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4900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900A
KR20040074900A KR1020030070264A KR20030070264A KR20040074900A KR 20040074900 A KR20040074900 A KR 20040074900A KR 1020030070264 A KR1020030070264 A KR 1020030070264A KR 20030070264 A KR20030070264 A KR 20030070264A KR 20040074900 A KR20040074900 A KR 20040074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tainer
nozzle
support memb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346B1 (ko
Inventor
타카미노부오
키타에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38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169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40074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공간 유효 이용에 의해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도 토너 수납 용기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 용량 확보와 교환시의 양호한 조작성도 양립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가시상 처리하는 현상 장치(60)와 현상 장치(60)에 보급하는 토너를 수납한 토너 수납 용기(80)와 이 토너 수납 용기(80)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60)에 보급하는 토너 보급 장치(70)를 구비하고, 토너 수납 용기(8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 지지 부재(103)를 구비하며, 개폐 지지 부재(103)는 토너 수납 용기(80)내의 토너가 현상 장치(60)에 보급되는 세트 위치와 토너 수납 용기(8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에 대하여 착탈하는 교환 위치의 사이를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및 이와 같은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가시상 처리하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현상 장치로서 2 성분 현상 방식의 것을 채용한 경우에는 그 근처에 토너 병, 토너 카트리지, 토너 탱크 등의 토너 저장부를 마련하고 오거(auger) 등에 의해 토너를 보급하고 있다. 또, 근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풀 컬러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에 대한 요망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와 같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4개의 현상 장치와 4색(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 저장부를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저장부의 토너 저장량을 줄이지 않고도 소형화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지만, 각 현상 장치의 근처에 토너 저장부를 배치하는 것은 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계 자유도도 크게 저해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1-305843호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한 화상 형성 장치가 특허 공개 공보 2001-30584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토너 수납 용기에 수납된 토너를 소위 모노 펌프라고 불리우는 스크루 펌프를 이용하여 현상 장치에 이송하므로, 토너 수납 용기를 현상장치와는 별도의 유닛으로서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따라서 그 교환 조작성을 고려하면서 토너 수납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그 소형화가 상당히 진보하고 있어 상기한 데드 스페이스도 적어지고 있다. 또,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빈도는 가능한 한 적을 수록 좋기 때문에 토너 수납 용기 자체를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사정이 있다. 나아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컬러 토너에 비해 흑색 토너의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블랙 토너의 저장량을 많이 해 주었으면 하는 요구도 있다. 또한,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작업이 가능한 한 편한 자세로 또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는 과제도 있다. 특히, 흑색의 토너 수납 용기는 대용량화되면 중량도 커지고 취급성도 악화되므로 양호한 교환 조작성이 불가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장치를 대형화시키지 않고도 토너 수납 용기를 배치할 수 있고, 나아가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 용량 확보와 교환시의 양호한 조작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컬러 복사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복사기 본체 주요부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탠덤 화상 형성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를 충전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수납 용기 중 캡 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캡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캡 부재의 종단면도.
도 9는 토너 보급부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서브 호퍼 상실의 설명도.
도 11은 서브 호퍼 하실의 설명도.
도 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세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토너 수납 용기 세트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세트부의 개폐 지지 부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세트부의 개폐 지지 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세트부의 횡단면도.
도 17은 노즐과 슬라이더를 일체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토너 수납 용기 세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폐쇄 상태의 설명도.
도 19는 도 18의 개방 상태의 설명도.
도 20은 토너 수납 용기 세트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토너 수납 용기 세트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보급로의 중계부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
도 23은 세트부의 토너 수납 용기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현상 장치
70 분말체 펌프
80, 80Y, 80C, 80M, 80Bk 토너 수납 용기
100 복사기 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가시상 처리하는 현상 장치와, 이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를 수납한 토너 수납 용기와, 이 토너 수납 용기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 보급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 수납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는 상기 토너 수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내에 세트되는 세트 위치와 상기 토너 수납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하는 교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요동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의 세트 위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조작 패널의 하부 근처이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가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이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상기 토너 수납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케이스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보급 장치가 상기 토너 수납 용기에 접속되는 노즐과, 이 노즐과 상기 현상 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토너 보급로를 구비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수납 용기가 토너를 수납하는 주머니체와, 이 주머니체의 저부에 마련되어 토너 배출부를 구비한 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 부재에 상기 노즐이 접속됨으로써 상기 토너 보급 장치가 상기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 가능한 보급 상태가 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수납 용기를 상기 지지 부재에 착탈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이 상기 캡 부재에 접속 또는 이탈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수납 용기가 장착된 상기 지지 부재를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이 상기 캡 부재에 접속 또는 이탈되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 배출부를 닫는 셔터 부재가 마련되고, 이 셔터 부재가 상기 노즐과 교대로 토너 배출부를 닫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노즐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셔터 부재를 닫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보급 장치가 내부에 나선형의 홈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의 고정자와,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축방향으로 토너를 이동시키는 회전자를 구비한 스크루 펌프를 구비하고, 이 스크루 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토너 수납 용기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요동되는 지지점이 상기 토너 보급로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보급로는 복수개의 보급로부를 연결하여 구성하고, 이 보급로부의 연결부가 상기 요동 지지점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보급로의 복수개 보급로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보급로부와 재질이 다르면 효과적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컬러 복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컬러 복사기는 중앙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의 복사기 본체(100), 그 하부에 테이블형으로 구성된 용지 공급부(200)가 배치되고, 복사기 본체(100)의 위쪽에 스캐너(300), 스캐너(300)의 위쪽에 원고 자동 보급 장치(400)를 배치한 구성이 되고 있다.
복사기 본체(100)내에는 복수개의 롤러(14, 15, 16)에 씌워진 가요성을 구비하는 엔드리스 벨트에 의해 구성된 화상 담지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10)는 복수개의 롤러(14, 15, 16)중 1개 롤러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것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주행 구동되고 다른 롤러가 종동 회전한다. 이와 같이 주행하는 중간 전사 벨트(10)의 상부 주행변에는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화상 형성 유닛(18)이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즉, 롤러(14)와 롤러(15) 사이의 주행변 위에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8)을 배치하여 탠덤 화상 형성 장치(20)를구성하고 있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8)은 중간 전사 벨트(10)에 접하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감광체 드럼(40)의 주위에는 대전 장치,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 방전 장치 등이 배치되고, 나아가 감광체 드럼(40)이 중간 전사 벨트(10)에 접하는 위치에서의 중간 전사 벨트(10) 내측에는 전사 장치(5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8)은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현상 장치의 토너 색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색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 각 화상 형성 유닛(18)의 위쪽에는 광 변조된 레이저빛을 각 감광체 드럼 표면에 조사하는 노광 장치(21)가 배치되고, 레이저빛은 대전 장치와 현상 장치 사이로 감광체 드럼에 조사된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10)를 사이에 두고 탠덤 화상 형성 장치(20)의 반대 측에는 2차 전사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2차 전사 장치(22)는 한 쌍의 롤러(23) 사이에 엔드리스 벨트인 2차 전사 벨트(24)를 씌우고 이 벨트가 중간 전사 벨트(10)를 통하여 롤러(16)에 눌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도 1에 있어서, 2차 전사 장치(22)의 좌측 옆에는 시이트상에 담지된 전사 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정착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2차 전사 장치(22)에는 화상 전사 후의 시이트를 이 정착 장치(25)로 보급하는 시이트 보급 기능도 구비되어 있다. 물론, 2차 전사 장치(22)로서 비접촉 대전기를 배치해도 좋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전사 후의 시이트를 정착 장치(25)까지 이송하는 시이트 이송 장치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도시한 예에서는이와 같은 2차 전사 장치(22) 및 정착 장치(25) 하부에 상술한 탠덤 화상 형성 장치(20)와 평행으로 시이트의 양면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시이트를 반전시키는 시이트 반전 장치(28)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컬러 복사기를 이용하여 복사할 때에는 원고 자동 보급 장치(400)의 원고대(30)상에 원고를 세트한다. 또는, 원고 자동 보급 장치(400)를 열고 스캐너(300)의 접촉 유리(32)상에 원고를 세트한 후 원고 자동 보급 장치(400)를 닫아서 원고를 누른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복사 동작이 개시되고, 원고 자동 보급 장치(400)에 원고를 세트했을 때에는 원고를 자동적으로 보급하여 접촉 유리(32)상으로 이동시킨 후, 또는 접촉 유리(32)상에 직접 원고를 세트했을 때에는 바로 스캐너(300)를 구동하여 제1 주행체(33) 및 제2 주행체(34)를 주행시킨다. 그리고, 제1 주행체(33) 광원에서 빛을 발사함과 동시에 원고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더 반사하여 제2 주행체(34)를 향하게 하고, 제2 주행체(34) 거울로 반사하여 결상 렌즈(35)를 통하여 판독 센서(36)에 입사하여 원고 내용을 판독한다.
또, 복사 동작이 개시되면, 중간 전사 벨트(10)가 회전 주행하고, 동시에 개개의 화상 형성 유닛(18)으로 개개의 감광체(40)를 회전시켜 각 감광체(40)상에 각각 블랙·옐로우·마젠타·시안의 단색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10)가 주행함에 따라 상기 단색 화상을 순차로 전사하여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합성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나아가, 복사 동작이 개시됨에 따라 용지 공급부(200)의 급지(給紙) 롤러(42)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회전되고, 용지 뱅크(43)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급지 카세트(44)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시이트를 내보내며, 분리 롤러(45)로 1매씩 분리하여 용지 공급로(46)에 투입하고, 보급 롤러(47)로 보급하여 복사기 본체(100)내의 용지 공급로(48)에 유도하며, 레지스터 롤러(49)에 충돌시켜 정지시킨다. 또는, 수동 용지 공급을 선택한 경우에는 급지 롤러(50)를 회전하여 수동 트레이(51)상의 시이트를 내보내고, 분리 롤러(52)로 1매씩 분리하여 수동 용지 공급로(53)에 투입하며 마찬가지로 레지스터 롤러(49)에 충돌시켜 정지시킨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10)상의 합성 컬러 화상에 타이밍을 맞추어 레지스터 롤러(49)를 회전시키고, 중간 전사 벨트(10)와 2차 전사 장치(22) 사이로 시이트를 보내며, 2차 전사 장치(22)에 의해 전사하여 시이트상에 일괄적으로 풀 컬러 화상을 기록한다.
화상 전사 후의 시이트는 2차 전사 장치(22)에 의해 보급되어 정착 장치(25)로 보내지고, 정착 장치(25)에 의해 열과 압력이 가해져 전사 화상이 정착되며, 전환톱(55)에 의해 전환되어 배출 롤러(26)로 배출되고 용지 받이(27)상에 적재된다. 또는, 전환톱(55)으로 전환되어 시이트 반전 장치(28)에 투입되고 거기서 반전되어 다시 전사 위치로 유도되어 뒷면에도 화상이 기록된 후, 배출 롤러(26)에 의해 용지 받이(27)상에 배출된다.
한편, 화상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10)는 중간 전사체 클리닝 장치(17)에 의해 화상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잔류한 잔류 토너를 제거하여 탠덤 화상 형성 장치(20)에 의한 다음의 화상 형성에 대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복사기 본체 주요부 구성도이다.
화상 형성 유닛(18)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10)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18Y, 18M, 18C, 18Bk의 4개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18(18Y, 18M, 18C, 18Bk))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40) 주위에 대전 장치(56), 광 기록계(L), 현상 장치(60), 1차 전사 장치(57), 클리닝 장치(58), 방전 장치(5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최상류의 감광체(40Y)와 최하류의 감광체(40Bk)의 보급 거리만큼 블랙 단색 모드에서의 최초 복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스크루 펌프 수단을 이용한 토너 이송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수단(18)의 현상 장치(60)로 토너를 보급하는 토너 보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현상 장치(60)에 보급하는 토너를 수납한 토너 수납 용기(80)는 복사기 본체(100)에 설치된 세트부(99)에 세트된다. 세트부(99)는 복사기 본체(100)의 앞 문(100a)을 열면 나타나는데, 세트부(99)에는 토너 보급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노즐(110)이 설치되어 있고, 토너 수납 용기(80)를 세트부(99)에 세트하면, 노즐(110)이 토너 수납 용기(80)에 삽입되어 접속 상태가 된다. 노즐(110)의 내부에는 통로(121)(도 13 참조)가 마련되고, 통로(121)는 노즐 단부에 접속된 토너 보급로로서의 토너 이송 튜브(78)로 연통되어 있다.
토너 수납 용기(80)는 유연하고 변형 가능한 토너 주머니(81)를 구비하고, 토너 주머니(81)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유연한 시이트재(80∼200㎛정도의 두께)를 단층 또는 복수층 구성으로 한 주머니형의 용기이다. 그리고, 토너 주머니(81)는 그 하부 중앙에 유일한 토너 배출부를 구비한 캡 부재(82)가 고정되어 있다. 또, 토너 주머니(81)는 토너가 잔류하기 어렵도록 토너 배출구를 향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너 수납 용기(8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주머니(81)와 캡 부재(82)로 구성되어 있다. 토너 주머니(81)는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고, 전후면을 구성하는 2매의 시이트(81a, 81b), 좌우 측면을 구성하는 2매의 시이트 (81c, 81d) 및 윗면 시이트(81e)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융착하여 토너 주머니를 형성하고 있다. 좌우 측면의 시이트(81c, 81d)에는 용기의 내측으로 접어진 접음 선(83)이 형성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을 때에는 접음 선(83)이 늘어나 용기 형상으로 되며, 토너가 비어 있을 때에는 접음 선(83)을 따라 접어져 전후면 시이트(81a, 81b)가 밀착 또는 근접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캡 부재(82)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부터 바라볼 때 배(船) 모양으로 형성된 토너 주머니(81)가 용착되는 수납부 고착부(88)가 설치되는 위 본체부(84)와 거의 장방체로 형성된 아래 본체부(85)로 구성되어 있다. 또, 아래 본체부(85)는 도 6에 나타내는 왼쪽 면을 앞면으로 할 때, 캡 부재(82)의 아래 본체부(85)는 전후면의 폭(Wa)이 양측면의 폭(Wb)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캡 부재(82)는 폴리에틸렌이나 나일론 등 수지의 성형품으로 위 본체부(84)와 아래 본체부(8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캡 부재(82)에는 토너 주머니(81)측 내공(內孔)(86)과 이 내공(86)에 연통하여후술하는 셔터 부재가 착탈 가능한 셔터 구멍(87)으로 이루어지는 토너 배출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내공(86)은 캡 부재(82)를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의 구멍이고, 셔터 구멍(87)은 축 선이 내공(86)의 축선과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는 가로 방향의 구멍이며, 본 예의 셔터 구멍(87)은 아래 본체부(85)의 앞면에서 뒷면으로 빠지는 단면 원형의 관통구이다. 또, 내공(86)은 배 모양인 수납부 고착부(88)의 내측에 있어 짧은 방향의 길이를 직경으로 하는 단면 원형의 구멍이며, 이 내공(86)은 도중에 깔때기 모양의 스로틀(throttle)(86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내공(86)에는 도중으로부터 셔터 구멍(87)에 가까워질 수록 구멍 면적이 작아지는 스로틀(86a)에 의해 소경(小徑)으로 되고, 셔터 구멍(87)의 상부에서 이 구멍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내공(86)과 셔터 구멍(87)의 연통부에 있어 내공(86)의 구경이 셔터 구멍(87)의 구경보다 작아, 셔터 구멍(87)에 셔터 부재(92)가 삽입되어 있으면, 토너 배출용 구멍은 확실히 닫혀진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셔터 부재(92)는 단면이 원형인 축 모양으로 형성되고, 직경은 셔터 구멍(87)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셔터 부재(92)는 셔터 구멍(87)에 확실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셔터 부재(92)가 셔터 구멍(87)보다 직경이 작으면, 셔터 부재(92)와 셔터 구멍(87) 사이부터 토너 누출이나 에어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누출은 토너 오염을 초래하고, 에어 누출은 토너 수납 용기(80)의 용적 감소를 저해하기때문에, 캡 부재(82)에는 셔터 부재(92)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수단으로서의 링(8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링(89)은 셔터 구멍(87)이 관통 구멍이므로 셔터 구멍(87)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링(89)의설치는 셔터 구멍(87)의 양측에 링(89)이 들어갈 홈을 형성하고 접착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지만, 링(89)의 고정이 번거롭고 조립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캡 부재(82)는 중부품(90)과 외부품(91)으로 분할되어 양 부품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링(89)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부품(90)에 링(89)이 걸어지는 걸림 홈(93)이 마련되고, 외부품(91)에는 중부품(90)이 장착되는 장착부(94), 수납부 고착부(88), 걸림 홈(93)에 걸린 링(89)을 유지하는 유지부(95)가 마련되어 있다. 링(89)은 걸림 홈(93)에 걸린 상태로 중부품(90)이 외부품(91)에 장착되면 유지부(95)에 의해 눌러지므로, 그 누출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 셔터 구멍(87)은 중부품(90)과 외부품(91)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외부품(91)의 장착부(94)에 중부품(90)을 장착하여 셔터 구멍(87)에 셔터 부재(92)를 삽입함으로써 외부품(91)에 중부품(90)을 조립시킬 수 있다. 나아가, 셔터 부재(92)를 빼내는 간단한 작업으로 캡 부재(82)를 외부품(91)과 중부품(90)으로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수납 용기(80)에 토너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셔터 부재(92)가 크게 움직이거나 뽑아지게 되면 토너가 누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대로 직경을 8 mm 정도로 억제하고 있고, 또한 직경이 6 mm라면 손가락에 의해 셔터 부재(92)가 움직이는 경우가 거의 없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셔터 부재(92)의 직경이 10 mm 이면, 어른의 손가락을 상정할 때, 손가락으로 셔터 부재(92)를 이동시켜 토너가 누출될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셔터 부재(92)의 직경을 8 mm 정도까지 설정하고 있다.
한편, 토너가 보급되는 현상 장치(60)에는 도 4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부에 부토너 수납 수단으로서의 서브 호퍼(61)가 설치되어 있고, 토너 수납 용기(80)의 토너는 일단 이 서브 호퍼(61)에 수납된다. 그리고, 서브 호퍼(61)상에는 토너 수납 용기(80)의 토너를 이 서브 호퍼(61)에 이송하는 스크루 펌프 수단으로서의 분말체 펌프(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말체 펌프(70)는 1축 편심 스크루 펌프이며, 금속 등의 강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편심한 스크루 형상으로 만들어진 회전자(71)와, 고무 등의 탄성체로 만들어지고 2조 스크루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자(72)와, 이들을 감싸고 또한 분말체의 보급로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 등으로 만들어진 지지 부재(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자(71)는 핀 이음에 의해 연결된 구동축(74)에 일체로 연결된 기어(75)(도 9에 나타냄)가 아이들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1 클러치(76)와 구동 연결되고, 제1 클러치(76)의 온·오프에 의해 분말체 펌프(70)의 가동이 제어된다. 또한, 제1 클러치(76)와 후술하는 제2 클러치(68)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구동축(79)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 부재(73)의 선단, 즉 도 4의 우측 단부에는 토너 흡입부(77)가 설치되고, 토너 흡입부(77)에 상기 토너 이송 튜브(78)가 접속되어 있다. 이 토너 이송 튜브(78)로서는 예컨대, 직경 4∼10 mm의 유연한 튜브로, 내토너성이 뛰어난 고무 재료(예컨대, 폴리우레탄, 니트릴, EPDM, 실리콘 등)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아주 유효한 바, 유연한 튜브는 상하 좌우 임의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서브 호퍼(61)는 그 종단면 형상이 대략 역삼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상하로 분할되어 상실(62)과 하실(63)로 되어 있다. 바닥 면적이 하실(63)보다 큰 상실(62)에는 한 쌍의 상 스크루(64, 65)와 양 스크루간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잘라진 칸막이(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실(62)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호 A로 나타내는 위치가 분말체 펌프(70)에 의해 보급된 토너의 공급 위치이며, 이 위치 A에 공급된 토너는 상 스크루(64, 65)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P1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부호 B는 상실(62)과 하실(63)의 연통 구멍이며, 상 스크루(64, 65)에 의해 화살표 P1 방향으로 이동된 토너가 연통 구멍 B로부터 하실(63)에 낙하한다.
또, 하실(63)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 스크루(66)가 설치되어 있고, 연통 구멍 B에 의해 위치 B'에 공급된 토너는 하 스크루(66)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P2 방향으로 이동된다. 부호 C는 하실(63)과 현상 장치(60)를 연통하는 보급구로, 화살표 P2 방향으로 이동되는 토너는 보급구(C)로부터 현상 장치(60)내에 낙하하여 보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브 호퍼(61)는 상기 분말체 펌프(70)에 의해 공급된 토너를 일시적으로 저축할 수 있고, 스크루에 의해 현상 장치(60)에 이송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 스크루(64, 65)와 하 스크루(66)가 서브 호퍼(61)내에서의 토너 이송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 스크루(64, 65)와 하 스크루(66)는 각 스크루의 기어(64a, 65a, 66a)가 아이들 기어열(67)을 통하여 회전 구동축(79)에 설치된 제2 클러치(68)와 구동 연결되고, 이 제 2 클러치(68)의 온·오프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된다.
또, 서브 호퍼(61)에는 분말체 펌프(70)로 이송된 토너가 공급되는 위치 A의 근처측벽에 소정의 토너량을 검지하는 토너 검지 수단으로서의 토너 센서(6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의 토너 센서는 진동식의 센서로서, 상실(63)내의 토너에 접촉하는 토너 센서 검지면(69a)으로 소정 토너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너 보급 장치는 토너 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현상 장치(60)로의 토너 보급 명령이 내려지면, 제2 클러치(68)가 온하여 상 스크루(64,65)와 하 스크루(66)를 동작시킨다. 상 스크루(64,65)와 하 스크루(66)를 동작시키면, 그 회전 시간에 따른 양의 토너가 현상 장치(60)에 보급된다. 한편, 서브 호퍼(61)로의 토너 보급은 토너 센서(69)가 그 호퍼내의 토너량을 감시하고, 그 토너 검지량이 규정량을 하회하면, 분말체 펌프(70)가 동작하여 펌프내에 부압이 발생되고 토너 수납 용기(80)의 토너가 서브 호퍼(61)내에 보급된다. 이 때, 서브 호퍼(61)로의 토너 보급량은 고도의 정밀도로 제어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분말체 펌프(70)에 의한 토너 이송량은 상하 스크루로 현상 장치(60)에 보급하는 양보다 많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토너 수납 용기(80)는 가요성 용기이므로, 분말체 펌프(70)에 의한 토너 보급에 따라 자동적으로 용적이 축소된다.
토너 보급 장치는 토너 보급 명령에 따라 분말체 펌프(70)를 몇 회나 동작시켜도 토너 센서(69)의 토너 검지량이 규정량을 하회한 대로 있으면, 토너 수납 용기(80)의 토너가 거의 없어진 토너 니어 엔드(near end)로 판단된다. 그리고, 토너 니어 엔드라고 판단되면, 예컨대 후술하는 조작부(150)의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카트리지 교환을 표시하고, 토너 수납 용기(80)가 교환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화상 형성 횟수 후에 화상 형성 등을 정지시킨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컬러 복사기는 분말체 펌프(70)에 의해 토너 수납 용기(80)의 토너를 현상 장치(60)에 보급하므로, 토너 수납 용기(80) 세트부(99)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다. 그러나, 세트부(99)를 복사기 본체(100)의 하부 측에 하면,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고 토너 수납 용기(80)의 교환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세트부(99)는 복사기 본체(100)의 상부 또한 정면측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수납 용기(80)는 수납하는 토너의 절대량이 적으면 빈번하게 교환하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수납량을 확보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상기한 컬러 복사기에 있어서, 이와 같은 요구를 모두 만족하는 토너 수납 용기(80) 세트부(99)로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부터 바라볼 때 조작부(150)의 뒤쪽, 즉 조작부(150)의 바로 밑 근처 위치에 세트부 장소가 있다. 즉, 조작부(150)는 복사기 본체의 윗면측에서 정면으로 설치되어 있고, 화상 형성부에서 앞쪽으로 적당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위치는 복사기 본체(100)의 앞 문(100a)을 개방하면 바로 눈앞에 나타난다. 그러나, 토너 수납 용기(80) 세트부(99)를 조작부(150)의 바로 밑 근처에 설정하면, 토너 수납 용기(80)를 위쪽에서 세트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부(150)가 세트 조작에 방해주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수납 용기(80)가 교환 가능한 교환 위치와 복사기 본체(100)내의 세트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세트부(99)에는 토너 수납 용기(8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개폐 지지 부재(103)가 마련되고, 개폐 지지 부재(103)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토록 장착되며, 이 지지 부재가 교환 위치로 이동하면 용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색의 토너 수납 용기(80)가 장착되는 세트부(99)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4개 세트부(99)는 흑색의 토너 수납 용기(80)가 세트되는 지지 부재만 폭 넓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지만, 내부 구조는 실질상 동일하다.
세트부(99)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색의 토너 수납 용기(80)마다 독립하고, 본체 케이스(101)에 회전축(102)을 통하여 장착된 개폐 지지 부재(103)가 설치되는데, 개폐 지지 부재(103)는 도 14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와 도 15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토록 본체 케이스(101)에 지지되어 있다. 개폐 지지 부재(103)의 하부에는 노즐(110)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4)와 삽입된 노즐(110)을 되돌리는 역할을 하는 슬라이더(106)가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안내통 통(105)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고정 커버(115)가 장착되어 있다. 또, 개폐 지지 부재(103)의 상부에는 개폐 지지 부재(103)를 폐쇄 위치에 이동했을 때, 이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걸림부(121)가 설치된 개폐 손잡이(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개폐 손잡이(120)는 수지제이고, 그 하부에 탄성 아암(122)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 탄성 아암(122)에 의해 개폐 손잡이(120)가 항상 최상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노즐(110)은 셔터 부재(92)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110)에는 그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 아암(111)이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 아암(111)이 상기 가이드 부재(10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아암(111)의 선단에는 걸림톱(112)이 마련되고, 걸림톱(112)이 가이드 부재(104)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노즐(110)이 개폐 지지 부재(103)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노즐(110)과 개폐 지지 부재(103)의 사이에는 압축 용수철(113)이 노즐(110)에 휘감기듯이 하여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 용수철(113)에 의해 노즐(110)은 항상 걸림톱(112)이 가이드 부재(104)의 단부에 걸리는 위치에 탄성을 갖고 유지되어 있다.
상기 안내 통(105)은 노즐(110)이 축선 상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으로, 노즐(110)과 대향하는 단부에는 상기 셔터 부재(92)가 삽입 가능한 구멍(105a)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 단부는 고정 커버(11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안내 통(105)내에는 상기한 슬라이더(106)와 이 슬라이더(106)를 노즐(110)측으로 누르고 있는 압축 용수철(107)이 봉입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06)는 단면이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안내 통(105)의 노즐 측 단부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미도시)에 의해 압축 용수철(107)에 밀려도 안내 통(105)내에 유지되어 있다. 또, 개폐 지지 부재(103)에는 삽입된 토너 수납 용기(80)를 세트 위치로 유도하는 안내 틀(109)이 설치되어 있고, 안내 틀(109)의 최하부에 상기 노즐(110)이 배치되어 토너 수납 용기(80)의 캡 부재(82) 하부 본체부(85)가 삽입되는 받이부로 되어 있다. 이 받이부에는 노즐(110) 및 셔터 부재(92)가 빠질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트부(100)는 개폐 손잡이(120)를 내리면서 앞으로 끌어내면, 걸림부(121)가 본체 케이스(101)에 형성된 걸림홈(123)으로부터 빠짐으로써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지지 부재(103)의 저부가 본체 케이스(101)에 해당되는위치까지 그 지지 부재를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어 개폐 지지 부재(103)가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토너 수납 용기(80)를 캡 부재(82)측을 아래로 하여 떨어뜨리면, 노즐(110)은 걸림톱(112)이 압축 용수철(113)에 의해 가이드 부재(104)에 접촉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캡 부재(82)의 셔터 부재(92)가 노즐(110)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떨어진다.
이와 같이, 토너 수납 용기(80)가 소정 위치에 들어간 후, 개폐 지지 부재(103)를 원래의 도 14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에 되돌린다. 이 복귀 조작에 의해 노즐(110)이 셔터 구멍(87)에 끼워 맞춰지고, 셔터 부재(92)가 구멍(105a)으로부터 안내 통(105)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노즐(110)에는 선단 근처 주위면 상부에 토너 접수구(114)가 마련되고, 이 토너 접수구(114)가 캡 부재(82)에 마련된 내공(86)의 하부에 연통되고, 따라서 토너 수납 용기(80)로부터 현상 장치(14)로의 토너 보급로가 통해진다. 또한, 노즐(110)의 삽입에 의해 안내 통(105)측에 밀린 셔터 부재(92)는 완전히 셔터 구멍(87)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셔터 구멍(87)과 안내 통(105)에 걸쳐진 위치에 유지된다.
또, 노즐(110)이 셔터 구멍(87)에 삽입될 때, 압축 용수철(113)이 개폐 지지 부재(103)에 밀려 압축되고, 나아가 안내 통(105)에 설치된 압축 용수철(107)도 셔터 부재(92)의 삽입으로 슬라이더(106)를 통하여 압축된다. 이 때문에, 개폐 지지 부재(10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노즐(110)은 압축 용수철(113)의 탄력에 의해, 또한 셔터 부재(92)는 압축 용수철(107)의 탄력에 의해 각각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따라서, 노즐(110)은 토너 수납 용기(80)의 셔터구멍(87)으로부터 빠지고, 셔터 구멍(87)에는 다시 셔터 부재(92)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토너 수납 용기(80)는 장치 본체(1)에 세트하기만 하면 토너 보급로에 연통되고, 또한 개폐 지지 부재(103)를 개방하면 노즐(110)이 셔터 구멍(87)으로부터 빠지지만, 이 때 바로 셔터 부재(92)가 돌아오므로, 토너 수납 용기(80)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즐(110)과 슬라이더(106)는 토너 수납 용기(80) 세트시에 동일 방향으로 동일량만 이동하므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110)과 슬라이더(106)를 일체화시켜도 좋고,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노즐(110)이 빠져도 슬라이더(106)가 움직이지 않아 셔터 부재(92)가 셔터 구멍(87)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7 및 도 18은 세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지지 부재(103)가 직선 안내 수단에 의해 화살표 E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이 미끄럼 이동에 의해 장치 본체(1)에 대하여 개폐될 수 있다.
개폐 지지 부재(103)는 직선 안내 수단(130)을 통하여 장치 본체(1)에 장착되어 있고, 도 18과 같이 개폐 지지 부재(103)를 인출함과 동시에, 노즐(110)은 캡 부재(30)와 떨어져 토너 수납 용기(80)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토너 수납 용기(80)를 새로운 것과 교환한 후 개폐 지지 부재(103)를 밀어넣으면, 노즐(110)이 캡 부재(30)에 세트되어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9는 세트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지지 부재(103)는 장치 본체(1)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한편, 토너 수납 용기(80)의 착탈을 위하여 문(140)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110)을 지지하는노즐 지지 부재(116)는 도시하지 않는 직선 안내 수단에 의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 지지 부재는 지지점(14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캠(141)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문(140)은 지지점(14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캠(141)과 문(140)을 아암(144)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시킴으로써, 문(140)의 개폐로 캠(141)의 회전이 연동되어 노즐(110)을 착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문(140)을 열면 노즐(110)은 캡 부재(30)로부터 멀어져 토너 수납 용기(80)의 교환, 착탈이 가능해진다. 또, 문(140)을 닫으면 아암(144), 캠(141), 노즐 지지 부재(116)를 통하여 노즐(110)이 캡 부재(82)에 세트되어 토너 흡인, 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토너 보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20에 따라 설명한다.
도 20에 있어서, 이 토너 보급 장치는 스크루 펌프 수단으로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 양태의 분말체 펌프(70)를 현상 장치(60) 근처에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세트부(99)에는 토너 주머니(81)내에 삽입되는 단면이 원형인 노즐(190)이 직립으로 설치되고, 토너 수납 용기(80)는 그 토너 배출부에 노즐(190)이 삽입되도록 위쪽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세트부에 세트된다. 세트부에 설치된 노즐(190)은 통로(191)가 마련된 단관 구조로 되어 있고, 통로(191)는 그 하단에 있어 토너 이송 튜브(178)가 접속되며, 그 위쪽에서 도면의 우측으로 굽어져 에어 튜브(193)를 통하여 에어 펌프(194)에 접속되어 있다.
토너 수납 용기(80)의 토너는 에어 펌프(194)가 가동하면, 이 펌프로부터 에어 파이프(193)를 통하여 토너 수납 용기(80)내에 에어가 분출된다. 토너 주머니(81)내에 분출된 에어는 토너층을 통과함으로써 토너를 확산시키면서 유동화시킨다. 그리고, 분말체 펌프(70)를 가동하면, 토너 수납 용기(80)내의 토너와 에어를 모두 흡인하여 현상 장치(60)로 토너를 보급한다.
본 실시예의 세트부(99)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와 측판(2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등을 맞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세트부(99)에는 토너 수납 용기(80)를 유지하는 지지 부재(221)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221)내의 하부에는 상기한 노즐(190)이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221)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230)에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구성에 의해 세트부(99)는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를 요동하게 된다. 이 경우, 회전축(231)은 측판(230)의 근처, 동시에 토너 수납 용기(80)의 하부 측에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교환 위치는 세트 위치로부터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하여 도 21에서의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이다. 나아가, 본 장치에는 세트부(99)를 세트 위치로 유지하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토퍼는 조작 버튼(211)을 누르면 해제되며, 이 때 세트부(99)는 자중에 의해 교환 위치로 이동한다. 또, 교환 위치 세트부는 사용자가 세트부(99)를 세트 위치에 밀어 올리면, 스토퍼에 걸려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 스토퍼로서는 각종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교환 위치로부터 세트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 부세된 테이퍼형 선단의 걸림톱이 간단한 구성이면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교환 위치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수납 용기(80)의 일부가 복사기본체(100)의 케이스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교환 위치에서의 토너 수납 용기(8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토너 수납 용기(80)의 교환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 세트부(99)는 분말체 펌프(70), 서브 탱크(61)가 측판(2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등을 맞대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190)과 분말체 펌프(70)를 연결하는 토너 이송 튜브(178)는 측판(230)의 관통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노즐(190)과 분말체 펌프(70)를 접속하고 있다. 이 때, 세트부(99)는 교환 위치와 세트 위치 사이에서 요동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이송 튜브(178)는 가요성 튜브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하여 여유를 가진 길이로 함으로써 세트부(99)의 이동에 의해 튜브가 파손되거나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토너 이송 튜브(178)에 여유를 너무 많이 취하면, 조립시나 토너 교환 동작시에 다른 부품이 이 튜브에 걸려 튜브가 빠지거나 접어지기 쉽다. 그러나, 상기 관통구를 회전축(231)의 부근에 마련함으로써 튜브의 움직임이 작아 여유량도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토너 이송 튜브(178)가 한 개뿐이면, 세트부의 요동으로 관통구의 내주면과 튜브의 외주면이 마찰되어 튜브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토너 이송 튜브(178)는 한 개만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를 이어 맞추어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 위치에 측판(230)에 고정한 중계 파이프(232)를 마련하고 노즐(190)로부터 중계 파이프(232)를 연결하는 제1 튜브(178a)와 중계 파이프(232)로부터 분말체 펌프(70)를 연결하는 제2튜브(178b)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때, 세트부(99)의 요동으로 노즐(190)의 위치는 움직이므로, 제1 튜브(178a)는 그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변형이 용이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고, 또 분말체 펌프(70)는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제2 튜브(178b)는 튜브의 파손 등을 막기 위해 강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등 상이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세트부(99)는 지지 부재(221)가 토너 수납 용기(80Y, 80M, 80C, 80Bk)를 수납하고 4개의 토너 수납 용기가 동시에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토너 수납 용기(80Y, 80M, 80C, 80Bk)마다 독립한 세트부(11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러용의 토너 수납 용기(80Y, 80M, 80C)가 세트되는 지지 부재와 블랙용의 토너 수납 용기(80Bk)가 세트되는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컬러 토너 수납 용기중 어느 하나를 교환하는 경우, 3개의 토너 수납 용기가 동시에 세트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이동되어 그 중의 하나를 교환한다. 이 교환은 토너 수납 용기(80)를 도 21의 화살표 P 방향으로 인출하고, 새로운 용기를 화살표 P 방향의 역방향으로부터 지지 부재(221)내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한 컬러 복사기는 토너 엔드 등에 의해 토너 수납 용기(80)를 교환할 때, 도시하지 않는 앞 커버를 개방하여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전용 커버를 마련하여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앞 커버 등을 개방하면, 화상 형성 동작을 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용기 전용 커버를 개방하여 교환하는 형식의 경우, 이 커버를 개방해도 화상 형성 동작을 가능토록 할 수있다.
이에, 토너 수납 용기 전용 커버를 개방하여 교환을 실행하도록 한 경우,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서브 호퍼(6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토너 수납 용기(80)가 비어 있어도 화상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수납 용기(80)가 비어 있음의 신호를 받아도 화상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조작부에 교환 표시를 하여 토너 수납 용기(80)가 교환되면, 본 장치에서는 세트부(99)가 교환 위치에 있어도 토너 수납 용기(80)가 세트되면 분말체 펌프(70)에 의해 토너 보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수납 용기(80)의 토너 엔드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을 중단시키는 일 없이 연속 가동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세트부(99)가 교환 위치에 있어도 토너 수납 용기(80)가 세트되면 분말체 펌프(70)에 의해 토너 보급을 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용기가 세트되면 바로 분말체 펌프(70)를 가동하고, 거기에 따라 토너가 보급되었는지를 감시함으로써 용기 세트 불량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토너 수납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는 토너 수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내에 세트되는 세트 위치와 토너 수납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하는 교환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요동되므로, 지지 부재의 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되므로, 지지 부재의 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의 세트 위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조작 패널의 하부 근처이므로,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한 토너 수납 용기 세트부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이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토너 수납 용기 중의 적어도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케이스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므로,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보급 장치가 토너 수납 용기에 접속되는 노즐과, 노즐과 현상 장치를 연결하는 유연한 토너 보급로를 구비하므로, 토너 수납 용기 세트부를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수납 용기가 토너를 수납하는 주머니체와 이 주머니체의 저부에 마련되어 토너 배출부를 구비한 캡 부재를 구비하고, 캡 부재에 노즐이 접속됨으로써 토너 보급 장치가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 가능한 보급 상태가 되므로, 토너 수납 용기를 세트부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수납 용기를 지지 부재에 착탈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이 상기 캡 부재에 접속 또는 이탈되므로, 토너 수납 용기를 하나의 동작으로 세트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수납 용기가 장착된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노즐이 캡 부재에 접속 또는 이탈되므로,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 배출부를 닫는 셔터 부재가 설치되고, 이 셔터 부재가 상기 노즐과 교대로 토너 배출부를 닫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므로,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시에 토너 누출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노즐의 착탈에 연동하여 셔터 부재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시에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보급 장치가 내부에 나선형 홈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의 고정자와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축방향으로 토너를 이동시키는 회전자를 갖춘 스크루 펌프를 구비하고, 이 스크루 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토너 수납 용기내의 토너가 현상 장치에 보급되므로, 토너 수납 용기와 현상 장치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도 토너 수납 용기를 교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또 교환 위치에 있는 토너 수납 용기로부터도 토너를 보급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구성에 의하면,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요동되는 지지 부재의 지지점이 토너 보급로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교환 위치와 세트 위치 사이의 이동으로 인한 보급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보급로가 복수개의 보급로부를 연결하여 구성되고, 이 보급로부의 연결부가 요동 지지점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교환 위치와 세트 위치 사이의 이동으로 인한 보급로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보급로의 복수개 보급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보급로부와 재질이 다르므로, 교환 위치와 세트 위치 사이의 이동으로 인한 움직임을 허용하고, 교환 위치와 세트 위치 사이의 이동으로 인한 보급로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화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가시상 처리하는 현상 장치와, 이 현상 장치에 보급할 토너를 수납한 토너 수납 용기와, 이 토너 수납 용기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 보급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 수납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는 상기 토너 수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내에 세트되는 세트 위치와 상기 토너 수납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하는 교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세트 위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조작 패널의 하부 근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이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상기 토너 수납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케이스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 장치가 상기 토너 수납 용기에 접속되는 노즐과, 이 노즐과 상기 현상 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토너 보급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납 용기가 토너를 수납하는 주머니체와, 이 주머니체의 저부에 설치되고 토너 배출부를 구비한 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 부재에 상기 노즐이 접속됨으로써 상기 토너 보급 장치가 상기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 가능한 보급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납 용기를 상기 지지 부재에 착탈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이 상기 캡 부재에 접속 또는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납 용기가 장착된 상기 지지 부재를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이 상기 캡 부재에 접속 또는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납 용기의 토너 배출부를 닫는 셔터 부재가 설치되고, 이 셔터 부재가 상기 노즐과 교대로 토너 배출부를 닫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노즐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셔터 부재를 닫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 장치가 내부에 나선형의 홈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의 고정자와,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축방향으로 토너를 이동시키는 회전자를 갖춘 스크루 펌프를 구비하고, 이 스크루 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토너 수납 용기내의 토너가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세트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요동되는 지지점이 상기 토너 보급로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로는 복수개의 보급로부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이 보급로부의 연결부가 상기 요동 지지점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로의 복수개 보급로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보급로부와 재질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70264A 2003-02-17 2003-10-09 화상 형성 장치 KR100523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38211 2003-02-17
JP2003038211A JP3741691B2 (ja) 2002-04-12 2003-02-17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900A true KR20040074900A (ko) 2004-08-26
KR100523346B1 KR100523346B1 (ko) 2005-10-24

Family

ID=3430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264A KR100523346B1 (ko) 2003-02-17 2003-10-09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23346B1 (ko)
CN (2) CN1003503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4005B2 (en) 2009-02-26 2011-03-08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40874B2 (ja) * 2009-09-15 2015-07-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媒体収納容器
JP5003780B2 (ja) * 2010-03-24 2012-08-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02A (ja) * 1993-06-30 1995-01-24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H08314246A (ja) * 1995-05-16 1996-11-29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217250B2 (ja) * 1995-09-21 2001-10-0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
JPH10207204A (ja) * 1997-01-16 1998-08-07 Mita Ind Co Ltd 画像形成機のトナー補給装置
KR100324102B1 (ko) * 1998-01-26 2002-02-20 이토가 미찌야 개선된 토너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3450757B2 (ja) * 1998-09-22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3940559B2 (ja) * 2000-02-17 2007-07-0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
EP1229402B1 (en) * 2001-01-31 2012-05-30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52565C (zh) 2009-10-21
CN101042559A (zh) 2007-09-26
CN100350330C (zh) 2007-11-21
KR100523346B1 (ko) 2005-10-24
CN1523456A (zh)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1691B2 (ja) 画像形成装置
US7133629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s easy-to-handle large capacity toner container
KR100479749B1 (ko)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빈도를 삭감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방법
US6507720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plenishing apparatus each including plural toner containers received in receiving member of setting part and toner containers therefor
KR100868309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KR101030555B1 (ko)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9057984B2 (en) Powder container, toner cartridge, drawer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2548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00129118A1 (en)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72609B2 (en) Toner container and toner supply device unit using the same
US7606518B2 (en) Toner container and ton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CN110133979B (zh) 废调色剂收容容器以及图像形成装置
KR100523346B1 (ko) 화상 형성 장치
US20240337968A1 (en) Develo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22726B2 (ja) 検知窓のトナー付着防止装置、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06215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2117764B2 (en) Toner cartridge
JP4351959B2 (ja) 剤補給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7069948B2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H0350580A (ja) ホッパー
JP4572112B2 (ja)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247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80152A (ja) トナー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シャッタユニット
JP2020067532A (ja) トナー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034629A (ja) 現像剤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