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612A -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612A
KR20060129612A KR1020050050177A KR20050050177A KR20060129612A KR 20060129612 A KR20060129612 A KR 20060129612A KR 1020050050177 A KR1020050050177 A KR 1020050050177A KR 20050050177 A KR20050050177 A KR 20050050177A KR 20060129612 A KR20060129612 A KR 20060129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amboo
blood pressure
hypertension
bamboo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8562B1 (ko
Inventor
장경선
나창수
Original Assignee
담양군
장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장경선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102005005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562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대나무 추출물, 혈압 강하, 고혈압 합병증

Description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Use of Bamboo Extract for Lowering Blood Pressure}
본 발명은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hypertension)은 혈압이 정상 혈압보다 높게 유지되는 현상으로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순환계 질환을 말한다.
통계에 따르면 선진국 성인의 약 20%가 고혈압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혈압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아직 그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이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당뇨병, 신장질환, 약물(예컨대, 싸이크로스포린 A) 복용 등에 의한 이차성 고혈압이 나머지 5%를 차지한다.
고혈압이 그 자체로서 질병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것이 원인이 되어 유발되는 질병들 즉 고혈압 합병증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이 장기간 지속되면 압력이 높은 혈관으로 혈액을 보내야 하므로 심장이 비대해지고 혈관도 혈액의 높은 압력을 견디어야 하므로 혈관이 비대해지면서 굳어지고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심장과 혈관의 변화에 따라 고혈압 합병증으로 심·혈관계, 뇌 및 신장 등의 장기 기능이 저하되고 심근 경색증, 동맥 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신부전증, 중풍, 뇌출혈, 뇌경색, 눈과 다리의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나 다리의 통증 등이 발생한다고 알려지고 있다(Cowley, A.W.Jr. Long-term control of arterial blood pressure. Physiol. Rev. 72:231-300, 1992)
혈압은 심장의 혈액 박출량과 말초혈관의 저항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들 두 인자를 저하시킬 수 있는 약물들을 사용하여 고혈압을 전통적으로 치료해 왔다. 예로 이뇨제(thiazides) 또는 교감 신경계 억제 물질들을 사용해 왔다. 근래에는 고혈압 치료제로서 강력한 혈관수축 물질인 안지오텐신 II(angiotensin II)의 생리적 작용을 억제하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예를 들면, 로사탄(losartan)(DuP753), SKF108566, 또는 불활성 상태의 안지오텐신 I을 활성형인 안지오텐신 II로 전환시키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 coverting enzyme)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예를 들면,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라미프릴 등이 고혈압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대나무 추출물(죽력(竹瀝) 또는 죽정((竹精))은 전통적으로 살균이나 해열, 번민, 소갈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아토피 등의 피부염 치료에도 사용되어 지고 있는데, 현재 계속하여 그 새로운 용도가 연구 중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대나무 추출물이 상기의 용도 이외에도 여러 다른 용도들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대나무 추출물의 여러 다른 용도들을 실험하던 중, 대나무 추출물이 고혈압 유발 실험 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그 혈압을 강하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여타의 본 발명의 구체적 목적이나 양태는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대나무 추출물과 생리 식염수를 고혈압이 유발된 실험동물인 흰쥐에 2일에 1회씩 총 5회 10일에 걸쳐 경구 투여하고 그 혈압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군에서는 혈압이 상승된 상태가 지속되었으나, 대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혈압이 점차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실시예 및 표 1 참조).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은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이란 그것이 혈압 강하 효과를 가지는 한 그것이 얻어지는 대나무의 종류를 불문하고 또 그것의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분류학상 대나무로 분류되는 식물의 줄기로부터 얻어진 고형상(solid phase) 또는 액상(liquid phase)의 추출물로서 정의된다.
대나무의 종류를 불문하므로,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왕대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진 추출물과, 해장죽속(Arundinaria)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진 추출물과, 조릿대속(Sasa)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진 추출물과, 및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해되며, 또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i) 세절된 대나무에 직·간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ii) 살아있는 대나무의 윗부분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부위에서 얻어지는 진액 형태의 추출물과, (iii) 세절된 또는 분쇄된 대나무를 추출 용매 예컨대, 물, 증류수, 알콜(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5 이하의 저급 알콜), 핵산,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대나무 추출물(참고예의 대나무 추출물)은 상기 (ii)의 방식으로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과 상기 (iii)의 방식으로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 중 특히 추출 용매로서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데, 이러한 대나무 추출물 모두가 하기 실시예에서 보여지듯이 그 효과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 지라도 실험동물의 혈압 강하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대나무 추출물이 서로 다 른 여러 추출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추출 방식을 달리한 여타의 다른 대나무 추출물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줄 것임을 예측하게 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기초하는 한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내에서 하기 참고예의 대나무 추출물 이외의 다른 대나무 추출물도 혈압 강하 효과를 가질 개연성이 있다고 기대할 것이며, 또한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내에서 혈당 강하 효과가 있는 대나무 추출물을 선별·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참고예의 대나무 추출물을 가지고 혈압 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기 "대나무 추출물"에는 하기 참고예의 대나무 추출물 이외에도 혈압 강하 효과가 있는 모든 대나무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하기 참고예의 대나무 추출물로서 이해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거된 추출 용매 중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로서 이해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 중 70% 이상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로서 이해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로서 이해된다. 그것은 하기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추출 용매로서 70%(본 명세서에서 %는 부피 백분율(v/v)을 의미한다. 이하 같다) 에탄올과 80% 에탄올로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가 40% 에탄올, 50% 에탄올 도는 60% 에탄올의 혈압 강화 효과와는 질적으로 다른 급격한 혈압 강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70% 이상의 에탄올" 또는 "80% 이상의 에탄올"이란 에탄올을 70% 이상 또는 80% 이상의 농도로 포함하는 모든 혼합 용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에탄올을 70% 이상 또는 80% 이상의 농도로 포함한다면 상기 혼합 용매는 2종 이상의 용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컨대, 물, 아세톤 그리고 에탄올의 혼합 용매의 경우도 에탄올이 70% 이상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기만 한다면 상기 70% 이상의 에탄올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은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모든 고혈압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고혈압이란 전술한 바의 아직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과, 당뇨병, 신장질환,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되어 이차성 고혈압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인 대나무 추출물은 그것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001% 이상에서 99.999%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서 혈압을 정상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대한내과학회편 : Harrison's 내과학, 서울, 도서출판 MIP, 215, 1456, 2003),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혈압 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고 혈압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단독으로 또는 다른 고혈압 합병증 치료제나 예방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고혈압 합병증은 고혈압이 원인이 되어 이차적으로 발병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의미인데, 그러한 질환으로서 예컨대 심근 경색증, 동맥 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신부전증, 중풍, 뇌출혈, 뇌경색, 눈과 다리의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나 다리의 통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본 발명의 고혈압 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상기 대나무 추출물의 의미는 그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한편,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고혈압 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50 중량% 내지 약 9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약 0.1 중량 % 내지 약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데, 예컨대 경구 또는 직장에의 직접 투여되거나,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등에의 주사 투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 도고제, 로션, 연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고혈압 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대나무 추출물이 포함되는 이외에, 식품에 첨가될 수 있는 물질인 한 임의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예컨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대나무 추출액의 제조
<참고예 1>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1
전라남도 담양군에 서식하는 3년생의 맹종죽의 줄기를 2004년 5월에 채취하고, 물로 깨긋이 수세한 후에 건조시켜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먼저 건조된 시료를 분쇄하여 대나무 톱밥을 준비한 다음, 2000ml 용량의 둥근 플라스크에 이 대나무 톱밥을 넣고 여기서 대나무 톱밥의 5 내지 10 배(대나무 톱밥의 중량 기준) 가량의 물을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정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다시 감압농축기(Buchi Co. R-114, Germany)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고형상의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2>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2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시료를 2004년 5월에 채취한 맹종죽 줄기 대신에 2004년 10월 채취한 3년생의 솜대 줄기를 사용였다.
<참고예 3>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3
전라남도 담양군에 서식하는 3년생의 맹종죽의 줄기를 2004년 5월에 채취하고, 수세·건조시킨 다음 이를 분쇄하여 대나무 톱밥을 준비하였다. 2000ml 용량의 둥근 플라스크에 대나무 톱밥을 넣고 여기서 대나무 톱밥의 10 배(대나무 톱밥의 중량 기준) 가량의 40%의 에탄올(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임; 이하 같음)을 첨가하여 40±2℃의 수욕상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지(Whatman NO.5A)로 여과하였다. 추출액은 다시 감압농축기(Buchi Co. R-114, Germany)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고형상의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4>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4
상기 <참고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추출용매를 40% 에탄올 대신에 50%의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참고예 5>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5
상기 <참고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추출용매를 40% 에탄올 대신에 60%의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참고예 6>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6
상기 <참고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추출용 매를 40% 에탄올 대신에 70%의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참고예 7>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7
상기 <참고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추출용매를 40% 에탄올 대신에 80%의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참고예 8>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8
상기 <참고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재료를 2004년 5월에 채취한 맹종죽 줄기 대신에 2004년 10월 채취한 3년생 솜대 줄기를 사용였다.
<참고예 9>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9
상기 <참고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시료를 2004년 5월에 채취한 맹종죽 줄기 대신에 2004년 10월 채취한 3년생 솜대 줄기를 사용였다.
<참고예 10>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10
상기 <참고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시료를 2004년 5월에 채취한 맹종죽 줄기 대신에 2004년 10월 채취한 3년생 솜대 줄기를 사용였다.
<참고예 11>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11
상기 <참고예 6>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시료를 2004년 5월에 채취한 맹종죽 줄기 대신에 2004년 10월 채취한 3년생 솜대 줄기를 사용였다.
<참고예 12>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12
상기 <참고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다만 시료를 2004년 5월에 채취한 맹종죽 줄기 대신에 2004년 10월 채취한 3년생 솜대 줄기를 사용였다.
<참고예 13>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13
2004년 5월에 3년생 맹종죽의 대나무 줄기를 절단하여 그 절단된 부위에서 추출되는 진액을 회수하고 이러한 진액 형태의 추출물을 동결 건조시켜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14>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예 14
2004년 10월에 3년생 솜대의 대나무 줄기를 절단하여 그 절단된 부위에서 추출되는 진액을 회수하고 이러한 진액 형태의 추출물을 동결 건조시켜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대나무 추출물의 실험동물에 대한 혈압 강하 실험
<1> 실험 동물
체중이 약 180~200g의 SD(Sprague Dawley)계의 수컷 흰 쥐(다물사이언스, 대한민국 대전)를 사육장(실내온도 24~26℃, 습도 30~50%, 명암주기 12:12 hr)내에서 물과 사료(pellet, 삼양유지사료, 한국)를 충분히 섭취하게 하면서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동물의 고혈압 유발
고혈압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마취제(pentobarbital sodium)(약품명: Entobar, 한림제약, 한국. 50mg/kg)를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복부를 절개하여 왼쪽 신동맥을 노출시켜 주위 조직들을 깨끗이 제거한 다음, 간격이 0.2mm되는 은 클립(silver clip)을 신동맥에 끼워 넣고 봉합하였다. 수술 30일 후에 혈압을 측정하여 수축기 혈압이 150mmHg 이상된 실험동물을 고혈압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3> 참고예의 대나무 추출물의 투여
상기와 같이 고혈압을 유발시킨 실험동물을 30일 동안 회복시킨 후 각 군들은 상기 <참고예 1 내지 13>의 각 대나무 추출물을 1.0 mg/250g 용량으로 구강투여하였다. 구강 투여는 오랄 존데 니들(oral zonde needle)를 이용하여 2일에 1회씩 모두 5회 실시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서의 실험동물에는 대나무 추출물 대신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4> 혈압 측정
실험동물의 혈압 변동 관찰은 체외혈압(non-invasive blood pressure) 측정기인 랫드 꼬리 혈압 장치(rat tail blood pressure system)(RTBP2003, WPI, U.S.A.)을 활용하여 관찰하였다. 흰쥐를 동물 가온 제한기(animal warming restrainer)에 넣고, 휜쥐의 꼬리에 압전 펄스 센서(piezoelectric pulse sensor)와 어클루젼 커프(occlusion cuff)를 위치시킨 다음 컴퓨터에 연결된 펄스 신호(pulse signal)의 크기가 적당한 정도로 관찰되면, 이때 기기를 작동시켜 수축기 혈압을 관찰하였다. 혈압 측정은 구강 투여 후 1시간 후에 측정되었으며, 총 6회 시행하였다.
<5> 결과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각 실험군(또는 대조군)의 속한 실험동물들에 대한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대나무 추출물의 혈압 강하 효과
구분 0 1회 2회 3회 4회 5회
대조군 168.4 169.6 162.6 169.4 171.8 173.6
참고예 1 170.2 172.5 165.5 168.6 162.4 164.5
참고예 2 175.5 178.5 176.4 167.5 168.0 165.1
참고예 3 169.5 168.1 165.2 164.3 158.3 162.4
참고예 4 178.9 182.6 175.3 172.5 167.3 168.5
참고예 5 173.2 165.3 160.1 162.0 159.6 158.4
참고예 6 171.2 168.3 162.1 155.0 151.5 142.1
참고예 7 182.3 175.2 152.9 142.1 143.7 134.6
참고예 8 183.5 184.3 175.2 172.3 174,6 172.1
참고예 9 169.7 172.1 169.4 162.1 164.2 159.0
참고예 10 176.5 170.1 168.2 167.5 162.6 158.9
참고예 11 181.2 175.7 165.3 155.2 151.4 150.1
참고예 12 179.6 165.4 162.1 151.0 143.2 137.8
참고예 13 170.0 172.6 168.4 160.4 163.8 158.6
참고예 14 182.4 185.2 179.4 175.3 178.5 177.8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참고예의 대나무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실험동물의 혈압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참고예 6과 참고예 7의 대나무 추출물(맹종죽을 70%의 에탄올과 80%의 에탄올로 얻어진 추출물)과 참고예 11과 참고예 12의 대나무 추출물(솜죽을 70%의 에탄올과 80%의 에탄올로 얻어진 추출물)의 경우는 그 혈압 강하 효과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제예>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의 제제예
<제제예 1> 캡슐제의 제조
<참고예 6>의 대나무 추출물 5g,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를 완전히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주사제의 제조
<참고예 6>의 대나무 추출물 5g 적량의 주사용 증류수와 적량의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대나무 추출물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기능성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참고예 6>의 대나무 추출물 5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가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조성물들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응용되거나 식품 조성물로 응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Claims (12)

  1.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이고, 그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 또는 이차성 고혈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대나무 줄기를 70% 이상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대나무 줄기를 80% 이상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7.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 합병증은 심근 경색증, 동맥 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신부전증, 중풍, 뇌출혈, 뇌경색, 눈의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 및 다리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다리의 통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대나무 줄기를 70% 이상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대나무 줄기를 80% 이상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050177A 2005-06-13 2005-06-13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KR10067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177A KR100678562B1 (ko) 2005-06-13 2005-06-13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177A KR100678562B1 (ko) 2005-06-13 2005-06-13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612A true KR20060129612A (ko) 2006-12-18
KR100678562B1 KR100678562B1 (ko) 2007-02-02

Family

ID=3781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177A KR100678562B1 (ko) 2005-06-13 2005-06-13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445A (ko) 2018-06-14 2019-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가피 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109B1 (ko) 2017-01-10 2018-03-08 서우산업주식회사 올리고당이 함유된 죽경 추출물에 의한 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508A (ko) * 2003-09-18 2005-03-23 학교법인 인제학원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445A (ko) 2018-06-14 2019-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가피 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562B1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364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ES2398371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los extractos de lindera obtusiloba para la prevención y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cardiovasculares
JP2015155408A (ja) 血行動態改善剤
KR100834348B1 (ko) 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JPWO2014010656A1 (ja) 優れた血中アルコール濃度低下促進剤
KR100678562B1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JP6444688B2 (ja) むくみ抑制または改善剤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US201000938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KR102265793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247569B1 (ko) 혈전치료용 약제조성물
KR100678565B1 (ko) 뇌혈류량 증가용 조성물
KR20130001093A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왕겨 추출물의 용도
KR100610565B1 (ko) 포도씨 및 함초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및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604848B1 (ko) 도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04966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102453757B1 (ko) 황새냉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129610A (ko) 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012651A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6926B1 (ko) 피로갈롤-플로로글루시놀-6,6&#39;바이엑콜(ppb)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 혈관계 질환, 또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22299A (ko) 소리쟁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2203959A (zh) 遠志萃取物治療重度憂鬱症之用途
JP2002212085A (ja) 尿酸値低下剤
KR20060017696A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