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349A -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349A
KR20040077349A KR1020030012873A KR20030012873A KR20040077349A KR 20040077349 A KR20040077349 A KR 20040077349A KR 1020030012873 A KR1020030012873 A KR 1020030012873A KR 20030012873 A KR20030012873 A KR 20030012873A KR 20040077349 A KR20040077349 A KR 2004007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ower
position sensor
control device
contro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330B1 (ko
Inventor
김선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2Power saving techniques of remote control or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줄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원격제어장치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류가 소비되고, 이로 인해 원격제어 장치의 사용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한 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없으면 상기 스위치부로 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원격제어장치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REMOTE CONTROLLER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줄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 방송은 지구로부터 35,784Km 상공에 위치한 방송 위성을 이용해 텔레비젼이나 라디오 방송 등을 하는 것을 말하고, 위성 방송은 일반 공중에 방송이 직접 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위성에 탑재된 우주국에 의해 신호를 전송 또는 재송신하는 방송 방식이다.
이러한 위성 방송은 위성으로부터 위성 안테나로 직접 전파를 송신하기 때문에 화상이 깨끗하며, MPEC-2를 이용한 다중화 방식 및 QPSK 변조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음질이 가능하고, 위성을 중계 매체로 하기 때문에 자연 또는 전쟁등의 피해를 입지 않고 긴급시에 전국에 일제히 방송이 가능하다.
한편,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위성 수신기의 셋톱박스(STB : Set Top Box)는 사용자로 하여금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의 채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방송의 시청 및 청취에 대한 기능 선택 및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위성 수신용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반적인 원격제어장치가 사용되었고, 좀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셋톱박스에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셋톱박스에 블루트스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셋톱박스와 그 셋톱박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에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셋톱박스의 블루투스 모듈에서 소비하는 전력은 셋톱박스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 전류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에서 소비하는 전력은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기 때문에 원격제어장치의 배터리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슬립(Sleep) 모드와 아이들(Idle) 모드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원격제어장치의사용시간(대기시간)을 늘릴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원격제어장치는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류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류로 인해 원격제어 장치의 사용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위치센서를 구비하고, 그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모듈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블루투스 모듈 또는 원격제어장치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에 대한 일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20 : 스위치부
30 : 제어부 40 : 블루투스 모듈
50 : 위치센서 60 : 키입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한 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없으면 상기 스위치부로 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치센서를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에서 위치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 대기상태 시간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상태 시간이 크면 입력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셋톱박스용 원격제어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상기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한 전원을 받아 원격제어장치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50)와,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받아 온/오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한 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치부(20)와,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소정의 키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60)와, 소정의 데이터를 변복조하여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40)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키입력부(60)로부터 키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부(20)로 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위치센서(50)는 원격제어장치의 모든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의 상부, 하부, 측면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전원을 공급받고,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키입력 신호 등의 외부 입력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외부 입력 신호가 없으면 위치센서(50)의 동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위치센서(50)가 동작하면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외부 입력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위치센서(50)가 동작하지 않으면 입력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과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 변화가 없는 상태에 있는(S10), 즉, 특정 장소에 놓여져 있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잠깐 살펴보면, 위치센서(50)는 원격제어장치의 변화가 없기때문에 로우(Low) 신호(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부(20)는 상기 위치센서(50)에서 출력한 로우 신호에 의해 오프되어, 원격제어장치 각 부로 인가되는 전원, 즉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한 전원이 차단된다.
이런 상태에 있는 원격제어장치의 위치를 변화시키면(S10), 예를 들어,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해 원격제어장치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위치센서(50)가 그 변화를 감지하여 하이(High) 신호(온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콘덴서(C1)와 저항(R1)에 의해 다이오드(D1)가 순간적으로 하이 상태가 되어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부(20)는 상기 다이오드(D1)에서 출력한 하이 신호를 받아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한 전원을 원격제어장치 각 부로 인가한다(S20).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받아 동작하면, 다이오드(D2)를 하이 상태로 만들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그 신호에 의해 스위치부(20)는 연결 상태(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30)에 의해 스위치부(20)의 연결이 유지되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키입력부(60)를 통해 입력한 소정의 키입력 신호를 받아 소정 처리하여 블루투스 모듈(40)로 출력하고, 블루투스 모듈(40)은 상기 제어부(30)에서 출력한 신호를 받아 변조하여 셋톱박스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미도시)로 송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진다(S30). 한편,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이 원격제어장치의 각 부로 인가된 후, 제어부(30)로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 신호, 예를 들어, 키입력부(60)에서 생성한 키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즉, 원격제어장치의 대기상태 시간이 기 설정된 소정 시간보다 커지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다이오드(D2)로 로우 신호(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위치센서(50)에서 출력한 신호, 즉, 위치센서(50)의 동작여부를 판단한다.(S50). 이때, 위치센서(50)에서 출력한 신호가 로우 신호면, 즉, 위치센서(50)가 동작하지 않으면 다이오드들(D1, D2)에서 출력한 신호가 로우 신호가 되기 때문에 스위치부(20)는 오프되어 원격제어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S60).
반면, 위치센서(50)에서 출력한 신호가 하이 신호면, 즉, 위치센서(50)가 동작하면, 다이오드(D1)에서 출력한 신호는 하이가 되고, 다이오드(D2)에서 출력한신호는 로우가 되기 때문에 스위치부(20)는 계속 연결상태가 유지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한 과정 S40으로 돌아가서, 대기상태 시간과 기 설정된 시간을 비교한다.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30)에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에 위치센서(50)가 동작하여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제어부(30)에서 다시 대기상태 시간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위치센서(50)가 동작하는 중에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없는 경우 다시 위치센서(50)의 동작상태 유무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위치센서(50)가 동작하지 않으면, 스위치부(20)를 오프시켜 원격제어장치에 입력된 전원을 차단시킨다(S60).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다이오드 D1과 D2에서 출력한 신호 중 하나의 신호라도 하이 상태가 되면 전원공급부(10)에서 출력한 전원은 원격제어장치의 각 부로 인가된다. 즉, 위치센서(50)에서 출력한 신호와 제어부(30)에서 출력한 신호가 OR 게이트를 거쳐 스위치부(20)로 출력되는 것과 같이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에서 대기상태 시간과 비교 판단하는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은 사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셋톱박스용 원격제어장치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원격제어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센서를 구비하고, 그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원격제어장치에서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한 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없으면 상기 스위치부로 오프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셋톱박스(Set Top Box)용 원격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키버튼을 통해 생성된 키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위치센서에서 출력한 스위칭 신호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한 스위칭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6. 위치센서를 구비한 원격제어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에서 위치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 대기상태 시간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상태 시간이 크면 입력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키버튼에서 생성된 키입력 신호가 없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0030012873A 2003-02-28 2003-02-28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KR10054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873A KR100548330B1 (ko) 2003-02-28 2003-02-28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873A KR100548330B1 (ko) 2003-02-28 2003-02-28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349A true KR20040077349A (ko) 2004-09-04
KR100548330B1 KR100548330B1 (ko) 2006-02-02

Family

ID=3736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873A KR100548330B1 (ko) 2003-02-28 2003-02-28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5869A1 (de) * 2007-08-01 2009-02-05 Fm Marketing Gmbh Fernsteuerung
WO2011015363A1 (de) 2009-08-07 2011-02-10 Fm Marketing Gmbh Drahtlose fernsteuerung
US8462011B2 (en) 2007-09-19 2013-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for sensing movement,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ointer by the remote contro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5869A1 (de) * 2007-08-01 2009-02-05 Fm Marketing Gmbh Fernsteuerung
US8314729B2 (en) 2007-08-01 2012-11-20 Fm Marketing Gmbh Remote control
US8462011B2 (en) 2007-09-19 2013-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for sensing movement,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ointer by the remote contro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53732B2 (en) 2007-09-19 2016-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for sensing movement,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ointer by the remote contro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1015363A1 (de) 2009-08-07 2011-02-10 Fm Marketing Gmbh Drahtlose fernsteuerung
DE102009036586B4 (de) * 2009-08-07 2014-02-20 Fm Marketing Gmbh Drahtlose Fernsteuerung
US9019084B2 (en) 2009-08-07 2015-04-28 Fm Marketing Gmbh Wireless remot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330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9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power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US8477008B2 (en) Electronic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system
US7142808B2 (en)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inten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JP200116936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送信制御方法
KR100548330B1 (ko) 원격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KR2008001633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EP1993218A1 (en) Receiv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same
KR100344216B1 (ko) 무선통신기기에서의 주파수 체배기 공유장치
US79485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V display lamp brightness
JPH11352262A (ja) 機器用リモコンシステム
KR0173677B1 (ko) 티브이 프로그램 표시 및 채널 전환 기능을 갖는 리모콘
JPH071676U (ja) ワイヤレス遠隔制御送信機
KR100192879B1 (ko) 온/오프 타이머 기능이 내장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KR100326929B1 (ko) 원격제어 송신기의 송신출력 제어회로
KR100260137B1 (ko) 절전형 응답 리모콘
JP2002247479A (ja) ビデオ無線送受信システム
KR20050021672A (ko) 대기전력 저감방법
JP2005101950A (ja) 電子機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の操作方法
KR100252095B1 (ko) 텔레비전 수상기에 접속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KR20050078317A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제어방법 및 장치
JP200131398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の送信出力調整方法
KR20080064670A (ko) 텔레비전의 간이 전원 오프 장치 및 그 방법
JP2009111818A (ja) 間欠データ受信装置
KR20000037659A (ko)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자동 제어 방법
JP2000091930A (ja) 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