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311A -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311A
KR20040081311A KR1020040015814A KR20040015814A KR20040081311A KR 20040081311 A KR20040081311 A KR 20040081311A KR 1020040015814 A KR1020040015814 A KR 1020040015814A KR 20040015814 A KR20040015814 A KR 20040015814A KR 20040081311 A KR20040081311 A KR 20040081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stat
valve body
cover member
mounting struc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015B1 (ko
Inventor
모리야마류지
오키겐지
고바야시고지
요고도요유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13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wo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 G05D23/1306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wo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for liquids
    • G05D23/13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wo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for liquids with temperature sensing element
    • G05D23/1333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wo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for liquids with temperature sensing element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incom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70/0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매설식의 서모스탯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하여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냉각액 통로(26)가 형성된 케이 싱(20)에 냉각액 통로(26)를 횡단하여 매설구멍(25)이 형성되고, 통형상 밸브 본체(51)의 둘레벽에 천공된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를 밸브체가 진퇴하여 연통·차단하는 서모스탯(50)이 상기 양 개구(52, 53)를 냉각액 통로(26)에 대향시켜 매설구멍(25)에 끼워 넣어지고, 커버부재(30)의 홈에 끼워맞춤 지지된 고리형상의 고무 시일(40)을 개재 설치하여 이 커버부재(30)가 매설구멍(25)을 덮는 동시에 서모스탯(50)을 고정하는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커버부재(30)측에 서모스탯(50)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조(33)를 구비한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STRUCTURE FOR MOUNTING THERMOSTA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냉각계에 있어서 냉각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케이싱의 냉각액 통로를 횡단하여 형성된 매설구멍에 서모스탯을 끼워맞춤하고, 커버부재가 고무 시일을 통해 매설구멍을 덮는 동시에 서모스탯을 고정하는 매설식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관해서는, 이미 제안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2002-39433호 공보(제2 실시의 형태)
특허문헌1에 제2 실시의 형태로서 개시된 매설식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를 도면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케이싱(01)의 냉각액 통로(02)를 횡단하여 매설구멍(03)이 형성되고, 이 매설구멍(03)에 서모스탯(07)이 끼워 맞춤되고, 커버부재(05)가 고무 시일(04)을 통해 매설구멍(03)을 덮는 동시에 서모스탯(07)을 고정하고 있다.
서모스탯(07)은, 통형상의 밸브 본체(08)의 둘레벽에 천공된 입구개구(08a)와 출구개구(08b)를 밸브체(09)가 진퇴하여 연통·차단하는 것으로, 양 개구(08a, 08b)를 케이싱(01)의 냉각액 통로(02)에 대향시켜 매설구멍(03)에 끼워 맞춤된다.
또 출구개구(08b)의 아래쪽에도 밸브 본체(08)의 안쪽 공간과 냉각액 통로(02)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개구(08c)가 천공되어, 왁스(010)의 열팽창을 이용한 밸브체(09)의 진퇴로 출구개구(08b)와 바이패스 개구(08c)가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서모스탯(07)에는, 밸브 본체(08)의 외주면을 입구개구(08a)측과 출구개구(08b)측으로 분할하는 O링(011)이 둘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통로(06)를 갖는 커버부재(05)는, 고리형상의 홈에 고무 시일(04)을 끼워 맞춤시켜 이 고무 시일(04)을 통해 서모스탯(07)이 끼워 맞춤된 케이싱의 매설구멍을 덮도록 케이싱(01)에 맞대어진다.
고무 시일(04)은, 케이싱의 매설구멍의 개구단면에 압접되는 동시에, 통형상의 밸브 본체(08)의 개구단면에도 걸쳐 압접되어 서모스탯(07)을 고정한다.
따라서 O링(011)이 서모스탯(07)의 밸브 본체(08)의 바깥 공간에서 케이싱(01)의 매설구멍(03) 내를 유입측과 유출측으로 절반 나누어 분할하고, 고무 시일(04)이 케이싱(01)의 매설구멍(03) 내에서 밸브 본체(08)의 안쪽 공간과 바깥 공간을 분할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서모스탯 유닛을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었지만, 서모스탯(07)이 O링(011)에 의해 부상 지지되어, 고무 시일(04)이나 케이싱(01)에 대하여 위치 결정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조립후의 서모스탯(07)에 미세한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매설식의 서모스탯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하여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냉각액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에 상기 냉각액 통로를 횡단하여 매설구멍이 형성되고, 통형상 밸브 본체의 둘레벽에 천공된 입구개구와 출구개구를 밸브체가 진퇴하여 연통·차단하는 서모스탯이 상기 양 개구를 상기 냉각액 통로에 대향시켜 상기 매설구멍에 끼워넣어지고, 커버부재의 홈에 끼워 맞춤 지지된 고리형상의 고무 시일을 개재 설치하여 이 커버부재가 상기 매설구멍을 덮는 동시에 상기 서모스탯을 고정하는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측에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조를 구비한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로 하였다.
커버부재가 매설구멍을 덮어 케이싱에 장착할 때에, 케이싱의 매설구멍에 끼워 넣어진 서모스탯을 커버부재측에 구비한 위치 결정 구조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서모스탯의 위치 어긋남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고무 시일에 의한 밀봉성이 높게 확보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구조는, 상기 통형상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를 끼워 맞춤 지지함으로써,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무 시일이 밀봉하는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를 끼워 맞춤 지지함으로써, 서모스탯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밀봉이 가능하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기재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구조는, 끼워 맞춤부가 상기 통형상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의 내주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부재측의 끼워 맞춤부가 통형상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의 내주에 끼워져 들어가 서모스탯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때문에, 냉각액의 액압의 영향을 받지 않고 확실히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 기재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상기 끼워 맞춤부는 고리형상의 리브이고, 이 리브가 상기 통형상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리형상의 리브가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끼워져 들어가 위치 결정을 행하기 때문에, 응력이 완화되는 위치 결정 구조를 구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구조는,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부재에 위치 결정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로 위치 결정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부품 수를 삭감하고, 또한 커버부재는 고무 시일을 끼워맞춤 지지하기 때문에, 고무 시일의 밀봉부와 위치 결정된 서모스탯의 어긋남이 해소되어, 밀봉성이 보다 향상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따른 내연기관의 냉각계에 적용된 매설식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와 내연기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펌프 커버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서모스탯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그 이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고무 시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서모스탯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동 측면도이다.
도 12는 동 상면도이다.
도 13은 동 하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ⅩⅠⅤ- ⅩⅠ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저온시의 서모스탯의 상태에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고온시의 서모스탯의 상태에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 내연기관 R : 라디에이터
1 : 실린더 헤드 2 : 캠축
3 : 종동 스프로켓 4 : 타이밍 체인
5 : 워터 펌프 6 : 펌프 본체 케이스
7 : 회전축 8 : 종동자석
9 : 임펠러 10 : 원통지지부재
11 : 구동자석 20 : 펌프 커버 케이스
21 : 스크롤실 22 : 원환상 리브
23 : 축받이부 24 : 맞춤면
25 : 서모스탯실 26 : 냉각액 흡입로
27 : 흡입 접속관 28 : 토출 접속관
29 : 냉각액 토출로 30 : 서모스탯 커버
31 : 맞춤면 32 : 외주벽
33 : 내환 리브 34 : 원환형상 홈
35 : 오목부 35 : 바이패스관
36a : 바이패스로 37 : 접속관
38, 39 : 연장부 40 : 고무 시일
41, 42, 43 : 돌출줄 50 : 서모스탯
51 : 밸브 본체 52 : 입구 개구
53 : 출구 개구 54 : 바이패스용 개구
55 : 바닥이 있는 원통부 56 : 리브
57 : 홈줄 58 : O링
59 : 돌출줄 60 : 안쪽공간
61 : 밸브체 62 : 왁스 케이스
63 : 다이어프램 64 : 왁스
65 : 반유동체 66 : 고무 피스톤
67 : 백업판 68 : 피스톤
69 : C링 70 : 스프링
80 : 볼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16을 기초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모스탯은, 내연기관의 냉각계에 적용된 매설식의 서모스탯(50)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린더 헤드(1)에는 캠축(2)이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고, 그 단부에 체결된 종동 스프로켓(3)에 타이밍 체인(4)이 감아 걸려지고, 타이밍 체인(4)은 도시되지 않은 크랭크축에 끼워 장착된 구동 스프로켓에 다른쪽을 감아 걸어서 크랭크축의 회전을 2분의 1의 회전수로 하여 캠축(2)에 전달한다.
타이밍 체인(4)은 실린더 헤드(1)에 형성된 체인실(1a)에 설치되어 있고, 그 체인실(1a)을 형성하는 측벽에는, 캠축(2)과 동축의 개구가 형성되어, 이 개구에 펌프 본체 케이스(6)를 끼워 넣어 워터펌프(5)가 장착된다.
워터펌프(5)의 펌프 본체 케이스(6)는, 회전축(7)에 지지된 종동자석(8)을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부(6a)와 회전축(7)에 끼워 장착된 임펠러(9)를 수용하는 개구 대경부(6b)로 이루어져 있고, 개구 대경부(6b)를 덮는 펌프 커버 케이스(20)가 회전축(7)의 일단을 축지지하여 종동자석(8)과 임펠러(9)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실린더 헤드(1)의 체인실(1a)에 끼워 넣어진 펌프 본체 케이스(6)의 주위에는, 캠축(2)의 단면에 종동 스프로켓(3)과 함께 공동 체결된 원통지지부재(10)의 내주면에 끼워 장착된 구동자석(11)이 설치되어, 캠축(2)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자석(11)에 펌프 본체 케이스(6)에 의해 이격된 워터펌프(5)의 종동자석(8)이 함께 회전하여 임펠러(9)를 회전시킨다.
펌프 커버 케이스(20)는, 펌프 본체 케이스(6)의 개구 대경부(6b)에 끼워 맞춤하여 임펠러(9)가 회전하는 스크롤실(21)을 구성하는 원환형상 리브(22)가 돌출하고 있고, 그 중앙에 상기 회전축(7)의 축받이부(23)가 돌출하고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펌프 커버 케이스(20)는, 서모스탯 케이스이기도 하며, 상기 스크롤실(21)과 반대측에 서모스탯 커버(30)와의 맞춤면(24)을 갖고, 이 맞춤면(24)에 크게 뚫린 서모스탯(50)의 매설구멍인 서모스탯실(25)이 형성되어있고, 이 서모스탯실(25)에 서모스탯(50)이 끼워 삽입된다.
서모스탯 커버(30)와의 맞춤면(24)에는 서모스탯실(25)로부터 서로 대략 반대방향으로 연장한 연장부에 각각 나사구멍(24a, 24a)이 형성되어 있다.
서모스탯실(25)은, 맞춤면(24)으로부터 내경을 서서히 작게 하여 약간 테이퍼한 내주면(25a)을 형성하고, 가장 안쪽부는 대략 반구면(25b)을 형성하고 있다.
테이퍼면(25a)에 개구단면에서 안쪽을 향해서 홈줄(25c)이 일부 형성되어 있다.
이 서모스탯실(25)의 안측 테이퍼면에 대향하여 개구하는 냉각액 흡입로(26)가 서모스탯실(25)에 직교하여 형성되어 있고, 냉각액 흡입로(26)의 한쪽의 상류측은 흡입 접속관(27)으로서 돌출하고, 다른쪽의 하류측은 상기 축받이부(23)의 외주에 형성된 고리형상 흡입로(26a)에 연통하고 있다.
즉 서모스탯실(25)은 냉각액 흡입로(26)를 횡단하여 형성되어 있다.
흡입 접속관(27)과 평행하게 돌출한 토출 접속관(28)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액 토출로(29)를 형성하고, 이 냉각액 토출로(29)는 상기 임펠러(9)의 외주의 스크롤실(21)에 연통하고 있다.
펌프 커버 케이스(20)의 서모스탯실(25)에 끼워 넣어진 서모스탯(50)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테이퍼한 원통형상의 밸브 본체(51)의 둘레벽에 서로 대향하여 직사각형상의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가 천공되어 있고, 출구개구(53)의 아래쪽 위치에도 바이패스용 개구(54)가 천공되어 있다.
밸브 본체(51)의 일단은 원환형상의 개구단면(51a)을 구성하고, 타단은 밑바닥벽(51b)을 형성하여, 그 밑바닥벽(51b)의 중앙으로부터 소경의 바닥이 있는 원통부(55)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 바닥이 있는 원통부(55)로부터 양측으로 밑바닥벽(51b)과의 사이에 리브(56, 56)가 돌출하고 있고, 이 리브(56, 56)의 단면은 밸브 본체(51)의 둘레면과 매끄러운 동일면을 이루어 만곡하여, 상기 서모스탯실(25) 안쪽의 반구면(25b)과 동일 곡면형상을 이루고 있다.
바닥이 있는 원통부(55) 및 리브(56, 56)는, 밸브 본체(51)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리브(56, 56)는 밸브 본체(51)의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의 중간위치에 밸브 본체(5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5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여 리브(56, 56)의 능선 중앙을 지나는 평면이, 리브(56, 56)의 단면, 바닥이 있는 원통부(55)의 단면, 밸브 본체(51)의 외주면 및 밸브 본체(51)의 개구단면(51a)과 교차하는 교선을 따라 일련의 홈줄(57)이 형성되고, 이 홈줄(57)에 고무제의 O링(58)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O링(58)은, 홈줄(57)로부터 비어져 나와, 밸브 본체(51)의 외주를 입구개구(52)측과 출구개구(53)측으로 절반으로 분할하고 있다.
또 밸브 본체(51)의 외주면의 바이패스용 개구(54)의 아래쪽에서 개구단면(51a) 가까이 돌출줄(59)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51)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안쪽공간(6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밸브체(61)가 끼워 넣어지고, 밸브체(61)에서 연장한 소경원통부(61a)가 바닥이 있는 원통부(5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밸브체(61)의 소경원통부(61a)와 반대측의 면은 도려내어져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는 소경원통부(61a)의 안쪽공간과 연속해 있다.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왁스 케이스(62)가, 밸브체(61)의 오목부를 덮도록 다이어프램(63)을 통해 밸브체(61)에 개구 끝테두리를 코킹(calking) 등에 의해 고착되어 설치되고, 왁스 케이스(62) 내에는 열팽창체인 왁스(64)가 수용되어, 다이어프램(63)을 사이에 둔 밸브체(61)의 오목부에는 반유동체(65)가 충전된다.
소경원통부(61a)의 안쪽공간에는 반유동체(65)에 접하는 고무 피스톤(66), 백업판(67)을 통해 피스톤(6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밸브 본체(51)의 내주면에서 개구단면(51a) 근방에 둘레방향으로 절결된 홈줄에 C링(69)이 끼워 장착되고, 이 C링(69)과 밸브체(61) 사이에 스프링(70)이 끼워져 밸브체(61)를 밸브 본체(51)의 밑바닥벽(51b)에 누르도록 탄성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저온시에는 스프링(7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61)는 밑바닥벽(51b)에 접촉하여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를 닫고 있고, 이 때 바이패스용 개구(54)는 개방하고 있다.
온도가 상승하면 왁스(64)가 팽창하여 다이어프램(63)을 팽출시켜 반유동체(65)를 통해 고무 피스톤(66)을 가압하여, 이 가압력이 백업판(67)을 통해 피스톤(68)에 전달되고, 피스톤(68)을 소경원통부(61a)에서 돌출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피스톤(68)은 바닥이 있는 원통부(55)의 바닥면에 상시 접하여 위치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작용으로 밸브체(61)가 스프링(70)에 대항하여 이동하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를 개방하여 연통한다.
이 때 바이패스용 개구(54)는 닫힌다.
이상과 같은 서모스탯(50)을 펌프 커버 케이스(20)의 서모스탯실(25)에 끼워 넣는다.
그 때 밸브 본체(51)의 외주의 돌출줄(59)을 서모스탯실(25) 내주의 홈줄(25c)에 끼워 넣음으로써, 밸브 본체(51)의 축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끼워 넣은후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가 냉각액 흡입로(26)에 대향한다.
동시에 바이패스용 개구(54)도 출구개구(53)와 같이 냉각액 흡입로(26)에 대향하고 있다.
밸브 본체(51)의 외주에 둘레 설치된 O링(58)은, 서모스탯실(25)의 내주면(25a) 및 반구면(25b)에 압접되어 그 내주면(25a)과 밸브 본체(51)와의 간극을, 서모스탯(50)의 리브(56, 56)와 함께 입구개구(52)측과 출구개구(53)측으로 분할하고 있다.
이 서모스탯(50)을 끼워 넣은 서모스탯실(25)의 개구를 서모스탯 커버(30)가 덮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모스탯 커버(30)는, 펌프 커버 케이스(20)의 맞춤면(24)에 대응하는 맞춤면(31)에, 동축으로 고리형상의 외주벽(32)과 다소 높이가 높은 내환 리브(33)가 세워져 설치되고, 이 외주벽(32)과 내환 리브(33) 사이에 원환형상홈(34)이 형성되고, 내환 리브(33)의 내측에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5)에 연통하는 바이패스로(36a)가 측방으로 연장한 바이패스관(36)에 의해 구성되고, 바이패스관(36)에는 접속관(37)이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맞춤면(31)은, 외주벽(32)의 단면과 측방으로 연장한 연장부(38, 39)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연장부(38, 39)에 장착구멍(38a, 39a)이 천공되어 있다.
외주벽(32)보다 높은 내환 리브(33)는 맞춤면(31)에서 돌출하고 있고, 내환 리브(33)의 외경은 서모스탯(50)의 밸브 본체(51)의 개구단면(51a)의 내경과 같고, 밸브 본체(51)의 내주면(51a)을 따라 끼워 넣기 가능하다.
또한 이 내환 리브(33)의 끝테두리부의 소정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서모스탯(50)의 밸브 본체(51)에 둘레 설치되는 O링(58)의 직경을 폭으로 하는 절결(33a, 33a)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절결(33a, 33a)의 깊이는 내환 리브(33)의 맞춤면(31)으로부터의 돌출량과 대략 같고, 원형으로 절결된 절결(33a, 33a)의 밑바닥부는 맞춤면(31)과 대략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있다(도 7 참조).
이 내환 리브(33)와 외주벽(32) 사이의 원환형상홈(34)에는 고리형상의 고무 시일(40)이 끼워 맞춤된다.
이 고무 시일(4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것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즉 고무 시일(40)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고리형상체이고, 한쪽의 측면의 안쪽 테두리부와 바깥 테두리부에 돌출줄(41, 42)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측면의 바깥테두리부에 돌출줄(4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돌출줄(41, 42, 43)을 따라 약간의 오목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 시일(40)은, 서모스탯 커버(30)의 원환형상홈(34)에 끼워 맞춰져, 서모스탯(50)이 끼워진 펌프 커버 케이스(20)의 서모스탯실(25)을 덮도록 서모스탯 커버(30)를 맞추면, 서모스탯 커버(30)의 맞춤면(31)에서 돌출한 내환 리브(33)가 서모스탯(50)의 밸브 본체(51)의 개구단의 내주면을 따라 끼워져 들어가 서모스탯(50)의 중심 위치 결정을 간단한 구조로 행할 수 있다.
밸브 본체(51)에 둘레 설치된 O링(58)이 밸브 본체(51)의 개구단을 직경방향으로 걸쳐져 있지만, 내환 리브(33)가 밸브 본체(51)의 개구단에 끼워져 들어갈 때 내환 리브(33)의 끝테두리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절결(33a, 33a)에 O링(58)이 삽입되어 O링(58)의 방해를 받지 않고 내환 리브(33)를 끼워 넣을 수가 있다.
그리고 고무 시일(40)이 서모스탯실(25) 둘레 테두리의 맞춤면(24)과 서모스탯(50)의 밸브 본체(21)의 개구단면(21a)에 걸쳐 압접되어, 밸브 본체(21)의 안쪽공간(60)을 외부공간으로부터 밀봉한다.
내환 리브(33)가 서모스탯(50)의 밸브 본체(51)의 개구단에 끼워져 들어가 서모스탯(50)의 중심 위치 결정을 정확하고 또한 확실히 행하기 때문에, 밸브 본체(21)의 어긋남은 확실히 방지되어, 밀봉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펌프 커버 케이스(20)에 서모스탯 커버(30)를 맞추어, 2개의 볼트(80, 80)를 서모스탯 커버(30)의 장착구멍(38a, 39a)에 관통하여, 펌프 커버 케이스(20)의 나사 구멍(24a, 24a)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펌프 커버 케이스(20)에 서모스탯 커버(30)를 장착하여 서모스탯(50)을 매설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51)의 외주에 둘레 설치된 O링(58)은, 서모스탯실(25)의 내주면(25a) 및 반구면(25b)에 압접되고, 또한 밸브 본체(21)의 개구단면(21a)과 고무 시일(40)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서모스탯실(25)의 내주면(25a)과 밸브 본체(51)와의 간극을 입구개구(52)측과 출구개구(53)측으로 완전히 분할하여 밀봉하고 있다.
그리고 고무 시일(40)이, 밸브 본체(21)의 안쪽공간(60)을 외부공간인 서모스탯실(25)의 서모스탯(50)과의 간극 공간에서 분할하여 밀봉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터 펌프(5)로부터 토출하는 냉각액은 내연기관(E)에 유입하고, 내연기관(E)에서 유출한 냉각액은 라디에이터(R)를 향하여 라디에이터(R)에서 펌프 커버 케이스(20)의 냉각액 흡입로(26)를 통과해 서모스탯(50)의 입구개구(52)에 도달하는 흐름과, 바이패스로(36a)를 통과해 서모스탯(50)의 안쪽공간(60)에 도달하는 흐름이 있다.
내연기관(E)의 시동 개시 직후에는, 난기 운전전의 저온의 냉각액이 냉각계를 순환하고, 서모스탯(50)에서는 밸브체(61) 및 왁스 케이스(62)를 통해 왁스(64)에 냉각액의 저온이 전파하여 도 l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61)가 입구개구(52), 출구개구(53)를 닫고, 바이패스용 개구(54)를 개방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워터펌프(5)로부터 토출하여 내연기관(E)을 순환하여 따뜻하게 된 냉각액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로(36a)를 통과해 서모스탯(50)의 안쪽공간(60)으로부터 바이패스용 개구(54)를 빠져 나와 워터펌프(5)에 흡입되는 바이패스 순환경로를 흐른다.
그 때문에, 냉각액은, 라디에이터(R)를 지나지 않고서 내연기관(E)만을 순환하기 때문에, 내연기관(E)의 난기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 경과와 함께 순환하는 냉각액의 온도는 상승하여, 서모스탯(50)의 왁스 케이스(62) 내의 왁스(64)는 열팽창하여 체적을 늘리고, 이것에 따라 피스톤(68)을 소경원통부(61a)에서 돌출시키려고 하여, 그 반작용으로 밸브체(61)가 스프링(70)에 저항하여 이동하여,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를 개방하여 연통하는 동시에 바이패스용 개구(54)는 닫힌다.
따라서 통상 운전에 들어 가면, 워터 펌프(5)로부터 토출하여 내연기관(E)을 순환하여 따뜻하게 된 냉각액은, 라디에이터(R)를 향해 라디에이터(R)에서 차갑게 되어 유출하여 서모스탯(50)의 연통한 입구개구(52)와 출구개구(53)를 통과해 워터펌프(5)에 흡입되는 순환경로를 흘러, 내연기관(E)의 냉각이 행해진다.
난기 운전 중에 바이패스로(36a)를 통과해 내연기관(E)만을 순환하는 냉각액의 순환경로가 형성되어 있을 때에, 서모스탯(50)의 고무 시일(40)에 의한 밀봉이 완전하지 않으면, 라디에이터(R) 경유의 차가워진 냉각액이 서모스탯(50)의 밸브 본체(51)의 외측에서 내측의 안쪽공간(60)으로 누설하여 내연기관(E)을 순환하는 냉각액에 혼합되어 냉각액의 온도 상승이 방해되고, 난기 시간이 길어지는 일이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서모스탯(50)의 장착 구조에서는 서모스탯커버(30)의 내환 리브(33)가 서모스탯(50)의 밸브 본체(51)의 개구단의 내주면을 따라 끼워져 들어가 서모스탯(50)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고 또한 확실히 행하여 높은 밀봉성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R) 경유의 냉각액이 내연기관 순환 유로에 누설하는 것을 거의 완전히 방지하고 있어, 난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 같은 것은 회피할 수 있다.

Claims (5)

  1. 냉각액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에 상기 냉각액 통로를 횡단하여 매설구멍이 형성되고,
    통형상 밸브 본체의 둘레벽에 천공된 입구개구와 출구개구를 밸브체가 진퇴하여 연통·차단하는 서모스탯이 상기 양 개구를 상기 냉각액 통로에 대향시켜 상기 매설구멍에 끼워 넣어지고,
    커버부재의 홈에 끼워 맞춤 지지된 고리형상의 고무 시일을 개재 설치하여 이 커버부재가 상기 매설구멍을 덮는 동시에 상기 서모스탯을 고정하는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측에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구조는, 상기 통형상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를 끼워 맞춤 지지함으로써,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구조는, 끼워맞춤부가 상기 통형상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의 내주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고리형상의 리브이고, 이 리브가 상기 통형상 밸브 본체의 개구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서모스탯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구조는,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KR1020040015814A 2003-03-11 2004-03-09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KR100578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5549A JP4179903B2 (ja) 2003-03-11 2003-03-11 サーモスタットの取付構造
JPJP-P-2003-00065549 2003-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311A true KR20040081311A (ko) 2004-09-21
KR100578015B1 KR100578015B1 (ko) 2006-05-11

Family

ID=3276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814A KR100578015B1 (ko) 2003-03-11 2004-03-09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75101B2 (ko)
EP (1) EP1457649B1 (ko)
JP (1) JP4179903B2 (ko)
KR (1) KR100578015B1 (ko)
CN (1) CN100489281C (ko)
ES (1) ES2370392T3 (ko)
TW (1) TWI23396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22B1 (ko) * 2012-08-09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탄성부재를 구비한 써모스탯
KR20210072447A (ko) * 2019-12-09 2021-06-1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써모스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6795B (en) * 2008-01-24 2010-03-31 Siemens Magnet Technology Ltd A limiter for limiting the motion of components in a cryostat
FI123327B (fi) * 2011-06-23 2013-02-28 Waertsilae Finland Oy Järjestely mäntäpolttomoottoria varten ja mäntäpolttomoottori
WO2013109262A1 (en) * 2012-01-18 2013-07-25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odular water pump
US20140097259A1 (en) * 2012-10-09 2014-04-10 Hyundai Motor Company Thermostat
KR101371492B1 (ko) * 2012-12-27 2014-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써모스탯을 구비한 엔진 및 그 시스템
US9523465B2 (en) 2013-04-24 2016-12-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ubrication system thermostat, and method thereof
CN108005774B (zh) * 2016-10-27 2021-04-30 株式会社山田制作所 控制阀
JP7058736B2 (ja) * 2018-07-05 2022-04-22 日立Astemo株式会社 制御弁、流量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188B2 (ja) * 1991-08-13 1997-08-13 株式会社クボタ 頭上弁水冷エンジンの冷却装置
DE9204611U1 (ko) * 1992-04-03 1993-08-05 Behr-Thomson Dehnstoffregler Gmbh & Co, 70806 Kornwestheim, De
JP3284407B2 (ja) * 1999-01-27 2002-05-20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冷却媒体の流れ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558901B2 (ja) 2000-07-25 2010-10-06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及び該サーモスタットの取付け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22B1 (ko) * 2012-08-09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탄성부재를 구비한 써모스탯
KR20210072447A (ko) * 2019-12-09 2021-06-1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써모스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7649A1 (en) 2004-09-15
CN1530525A (zh) 2004-09-22
EP1457649B1 (en) 2011-10-05
CN100489281C (zh) 2009-05-20
TW200424428A (en) 2004-11-16
JP4179903B2 (ja) 2008-11-12
US20040178281A1 (en) 2004-09-16
TWI233963B (en) 2005-06-11
KR100578015B1 (ko) 2006-05-11
ES2370392T3 (es) 2011-12-15
JP2004270646A (ja) 2004-09-30
US7175101B2 (en)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015B1 (ko) 서모스탯의 장착 구조
US10914226B2 (en) Cooling water control valve device and engine cool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20196454A1 (ja) 作動油制御弁および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WO2020196457A1 (ja) 作動油制御弁および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6278207B2 (ja) エンジンの冷却液制御バルブ装置
JP4212388B2 (ja) サーモスタットの取付構造
JP2006057635A (ja) 電動ウォーターポンプの取付け配列構成
US6269785B1 (en)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JP4368043B2 (ja) シール部材を用いたサーモスタットの取付け構造
JP4052660B2 (ja) エンジン
KR102373426B1 (ko) 유량제어밸브
US6062812A (en) Liquid pump
KR102359939B1 (ko) 홀더를 구비한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
KR102478096B1 (ko) 유량제어밸브
CN112780761A (zh) 用于车辆的阀设备
JP2001090620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CN201437735U (zh) 引擎润滑油单向阀构造
JP3968792B2 (ja) 液体ポンプ
KR20240053788A (ko)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각 시스템
KR20230101081A (ko) 멀티웨이밸브 장치
CN117916502A (zh) 阀体、流路切换阀及机动车用热介质系统
JP2001032704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20105977A (ja) エンジンのシール構造
JP2010065658A (ja) 油路構造
JPH11280429A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