으로써 가정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팩을 재현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딸기, 바나나, 당근 등 과일 및 야채 추출물과 요구르트 파우더를 부가함으로써, 피부의 수분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더 큰 증가폭을 나타내었으며, 이로써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잔탄검과 만난검을 중량비로 1:4∼4:1의 비율로 함유하여, 호상 요구르트의 외관 및 질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탄검과 만난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탄검과 만난검의 조합중량 1 중량에 대하여 0초과 10이하의 중량비로 스타치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야채 및 과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분; 및
    우유, 비타민제 및 요구르트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 및 과일 성분은 추출물, 즙 또는 분쇄물의 형태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 및 과일은 딸기, 사과, 살구, 토마토, 바나나, 키위, 브로콜리, 베리류, 감자, 당근, 멜론, 키위, 파인애플 및 복숭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팩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잔탄검과 만난검을 중량비로 1:4∼4:1의 비율로 함유하여, 호상 요구르트의 외관 및 질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KR1020040016589A 2004-03-11 2004-03-11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0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89A KR100560407B1 (ko) 2004-03-11 2004-03-11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502698A JP2007528390A (ja) 2004-03-11 2004-09-06 糊状ヨーグルト剤型を有する化粧料組成物
EP04774514A EP1722744A4 (en) 2004-03-11 2004-09-06 COSMETIC COMPOSITION WITH A YOGHURT FORMULATION
PCT/KR2004/002253 WO2005087190A1 (en) 2004-03-11 2004-09-06 Yoghurt 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
CNB2004800423621A CN100515382C (zh) 2004-03-11 2004-09-06 酸奶配方的化妆品组合物
US10/598,692 US20080003309A1 (en) 2004-03-11 2004-09-06 Yoghurt 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
TW093138876A TWI394588B (zh) 2004-03-11 2004-12-15 優格狀配方化妝品組成
MYPI20045241A MY144531A (en) 2004-03-11 2004-12-20 Yoghurt 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
HK07107888.3A HK1103628A1 (en) 2004-03-11 2007-07-20 Yoghurt 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89A KR100560407B1 (ko) 2004-03-11 2004-03-11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285A true KR20040082285A (ko) 2004-09-24
KR100560407B1 KR100560407B1 (ko) 2006-03-13

Family

ID=3506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589A KR100560407B1 (ko) 2004-03-11 2004-03-11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003309A1 (ko)
EP (1) EP1722744A4 (ko)
JP (1) JP2007528390A (ko)
KR (1) KR100560407B1 (ko)
CN (1) CN100515382C (ko)
HK (1) HK1103628A1 (ko)
MY (1) MY144531A (ko)
TW (1) TWI394588B (ko)
WO (1) WO20050871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525B1 (ko) * 2004-11-29 2006-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호상 요구르트 외관 및 질감을 갖는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359947B1 (ko) * 2007-03-30 2014-02-10 (주)아모레퍼시픽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239B1 (ko) * 2005-07-07 2013-01-11 (주)바이오벤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GB0605949D0 (en) * 2006-03-24 2006-05-03 Quest Int Serv Bv Milk product for skin treatment
GB0613636D0 (en) * 2006-07-10 2006-08-16 Ici Plc Emulsification systems, emulsions and wet wipes containing such emulsions
JP2009046458A (ja) * 2007-08-23 2009-03-05 Shoichi Nakamura 化粧品
JP2010077107A (ja) * 2008-09-26 2010-04-08 Pico Device:Kk 水分を含んだ野菜スラリー中や果実スラリー中の成分を体内に取り込む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袋。
EP2842606A1 (de) * 2013-08-26 2015-03-04 PM-International AG Kosmetisches Yoghurtmaskense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Yoghurtmaske
KR20190103752A (ko) 2018-02-28 2019-09-05 (주)아모레퍼시픽 고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3081930B (zh) * 2021-03-03 2022-12-27 胡旭英 一种具有皮肤祛斑修复功能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1241A5 (ko) * 1976-05-12 1981-01-30 Ceca Sa
JPS60115506A (ja) * 1983-11-25 1985-06-22 Tanpei Seiyaku Kk パック剤
FR2622797B1 (fr) * 1987-11-05 1991-02-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base de yaourt ou de kefir
CH672597A5 (ko) * 1987-12-11 1989-12-15 Rhone Electra S A Geneve
JP2761936B2 (ja) * 1989-08-24 1998-06-04 株式会社コーセー パック剤
JP2985019B2 (ja) * 1991-03-07 1999-11-29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3212340B2 (ja) * 1992-01-27 2001-09-25 アルケア株式会社 皮膚保護用ペースト状組成物
JP3776139B2 (ja) * 1994-02-24 2006-05-17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US6271001B1 (en) * 1995-03-23 2001-08-07 Bio Polymers Pty. Ltd. Cultured plant cell gums for food, pharmaceutical, cosmetic and industrial applications
FR2740678B1 (fr) * 1995-11-06 1999-05-14 Oreal Utilisation en cosmetique d'une composition solide ayant une matrice gelifie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mises en oeuvre
JPH11152207A (ja) * 1997-11-20 1999-06-08 Shiseido Co Ltd 化粧料
JP3597052B2 (ja) * 1998-08-07 2004-12-02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化粧料
US6214376B1 (en) * 1998-08-25 2001-04-10 Banner Pharmacaps, Inc. Non-gelatin substitutes for oral delivery capsules, their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20020068054A1 (en) * 2000-09-11 2002-06-06 Insight Strategy & Marketing Ltd. And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ment Ltd. Therapeutic and cosmetic uses of heparanases
PL197805B1 (pl) * 1998-12-05 2008-04-30 Croda Int Plc Emulsja higieniczna albo kosmetyczna typu olej w wodzie, sposoby jej wytwarzania oraz sucha mieszanka preparatu stabilizującego emulsję
JP2000273018A (ja) * 1999-03-23 2000-10-03 Takashi Yokota パック化粧料
WO2001002478A1 (en) * 1999-07-06 2001-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rmed, self-adhesive sheet devices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BR0012232A (pt) * 1999-07-06 2002-04-02 Procter & Gamble Folha de gel pré-formada
JP2001026515A (ja) * 1999-07-14 2001-01-30 Yasuhiro Minami 粘性ローション剤
JP3522643B2 (ja) * 2000-04-27 2004-04-26 株式会社ロッテ ゼリー状飲食品
JP2001335460A (ja) * 2000-05-30 2001-12-04 Kose Corp マッサージ化粧料
GB2363386B (en) * 2000-06-16 2004-07-28 Chesham Chemicals Ltd Fluid gel comprising xanthan and non-gelling polysaccharides
WO2003000787A1 (en) * 2001-06-22 2003-01-03 The Nisshin Oillio, Ltd. Aqueous gel composition
JP2003104838A (ja) * 2001-09-28 2003-04-09 Estate Chemical Kk ペースト状パック剤
JP2004137225A (ja) * 2002-10-18 2004-05-13 Kose Corp ゲル状化粧料
JP4095950B2 (ja) * 2003-10-20 2008-06-04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525B1 (ko) * 2004-11-29 2006-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호상 요구르트 외관 및 질감을 갖는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359947B1 (ko) * 2007-03-30 2014-02-10 (주)아모레퍼시픽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03309A1 (en) 2008-01-03
TW200529880A (en) 2005-09-16
HK1103628A1 (en) 2007-12-28
KR100560407B1 (ko) 2006-03-13
CN1925829A (zh) 2007-03-07
JP2007528390A (ja) 2007-10-11
TWI394588B (zh) 2013-05-01
CN100515382C (zh) 2009-07-22
EP1722744A1 (en) 2006-11-22
MY144531A (en) 2011-09-30
WO2005087190A1 (en) 2005-09-22
EP1722744A4 (en)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270B1 (ko) 마유 정제방법과 정제마유 및 그 정제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453043A (zh) 一种稳定性良好的纳米乳液
KR100560407B1 (ko)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3684A (ko) 화장품 및 건강 용도를 위한 분말 조성물
KR20180019082A (ko) 조성물
KR20220078530A (ko) 안정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EP3651728B1 (en) Freeze dried active composition
KR20190056099A (ko)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6381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용 앰플 조성물
CN105796408B (zh)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以及卸妆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08116B1 (ko) 천연성분과 오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7508A (ko)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194252A (ja) 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231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3442B1 (ko) 피부 보습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유기농 천연추출물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382781A (zh) 一种含有发芽糙米的天然可食多功能化妆品组合物
KR100545043B1 (ko) 화이트클로버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티클 형태의 제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
RU280109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тёмных кругов вокруг глаз,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и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382615B2 (ja) 外用剤
Pandhare USE OF GHEE RESIDUE IN COSMETICS
KR20240057094A (ko) 산양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4078236A (ja) 結晶析出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