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099A -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099A
KR20190056099A KR1020170153170A KR20170153170A KR20190056099A KR 20190056099 A KR20190056099 A KR 20190056099A KR 1020170153170 A KR1020170153170 A KR 1020170153170A KR 20170153170 A KR20170153170 A KR 20170153170A KR 20190056099 A KR20190056099 A KR 20190056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etal
cosmetic composition
flower
pe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연
이창근
박성일
신화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5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6099A/ko
Publication of KR2019005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오일제와 같은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사용되는 정제수의 사용하지 않고, 오일과 꽃잎을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생물 오염에 대한 안정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etal}
본 발명은 안정도와 투명도가 우수한 천연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신체에는 여러 가지 외부 환경이 원인이 되어 스트레스가 축적되고 있다. 물리적인 자극부터 피로, 수면부족 및 정서적 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피부 호르몬 발란스를 붕괴하고 여드름 및 거친 피부 등의 각종 피부 트러블을 유발한다. 이에 정신과 피부를 안정화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함으로써 심신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치유'를 위한 웰빙 상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일반 여성이 느끼는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트러블의 유형 중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되는 것이 일과성 스트레스인 '수면부족'이다. 수면부족은 단 시간에 극도의 스트레스를 집중적으로 받은 것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며 평소 스트레스 강도가 높은 만성 스트레스를 가진 여성들에게서는 피부 장벽 역할을 하는 뺨 부위 각질층 면적이 약 10% 감소하여 이로 인해 특이적으로 수분증발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피부가 거칠어진다고 보고되었다(일본 폴라연구소). 또한 수면부족에 의해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시계(Clock) 유전자 및 주기(period) 유전자 등의 피부세포내 유전자의 변화가 초래되어 피부의 리듬이 파괴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보스턴의대 연구결과). 수면부족으로 인해 피부주기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어 피지분비 및 수분 보유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피부 재생능력 저하 및 피부 최외각층인 각질층에 가장 큰 영향을 주어 피부색을 칙칙하고 어둡게 한다. 따라서, 수면 부족 등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에의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것, 즉 피부장벽보호와 각질 턴오버를 재빨리 정상화하고 피부에 휴식을 주어 아침의 피부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간편하고 즉효성 있는 스페셜 케어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 고민 해결을 위한 스페셜 케어 제품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팩, 화장료 등이 제조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팩 또는 화장료에 포함된 성분이 피부를 자극하여 아토피나 피부질환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비독성 특성을 나타내는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팩 또는 화장료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일례로, 종래에는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천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생화 꽃잎, 건조 꽃잎 또는 허브잎과 같은 원물을 활용하여 팩제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원물을 이용한 화장료의 경우, 크림제 또는 오일제와 같은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정제수를 사용하게 되며, 정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천연 유효성분 유래의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원물을 함유하면서도 원물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제조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425454호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8718호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오일과 원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이외에 정제수 또는 극성이 높은 원료와 함께 원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미생물 오염에 대해 강한 특성을 나타내고, 제형의 안정도 및 투명도에 있어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 오염에 강하고 제형의 안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원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 오염에 강하고 제형의 안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원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및 꽃잎을 포함하는,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54 내지 64 중량%; 오일 35 내지 45 중량%; 및 꽃잎 0.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및 합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및 합성 오일을 1 : 0.1 내지 0.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 해바라기씨 오일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코코스 뉴시페라 코코넛 오일 [Cocos Nucifera (Coconut) Oil], 카타머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리시누스 커뮤니스(캐스토르) 시드 오일 [Ricinus Communis(Castor) Seed oil],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 시드 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오리자 사티바 라이스 브란 오일 [Oryza Sativa (Rice) Bran Oil], 림난데스 알바 (메도우폼) 시드 오일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Meadowfoam Seed Oil)], 코코스 뉴시페라 (코코넛) 오일*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s Nucifera (Coconut) Oil*Coco-Caprylate/Caprate], 브라시카 캄페스트리스 (라페시드) 시드 오일 [Brassica Campestris (Rapeseed) Seed Oil], 림난테스 알바 (메도우폼) 시드 오일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시드 오일 (Passiflora Incarnata Seed Oil) 및 심몬디시아 치넨시스 (호호바) 시드 오일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합성 오일은 극성 합성 오일일 수 있다.
상기 합성 오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14 올레핀)[HYDROGENATED POLY(C6-14 OLEFIN)],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C12-15 알킬 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및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꽃잎은 장미, 계화꽃(Osmanthus), 수레국화(Corn Flower), 캐모마일, 쟈스민, 당아욱(mallow), 라벤더, 작약, 해바라기, 히비스커스, 모예화(mullein), 로즈마리, 아르니카 꽃잎, 클로브 꽃잎, 비터오렌지 (Citrus Aurantium Amara flower) 꽃잎, 라즈베리, 자작나무 꽃잎, 카렌둘라 꽃, 달맞이꽃, 연꽃, 로즈힙꽃, 동백꽃, 인삼꽃, 녹차꽃 및 콩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는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2-옥틸도데카놀(2-Octyldodecanol),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코코글리세라이드(Cocoglyceride),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레이트(PHYTOSTERYL ISOSTEARYL DIMER DILINOLEATE),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 및 데실 코코에이트(Decyl Coc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크림제 또는 오일제와 같은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정제수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없어, 미생물 오염에 대해 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제형의 안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하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라 각기 다른 극성을 가지는 원료에 대하여 장미 꽃잎으로부터 유용성분의 용출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꽃잎 자체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꽃잎으로부터 용출된 유용성분을 포함하는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및 꽃잎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래 크림제 또는 오일제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정제수 또는 에탄올과 같은 극성이 높은 다른 원료들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없어, 제형의 안전도 및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없이 제조된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54 내지 64 중량%; 오일 35 내지 45 중량%; 및 꽃잎 0.5 내지 1.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는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천연 성분으로서 피부에 무해하면서도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는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2-옥틸도데카놀(2-Octyldodecanol),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코코글리세라이드(Cocoglyceride),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레이트(PHYTOSTERYL ISOSTEARYL DIMER DILINOLEATE),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 및 데실 코코에이트(Decyl Coc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의 함량이 54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 본연의 피부 보호와 피부 건강 유지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고, 64 중량% 초과이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포함되도록 하는 동시에 꽃잎에 포함된 유용성분이 충분히 용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꽃잎과 유용성분을 안정화시켜, 사용감과 피부 보호 및 피부 건강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35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꽃잎이 그대로 유지되어 포함되기가 어렵고, 꽃잎에 포함된 유용성분의 용출이 어려울 수 있으며,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고, 45 중량% 초과일 경우에도 끈적임 때문에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및 합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 오일은 극성을 나타내는 합성 오일로서, 상기 극성 합성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미생물이 성장하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게 하여 미생물 오염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및 합성 오일을 1 : 0.1 내지 0.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오일 및 합성 오일의 중량비가 1 : 0.1 미만이면 미생물의 성장할 수도 있어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1 : 0.5 초과이면 합성 오일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에 유해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 해바라기씨 오일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코코스 뉴시페라 코코넛 오일 [Cocos Nucifera (Coconut) Oil], 카타머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리시누스 커뮤니스(캐스토르) 시드 오일 [Ricinus Communis(Castor) Seed oil],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 시드 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오리자 사티바 라이스 브란 오일 [Oryza Sativa (Rice) Bran Oil], 림난데스 알바 (메도우폼) 시드 오일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Meadowfoam Seed Oil)], 코코스 뉴시페라 (코코넛) 오일*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s Nucifera (Coconut) Oil*Coco-Caprylate/Caprate], 브라시카 캄페스트리스 (라페시드) 시드 오일 [Brassica Campestris (Rapeseed) Seed Oil], 림난테스 알바 (메도우폼) 시드 오일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시드 오일 (Passiflora Incarnata Seed Oil) 및 심몬디시아 치넨시스 (호호바) 시드 오일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천연 오일 중 스쿠알란 자체가 투명하므로 천연 오일로서 스쿠알란을 사용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오일은 극성의 합성 오일일 수 있으며, 상기 합성 오일의 극성이 높을수록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미생물의 성장 환경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 오일의 극성도는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의 극성도를 가지는 합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오일의 극성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미생물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므로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꽃잎으로부터 유용성분이 용출되기가 힘들며, 상기 범위 초과이면 꽃잎의 유용성분은 충분히 용출될 수 있으나 꽃잎이 그 형태를 유지하기가 힘들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 오일의 극성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의 극성도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오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14 올레핀)[HYDROGENATED POLY(C6-14 OLEFIN)],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C12-15 알킬 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및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합성 오일 중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가 꽃잎의 형태 유지 및 유용성분의 용출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꽃잎 자체의 모양, 향, 색채 및 유용성분에 의해 피부보습, 릴랙싱, 항염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꽃잎은 연화된 꽃잎일 수 있다.
이때, 연화된 꽃잎이란, 천연 꽃잎을 시트르산, 카보머(Carbomer) 또는 그 혼합 수용액에 혼합한 후 70∼90℃로 가열하는 연화공정을 거쳐 제조한 것을 말한다.
상기 과정에서 시트르산 및 카보머의 혼합비율은 1:1∼20의 중량비가 적절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생화 꽃잎을 화장료 조성물에 그대로 사용할 경우 섬유소 조직이 질겨 쪼개짐이 없어 이물감이 크고 피부에도 부착이 되지 않는다. 또한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도 높고 쉽게 산패되어 장기 사용이 어렵다.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침출차 용도의 식용 꽃 소재인 장미꽃잎, 캐모마일 및 쟈스민 등을 동결 건조하고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건조된 꽃잎 역시 바로 사용할 경우 꽃잎 조직이 질겨서 손놀림만으로 쉽게 펴 바를 수 없다. 따라서, 꽃잎의 살균과 더불어 섬유소 조직을 연화할 수 있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꽃잎은 장미, 계화꽃(Osmanthus), 수레국화(Corn Flower), 캐모마일, 쟈스민, 당아욱(mallow), 라벤더, 작약, 해바라기, 히비스커스, 모예화(mullein), 로즈마리, 아르니카 꽃잎, 클로브 꽃잎, 비터오렌지 (Citrus Aurantium Amara flower) 꽃잎, 라즈베리, 자작나무 꽃잎, 카렌둘라 꽃, 달맞이꽃, 연꽃, 로즈힙꽃, 동백꽃, 인삼꽃, 녹차꽃 및 콩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꽃잎 중 장미를 사용할 경우, 피부보습, 릴랙싱, 항염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꽃잎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피부보습, 릴랙싱, 항염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 초과이면 꽃잎에 의한 향이 과도하여 오히려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오일 및 꽃잎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량에 따라 칭량 및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오일 및 꽃잎의 종류 및 사용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하지 않아,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 기재는 본 발명의 내용 및 효과에 관한 일 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및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연화된 장미 꽃잎 제조
장미 꽃잎의 조직을 연화시키는 물질로는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NaCl, 카보머(Carbomer), 복합 과일산 추출물 및 아스퍼질러스속 유래 셀룰라아제(Cellulase from Aspergillus sp.; Sigma Aldrich 시약급효소)의 20% 수용액을 각각 사용하였다.
동결 건조한 야생 장미 꽃잎 동량을 각각의 수용액에 넣어 1일간 방치 후 여과, 세척한 다음 연화정도를 비교하였다. 꽃잎의 연화정도는 손가락으로 10회 문질렀을 때의 꽃잎 뭉개짐 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육안평가와 어드밴스드 레오미터 2000(Advanced Rheometer 2000)을 이용한 기기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연화된 꽃잎을 기기에 올리고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직경 40mm 스핀들(spindle)을 밀착시킨 후, 동일한 전단율(Shear rate)로 회전 시키면서 전단응력(Shear Stress)이 급격히 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 시점이 꽃잎이 뭉개지는 시점으로 판단하여 연화도를 상대 비교 순위를 정하여 하기 표 1(연화물질에 따른 장미꽃잎 연화도)에 정리하였다.
연화물질 시트르산 젖산 NaCl 카보머 복합과일산 셀룰라아제
육안평가 X X X
기기평가 2순위 6순위 5순위 3순위 4순위 1순위
(뭉개짐 : ◎, 약간 뭉개짐 : ○ , 뭉개짐 없음 : × )
세포벽 조직을 분해하는 셀룰라아제의 경우 가장 연화 효과가 높았으나 효소물질 자체의 냄새가 심하여 세척 후에도 화장료에 배합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젖산의 경우는 연화물질 자체의 pH가 매우 강산성임에도 오히려 꽃잎조직이 탱탱하게 질겨지는 현상을 보였고 세척 후에도 피부에 자극이 심한 편이어서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하여, 꽃잎을 연화시키는 공정에서 시트르산 또는 카보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시트르산과 카보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장미 꽃잎의 유용성분 용출에 유리한 원료 실험
꽃잎의 유용성분의 용출에 유리한 물질을 찾기 위하여, 각기 다른 극성도를 가지는 물질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연화된 장미 꽃잎을 넣어 제논 광 가속기에서 12시간 광, 12시간 암 조건으로 노출시키는 과정을 1 사이클(cycle)이라고 하고, 1 사이클에서 5 사이클 까지 반복한 다음, 1 사이클, 3 사이클 및 5 사이클 후의 장미 꽃잎의 형태 및 유용성분의 용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상기 장미 꽃잎으로부터 유용 성분의 용출 정도를 실험할 원료는 각기 다른 극성도를 가진,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합성 오일 및 천연 오일이며, 상기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는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2-옥틸도데카놀(2-Octyldodecanol);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 및 카프릴릭 및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and Capric Triglyceride);이고, 상기 합성 오일은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이며, 상기 천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 및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이다.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원료명 극성도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OCTYL-DODECYL MYRISTATE 22.1
2-Octyldodecanol 24.8
Coco-Caprylate/Caprate 24.8
Dicaprylyl ether 22.1
Caprylic and Capric Triglyceride 21.3
합성 오일 Dicaprylyl carbonate 31.7
천연 오일 Helianthus Annuus Seed oil Non-polar
squalane Non-polar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극성을 가지는 원료에 장미 꽃잎을 넣어 유용성분의 용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라 각기 다른 극성을 가지는 원료에 대하여 장미 꽃잎으로부터 유용성분의 용출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이클을 거듭할수록 합성 오일의 투명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극성이 높은 합성 오일에서 장미 꽃잎의 유용성분이 가장 잘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연 오일인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은 원래의 색이 노란색을 띠므로, 장미 꽃잎으로부터 용출된 유용성분에 의하여 투명도가 저하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
본 발명에 따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오일 및 꽃잎을 위에 설명한 제조 비율 별로 칭량 및 혼합하여 제조한다.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로서 카프릴릭 및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and Capric Triglyceride) 60 중량%, 천연 오일로서 스쿠알란(squalane) 29 중량%; 합성 오일로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10 중량%; 및 제조예 1의 연화된 장미 꽃잎 1 중량%;를 혼합하여,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천연 오일인 스쿠알란을 to 100 원료로 하여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Caprylic and Capric Triglyceride 60 60
천연 오일 squalane 29 (to 100) 39 (to 100)
합성 오일 Dicaprylyl carbonate 10 0
꽃잎 장미 꽃잎 1 1
실시예 2: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테스트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각각 제조된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고, 두께감, 밀착감, 보습감 및 끈적임에 대한 4가지 항목과 관련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건강한 20~30대 여성 20명을 전문패널로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두께감, 밀착감, 보습감 및 끈적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된 값(7점 척도)의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두께감과 끈적임은 점수가 낮을수록 우수한 평가결과이고, 밀착감과 보습감은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평가결과를 의미한다.
사용감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2
두께감 4.55 5.55
밀착감 4.27 3.55
촉촉함(보습감) 5.27 4.18
끈적임 1.00 1.82
상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극성도가 높은 합성 오일을 포함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장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이, 합성 오일을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 2에 비해 밀착감과 보습감은 더 좋으면서도 두께감이 높지 않고 끈적임이 적어 산뜻함 사용감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오일 및 꽃잎을 포함하는,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를 더 포함하는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35 내지 45 중량%; 꽃잎 0.5 내지 1.5 중량%; 및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 54 내지 64 중량%;를 포함하는,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및 합성 오일을 포함하는,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및 합성 오일을 1 : 0.1 내지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 해바라기씨 오일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코코스 뉴시페라 코코넛 오일 [Cocos Nucifera (Coconut) Oil], 카타머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리시누스 커뮤니스(캐스토르) 시드 오일 [Ricinus Communis(Castor) Seed oil],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 시드 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오리자 사티바 라이스 브란 오일 [Oryza Sativa (Rice) Bran Oil], 림난데스 알바 (메도우폼) 시드 오일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Meadowfoam Seed Oil)], 코코스 뉴시페라 (코코넛) 오일*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s Nucifera (Coconut) Oil*Coco-Caprylate/Caprate], 브라시카 캄페스트리스 (라페시드) 시드 오일 [Brassica Campestris (Rapeseed) Seed Oil], 림난테스 알바 (메도우폼) 시드 오일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시드 오일 (Passiflora Incarnata Seed Oil) 및 심몬디시아 치넨시스 (호호바) 시드 오일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오일은 극성 합성 오일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오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14 올레핀)[HYDROGENATED POLY(C6-14 OLEFIN)],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C12-15 알킬 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및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장미, 계화꽃(Osmanthus), 수레국화(Corn Flower), 캐모마일, 쟈스민, 당아욱(mallow), 라벤더, 작약, 해바라기, 히비스커스, 모예화(mullein), 로즈마리, 아르니카 꽃잎, 클로브 꽃잎, 비터오렌지 (Citrus Aurantium Amara flower) 꽃잎, 라즈베리, 자작나무 꽃잎, 카렌둘라 꽃, 달맞이꽃, 연꽃, 로즈힙꽃, 동백꽃, 인삼꽃, 녹차꽃 및 콩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래 베이스 원료는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2-옥틸도데카놀(2-Octyldodecanol),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코코글리세라이드(Cocoglyceride),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레이트(PHYTOSTERYL ISOSTEARYL DIMER DILINOLEATE),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 및 데실 코코에이트(Decyl Coc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꽃잎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53170A 2017-11-16 2017-11-16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6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70A KR20190056099A (ko) 2017-11-16 2017-11-16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70A KR20190056099A (ko) 2017-11-16 2017-11-16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99A true KR20190056099A (ko) 2019-05-24

Family

ID=6667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70A KR20190056099A (ko) 2017-11-16 2017-11-16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60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614B1 (ko) 2019-06-19 2020-08-06 주식회사 팜인스킨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5036A (ko)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718A (ko) 2007-06-11 2008-12-16 한국콜마 주식회사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425454B1 (ko) 2007-02-01 2014-07-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54B1 (ko) 2007-02-01 2014-07-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8718A (ko) 2007-06-11 2008-12-16 한국콜마 주식회사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614B1 (ko) 2019-06-19 2020-08-06 주식회사 팜인스킨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5036A (ko)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785B1 (ko)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057902B (zh) 一种含水解植物蛋白的油茶籽油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307969B1 (ko)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9082A (ko) 조성물
KR102602542B1 (ko) 대마와 피부유래 유산균의 발효 기술에 의한 스포츠용 화장품 개발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6099A (ko)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0560407B1 (ko)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8420779A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KR102108116B1 (ko) 천연성분과 오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0114B1 (ko)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CN113057901B (zh) 一种含水解植物蛋白的油茶籽油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50025320A (ko) 발 마사지 크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432A (ko) 천연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습용 스킨 티슈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2637B1 (ko)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24268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06B1 (ko)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1979658B1 (ko) 순지트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541810B1 (ko) 안젤리카 및 크랜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