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349A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349A
KR20040073349A KR1020040008910A KR20040008910A KR20040073349A KR 20040073349 A KR20040073349 A KR 20040073349A KR 1020040008910 A KR1020040008910 A KR 1020040008910A KR 20040008910 A KR20040008910 A KR 20040008910A KR 20040073349 A KR20040073349 A KR 20040073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ight
vehicle
emitting element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078B1 (ko
Inventor
다츠카와마사시
이시다히로유키
사즈카기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07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광 패턴을 적절히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리 정해진 조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미리 설정된 직선에 대하여 한 변을 맞춤으로써, 대략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와, 미리 설정된 직선의 위에 광학적 중심을 가지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발생하는 빛을 조사 방향으로 조사하는 광학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직선에 대하여 한 변을 맞춤으로써,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직선에 맞춰진 한 변의 근방에서 반도체 발광 소자가 발생하는 빛에 기초하여 광학 부품은 차량용 전조등의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명암 경계를 정하는 커트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해도 좋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VEHICULAR HEADLAMP}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조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안전상의 관점에서 높은 정밀도로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배광 패턴은 예컨대 반사경 또는 렌즈 등을 이용한 광학계에 의해 형성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최근 차량용 전조등에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공개 평6-89601호 공보(3 내지 7 페이지, 도 1 내지 14)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는 충분한 광량을 얻기 위해서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하는 방법이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광학계 설계의 복잡화에 의해 적절한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독립항에 기재한 특징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종속항은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구체예를 규정한다.
도 1은 차량용 등기구(4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광원 유닛(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광원 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광원(1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배광 패턴(302)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광원(120)의 상세한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광원(12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광원(120)의 AA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광원 유닛(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광원 유닛(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광원 유닛(100)의 BB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광원 유닛(100)의 AA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용 등기구
102: 반도체 발광 소자
104: 렌즈
106: 기판
108: 투광 부재
110: 지지 부재
112: 차광 부재
114: 부착 부재
116: 직선
118: 직선
120: 광원
122: 플러스 전극
124: 마이너스 전극
202: 표면
204: 걸림부
206: 걸림부
208: 볼록부
210: 변
212: 변
214: 변
302: 배광 패턴
304: 영역
306: 경계
314: 반사경
316: 지지 부재
318: 반사경
400: 차량용 등기구
402: 투명 커버
404: 램프 본체
즉,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조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미리 설정된 직선에 대하여 한 변을 맞춤으로써 대략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와, 미리 설정된 직선의 위에 광학적 중심을 가지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발생하는 빛을 조사 방향으로 조사하는 광학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직선에 대하여 한 변을 맞춤으로써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직선에 맞춰진 한 변의 근방에서 반도체 발광 소자가 발생하는 빛에 기초하여 광학 부품은 차량용 전조등의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명암 경계를 정하는 커트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직선형의 한 변을 갖는 부착 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직선에 맞춰야 하는 한 변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설치된 걸림부를 각각 가지고, 부착 부재에 있어서의 직선형의 한 변에 걸림부를 걸어 부착되어도 좋다.
또 상기한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의 전부를 열거한 것이 아니라, 이들 특징군의 소결합(subcombination)도 발명이 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또 실시예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4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차량용 등기구(400)는 예컨대, 차량의 전방의 미리 정해진 조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로우빔 조사용의 차량용 전조등(헤드 램프)이다. 본 예의 차량용 등기구(400)는 차량용 전조등의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명암 경계를 정하는 커트라인을 명확히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용 등기구(400)는 투명 형상의 투명 커버(402)와 램프 본체(404)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복수의 광원 유닛(100)을 대략 가로 일렬로 수용한다.
이들 광원 유닛(100)은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구성을 가지고, 광축을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량용 등기구(400)를 차체에 부착한 경우에 0.3∼0.6°정도 하향이 되도록 등실(등실) 내에 수용되어 있다. 차량용 등기구(400)는 이들 광원 유닛(100)이 조사하는 빛에 기초하여 차량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차량용 등기구(400)는 각각 다른 배광 특성을 갖는 복수의 광원 유닛(100)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도 2 및 도 3은 광원 유닛(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광원 유닛(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한 수직면에 의한 광원 유닛(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의 광원 유닛(100)은 광원(120)이 발생하는 빛을 렌즈(104)에 의해 전방에 조사하는 프로젝터형의 광원 유닛이며, 지지 부재(110), 차광 부재(112), 광원(120), 및 렌즈(104)를 갖는다.
지지 부재(110)는 표면을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표면 위에 광원(120)의 저면을 지지하여 고정함으로써 광원(120)을 차량의 전방을 향해서 발광시키는 판형체이다. 본 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11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고, 광원(120)이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의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광원(120)의 광도가 열에 의해 저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차광 부재(112)는 광원(120)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지지 부재(110)의 표면과 대향하여 설치된 판형체이며, 광원(120)의 일부를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덮는 것에 의해 광원(120)이 발생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한다.
본 예에 있어서, 차광 부재(112)는 광원(120)이 발생하는 빛의 일부를 상부 가장자리에 있어서 가로막음으로써 상기 상부 가장자리의 정면 방향으로의 투영 형상에 기초하여 렌즈(104)에 입사하는 빛의 명암 경계를 규정한다. 상기 투영 형상은 예컨대,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직선형이다. 상기 투영 형상은 대략 글자형이라도 좋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차광 부재(112)의 상면에서 본 형상은 중앙에 있어서 후방으로 만곡하면서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광원 유닛(100)을 횡단하는 형상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차광 부재(112)의 하단은 지지 부재(110)의 하단과접속되어 있고, 차광 부재(112)와 지지 부재(110)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차광 부재(112)는 광원(120)이 발생하는 열을 지지 부재(110)로부터 수취한다. 이것에 의해, 차광 부재(112)는 상기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의 기능을 갖는다.
광원(120)은 부착 부재(114), 및 부착 부재(114)를 이용하여 대략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차광 부재(112)의 상부 가장자리에 따라서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적인 직선(116)에 대하여 하단의 한 변을 맞춤으로써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렌즈(104)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a 내지 e)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치된 광학 부품의 일례이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에 대하여 차량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가 발생하는 빛을 투과함으로써 상기 빛을 차량 전방의 조사 방향으로 조사한다.
또한, 렌즈(104)는 직선(116)의 위에, 예컨대 초점 또는 광학 설계상의 기준점 등인 광학적 중심(F)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104)는 직선(116) 위를 차량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X축과, 반도체 발광 소자(102c)에서의 하단의 한 변의 중심을 지나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Y축과의 교점 위에 광학적 중심(F)을 갖는다. 이 경우, 렌즈(104)는 직선(116)에 대응하는 명확한 명암 경계를 전방에 투영한다. 렌즈(104)는 예컨대, 직선(116)에 맞춰진 하단의 한 변의 근방에서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가 발생하는 빛에 기초하여 차량용 등기구(400)(도 1 참조)의 배광 패턴의 커트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차량용 등기구(400)는 명확한 커트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트라인의 형성에 필요한 정밀도에 따라서 렌즈(104)는 광학적 중심(F)을 직선(116)의 위에서의 상기 정밀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범위 중에 가져도 좋다. 또한, 렌즈(104)는 광학적 중심(F)을 직선(116)의 대략 위에 설치된 차광 부재(112)의 상부 가장자리 근방에 가져도 좋다.
도 4 및 도 5는 광원(120)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광원(1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광원(120)에 포함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예의 광원(120)은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선형 광원이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 기판(106), 투광 부재(108), 및 부착 부재(114)를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 광원(120)은 반도체 발광 소자(102)에 있어서의 배열 방향으로 연신하는 변(210)이 하단의 변이 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110)(도 2 참조)에 부착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120)은 변(210)이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상단의 변이 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110)에 부착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렌즈(104)(도 2 참조)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표면(202)에 있어서의 변(210)의 대변인 변(214)을 포함하는 가상적인 직선(118) 위에 광학적 중심(F)(도 2 참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소자이며, 기판(106) 위에 대략 등간격으로 소정의 배열 방향으로 대략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다. 반도체 발광 소자(a 내지 e)는 예컨대, 표면 위에 설치된 형광체(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자외광을 조사함으로써 형광체에 백색광을 발광시킨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는 형광체에 청색광을 조사함으로써 형광체에 그 청색광의 보색인 황색광을 발생시키더라도 좋다. 이 경우, 광원(120)은 반도체 발광 소자 및 형광체가 각각 발생하는 청색광 및 황색광에 기초하여 백색광을 발생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플러스 전극(122) 및 마이너스 전극(124)을 각각 표면 위에 갖는다. 플러스 전극(122) 및 마이너스 전극(124)의 각각은 반도체 발광 소자(102) 내의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도시하지 않음)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빛을 발생하기 위한 전력을 수취한다. 플러스 전극(122) 및 마이너스 전극(124)은 예컨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가 나란히 늘어서는 배열 방향과 대략 수직한 변의 근방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플러스 전극(122) 또는 마이너스 전극(124)의 형상이 커트라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광원(120) 중에 설치된 배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 광원(120)을 광원(120)에 공급하여야 할 전압을 저감할 수 있다.
기판(106)은 상면에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 및 부착 부재(114)를 얹어 고정한다. 투광 부재(108)는 예컨대 투명 수지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가 발생하는 빛을 투과하는 소재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 및 부착 부재(114)를 사이에 두고 기판(106)과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밀봉한다.
부착 부재(114)는 직선형의 변(212)을 갖는 판형체이다. 변(212)은 렌즈(104)의 광학적 중심(F)을 포함하는 가상적인 직선(116)과 대략 평행이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부착해야 하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하,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에 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의 각각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210)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d)를 이격한 위치에 그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설치된 걸림부(204)를 각각 갖는다. 변(210)은 반도체 발광 소자(102)에 있어서의 직선(116)에 맞춰야 하는 변이다.
그리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부착 부재(114)의 변(212)에 각각의 걸림부(204)를 걸어 부착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한 변(210)을 직선(116)에 높은 정밀도에 맞춰서 배치된다. 그 때문에, 본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높은 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차량용 등기구(400)(도 1 참조)는 명확한 커트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부(204)는 고저차의 경계가 변(210)과 대략 평행한 단차이며,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이면에 설치된 볼록부(208)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204)는 변(210)으로부터 거리(d)를 이격한 위치로서,변(210)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측면으로부터 거리(d)를 이격한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볼록부(208)는 예컨대,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이면에서의 볼록부(208) 이외의 부분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걸림부(204)를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높은 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볼록부(208)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의 이면에 금속을 증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고, 반도체 발광 소자(102)에 이면에 다른 반도체부재를 서로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이들 경우도 걸림부(204)를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광원 유닛(100)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302)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배광 패턴(302)은 광원 유닛(100)의 전방 25m의 위치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상에 형성되는 로우빔 배광 패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104)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도 2 참조)가 발생하는 빛을 가상 수직 스크린상에 투영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갖는 배광 패턴(302)을 형성한다. 렌즈(104)는 차광 부재(112)(도 2 참조)의 상부 가장자리 형상에 기초하여 배광 패턴(302)의 커트라인을 형성한다. 렌즈(104)는 예컨대, 반도체 발광 소자(102c)가 발생하는 빛을 배광 패턴(302)의 일부인 영역(304)에 조사한다. 이 경우, 렌즈(104)는 가상적인 직선(116)상에 맞춰진 반도체 발광 소자(102c)의 하단의 변에 대응하여 배광 패턴(302)의 커트라인상에 영역(304)의 경계(306)를 형성해도 좋다.
여기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104)는 광학적 중심(F)을 직선(116)의 위에 갖는다. 이 경우, 렌즈(104)는 배광 패턴(302)의 대략 중심에 있어서의 핫 존 근방에 경계(306)를 명확히 투영한다. 이에 따라, 배광 패턴(302)의 커트라인을 명확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렌즈(104)는 예컨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102b, 102d 및 102e)의 하단의 변에 대응하여 배광 패턴(302)의 커트라인상에 있어서의 경계(306) 이외의 부분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이들 하단의 변은 렌즈(104)의 초점면 내에 있기 때문에 배광 패턴(302)의 커트라인을 명확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량용 등기구(400)(도 1 참조)가 각각 다른 배광 특성을 갖는 복수의 광원 유닛(100)이 발생하는 빛에 기초하여 배광 패턴(302)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광원 유닛(100)은 배광 패턴(302)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역을 조사해도 좋다.
도 7은 광원(120)의 상세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06)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거는 걸림 부재로서 이용된다. 기판(106)은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06)를 가지고, 걸림부(206)에 있어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의 각각의 한 변을 건다.
이 경우도,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한 변(210)을 가상적인 직선(116)에 높은 정밀도에 맞춰서 배치된다. 그 때문에, 본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높은 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차량용 등기구(400)(도 1 참조)는 명확한 커트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점에 관해서, 도 7에 있어서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은 도 4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광원(120)의 상세한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광원(12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광원(120)의 AA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에 있어서,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반도체 발광 소자(102)와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06)은 원반형체이다. 또한, 부착 부재(114)는 기판(106)의 상면의 원에 있어서의 직경을 포함하는 가상적인 직선(116)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된 직선(116)과 평행한 변(212)을 가지고, 변(212)에 있어서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의 걸림부(204)(도 5참조)를 건다. 이에 따라, 부착 부재(114)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의 변(210)을 직선(116)에 맞춘 위치에 유지한다. 이 경우도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높은 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직선(116)에 대하여 각각의 변(210)을 정렬하여 대략 일렬로 배치된다.
또한, 투광 부재(108)는 이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반구형체이다. 여기서, 중앙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c)의 변(210)은 상기 원의 중심(O)의 위에 배치된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 소자(102c)는 변(210)의 근방에서 발생하는 빛을투광 부재(108)의 표면에 대하여 전반사되지 않는 적절한 각도로 조사한다. 그 때문에, 투광 부재(108)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가 발생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외부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점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은 도 4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기판(106)과 같이 기판(106)이 걸림부(206)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부착 부재(114)를 이용하지 않고서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높은 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광원 유닛(100)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광원 유닛(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한 수직면에 의한 광원 유닛(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 유닛(100)은 차광 부재(112)(도 2 참조)를 이용하지 않고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가 발생하는 빛을 직접에 렌즈(104)에 입사시킨다.
여기서, 광원(120)은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광원(120)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을 갖는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가상적인 직선(116)에 맞춰진 변(210)을 하측으로 하여 고정된다. 광원(120)은 도 4 또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광원(120)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 및 구성을 가져도 좋다.
또한, 렌즈(104)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c)의 변(210)의 위에 광학적 중심(F)을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 렌즈(104)는 직선(116) 위를 차량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X축과, 반도체 발광 소자(102c)에서의 하단의 한 변의 중심을 지나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Y축과의 교점상에 광학적 중심(F)을 갖는다. 이 경우, 렌즈(104)는 이 변(210)의 근방의 상을 투영함으로써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커트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본 예의 광원 유닛(100)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배광 패턴(302)의 적어도 일부와 같은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렌즈(104)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c)가 발생하는 빛을 배광 패턴(302)의 일부인 영역(304)에 조사한다. 이 경우, 렌즈(104)는 반도체 발광 소자(102c)의 변(210)에 대응하여 배광 패턴(302)의 커트라인상에 영역(304)의 경계(306)를 형성한다. 렌즈(104)는 변(210)을 포함하는 단부면으로부터 반도체 발광 소자(102c)가 발생하는 빛을 투영함으로써 경계(306)를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등기구(400)(도 1 참조)는 각각 다른 배광 특성을 갖는 복수의 광원 유닛(100)이 발생하는 빛에 기초하여 배광 패턴(302)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이외의 점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은 광원 유닛(100)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광원 유닛(100)의 BB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광원 유닛(100)의 AA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의 광원 유닛(100)은 광축 근처에 집광 반사시킨 빛을렌즈를 통해 전방에 조사하는 프로젝터형의 광원 유닛이며, 지지 부재(316), 광원(120), 반사경(318), 렌즈(104), 및 반사경(314)을 갖는다.
지지 부재(316)는 상면이 대략 수평인 판형체이며, 상면에 광원(120)의 저면을 얹어 고정한다. 광원(120)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316)의 상면에 상향으로 고정된다. 광원(120)은 도 4 또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광원(120)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 및 구성을 갖는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는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적인 직선(116)에 대하여 전단의 한 변을 맞춤으로써 대략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광원(120)은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광원(120)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모양의 기능을 가져도 좋다.
반사경(318)은 대략 수평인 상면에서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이며, 지지 부재(316)의 전단과 렌즈(104)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반사경(318)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를 대략 포함하는 면내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광원(120)이 발생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렌즈(104)에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경(318)의 앞 가장자리는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대략 직선형이다. 상기 앞 가장자리는 예컨대 대략 글자형 등의 형성해야 할 커트라인에 따른 형상이어도 좋다.
렌즈(104)는 반사경(318) 및 반사경(314)에 대하여 차량 전방에 설치되고, 반사경(318) 또는 반사경(314)이 반사하는 빛을 투과하여 전방의 조사 방향으로 조사한다. 본 예에 있어서, 렌즈(104)는 반사경(318)의 앞 가장자리 근방에 초점을가지고, 이 초점을 포함하는 초점면의 상을 차량 전방에 투영함으로써 차량용 등기구(400)(도 1 참조)의 배광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렌즈(104)는 반사경(318)의 앞 가장자리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배광 패턴의 커트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반사경(314)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a 내지 e)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치된 광학 부품의 일례의 반사경이며, 광원(120)의 후방, 측방, 및 상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반사경(314)은 광원(120)이 발생하는 빛을 전방에 반사함으로써 렌즈(104)에 입사시키고, 렌즈(104)에 상기 빛을 조사 방향으로 조사시킨다. 이에 따라, 반사경(314)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가 발생하는 빛을 조사 방향으로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경(314)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복합 타원면 등에 의해 형성된 대략 타원 구면형이다. 그리고, 이 대략 타원 구면은 광원 유닛(100)의 광축을 포함하는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형의 적어도 일부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대략 타원형의 이심율(離心率)은 수직 단면으로부터 수평 단면을 향해서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광원 유닛(100)은 렌즈(104)의 대략 중심을 통과하여 차량 대략 전방을 향하는 광축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경(314)의 대략 타원 구면형 부분은 직선(116)의 위에 광학적 중심의 일례인 초점(F1)을 가지고, 반사경(318)의 전단 근방에 초점(F2)을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 이 대략 타원 구면형 부분은 직선(116) 위를 차량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X축과, 반도체 발광 소자(102c)에서의 전단의 한 변의 중심을 지나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Y축과의 교점상에 초점(F1)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대략 타원 구면형의 부분은 광원(120)이 발생하는 빛의 적어도 대부분을 반사경(318)의 앞 가장자리 근방에 집광한다.
이 경우, 상기 앞 가장자리 근방에는 앞 가장자리 형상에 기초하는 명확한 명암 경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앞 가장자리 근방에 초점을 갖는 렌즈(104)는 배광 패턴의 커트라인 근방에 명확한 명암 경계를 갖는 빛을 조사한다. 그 때문에, 본 예에 따르면 명확한 커트라인을 갖는 배광 패턴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경(314)의 대략 타원 구면형 부분이 광학적 중심을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의 전단이 정렬된 직선(116)의 위에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대략 타원 구면형의 부분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2a 내지 102e)가 발생하는 빛의 적어도 대부분을 반사경(318)을 통하지 않고 직접 렌즈(104)에 입사시키기 때문에 커트라인 근방을 보다 적절히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경(314)은 직선(116)의 근방에 초점을 갖는 포물면형의 반사경이라도 좋다. 이 경우, 광원 유닛(100)은 포물면(파라볼라)형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빛을 전방에 조사하는 파라볼라형의 광원 유닛이어도 좋고, 렌즈(104) 대신에 예컨대 투명 형상의 투명 커버를 갖는다. 이 경우도, 광원 유닛(100)은 높은 정밀도로 제어된 빛을 전방에 조사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광 패턴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Claims (4)

  1. 미리 정해진 조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미리 설정된 직선에 대하여 한 변을 맞춤으로써 대략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와,
    상기 미리 설정된 직선의 위에 광학적 중심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발생하는 빛을 상기 조사 방향으로 조사하는 광학 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상기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상기 직선에 대하여 상기 한 변을 맞춤으로써 상기 차량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직선에 맞춰진 상기 한 변의 근방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가 발생하는 빛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부품은 상기 차량용 전조등의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명암 경계를 정하는 커트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3. 제1항에 있어서, 직선형의 한 변을 갖는 부착 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상기 직선에 맞춰야 하는 상기 한 변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설치된 걸림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부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직선형의 한 변에 상기 걸림부를 걸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한 변을 거는 걸림 부재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040008910A 2003-02-13 2004-02-11 차량용 전조등 KR100544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5254A JP4369668B2 (ja) 2003-02-13 2003-02-13 車両用前照灯
JPJP-P-2003-00035254 2003-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349A true KR20040073349A (ko) 2004-08-19
KR100544078B1 KR100544078B1 (ko) 2006-01-23

Family

ID=3267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910A KR100544078B1 (ko) 2003-02-13 2004-02-11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53009B2 (ko)
EP (1) EP1447617B1 (ko)
JP (1) JP4369668B2 (ko)
KR (1) KR100544078B1 (ko)
CN (1) CN100578075C (ko)
DE (1) DE60200402221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207B2 (ja) * 2003-04-21 2007-10-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2004349130A (ja) 2003-05-22 2004-12-09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4138586B2 (ja) * 2003-06-13 2008-08-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光源用led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JP2005044698A (ja) * 2003-07-24 2005-02-1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及び光源モジュール
JP4314911B2 (ja) * 2003-08-20 2009-08-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前照灯
JP4140042B2 (ja) * 2003-09-17 2008-08-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蛍光体を用いたled光源装置及びled光源装置を用いた車両前照灯
JP4402425B2 (ja) * 2003-10-24 2010-01-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前照灯
DE102004036157B4 (de) * 2004-07-26 2023-03-16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magnetische Strahlung emittierend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Leuchtmodul
JP4289268B2 (ja) * 2004-10-04 2009-07-0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US7419839B2 (en) 2004-11-12 2008-09-02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Bonding an optical element to a light emitting device
US7712948B2 (en) * 2005-02-02 2010-05-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source module and holder therefor
US20060291214A1 (en) * 2005-06-23 2006-12-28 Thomas Tessnow Replaceable vehicle lamp with LED light sources
WO2007057818A2 (en) 2005-11-17 2007-05-24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directing light
JP4805776B2 (ja) 2006-09-26 2011-11-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発光モジュール
JP5731731B2 (ja) * 2007-04-18 2015-06-1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JP5033530B2 (ja) 2007-07-27 2012-09-2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
US9263651B2 (en) * 2007-09-20 2016-02-16 Koninklijke Philips N.V. Collimator
DE102007063542B4 (de) * 2007-12-21 2010-09-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5152502B2 (ja) * 2008-06-09 2013-02-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灯具
US8233115B2 (en) * 2008-07-25 2012-07-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at panel display assembly with improved luminance uniform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JP5097653B2 (ja) * 2008-09-09 2012-12-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灯具
WO2010150459A1 (ja) * 2009-06-23 2010-12-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発光モジュール
JP5831751B2 (ja) * 2011-11-16 2015-12-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5909419B2 (ja) * 2012-07-24 2016-04-2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
DE102012221908A1 (de) * 2012-11-29 2014-06-05 Osram Gmbh Leuchtmodul für eine Fahrzeug-Leuchtvorrichtung mit Halbleiterlichtquelle
DE102014100727B4 (de) * 2014-01-23 2023-09-21 HELLA GmbH & Co. KGaA Verfahren zur Grundeinstellung eines Scheinwerfers
DE102017105027A1 (de) 2017-03-09 2018-09-1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lichtmodul
AT520488B1 (de) * 2017-10-04 2019-07-15 Zkw Group Gmbh Fahrzeugscheinwerfer
DE102018107213A1 (de) * 2018-03-27 2019-10-02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EP3789665B1 (en) * 2018-05-03 2024-04-24 YLX Incorporated Headligh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91444B (en) * 1984-09-21 1987-02-27 Tungsram Rt,Hu Reflector lamp
JPH071804B2 (ja) * 1989-02-15 1995-01-11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素子アレイ光源
JPH0792423B2 (ja) * 1990-05-21 1995-10-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ヘッドライトの光軸調整方法
JP2787745B2 (ja) 1992-09-04 1998-08-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の反射鏡
JPH06151973A (ja) 1992-11-10 1994-05-31 Sharp Corp 光半導体装置
US6712481B2 (en) * 1995-06-27 2004-03-30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JPH11232912A (ja) 1998-02-16 1999-08-27 Pfu Ltd Led照明構造
JP3901404B2 (ja) * 1999-08-27 2007-04-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2001177156A (ja) 1999-12-14 2001-06-29 Koha Co Ltd 側面発光型ledランプ
DE10009782B4 (de) * 2000-03-01 2010-08-12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eines Fahrzeugs
DE10129743C2 (de) * 2001-06-20 2003-05-08 Daimler Chrysler Ag Fahrzeugscheinwerfer, mit einer Anzahl von elektronischen Leuchtelementen als Lichtquelle
DE10130809A1 (de) 2001-06-26 2003-01-02 Hella Kg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4431932B2 (ja) 2001-07-16 2010-03-1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灯具
JP3666494B2 (ja) 2003-04-23 2005-06-2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8075C (zh) 2010-01-06
EP1447617A3 (en) 2005-09-21
US7153009B2 (en) 2006-12-26
KR100544078B1 (ko) 2006-01-23
EP1447617B1 (en) 2009-07-29
US20040160772A1 (en) 2004-08-19
JP2004247151A (ja) 2004-09-02
EP1447617A2 (en) 2004-08-18
JP4369668B2 (ja) 2009-11-25
CN1526985A (zh) 2004-09-08
DE602004022212D1 (de)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078B1 (ko) 차량용 전조등
KR100544077B1 (ko) 차량용 전조등
CN107435884B (zh) 车辆用灯具
CN108474532B (zh) 车辆用灯具和基板
JP4047266B2 (ja) 灯具
KR100557719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0565911B1 (ko) 차량용 전조등
US7237935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vehicular lamp
US8465188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vehicle lamp
KR100544075B1 (ko) 차량용 등기구 및 광원 모듈
US20050162857A1 (en) Lamp unit for vehicle and illumination lamp for vehicle
EP2719941B1 (en) Vehicular headlamp comprising a projection lens
CN102213389A (zh) 车辆用前照灯
JP2010212089A (ja) 車両用灯具
JP5711558B2 (ja) 光学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EP2570715A2 (en) Vehicle headlamp
JP2013196902A (ja) 車両用前照灯
JP7101547B2 (ja) 車両用前照灯
JP2022121731A (ja) 車両用前照灯
CN118049615A (zh) 车辆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