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4950A - 통신 보조 장치 및 통신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보조 장치 및 통신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950A
KR20040074950A KR1020040010265A KR20040010265A KR20040074950A KR 20040074950 A KR20040074950 A KR 20040074950A KR 1020040010265 A KR1020040010265 A KR 1020040010265A KR 20040010265 A KR20040010265 A KR 20040010265A KR 20040074950 A KR20040074950 A KR 2004007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memory
data processing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5751B1 (ko
Inventor
가네코마사히데
오오타마코토
기무라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르네사스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르네사스 솔루션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4007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71Implementation details of single intermediate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터 송신측의 처리 부담을 없애고, 또한 그 처리를 안정화시키는 통신 보조 장치 등을 제공한다.
통신 보조 장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한다. 통신 보조 장치는,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에 의해 접속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접속 유닛과, 제 1 접속 유닛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와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접속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 보조 장치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일단 저장하기 때문에,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는 통신 상황에 의하지 않고 다음 처리로 이행하여, 동작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그 후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유선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통신 장해 등이 있더라도, 통신 보조 장치가 저장된 데이터를 고쳐서 송신할 수 있어,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도 안정화한다.

Description

통신 보조 장치 및 통신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ASSISTING APPARATUS FOR MEDIATING DATA TRANSFER AND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COMMUNICATION ASSI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동작을 안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컴퓨터 시스템 내의 복수의 컴퓨터(이하, 「PC」라고 칭함)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컨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 LAN)는,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례이다.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PC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PC의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공유하지 않으면 안 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한편, 일시적으로 통신 데이터를 보존하는 버퍼를 구비한 기기도 존재한다.이러한 기기는,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PC 및 다른 기기(예컨대, 프린터)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PC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버퍼에 유지한다. PC에 문제가 발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버퍼에 유지된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 송신할 수 있어, 오류를 회피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9-91217 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6-168082 호 공보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공유의 대상으로 되는 HDD를 구비한 PC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그 처리 동작이 방해되는 경우가 있다. HDD로의 액세스 중에는, PC 내부의 데이터 버스가 점유되어, 다른 데이터의 전송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특정한 데이터에 필요 이상의 액세스가 집중한 경우나, 보안성이 완전하지 않았던 경우 등에서는, 공유되는 측의 PC가 정지 상태로 된다고 하는 위험도 있다.
정보를 필요 이상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PC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보안성의 설정을 할 수 있고, 또한 설정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각 PC의, 또한 특정한 데이터에 대해서만 보안성의 설정을 행하는 것은 번거롭고, 그 수가 많게 되는 만큼 인위적인 미스(miss)를 발생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즉, 보안성 홀(hole)의 요인으로 된다. 이상으로부터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HDD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에는 큰 문제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이 무선으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전송 상태가 악화하여,데이터를 유지하는 송신측의 PC와 수신측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달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전송 상태의 악화란, 예컨대, 장해물의 존재나 데이터와는 무관한 노이즈 신호의 중첩이다. 전송 상태가 불안정한 사용 환경에서는, 송신측의 PC 등의 단말의 처리를 안정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송신측의 처리 부담을 없애고, 또한 그 처리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변형예 1에 따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1, 도 4 및 도 5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메모리 콘트롤러
3 : 메모리 4 : 유선 접속 콘트롤러
5 : 단자 6 : 무선 접속 콘트롤러
7 : 안테나 8 : 메인 유닛
9 : 유선 접속 유닛 10 : 무선 접속 유닛
11 : 메인 유닛-유선 접속 유닛 사이의 데이터 경로
12 : 메인 유닛-무선 접속 유닛 사이의 데이터 경로
13 : 메인 유닛-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경로
14 : 메모리 버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보조 장치는,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한다. 통신 보조 장치는,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에 의해 접속되어, 해당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접속 유닛과, 상기 제 1 접속 유닛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와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해당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접속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된 제 1 통신 보조 장치, 및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된 제 2 통신 보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통신 보조 장치는,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유선 접속 유닛과, 상기 제 1 유선 접속유닛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상기 제 2 통신 보조 장치와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 제 1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해당 제 2 통신 보조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무선 접속 유닛을 갖는다. 상기 제 2 통신 보조 장치는, 상기 제 1 통신 보조 장치와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해당 제 1 통신 보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무선 접속 유닛과, 상기 제 2 무선 접속 유닛에서 수신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와,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유선 접속 유닛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1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10)은, 복수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하, 「PC」라고 칭함)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는, 2대의 PC(111 및 112)만을 나타낸다. 또한 PC(111)의 내부에 마련된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는, PC(111) 및 PC(112)에 공유되어 있다. PC(112)는, PC(111)의 HDD에 액세스할 수 있어, PC(111)로부터 그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C(111)를 데이터 송신측, PC(112)를 데이터 수신측으로 한다.
통신 시스템(110)에서는, PC(111) 및 PC(112)는, 실시예 1의 통신 보조 장치(100)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통신 보조 장치(100)는, PC(111)와는 유선 접속되고, PC(112)와는 무선 접속되어, PC(111 및 112) 사이의 통신을 보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선 접속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고 칭함) 규격을 이용한 접속, 그리고 무선 접속은 블루투스(이하「BT」라고 칭함) 규격을 이용한 접속으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PC(111)에는 USB 단자가 마련되어, PC(112)에는 BT 규격의 통신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 USB 대신에, IEEE1394 인터페이스, BT 규격 대신에 IEEE802.11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 및 무선 규격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보조 장치(100)의 특징의 하나는, 통신 보조 장치(100) 내부에 데이터 기억용의 메모리를 마련하여, PC(111)가 PC(112)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PC(111) 로부터의 데이터를 일단 그 메모리에 기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PC(111)으로부터 유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기억하고, 그 후 무선으로 PC(112)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적어도 송신측의 PC에, 메모리를 갖는 통신 보조 장치를 마련하여 송신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통신 보조 장치(l00)를 구비한 PC(111)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통신 보조 장치(100)에 건네준 시점에서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한 것으로 하여 프리(free)로 된다. 이에 따라 내부 버스를 개방하여 별도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실제로 PC(112)에 데이터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는 문제로 되지 않는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보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통신 보조 장치(100)는, 크게, 메모리(3)와, 메인 유닛(8)과, 유선 접속 유닛(9)과, 무선 접속 유닛(10)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술한 USB 규격에 의하면 PC(111)으로부터 전력(버스 파워)이 공급되어, 통신 보조 장치(100)는 그 전력에 근거하여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전원 유닛은 도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통신 보조 장치(100)는, 별도, 착탈 가능한 적당한 전원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하, 통신 보조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메모리(3)는 주지의 플래쉬 메모리이며, 메인 유닛(8)과 경로(13)를 거쳐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 외에는, 메모리(3)는, EEPROM, EPROM, EA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이더라도 좋고, 또는, DRAM, S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이더라도 좋다. 메인 유닛(8)은, 통신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유닛(8)은, 중앙 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 CPU)(1)와, 메모리 콘트롤러(2)를 구비하고 있다. CPU(1)는, 유선 접속 유닛(9)과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한다. 또한 CPU(1)는, 무선 접속 유닛(10)과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한다. CPU(1)는, 유선 접속 유닛(9)과의 사이, 및 무선 접속 유닛(10)과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콘트롤러(2)에 송신하여, 동시에 기입 지시, 또는 판독 지시도 송신한다. 메모리 콘트롤러(2)는, CPU(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메모리(3)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콘트롤러(2)는, 데이터 버스(14)를 거쳐서, 메모리(3)가 적당한 어드레스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메모리(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메모리(3)의 특정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메모리 버스(14)는 편의적으로 1 경로로 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메모리 버스(14)는 사용하는 메모리의 기능, 특성에 따라 복수의 경로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특히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이, 메모리(3)가 기입과 병렬하여 판독 동작을 행하는 듀얼 오퍼레이션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메모리 버스(14)를 복수의 경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유닛(8)에 의해 실현되는 통신 보조 장치(100)의 주요한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계속해서, 통신 보조 장치(100)의 유선 접속 유닛(9) 및 무선 접속 유닛(10)을 설명한다. 유선 접속 유닛(9)은, PC(111)(도 1)과의 사이의 USB 접속에 관한 기능을 갖는다. 유선 접속 유닛(9)은, 유선 접속 콘트롤러(4)와, PC(111)와의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유선 접속용의 단자(5)를 구비하고 있다. 유선 접속 콘트롤러(4)는, 여기서는 주지의 USB 콘트롤러이며, 경로(11)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유선 접속 콘트롤러(4)는, 단자(5)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특정하여, CPU(1)에 보낸다. 또는, CPU(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단자(5)를 거쳐서 PC(111)(도시하지 않음)에 보낸다. 한편, 무선 접속 유닛(10)은, PC(112)(도 1)와의 사이의 BT 규격에 따라서 접속 기능을 갖는다. 무선 접속 유닛(10)은, 무선 접속 콘트롤러(6)와, PC(112)(도 1)와 무선 통신하는 안테나(7)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접속 콘트롤러(6)는, 여기서는 주지의 BT 콘트롤러이며, 경로(12)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무선 접속 콘트롤러(6)는, 안테나(7)에서 수신한 신호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특정하여, CPU(1)로 보낸다.또는, CPU(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전파를 거쳐서 안테나(7)로부터 PC(112)에 보낸다.
또 도 1에서는, 통신 보조 장치(100)와 PC(111)는 케이블(cable)로 접속되어 있지만, 물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통신 보조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예컨대, 통신 보조 장치(100)를, 이른바 PC 카드 등의 운반 가능한 소형 카드 사이즈로 구성하여, 통신 보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도 3은, 통신 시스템(110)(도 1)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PC(111)로부터 통신 보조 장치(100)를 거쳐서, 데이터를 PC(112)에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처리 흐름의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우선 PC(111)은, 통신 보조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접속(유선 접속)이 완료하고 있는지를 문의한다(S1). 접속이 완료하면, 통신 보조 장치(100)의 CPU(1)(도 2)는, PC(111)에 완료한 취지를 응답한다(S2). 이에 따라, PC(111)는, 접속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통신 보조 장치(100)의 CPU(1)는, PC(112)와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을 행하여, PC(112)에 접속이 완료하였는지를 문의한다(S3). 접속이 완료하면, PC(112)은 통신 보조 장치(100)에 완료한 취지를 응답한다(S4). 이 시점에서, PC(111), 통신 보조 장치(100) 및 PC(112)의 사이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이 확립된 것으로 된다.
PC(111) 및 (112) 사이의 접속이 확보되면, 다음에 PC(111)는, PC(112)와의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 즉 실제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기 위한 준비가 PC(112)에 있어서 완료하고 있는지 여부를, PC(112)에 문의한다(S5, S6). 완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PC(112)은 통신 보조 장치(100)를 거쳐서 그 취지를 응답한다(S7, S8). 이 때 통신 보조 장치(100)의 CPU(1)는, 통신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3)(도 2)를 거치지 않고, 경로(1l) 및 경로(12)를 거쳐서, 이들 문의 및 응답을 중개한다. 또, 이 때 CPU(1)는,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유선 접속 콘트롤러(4)로부터 입력한 신호를, 무선 접속 콘트롤러(6)에 적합한 신호 체계로 변환한다.
PC(112)와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면, PC(111)는, 소망하는 데이터를, 통신 보조 장치(100)에 전송한다(S9). 이 시점에서 PC(111)에 있어서는, PC(112)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한 것으로 되어, 작업(job)이 프리로 된다.
통신 보조 장치(100)의 CPU(1)는, PC(11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3)에 저장하여, 유지한다. 그리고 CPU(1)는, PC(112)과의 통신 상황을 조사한다. 여기서는 지금 현재, PC(112)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한다(S10). PC(112)로부터, 지금 현재는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비지(busy)」가 반송되면, CPU(1)는, 데이터의 전송을 일시 보류하여, 소정의 시간만큼 대기한다(S12). 또 「비지」나 다른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CPU(1)는, 통신이 불가능이라고 판단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일시 보류하여, 소정의 시간만큼 대기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CPU(1)는, 지금 현재, PC(112)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다시 문의한다(S13). PC(112)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하다는 취지의 응답이 반송되면(S14), CPU(1)는, 메모리(3)에 유지하고있었던 데이터를 판독하여, PC(112)에 전송한다(S15).
또 장해물 등이 원인으로,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었지만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도, 데이터가 메모리(3)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PC(111)의 처리 동작으로부터는 독립적으로 통신 보조 장치(100)가 그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통신 보조 장치(100)를 거쳐서, PC(111)로부터 PC(112)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PC(11l)는, 통신 보조 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PC(112)에 현실적으로 그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다음 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PC(111)의 동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C(111)는, 통신 보조 장치(100) 이외의 기기와는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신 상황 등에 좌우되는 일없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의 안정화도 실현된다. 또한, 통신 상황이 악화하여 접속이 절단된 경우에는, 통신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3)(도 2)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PC(111)가 데이터를 다시 전송할 필요가 없어진다.
통신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3)에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유되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은 것도 가능하다. 그 때, 메모리(3)를 리라이트 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해도 좋다. 비휘발성 메모리를 채용한 경우에는 판독만이 행해진다. 통신 보조 장치(100)의 CPU(1)는, 다른 PC 등의 요구에 따라 독립적으로 메모리(3)를 제어하여, 메모리(3)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PC(111)는, PC(112)를 처음으로 하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액세스 요구에 처리가 중단되지 않고,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그리고 PC의 HDD(도시하지 않음) 자체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좋기 때문에 보안성 설정도 불필요하다. 이 점에서도, 동작 효율의 향상, 및 동작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3은, PC(111)으로부터 PC(112)로의 데이터 전송 흐름이지만, PC(112)로부터 PC(111)로의 데이터의 전송도, 완전히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통신 보조 장치(100)는 PC(112)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취하여, 일단 메모리(3)에 저장한 후, 적당한 타이밍에서 PC(111)에 전송하면 좋다. 통신 보조 장치(100)의 CPU(1)는, 신호를 전송 기능에 의해 유선 접속 콘트롤러(4)에 적합한 신호 체계로 변환한 신호를, 유선 접속 콘트롤러(4)에 전송한다. 신호를 수취한 유선 접속 콘트롤러(4)는, 신호를 USB 규격의 신호로 변환하여 PC(111)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PC(111)의 데이터 처리 속도에 비해 PC(112)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PC(111)는 PC(112)의 데이터 처리가 종료하여 통신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할 필요는 없어진다. PC(112)로부터 통신 보조 장치(100)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한 시점에서, PC(111)는 통신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면 좋다. 또한, 최근의 PC에는, USB 인터페이스가 표준 장비되어 있는 것이 많고, 상술한 바와 같이 USB 단자를 이용하여 통신 보조 장치(10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하는 PC를 변경하더라도, 통신 보조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통신 보조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사용 환경과는 상이한 환경이더라도, 통상 대로의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BT 규격에 대응한 기능을 갖지 않는 PC에 대해서도 USB 단자를 거쳐서 그 기능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신규하게PC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메모리(3)에 일단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하였지만, 예컨대, 데이터 전송 속도가 규정값 이상의 양호한 통신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3)(도 2)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그대로 송신처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통신 상태가 돌연 악화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메모리(3)에 저장하면서 전송하는 쪽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변형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14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통신 시스템(110)과의 상위점은, 쌍방의 PC(111 및 112)가, 통신 보조 장치(100-1 및 100-2)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다. 통신 보조 장치(100-1 및 100-2)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보조 장치(100)의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다. 데이터의 전송 순서는, 통신 보조 장치(100-1)와 PC(112)의 사이에, 통신 보조 장치(100-2)가 개재하는 점만이 상위하지만, 그 이외에는 도 3과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통신 시스템(140)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설명하면, PC(111)로부터 통신 보조 장치(100-1)에 전송된 데이터는, 통신 보조 장치(100-1)의 메모리(3)에 저장되고, 그 후 적당한 타이밍에서, 통신 보조 장치(100-2)에 전송된다. 또는, 데이터는 메모리(3)에 저장되지 않고, 통신 보조 장치(100-2)에 곧바로 전송된다. 통신 보조 장치(100-2)는, 수신한 데이터를 그 내부의 메모리(3)에 저장하여, 적당한 타이밍에서 PC(112)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가, PC(111)로부터 PC(112)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측 및 전송처의 PC의 쌍방에 통신 보조 장치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전송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를, 한쪽, 또는 양쪽의 메모리(3)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측의 PC에서는 상술한 이점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전송처의 PC에서도, 통신 중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별도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어, 이후의 아이들(idle) 타임 등이 적당한 타이밍에서 데이터를 수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처 PC에서도, 동작 효율의 향상, 및 동작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시스템(15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50)은, 2종의 데이터 처리 장치, 즉, PC(111)와 프린터(50)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PC(111) 및 프린터(50)만을 나타내지만, 복수의 PC가 1대의 프린터(50)를 공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즉, 프린터(50)는, 이른바 네트워크 프린터이다. 이하에서는, PC(111)를 데이터 송신측, 프린터(50)를 데이터 수신측으로 하여, PC(111)로부터의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터(50)가 프린트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PC(111)에는, 통신 보조 장치(100)(도 2)를 변형한 제 2 통신 보조 장치(200)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150)에서는, PC(111) 및 프린터(50)는, 통신 보조 장치(200)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통신 보조 장치(100)(도 2) 대신에 통신 보조 장치(200)를 이용하는 것, 및 PC(112)(도 1) 대신에 프린터(50)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신 시스템(150) 및 통신 시스템(150)을 구성하는 요소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110)(도 1)과 완전히 동일하다. 예컨대, 통신 보조 장치(200)도 내부에 데이터 기억용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고, PC(111)가 프린터(50)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PC(111)로부터의 데이터를 일단 그 메모리에 기억한다. 이하에서는, 통신 보조 장치(200), 프린터(50), 및 이들을 이용한 것에 따른 통신 순서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통신 보조 장치(200)의 특징은, 내부의 메모리에 특정한 고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마련하고, 통신에 있어서는, PC(111)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고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있다. 「고정 데이터」란, 여기서는 문서의 레이아웃 설정 데이터, 문자 폰트 데이터, 프린터 메이커에 대응한 설정값의 변환 테이블 등의 환경 데이터로서, 마크(mark) 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말한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보조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통신 보조 장치(200)는, 고정 메모리 영역(16)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 2의 통신 보조 장치(100)와 상위하다. 다른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은 도 2의 통신 보조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메모리 영역(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이다. 메모리 콘트롤러(2)는, 고정 메모리 영역(16) 및 메모리(3)로부터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메모리(3)에는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CPU(1)로부터 메모리(3)로의 기입 및 판독 경로(13)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듀얼 포트 기능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스무스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문자 폰트 데이터 등의 환경 데이터는 변경의 기회가 적기 때문에, 고정 데이터로서 불휘발 메모리에 환경 데이터를 저장하면, 백업 전원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마크 ROM을 사용하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환경 데이터를 고정 메모리 영역(16)에 저장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종래, 문서 데이터 등을 프린트 아웃(print out)하는 경우에는, 문서의 레이아웃이나 문자 폰트의 종류, 문자의 사이즈 등을 문서 작성 시에 결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통상 사용하고 있는 프린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문서를 프린트 아웃한다. 이 프린터는, 내장 메모리에 소망하는 문자 폰트를 미리 유지함으로써, 또는 프린트 아웃 시에 폰트 데이터를 PC 등으로부터 수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문서를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과는 상이한 환경에서 프린트 아웃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문서를 프린트 아웃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자신의 PC를 이용할 수 없고, 또한 이동처의 프린터가 설정된 문자 폰트를 갖지 않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문자 폰트로 대체되든지, 정확하게 표기되지 않는(변환되지 않은) 문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해외 출장 등 시에, 플렉시블 디스크 등의 리무벌(removal) 미디어에 문서 데이터를 저장하여 현지의 PC을 이용하여 프린트 아웃한 경우에는, 잘못된 문자가 발생하게 된다. 현지의 PC 및 프린터는, 통상 한자 및 가명 폰트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문서의 레이아웃에 관해서도, 용지 이송량, 프린트 가능 범위 등의 프린터의 각종 설정값에 의존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설정값은 프린터 메이커에 따라서 상이한 경우가 많다. 소망하는 레이아웃으로 하기 위해서는, 프린트 아웃을 반복하는 등의 시간이 걸린다.
이상으로부터, 통신 보조 장치(200)의 고정 메모리 영역(16)을 마련하여, 레이아웃 설정 데이터, 문자 폰트 데이터, 프린터 메이커에 대응한 설정값의 변환 테이블 등의 환경 데이터를 저장해 놓은 것으로 하였다. 사용자가 통상과는 상이한 사용 환경에서 프린트 아웃을 행하는 경우에, 고정 메모리 영역(16)에 저장된 환경 데이터를 프린터에 전송함으로써, 프린터는 그 환경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망하는 내용을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통신 보조 장치(200)를 PC 카드 정도의 사이즈로 제조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과는 상이한 사용 환경에도 휴대 가능하게 된다.
통신 보조 장치(200)에 있어서도, 실시예 1의 통신 보조 장치(100)(도 2)와 마찬가지로, PC(111)(도 5)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일단 메모리(3)에 저장된다. 그리고, 프린터(50)(도 5)로의 전송 시에, CPU(1)는 메모리 콘트롤러(2)에 지시를 내어, 환경 데이터를 취득한다. 판독된 환경 데이터는, 적절한 타이밍에서 프린터(50)로 전송된다. 예컨대, 프린터(50)가, 문서 데이터보다 먼저 문자 폰트나 설정값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CPU(1)는, 프린트 데이터를 수취하기 전의 프린터(50)와의 접속이 확보된 시점에서, 환경 데이터를 프린터(50)에 전송한다. 또한, 프린터(50)가, 문서 데이터보다 이후에 환경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CPU(1)는 문서 데이터 전송 후에 환경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 CPU(1)는, 프린트 데이터를 수취한 후, 필요한 폰트 데이터, 레이아웃 설정 데이터 등을 특정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프린터(50)에 전송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프린터(50)로부터 PC(111)로의 데이터 송신도 또한 가능하다. 데이터의 내용은, 예컨대 프린트 아웃의 완료 연락, 용지 중단, 잉크 중단, 그 밖의 예측하지 못한 사태에 의해 프린트 아웃이 완료하지 않은 경우의 보고 등이다. PC(111)는, 프린트 아웃의 완료 보고나, CPU(1)에서 처리할 수 없는 항목(용지 중단이나 잉크 중단 등의 보고) 이외의 번거로운 작업을 의식하지 않고 처리를 진행시킨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프린트 아웃의 대상을 문서 데이터로서 설명하였지만, 화상 데이터나 그 이외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이더라도 좋다. 즉, 프린트 아웃 시에 동일한 설정값, 문자 폰트 데이터가 필요한 데이터이면, 그 데이터를 고정 메모리 영역(16)에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또, 프린터(50)가 독자의 기능으로서 PC로부터의 제어 신호 없이 문서 데이터를 프린트 아웃할 수 있는 경우나, 프린터가 직접 문서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경우(예컨대, 기계어 등)인 경우에는, 통신 보조 장치(200)를 PC(111)에 접속하지 않고, 프린터(50)에 접속하여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유선식, 축전지식 등의 전원 유닛과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해서, 프린터(50)에 무선으로,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된다.
도 7은, 도 1, 도 4 및 도 5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7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PC(111)에는, 통신 보조 장치(200)(도 6)가 사용되어, PC(113)에는 통신 보조 장치(100)(도 2)가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메모리 영역(16)(도 6)을 제외하고, 통신 보조 장치(200)는 통신 보조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기능 및 효과는, 통신 보조 장치(200)를 이용해도 동일하다. 통신 보조 장치(200)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PC(111)와 PC(112)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한다. 또한, 통신 보조 장치(200)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PC(111)와 PC(1l3)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한다. 그리고 PC(111)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PC(111)와 프린터(5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보조 장치(100) 및 통신 보조 장치(200)를 조합시키더라도 사용할 수 있어,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유닛(8), 유선 접속 유닛(9), 무선 접속 유닛(10) 등을 별개로 표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기능 블럭으로서 구분하여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가령 이들 유닛의 기능이 일체화되어, 실장된 경우이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보조 장치는, 유선 접속 유닛 및 무선 접속 유닛을 반드시 갖지 않더라도 좋다.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면, 무선 접속 유닛만을 마련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보조 장치를 PC(111) 등과는 별체로 나타내었지만, 통신 보조 장치를 PC(111) 등에 내장시키더라도 좋다.
통신 보조 장치는, 전송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에 그 데이터를 일단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전송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현실적으로 그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다음 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통신 보조 장치는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유선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장해물 등에 의한 통신 장해나, 또는 무관한 신호(노이즈)의 임의적인 혼입 등이 있더라도, 통신 보조 장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고쳐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 처리 부하를 가하게 하는 것도 없어진다. 또한, 그 데이터 처리 장치는, 그 데이터의 송신에 관해서는 통신 보조 장치 이외의 기기와는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송처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의 통신 상황 등에 좌우되지 않고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의 안정화도 실현된다.
또한 송신측, 및 송신처의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디에도 통신 보조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송신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술한 이점이, 송신처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하여 처음으로 데이터의 수취 처리를 행하면 되기 때문에, 어느 쪽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더라도 효율적인 동작이 실현된다.

Claims (3)

  1.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통신 보조 장치로서,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에 의해 접속되어, 해당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접속 유닛과,
    상기 제 1 접속 유닛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와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해당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접속 유닛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와의 통신 상황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보조 장치.
  3.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된 제 1 통신 보조 장치, 및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된 제 2 통신 보조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통신 보조 장치는,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유선 접속 유닛과,
    상기 제 1 유선 접속 유닛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상기 제 2 통신 보조 장치와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 제 1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해당 제 2 통신 보조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무선 접속 유닛을 갖고,
    상기 제 2 통신 보조 장치는,
    상기 제 1 통신 보조 장치와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해당 제 1 통신 보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무선 접속 유닛과,
    상기 제 2 무선 접속 유닛에서 수신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와,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유선 접속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40010265A 2003-02-18 2004-02-17 통신 보조 장치 및 통신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100615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9896A JP2004253900A (ja) 2003-02-18 2003-02-18 通信補助装置および通信補助装置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JPJP-P-2003-00039896 2003-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950A true KR20040074950A (ko) 2004-08-26
KR100615751B1 KR100615751B1 (ko) 2006-08-25

Family

ID=3282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265A KR100615751B1 (ko) 2003-02-18 2004-02-17 통신 보조 장치 및 통신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99671A1 (ko)
JP (1) JP2004253900A (ko)
KR (1) KR100615751B1 (ko)
CN (1) CN1525349A (ko)
DE (1) DE102004007980A1 (ko)
TW (1) TWI237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88070B (zh) * 2004-12-31 2011-07-27 英特尔公司 远程记录机制的方法与系统
GB2441059B (en) * 2005-03-07 2009-12-16 Intel Corp Self-adaptive multicast file transfer protocol
JP2007028174A (ja) * 2005-07-15 2007-02-01 Fujitsu Ltd 携帯情報端末、ipアドレス設定プログラム、ipアドレス設定方法
JP4898175B2 (ja) * 2005-09-14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34534B2 (ja) 2005-11-29 2009-09-30 株式会社東芝 ブリッジ装置及びブリッジシステム
JP6153812B2 (ja) * 2013-08-08 2017-06-28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通信仲介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
JP6334778B2 (ja) * 2017-05-10 2018-05-30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通信仲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077B2 (ja) * 1999-08-05 2003-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機能付きケーブルモデム
EP1132808A1 (en) * 2000-01-04 2001-09-12 Océ-Technologies B.V. Method and system for submitting jobs to a reproduction center
US20030120841A1 (en) * 2001-12-21 2003-06-26 Chang Matthew C.T. System and method of data log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5349A (zh) 2004-09-01
TWI237770B (en) 2005-08-11
KR100615751B1 (ko) 2006-08-25
JP2004253900A (ja) 2004-09-09
TW200419371A (en) 2004-10-01
US20040199671A1 (en) 2004-10-07
DE102004007980A1 (de) 200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068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separate toplogies, and related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2006023879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memory medium, and program
KR20050000334A (ko) 인쇄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기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KR100615751B1 (ko) 통신 보조 장치 및 통신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8705101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device having two information transmission paths
JP2007179371A (ja) 印刷システム
JP2000280582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44821A (ja) プリントサーバを利用した印刷方法、プリント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337118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23363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617782B2 (ja) 通信装置
JP2003076649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およびインタフェース選択方法および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3004440B2 (ja) 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259085A (ja) プリンタシステム
JP2007276269A (ja) 印刷装置、負荷分散制御方法
JPH10222445A (ja) 双方向データ通信方法、双方向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双方向データ通信を行う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150774A (ja) プリンタ装置
KR100334111B1 (ko) 인쇄작업 취소방법
JP2001092605A (ja) データ制御装置及びインターネットプリンタ
JPH0812363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印刷装置
JP2001253146A (ja) 印刷処理装置
JP2013151118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03167710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システム
JP2000284929A (ja)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6209534A (ja)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