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445A -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및 다층 물질 물품 - Google Patents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및 다층 물질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445A
KR20040073445A KR10-2004-7008168A KR20047008168A KR20040073445A KR 20040073445 A KR20040073445 A KR 20040073445A KR 20047008168 A KR20047008168 A KR 20047008168A KR 20040073445 A KR20040073445 A KR 20040073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ainless steel
optionally
curie temperature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396B1 (ko
Inventor
헤르베 프래스
이브 그로베티
웨케를티에리
마르쿠스 스프링
노르베르트 호프스태터
Original Assignee
엥피 알루와
알리녹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엥피 알루와, 알리녹스 아게 filed Critical 엥피 알루와
Publication of KR2004007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8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without Mo and 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Next to Co-, Cu-, or Ni-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7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24Fe-base has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37Co- or Ni-base component next to Fe-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44Ni-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10T428/12979Containing more than 10% nonferrous elements [e.g., high alloy, stain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로서,다층 물질은 용기의 외부로부터 용기의 내부까지 연속하여: 두께 eE를 갖고, 30 내지 350 ℃의 퀴리온도 및 6.5·10-6K-1이상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자성 니켈계 합금으로 구성되는 외측부분, 및 두께 ec를 갖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및 다층 물질 물품{Cooking vessel comprising a base made of a mulilayer meterial and a side wall, and article of mulilayer material}
인덕션에 의한 식품의 조리는 가열할 내용물이 위치한 조리용 용기 상에, 일반적으로 전자기장에 대하여 투과가능한 유리-세라믹 판 밑에 위치하는 인덕터(inductor)에 의해 수행된다. 인덕터에서 고주파 전류의 흐름은 용기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유도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줄의 효과(Joule effect)에 의해 가열하게 된다.
또한 유리-세라믹 판을 구비하지 않은 특정 조리용 기구가 있는데, 본 특허의 주제를 형성하는 물질은 이러한 용기의 제조가 가능하게 한다.
고에너지 효율을 얻기 위하여, 이들 용기에 사용되는 금속 밑면은 사용되는 작동 주파수, 20 내지 50 kHz에서 높은 전기전도성 및 자기장 고증폭을 갖는다. 따라서 용기의 작동 온도에서 강자성인 합금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용기는 식품과 접촉하는 면에 대하여 높은 부식 저항률을 가져야 하고 또한, 이들 밑면에 대하여는 세척시 열화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더 범위가 작게 된다.
이들은 또한 기계적으로 안정하여 용기의 기하학적 구조, 특히 인덕터의 상부와 접촉하는 밑면의 평평함을 유지하여야 한다. 사실, 용기가 가열되는 경우, 용기의 밑면은 팽창하기 쉽다. 스커트(skirt)라고도 불리우는 용기의 측벽은 밑면보다 더 낮은 온도까지 온도를 올리게 되고 따라서 덜 팽창하여, 밑면상에는 방사형 압축력이 미치게 된다. 후자는 활처럼 휘는 것(bowing)만으로 팽창하고, 그에 의해 조립체의 에너지 효율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유발된 소음 및 성가심 때문에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 효과는 용기가 처음 사용될 때는 몇번은 가역적이나, 밑면 물질의 구조적 변환에 의한 열적 사이클이 다수번 반복된 다음에는 비가역적인 기능하락을 가져온다. 이 현상은 특히, 오직 용기의 밑면이 고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구리)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민감하다.
다층 물질, 일반적으로 매우 다른 팽창계수를 갖는 다양한 층들의 경우, 계수에서의 이 차이는 인덕션 가열(hetaing)뿐만 아니라 다른 가열 방법(적외선, 할로겐, 등등...)에 의한 경우에서, 용기의 밑면을 변형시키고 또한 비가역적으로 열화된 다양한 층들을 편재화된 탈결합에 부착시키는 하는 경향이 있어서, 용기 효율의 상당한 손실을 가져오는 바이메탈 스트립 효과를 가져온다.
이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강자성 부분에는 17% Cr-Fe 또는 삼중-층 대칭 물질, 즉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오스테나이트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식이다. 이들 물질의 단점은 퀴리온도가 600 ℃를 초과한다는 것인데, 이 단점으로 인하여 이들 용기의 밑면은 퀴리온도에 다다를 수 있고, 이는 결국 식품을 손실되게 하거나 타게 만들고 용기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600 ℃미만의 온도에서 조차도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하여, FR 2 453 627에서 퀴리점이 60 내지 200 ℃인 합금을 포함하는 삼중-층 물질로부터 용기 밑면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용기의 온도가 퀴리점 미만인 한, 합금은 강자성을 유지하고 유도된 전류에 의해 손실을 발생시켜, 용기를 가열한다. 용기의 온도가 퀴리점을 초과하자마자, 합금은 더이상 강자성이 아니고 가열은 중지되며, 용기의 온도가 퀴리점 미만으로 하강하는 경우에만 다시 가열이 재개된다. 따라서, 용기의 열조절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물질은 식품을 조리 또는 프라이(frying)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220 내지 320℃ 범위의 온도에 다다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용기의 우수한 기하학적 안정성 및 용기의 양면에서의 우수한 부식 저항률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은 동 특허에서는 제안되지 않았다.
동일한 원리가 FR 2 689 748에서 채택되었는데, 동 특허에서는 64Fe-36Ni와 같은, 퀴리점이 250℃인 합금을 포함하는 삼중-층 물질으로부터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합금은 매우 평범한 부식 저항률 및 매우 낮은 팽창계수를 갖는다. 아직까지 이 합금은 현저하게 높은 팽창계수를 갖는 메탈 층에 대하여 가압되고, 가열될 때 바이메탈 스트립 효과(bimetallic stripeffect)에 기인한 용기 밑면의 변형을 가져오고, 이러한 변형은 때때로 비가역적일 수 있다. 또한, 층사이의 결합에서 분해(degradation) 또한 관찰될 수 있는데, 이것은반복응력(cyclic stress) 및 온도하에서 크리프(creep) 현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및 다층 물질 물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본 용기는 인덕션(induction)에 의한 식품 조리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이 지나거나 작동 중에 변형되지 않는 다층밑면을 포함하고, 각 층들은 함께 결합된 채로 남아있고 부식 저항률이 양 면상에서 우수하고, 용기는 또한 용기 자체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온도에서 식품이 조리되거나 프라이되도록 하여 용기가 잘못하여 과열되는 위험을 피하는 조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주제는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로서, 다층 물질은 용기의 외부로부터 용기의 내부까지 연속하여:
- 두께 eE를 갖고, 30 내지 350 ℃의 퀴리온도 및 6.5·10-6K-1이상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자성 합금 층으로 구성되고,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32.5% ≤ Ni ≤ 72. 5%
5% ≤ Cr ≤ 18%
0.1% ≤ Mn ≤ 0.5%
C ≤ 1%
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는 Mo, V, Co, Cu, Si, W, Nb, 및 Al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원소의 총 함량은 10 % 이하이고, 밸런스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이고, 화학적 조성은 하기의 관계식:
Cr-1.1Ni + 23.25 ≤ 0%
45Cr + 11Ni ≤ 1360
Ni ≥ 37. 5 라면, Ni+ 3Cr ≥ 60%
Ni ≤ 37.5 라면, Cr ≥ 7.5
을 더 만족하고,
강자성 합금층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층 사이에 삽입되는 외측부분, 그리고
- 두께 ec를 갖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코어, 및
- 선택적으로 6.5·10-6K-1이상인 열팽창계수를 갖고, 가능하게는 비접착성 또는 방부식 코팅으로 피복된 내측부분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그러한 용기가 특히 시간이 지난 후에 우수한 기계적, 기하학적, 및 입체적 안정성을 나타내고 용기의 밑면이 가열되는 동안 평평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의 밑면 및 측벽은 동일한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층 물질은 어떠한 내측부분도 포함하지 않고eC/eE= 6,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eC/eE=10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측부분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되고, 9·10-6K-1내지 14·10-6K-1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특히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의 화학적 조성이 중량퍼센트로:
12% ≤ Cr ≤ 25%
C ≤ 0.03%
Si ≤ 0.5%
0.1% ≤ Mn ≤ 0.5%
Al ≤ 0.5%
Ti ≤ 1%
Mo ≤ 2%
V ≤ 2%
Nb ≤ 1%
을 포함하고, 밸런스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용기의 다층 물질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되고, 30 내지 350 ℃의 퀴리온도를 갖는 강자성 합금층으로 구성된 내측부분을 포함하고, 강자성 합금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32.5% ≤ Ni ≤ 72.5%
5% ≤ Cr ≤ 18%
0.1% ≤ Mn ≤ 0.5%
C ≤ 1%
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는 Mo, V, Co, Cu, Si, W, Nb, 및 Al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원소의 총 함량은 10 % 이하이고, 밸런스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이고, 화학적 조성은 하기의 관계식:
Cr-1.1Ni + 23.25 ≤ 0%
45Cr +11Ni ≤ 1360
Ni ≥ 37.5 라면, Ni + 3Cr ≥ 60%
Ni ≤ 37.5 라면, Cr ≥ 7.5
을 더 만족한다.
본 발명의 제 2주제는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다층 물질(조리용 용기를 구성하는)로 만들어진 물품이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 예로서 주어진 세가지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는 쌀, 생선 또는 육류와 같은 식품을 조리 또는 프라이(fry)를 하기 위한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식품을 위한 최적 조리온도는 220 내지 290 ℃이다. 인덕터(inductor)에 접촉될 다층 물질의 외측부분은 그러므로 47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0%의 니켈, 및 7 내지 13%, 바람직하게는7 내지 10%의 크롬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코발트 및/또는 구리를 8%까지 함께 포함하는 Fe-Ni-Cr 강자성 합금 층으로 구성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층은 220 내지 290 ℃의 퀴리온도 및 10·10-6K-1에 근접하는 열팽창계수를 갖는다.
다층 물질의 코어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이 코어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용기내에 열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 코어는 세개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에서 다른 두 층들보다 더 두껍고 덜 농축된 중심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A 3003 또는 AA 3004 타입의 매우 순수한 알루미늄 이거나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특수한 삼중층의 열팽창계수는 22·10-6K-1을 초과한다.
코어의 다른 예에서는 선택적으로 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층 사이에 삽입된 구리층일 수 있다.
용기의 기계적 및 기하학적 안정성을 더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면 16 내지 21%의 크롬 및 0.4 내지 0.6%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Fe-Cr-Ti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으로 만들어진 내측부분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16 내지 21% 크롬, 0.6 내지 1.5%의 몰리브덴 및 0.3 내지 0.7%의 니오븀을 포함하는 Fe-Cr-Mo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된 합금의 퀴리온도는 외측부분의 Fe-Ni-Cr 합금의 퀴리온도를 초과하고 400 ℃를 초과한다. 열팽창계수는 여기서 10·10-6K-1내지 14·10-6K-1이다.
용기의 내측부분처럼 높은 퀴리온도를 갖는 층을 사용하면 온도가 외부층의 퀴리점을 초과하는 경우 거의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따라서 용기의 온도 조절을 교란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는 야채 또는 과일과 같은 식품의 조리를 위한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식품을 위한 최적 조리온도는 110 내지 160 ℃이다. 인덕터(inductor)에 접촉될 다층 물질의 외측부분은 그러므로 44 내지 47%의 니켈 및 12 내지 15%의 크롬을 포함하는 강자성 Fe-Ni-Cr 합금으로 구성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퀴리온도는 140 내지 160 ℃이고, 열팽창계수는 9.5·10-6K-1에 근접한다.
다층 물질의 코어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용기는 또한 19 내지 21%의 크롬 및 0.4 내지 0.6%의 티타늄을 포함하고, 퀴리온도가 외측부분의 Fe-Ni-Cr 합금의 퀴리온도를 초과하고 열팽창계수는 11.5· 10-6K-1인 Fe-Cr-Ti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으로 구성된 내측부분을 포함한다.
제 3실시예는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식품의 조리 또는 보온을 위한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식품을 위한 최적 조리온도는 100 내지 260 ℃이다. 인덕터(inductor)에 접촉될 다층 물질의 외측부분은 그러므로 47.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0%의 니켈, 및 9 내지 15%의 크롬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코발트 및/또는 구리를 8%까지 함께 포함하는 강자성 Fe-Ni-Cr 합금 층으로 구성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층의 퀴리온도는 100 내지 260 ℃이다. 열팽창계수는 9·10-6K-1내지 11·10-6K-1이다. 외측부분의 두께 eE는 0.15 내지 1.5mm이다.
용기는 어떠한 내측부분도 포함하지 않지만, 다층 물질의 코어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되고 두께가 1 내지 9mm인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용기의 기계적 및 기하학적 안정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코어의 두께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들 세 실시예에 기술된 용기는 시간이 지나도 기계적으로 및 기하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또한 가열하는 동안 평평한 상태로 남아있는 밑면을 갖고 있어서, 에너지 소비의 최적화 및 식품의 균일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들 용기들은 양 면에 우수한 부식 저항률을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 세 실시예는 실시예적용시 정해진 수치에 대하여 용기들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특성을 갖고 있다.

Claims (15)

  1.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로서,
    상기 다층 물질은 용기의 외부로부터 용기의 내부까지 연속하여:
    - 두께 eE를 갖고, 30 내지 350 ℃의 퀴리온도 및 6.5·10-6K-1이상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자성 합금 층으로 구성되고,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32.5% ≤ Ni ≤ 72. 5%
    5% ≤ Cr ≤ 18%
    0.1% ≤ Mn ≤ 0.5%
    C ≤ 1%
    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는 Mo, V, Co, Cu, Si, W, Nb, 및 Al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원소의 총 함량은 10 % 이하이고, 밸런스(balance)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이고, 화학적 조성은 하기의 관계식:
    Cr-1.1Ni + 23.25 ≤ 0%
    45Cr + 11Ni ≤ 1360
    Ni ≥ 37. 5라면, Ni+ 3Cr ≥ 60%
    Ni ≤ 37.5 라면, Cr ≥ 7.5
    을 더 만족하고, 상기 강자성 합금층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층 사이에 삽입되는 외측부분, 그리고
    - 두께 ec를 갖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코어, 및
    - 선택적으로 6.5·10-6K-1이상인 열팽창계수를 갖고, 가능하게는 비접착성 또는 방부식 코팅으로 피복된 내측부분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물질은 어떠한 내측부분도 포함하지 않고, ec/eE=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물질은 9·10-6K-1내지 14·10-6K-1의 열팽창 계수를 갖고,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 사이에 삽입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층으로 구성되는 내측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분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12% ≤ Cr ≤ 25%
    C ≤ 0.03%
    Si ≤ 0.5%
    0.1% ≤ Mn ≤ 0.5%
    Al ≤ 0.5%
    Ti ≤ 1%
    Mo ≤ 2%
    V ≤ 2%
    Nb ≤ 1%
    을 으로 구성되고, 밸런스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물질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되고, 30 내지 350 ℃의 퀴리온도를 갖는 강자성 합금층으로 구성된 내측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분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된강자성 합금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자성 합금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32.5% ≤ Ni ≤ 72.5%
    5% ≤ Cr ≤ 18%
    0.1% ≤ Mn ≤ 0.5%
    C ≤ 1%
    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는 Mo, V, Co, Cu, Si, W, Nb, 및 Al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원소의 총 함량은 10 % 이하이고, 밸런스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이고, 화학적 조성은 하기의 관계식:
    Cr-1.1Ni + 23.25 ≤ 0%
    45Cr +11Ni ≤ 1360
    Ni ≥ 37.5 라면, Ni + 3Cr ≥ 60%
    Ni ≤ 37.5 라면, Cr ≥ 7.5
    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분은 47 내지 55%의 니켈, 7 내지 13%의 크롬 및 0 내지 8%의 코발트 및/또는 구리를 포함하고, 220 내지 290 ℃의 퀴리온도를 갖는 강자성 합금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층물질(it)은 16 내지 21%의 크롬 및 0.4 내지 0.6% 티타늄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16 내지 21%의크롬, 0.6 내지 1.5%의 몰리브덴 및 0.3 내지 0.7% 니오븀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으로 구성되는 내측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분은 상기 외측부분의 강자성 합금의 퀴리온도를 초과하는 퀴리온도를 갖고, 10·10-6내지 14·10-6K-1의 열팽창계수를 갖고, 상기 코어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생선 또는 육류와 같은 식품을 조리 또는 프라이(fry)를 하기 위한 조리용 용기.
  8.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분은 44 내지 47%의 니켈 및 12 내지 15%의 크롬을 포함하고, 110 내지 160 ℃의 퀴리온도를 갖는 강자성 합금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층물질(it)은 19 내지 21%의 크롬 및 0.4 내지 0.6%의 티타늄을 포함하고, 외측부분의 강자성 합금의 퀴리온도를 초과하는 퀴리온도를 갖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으로 구성되는 내측부분을 포함하고, 코어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또는 과일과 같은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용 용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분은 47,5 내지 60% 니켈, 9 내지 15%의 크롬 및 0 내지 8%의 코발트 및/또는 구리를 포함하고, 100 내지 260 ℃의 퀴리온도를 갖으며, 0.15 내지 1.5mm의 두께 eE를 갖는 강자성 합금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층물질(it)은 1 내지 9 mm의 두께를 갖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또는 육류와 같은 식품을 조리 또는 보온하기 위한 조리용 용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측벽은 상기 용기의 밑면에서의 다층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 30 내지 350 ℃의 퀴리온도 및 6.5·10-6K-1이상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자성 합금층으로 구성되고,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32.5% ≤ Ni ≤ 72. 5%
    5% ≤ Cr ≤ 18%
    0.1% ≤ Mn ≤ 0.5%
    C ≤ 1%
    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는 Mo, V, Co, Cu, Si, W, Nb, 및 Al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원소의 총 함량은 10 % 이하이고, 밸런스는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이고, 화학적 조성은 하기의 관계식:
    Cr-1.1Ni + 23.25 ≤ 0%
    45Cr +llNi ≤ 1360
    Ni ≥ 37. 5 라면, Ni + 3Cr ≥ 60%
    Ni ≤ 37.5 라면, Cr ≥ 7.5
    을 더 만족하고,
    상기 층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되는 제 1 외부층, 그리고
    -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코어, 및
    - 선택적으로 제 1 외부층의 반대면상에, 6.5·10-6K-1이상인 열팽창계수를 갖고, 가능하게는 비접착성 또는 방부식 코팅으로 피복된 제 2 외부층을 포함하는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물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층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되고, 14·10-6K-1미만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층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12% ≤ Cr ≤ 25%
    C ≤ 0.03%
    Si ≤ 0.5%
    0.1% ≤ Mn ≤ 0. 5%
    Al ≤ 0.5%
    Ti ≤ 1%
    Mo ≤ 2%
    V ≤ 2%
    Nb ≤ 1
    을 포함하고, 밸런스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물질(it)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되고, 30 내지 350 ℃의 퀴리온도를 갖는 제 2 외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층은 선택적으로 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층에 삽입된 강자성 합금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합금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퍼센트로:
    32.5% ≤ Ni ≤ 72.5%
    5% ≤ Cr ≤ 18%
    0.1% ≤ Mn ≤ 0.5%
    C ≤ 1%
    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는 Mo, V, Co, Cu, Si, W, Nb, 및 Al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원소의 총 함량은 10 % 이하이고, 밸런스는 철 및 제련으로 인한 불순물이고, 화학적 조성은 하기의 관계식:
    Cr-1.1Ni + 23.25 ≤ 0%
    45Cr + llNi ≤ 1360
    Ni ≥ 37. 5 라면, Ni + 3Cr ≥ 60%
    Ni ≤ 37.5 라면, Cr≥ 7.5
    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047008168A 2001-11-30 2001-11-30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및 다층 물질 물품 KR100774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1/013990 WO2003045208A1 (en) 2001-11-30 2001-11-30 Cooking vessel comprising a base made of a multilayer material and a side wall, and article of multilayer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445A true KR20040073445A (ko) 2004-08-19
KR100774396B1 KR100774396B1 (ko) 2007-11-08

Family

ID=816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168A KR100774396B1 (ko) 2001-11-30 2001-11-30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및 다층 물질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35428B2 (ko)
EP (1) EP1455622B1 (ko)
JP (1) JP4468698B2 (ko)
KR (1) KR100774396B1 (ko)
CN (1) CN1242715C (ko)
AT (1) ATE306840T1 (ko)
AU (1) AU2002221910A1 (ko)
DE (1) DE60114251T2 (ko)
ES (1) ES2251442T3 (ko)
WO (1) WO2003045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3019B1 (fr) * 2001-11-30 2004-09-10 Imphy Ugine Precision Alliage ferromagnetique pour la cuisson par induction
EP1802456A1 (en) * 2004-10-08 2007-07-04 Bialetti Industrie S.P.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tainer as a pot, a pan or the like, and container so manufactured
EP1975269A1 (fr) * 2007-03-30 2008-10-01 Imphy Alloys Alliage austenitique fer-nickel-chrome-cuivre
ATE515222T1 (de) * 2008-05-08 2011-07-15 Electrolux Home Prod Corp Induktionskoch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temperatur in kochutensilien
FR2938416B1 (fr) 2008-11-19 2012-09-21 Frima Sa Appareil de cuisson comprenant un materiau multicouche et un element chauffant a couche epaisse.
CN101843432A (zh) * 2009-03-23 2010-09-29 赵喜安 做饭菜不煳的电磁饭锅
JP5555697B2 (ja) * 2009-06-11 2014-07-23 株式会社Neomaxマテリアル 高温用バイメタル
DE102010009136B4 (de) * 2010-02-23 2014-03-20 KSF Grillgeräte GmbH Vorrichtung zum Erwärmen von Flüssigkeiten
ITVR20100210A1 (it) * 2010-11-12 2012-05-13 Tvs Spa Contenitore per la cottura di cibi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CN102349788A (zh) * 2011-09-01 2012-02-15 解叶峰 适用电磁炉的锅具结构及其表面处理方法
UA111115C2 (uk) 2012-04-02 2016-03-25 Ейкей Стіл Пропертіс, Інк. Рентабельна феритна нержавіюча сталь
JP5928164B2 (ja) * 2012-06-01 2016-06-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Ih調理器で使用される調理器具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れを用いた調理器具
CN103072328A (zh) * 2012-11-20 2013-05-01 无锡常安通用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铝铜钛结合金属组件及其制作方法
FR2998775B1 (fr) * 2012-12-05 2015-04-24 Seb Sa Article culinaire muni d'un fond comportant un materiau a bas point de curie
RU2655501C2 (ru) * 2014-03-14 2018-05-28 Аперам Железо-никелевый сплав с улучшенной свариваемостью
FR3025807B1 (fr) 2014-09-15 2016-10-14 Ferry Capitain Alliage de fonte, piec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s
FR3028405B1 (fr) * 2014-11-14 2016-11-25 Seb Sa Recipient de cuisson muni d'un dispositif magnetique de mesure de la temperature
USD763618S1 (en) 2015-03-06 2016-08-16 Atlantic Promotions Inc. Cooking pan
CN105326403A (zh) * 2015-09-25 2016-02-1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锅具、电磁加热系统的控温方法及家用电器
USD834875S1 (en) 2016-06-13 2018-12-04 Atlantic Promotions Inc. Cooking pan
CN108347796A (zh) * 2017-01-25 2018-07-31 深圳市鑫汇科股份有限公司 一种低温烹饪用的电磁感应加热炊具
DE102017202168A1 (de) 2017-02-10 2018-08-16 Wmf Group Gmbh Kochgeschirr mit verbesserter Sandwichbauweise und verringerter Bodenbewegung sowie Herstellverfahren und Verwendung
DE102017114956A1 (de) * 2017-07-05 2019-01-10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ochstelle eines Induktionskochfelds mit einem Kochgeschirr
CN110811297A (zh) * 2019-11-20 2020-02-21 中惠创智(深圳)无线供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防干烧的炊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3096A (en) * 1935-01-11 1936-09-01 Int Nickel Co Cladded cooking utensil
US2524263A (en) * 1944-03-04 1950-10-03 Sylvania Electric Prod Composite metal insert
US3505028A (en) * 1968-03-08 1970-04-07 Du Pont Material of construction for exhaust manifold reactor inner chamber
FR2453627A1 (fr) * 1979-04-10 1980-11-07 Equipinox Equip Acier Inoxydab Ustensile de cuisine a fond composite
JPS603693U (ja) * 1983-06-20 1985-01-11 株式会社日本アルミ 電磁調理器用鍋
US4646935A (en) * 1985-01-18 1987-03-03 Clad Metals, Inc. Induction cooking utensils
US4705727A (en) * 1985-10-11 1987-11-10 Pfizer Inc. Composite material for induction heating
JPH02504591A (ja) * 1987-08-24 1990-12-27 フィスラー ゲーエムベーハー 調理用具
US4994903A (en) * 1989-12-18 1991-0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 substrate and circuit using the substrate
FR2689748B1 (fr) * 1992-04-10 1996-06-07 Seb Sa Procede pour limiter la temperature d'un corps chauffe au moyen d'un foyer a induction; corps et notamment recipients culinaires s'y rapportant.
DE59407882D1 (de) * 1994-03-18 1999-04-08 Clad Lizenz Ag Mehrschichtiger, kaltverformbarer und tiefziehfähiger Verbundkörper aus Metall
FR2786504B1 (fr) * 1998-12-01 2001-01-05 Imphy Sa Recipient culinaire pour chauffage par induction et alliage pour realiser un tel recipient
FR2833019B1 (fr) * 2001-11-30 2004-09-10 Imphy Ugine Precision Alliage ferromagnetique pour la cuisson par induction
FR2836156B1 (fr) * 2002-02-15 2005-01-07 Imphy Ugine Precision Alliage magnetique doux pour blindage magne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4251D1 (de) 2006-03-02
JP2005510274A (ja) 2005-04-21
US7335428B2 (en) 2008-02-26
CN1242715C (zh) 2006-02-22
EP1455622B1 (en) 2005-10-19
US20050064219A1 (en) 2005-03-24
ES2251442T3 (es) 2006-05-01
AU2002221910A1 (en) 2003-06-10
ATE306840T1 (de) 2005-11-15
DE60114251T2 (de) 2006-07-13
JP4468698B2 (ja) 2010-05-26
KR100774396B1 (ko) 2007-11-08
CN1558736A (zh) 2004-12-29
EP1455622A1 (en) 2004-09-15
WO2003045208A1 (en) 200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396B1 (ko) 다층 물질로 만들어진 밑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용 용기, 및 다층 물질 물품
US6214401B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eating and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JP2010229549A (ja) 電磁誘導加熱調理のための強磁性合金
US7495196B2 (en) Food cooking or warming apparatus with self-regulating inductor
JPH02504591A (ja) 調理用具
JP2005510274A5 (ko)
JP2005510626A5 (ko)
JP2003339549A (ja) 調理用鍋及び鍋の製造方法
JP4295232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容器
RU2276572C2 (ru) Емкость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меющая основан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многослой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боковую стенку, и изделие, изготовленное из многослой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08036442A (ja) 多層材料から作製される基部および側壁を含む調理容器、および多層材料の物品
JP3956900B2 (ja) 誘導加熱用クラッド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62106A (ja) 電磁調理器用調理器具
JPH10125453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の被加熱調理具
Waeckerlé et al. New alloys and multilayer configuration of them to get self-regulated temperature cookware (SRTC) in induction heating
Pal et al. Selection of Pan Material-A Tool to Improve Output Heating 1 Response of Hybrid Resonant Inverter Fed Four Zones 2 Induction Cooker 3
KR101552609B1 (ko) 조리용기
JPH0582250A (ja) 電磁調理器用調理用具
CN110811297A (zh) 一种防干烧的炊具
JP2002219050A (ja) 誘導発熱材と、それを使用する誘導加熱容器
JPH07307195A (ja) 電磁調理器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