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153A -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153A
KR20040072153A KR1020030008114A KR20030008114A KR20040072153A KR 20040072153 A KR20040072153 A KR 20040072153A KR 1020030008114 A KR1020030008114 A KR 1020030008114A KR 20030008114 A KR20030008114 A KR 20030008114A KR 20040072153 A KR20040072153 A KR 20040072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antihypertensive
blood pressure
composition
antihyperten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966B1 (ko
Inventor
유영효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포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포젠
Priority to KR10-2003-000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9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1)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다음 구조식(2)의 진세노사이드 Rh2가 함유된 항고혈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가 5 : 1 내지 1: 1의 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가 5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함유된 조성물은 고혈압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조식 1.
구조식 2.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Antihypertensive constituents of ginseng saponin}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1)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다음 구조식(2)의 진세노사이드 Rh2가 함유된 항고혈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가 5 : 1 내지 1: 1의 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가 5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함유된 조성물은 고혈압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조식 1.
구조식 2.
고혈압은 당뇨병, 동맥경화와 함께 성인병의 대표적인 질환중의 하나이기도 하며, 통계적인 조사에 의하면, 선진국 성인의 약 20%가 고혈압으로 고생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T.D. Giles, Lipid factors in the hypertension syndrome, J.Cardiovascular Risk, 4, 257-259 (1997).;G.M. Reaven, The kidney: an unwilling complice in syndrome X, Am. J.Kidney Diseases, 30, 928-931 (1997).]
이러한 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남성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뇌동맥경색이나 색전에 의한 허혈성 뇌동맥질환및 협심증, 심근경색, 심인성 급사등 허혈성 심질환,그리고 말초성 혈관질환 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의 항고혈압 제제로는 이뇨제, 중추성 교감신경 억제 약물, 신경절 봉쇄 약물 (α-수용체 봉쇄약물, β-수용체 봉쇄약물), 혈관확장제, 칼슘 저해제(calcium blocker)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장기 복용할 경우 무기력, 피로감, 불안감, 우울감, 수면장애등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항고혈압제의 개발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인삼 또는 홍삼 등 널리 복용되어 왔던 천연식품을 이용하여 항고혈압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인삼의 혈압에 대한 효과는 전통적인 한의학 분야 뿐 만 아니라 최근의 연구에 의해서도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한방분야에서 인삼의 혈압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혈압을 높인다는 설도 있고, 고혈압은 낮추고 저혈압은 높인다는 설도 있다. 또한 홍삼을 투여하면 용량 의존적으로 혈압강하 효과과 관찰된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Kang et al. 1994) 소량을 복용하면 혈압이 상승하고 대량을 복용하면 혈압을 낮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Shon et al. 1980, Kaku et al. 1975).
또한 인삼 또는 홍삼이 혈압을 낮춘다고 하는 연구결과에 있어서도 그 효과가 부족하여 인삼 또는 홍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고혈압을 치료하기에는에는 부족하다고 한다.
이와 같이 인삼 또는 홍삼을 이용한 항고혈압제는 고혈압에 대한 효과가 명확하지 않으며 또한 그 효과도 충분하지 못하여 단독으로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의 들은 부작용이 없으며 고혈압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우수한 의약품 및 식품 조성물을 발명하고자 오랜 연구를 한 결과, 진세노사이드Rg3와 진세노사이드 Rh2를 5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하여 투여할 경우 우수한 항고혈압 효과가 나타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5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함유된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를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경우 및 홍삼 또는 인삼을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경우보다 탁월한 항고혈압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고혈압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5 : 1 내지 1 : 1로 함유된 고혈압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속적으로 복용함으로써 고혈압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상기 우수한 항고혈압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이용한 드링크제, 정제, 환제, 캡슐제 및 주사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활성성분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5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항고혈압 효과를 발휘하여 고혈압 예방 또는 고혈압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2.5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함유된 것이다.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비율이 5 : 1 이상이거나 1 : 1 이하에서는 그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항고혈압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고혈압의 진행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는 성인에게 합계량으로, 1일 1 내지 10m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mg으로 투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일 1mg 이하로 복용할 경우 항고혈압효과가 부족하게 되고, 1일 10mg 이상 복용할 경우, 항고혈압효과 및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제조하여 상기 1일 복용량에 맞추어 1일 1회 내지 3회 정도로 분할하여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드링크제, 정제, 환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 제조하여 경구 복용할 수 있으며 또는 주사제로 제조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때, 각 제형에는 1일 투여횟수에 맞추어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합계량으로 1 내지 10mg이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제조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등이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안정제 등이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하거나 주사제로 제조하여 직접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시에 약제가 위산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방지하기 위하여 제산제를 병용하거나, 정제 등의 경구 투여용 고형 제제를 장용피로 피복한 제제로 제형화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를 5 : 1 내지 1 : 1의 비율로 조제하여 복용할 경우 그 효과가 우수할 뿐 만 아니라, 후술하는 실험결과로부터 입증되는 바와 같이 부작용이 없으며 실험동물에 대하여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진세노사이드 Rh2의 제조
(1) 당분해 효소액의 제조
3% 맥부와 1% 인삼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 국균(누룩균)을 넣어서 30℃에서 80시간 통풍배양을 한 후 원심분리기로 균체를 제거하고 70%의 에틸알콜 용액으로 효소단백을 침전시킨 다음 단백질을 수집하여서 배양액의 1/10 용량의 초산나트륨 용액(0.02M, pH5.0)에 녹이고 원심분리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효소액을 얻었다.
(2) 진세노사이드 Rh2의 제조
3g의 진세노사이드 Rd를 100ml 초산용액(0.02M, pH5.0)에 용해시킨 후 50ml의 상기 (1)에서 제조한 당분해 효소액을 넣은 후 40℃, 20시간 반응시켜 진세노사이드 F2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1/3용량의 부탄올을 넣고 사포닌을 3번 추출하여 감압하에서 증발하여 건조시켰다. 초산으로 진세노사이드 F2분자의 제 20 탄소 위치의 당기를 가수분해시켜서 진세노사이드 Rh2로 전환시켰다. 이를 실리카겔 칼럼분리법으로 분리하여 1.2g의 진세노사이드 Rh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진세노사이드 Rg3의 제조
인삼 또는 홍삼으로부터 알코올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분리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인삼조사포닌 6g을 50%초산 20ml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70℃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식혔다. 반응액을 증류수 200ml로 희석하고 n-부탄올100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여 포화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n-부탄올층을 감압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칼럼그로마토그라피(클로로포름: 에탄올 : 물 = 100 :30 :10, 하층 )으로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을 2.25g 얻었다.
[실험예1] 항고혈압 효과실험
대조군과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단독, 조성비 투여군 각각 8마리씩을 한 군으로 하여 항고혈압 효과실험을 하였다.
대조군은 고혈압이 발생된 SHR에 1% CMC (sodium carboxy methylcellulose, vehicle) 1 ㎖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단일, 조성비 투여군은 고혈압이 발생된 SHR에 표2의 함량을 1% CMC 1 ㎖에현탁시켜서 1일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심박동수(HR), 수축기혈압(BPs), 이완기혈압(BPd), 평균혈압(BPm)은 모든 군에서 마취를 시키지 않고 미압간접측정법.(tailcuff)방법을 이용하여 BP Monitor (MK-1000, Muromachi Kikai Co., LTD,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일주일에 한번씩 혈압을 측정하고, 적어도 같은 쥐에 대하여 5번 이상 측정하여 평균치를 취하였다. 각 군의 유의성은 스튜던트 티-테스트(Student's t-test)로 검정하였으며, p값이 0.05보다 작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하였다.
(1) SHR의 주령별 혈압측정
정상쥐의 혈압이 주령에 따라 얼마만큼 변화하는지를 보기 위하여 SHR의 혈압도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으며, 수치는 모두 평균±S.E.을 나타낸다.
SHR의 혈압(mmHg)
나이(주) 9.4 11.6 13 15 17
BPs 180.7±6.3 203.0±5.0 210.4±4.6 212.8±1.5 214.6±2.2
BPm 130.0±8.8 164.8±5.2 168.2±4.6 172.7±1.8 169.4±3.3
BPd 104.6±11.0 145.8±5.7 146.9±5.2 152.7±2.1 146.8±3.9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SHR의 경우, BPs가 13주에서 210.4mmHg, 15주에서 212.8mmHg 및 17주에서 214.6mmHg으로 13주령때부터 최고치의 혈압을 보여 주었다.
또한 평균혈압 (BPm)과 이완기혈압(BPd)도 13주령의 SHR에서 각각168.2mmHg, 146.9mmHg를 기록하였고 4주가 더 지난 17주령의 쥐에서는 각각 169.1mmHg, 146.8mmHg를 기록하여 거의 최고치 혈압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2)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혈압 강하 효과
최고치 혈압에 도달한 13주령의 SHR 8마리씩을 1군으로 하여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혈압강하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는 1% CMC를 투여하였고,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단일 투여군 및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를 혼합한 투여군은 표2의 비율로 제조한 시료를 0.1g/kg/day의 용량으로 1% CMC에 현탁시켜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여 혈압강하 효과를 측정하였다. 얻은 결과를 대조군에 대한 %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그 수치는 평균±S.E.를 나타낸다.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혈압강하 효과 (대조군에 대한 %)
처치(주) 2 4
BPs BPm BPd BPs BPm BPd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Rg3 94.8±2.1* 93.8±2.2* 90.8±2.3* 94.8±2.3* 93.8±3.1* 90.8±2.5*
Rh2 99.8±4.3 98.8±3.5 97.8±2.3 98.8±4.1 97.8±2.3 97.1±3.3
Rg3:Rh2=1:1 93.7±3.4* 92.8±3.4* 86.8±2.3* 92.8±3.3* 90.8±2.3* 89.8±3.1*
Rg3:Rh2=2.5:1 92.8±2.3* 88.4±2.5* 85.2±2.4* 89.9±2.5* 86.3±3.7* 85.1±3.8*
Rg3:Rh2=5:1 92.6±3.3* 90.8±2.3* 88.8±2.3* 90.8±2.1* 89.6±2.3* 88.8±2.3*
Rg3:Rh2=10:1 94.8±4.3 93.7±3.5 93.6±2.3 94.2±4.1 93.3±2.3 93.1±3.3
Rg3:Rh2=15:1 96.8±3.3 97.8±4.5 97.8±2.3 96.8±2.1 97.8±3.3 96.1±4.3
Rg3:Rh2=30:1 98.8±2.3 98.8±3.5 98.8±4.3 98.8±4.1 98.8±4.3 98.1±2.1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5:1, 2.5:1, 1: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투여한 군에서 우수한 혈압강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혈압 상승 예방효과
SHR은 생후 약 7주부터 유전적인 요인에 의하여 혈압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가 혈압 상승의 예방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7주령의 SHR을 6군(각각 n=7)으로 나누어 대조군에는 1% CMC만을 그리고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을 단일 및 조성비에 의거 0.1g/Kg/day로 1% CMC에 현탁시켜 경구 투여하여 혈압 상승 예방 효과를 측정하였다. 얻은 결과를 대조군에 대한 %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그 수치는 평균±S.E.를 나타낸다.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혈압상승 예방효과
처치(주) 4
BPs BPm BPd
대조군 100 100 100
Rg3 99.3±10.5 98.6±9.5 98.4±10.3
Rh2 100±9.5 102±10.1 104±10.5
Rg3:Rh2=1:1 90.0±7.9* 89.2±6.4* 88.6±7.5*
Rg3:Rh2=2.5:1 89.4±8.5* 88.1±6.3* 88.9±7.2*
Rg3:Rh2=5:1 90.1±6.5* 88.5±7.6* 89.7±6.5*
Rg3:Rh2=10:1 100±9.5 101±10.1 101±10.5
Rg3:Rh2=15:1 101±9.3 102±7.1 102±6.5
Rg3:Rh2=30:1 101±9.7 102±6.1 102±5.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5:1, 2.5:1, 1: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투여한 군에서 우수한 혈압 상승 예방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세포독성시험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독성을 아래와 같이 혈소판 효소(LDH)의 유출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흰쥐로부터 분리한 혈소판에 시료를 농도가 1000㎍/㎖가 되도록 가하고 37℃에서 각각 30, 60, 90, 120분간 배양하였다(시료 투여군). 이와는 별도로, 음성 대조군에는 시료를 용해시켰던 용매만을 가하고, 메나디온 투여군에는 독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메나디온을 농도가 250 M이 되도록 투여한 후 시료 투여군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각 시간대별로 배양액 100㎕를 취하여 17000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25㎕를 취하였다. 여기에 Tris-EDTA-NADH 완충용액(pH 7.4) 1.0㎖를 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37℃에서 미리 배양시켜 놓았던 14mM 피루베이트 0.1㎖을 가하고 339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혈소판 효소의 유출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측정 결과 (단위 : %)
시간(분) 0 30 60 90 120
음성대조군 0.0 0.7 1.2 1.5 1.7
메나디온투여군 0.0 1.8 22.2 63.2 66.3
Rg3 투여군 0.0 0.5 1.3 1.7 1.9
Rh2 투여군 0.0 0.4 1.5 1.7 1.9
Rg3:Rh2=1:1 0.0 0.8 1.4 1.6 1.5
Rg3:Rh2=2.5:1 0.0 0.5 1.2 1.5 1.6
Rg3:Rh2=5:1 0.0 0.7 1.1 1.3 1.8
Rg3:Rh2=10:1 0.0 0.4 1.5 1.5 1.9
Rg3:Rh2=15:1 0.0 0.4 1.5 1.7 1.5
Rg3:Rh2=30:1 0.0 0.4 1.5 1.4 1.8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은 배양 시간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메나디온 투여군은 배양 시간에 따라 독성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 투여군은 매우 고농도인 1000㎍/㎖에서도 음성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본 발명의 조성물들이 매우 안전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급성독성실험
1) 시험물질 :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2) 시험동물 : 6주령의 웅성 랫트와 5주령의 웅성 마우스(10마리/1군)
3) 시험물질의 조제방법 : 시험당일 투여 전에 1% CMC에 상기 조성물을 완전히 현탁시켜 조제하였다.
4) 시험방법 : 시험동물을 6시간 절식시킨 후 마우스, 랫트용 존대를 사용하여 약물을 시험동물의 위 내에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량은 투여직전의 체중을 기준으로 투여해서 14일간 투여물질에 의한 사망여부를 관찰하였다.
5) 시험결과 : 랫트 및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행한 결과 랫트 및 마우스에 대한 본 조성물의 LD50은 3g/㎏이상으로 나타났다.
랫트와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시험결과
투여약물 시험동물 시험농도(mg/kg) 투 여동물수 사 망동물수 치사율(%) LD50
Rg3:Rh2=1:1 랫트 01883757501,5003,000 101010101010 000000 000000 >3g/kg
마우스 01883757501,5003,000 101010101010 000000 000000 >3g/kg
Rg3:Rh2=5:1 랫트 01883757501,5003,000 101010101010 000000 000000 >3g/kg
마우스 01883757501,5003,000 101010101010 000000 000000 >3g/kg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를 주성분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은 다음 예에 따라 제제화 될 수 있다.
[제조예1]
진세노사이드 Rg3 3mg
진세노사이드 Rh2 3mg
키토올리고당 5 mg
배과즙 200 mg
비타민 C 10 mg
액상 과당 800 mg
벌꿀 500 mg
구연산 120 mg
허브향 100 mg
상기 조성의 성분들에 정제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ml 로 하여 드링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2]
옥수수전분 44g
결정성 셀룰로오스 40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5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1g
진세노사이드 Rg3 540mg
진세노사이드 Rh2 540mg
계 91.8g
상기한 처방에 따라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타정기에서 압축 성형하여 1정 500mg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 정제 1정에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6mg 함유되어 있다. 성인 1일 1 내지 3정을 수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제조예3]
결정성 셀룰로오스 440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10g
진세노사이드 Rg3 3g
진세노사이드 Rh2 3g
계 456g
상기한 처방에 따라 모든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조립기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충전기에 충전하여 캡슐당 500mg의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이 캡슐제 1캡슐에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6mg 함유되어 있다. 성인 1일 1 내지 3캡슐을 수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제조예4]
주사용 증류수 86.5g
에탄올 5g
대두인지질 2.5g
글리세린 5g
진세노사이드 Rg3 540mg
진세노사이드 Rh2 540mg
계 100.08g
상기한 처방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를 에탄올 및 대두 인지질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주사용 증류수와 글리세린 용액을 가하여 유화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가 5 : 1 내지 1 : 1로 함유된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단독보다 우수한 항고혈압효과를 나타낼 뿐 만 아니라 부작용도 없어 고혈압 예방 및 고혈압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가 5 : 1 내지 1 : 1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첨가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향료, 비타민 B군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의 합계량으로 1일 경구 복용량이 1mg 내지 10mg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제형은 드링크제, 정제, 환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의 합계량으로 각 제형당 1mg 내지 10mg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10-2003-0008114A 2003-02-10 2003-02-10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10050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114A KR100504966B1 (ko) 2003-02-10 2003-02-10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114A KR100504966B1 (ko) 2003-02-10 2003-02-10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153A true KR20040072153A (ko) 2004-08-18
KR100504966B1 KR100504966B1 (ko) 2005-08-01

Family

ID=3735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114A KR100504966B1 (ko) 2003-02-10 2003-02-10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690A1 (ko) * 2011-06-07 2012-12-13 주식회사 아리메드 진세노사이드의 강화방법
KR101222845B1 (ko) * 2012-03-09 2013-01-25 주식회사 천지양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678B1 (ko) * 1995-06-07 1999-06-15 손경식 약효가 증강된 가공인삼 제품
KR100201585B1 (ko) * 1995-11-22 1999-06-15 손경식 혈관이완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690A1 (ko) * 2011-06-07 2012-12-13 주식회사 아리메드 진세노사이드의 강화방법
KR20120135784A (ko) * 2011-06-07 2012-12-17 주식회사 아리메드 진세노사이드의 강화방법
KR101222845B1 (ko) * 2012-03-09 2013-01-25 주식회사 천지양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33677A1 (ko) * 2012-03-09 2013-09-12 주식회사 천지양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966B1 (ko)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31864A1 (fr) Adminiculum pour agents anti-tumeur comprenant un extrait d'un produit pharmaceutique brut constitue notamment d'astragali radix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KR20100042414A (ko) 오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US6329000B1 (en) Extract of pine needle and the use thereof
WO2015192758A1 (zh) 瓦草五环三萜皂苷类化合物抗肿瘤的药物用途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53453B2 (ko)
KR20060130149A (ko) 적색 포도나무 잎의 수성 추출물 및 혈액 순환 개선제를포함하는, 만성 정맥 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0504966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CN115429785A (zh) 一种提高异硫氰酸酯类化合物生物利用度及治疗作用的组合物
KR100506950B1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효과에 대한 조성물
KR102279105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859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Rg3 항암 조성물
JPH09241157A (ja) リソスペルメートb含有肝臓保護作用医薬組成物
KR100940133B1 (ko) 지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CN1686242A (zh) 具有高血脂及心脑血管疾病疗效的组合物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767051B1 (ko) 오보바톨 또는 오보바탈의 분리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유효성분의정제방법
KR102069125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1704622B (zh) 黄烷醇-薄荷烷杂合体及其药物组合物与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17394A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섬유화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1176772B (zh) 一种由蒲黄与红花制成的药物组合物
KR20060129612A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JP2002212085A (ja) 尿酸値低下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