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651A -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651A
KR20190012651A KR1020170095953A KR20170095953A KR20190012651A KR 20190012651 A KR20190012651 A KR 20190012651A KR 1020170095953 A KR1020170095953 A KR 1020170095953A KR 20170095953 A KR20170095953 A KR 20170095953A KR 20190012651 A KR20190012651 A KR 2019001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mesartan
intestinal
induced
present
gastrointestinal mot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281B1 (ko
Inventor
설근희
권순호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 OM)에 의해 유발된 장운동과다증(intestinal hypermotility)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올메사탄(olmesartan, OM)에 의해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고혈압제인 올메사탄 부작용인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lmesartan-Induced Intestinal Hypermotility Comprising Linalyl Acetate}
본 발명은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에 의해 유발된 장운동과다증(intestinal hypermotility)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올메사탄(olmesartan, OM)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중 7번째로 개발된, 동일 계열 약물 중 가장 최신의 혈압 강하제이다. 혈압 및 전신혈관저항을 조절하는데 있어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RAAS)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ARB 계열 약물은 실제 임상에서 1차 약제(first-line agents)로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올메사탄은 ARB계열 중 혈압강하 효과가 우수하고 효과지속시간이 길며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경증에서부터 중증에 이르는 본태성 고혈압 환자들에게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부작용도 다른 ARB계열 약물에 비해 낮은 정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yland et al., Reactions, 1613: 220-6, 2016).
한편, 올메사탄을 복용한 환자에게 부작용으로 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례가 2012년을 시작으로 처음 보고된 이래 증례 보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Rubio-Tapia et al., Mayo Clinic Proceedings, 87(8):732-8, 2012). 이러한 올메사탄 연관성 장질환(olmesartan-associated enteropathy, OAE)은 올메사탄을 장기간 복용시 동반되는 만성 설사, 오심, 구토, 복통, 체중 감소, 그리고 융모 위축 등의 증상이 특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셀리악병(celiac disease)과 증상 및 조직학적 특성이 유사하지만, 글루텐 제외 식이(gluten-free diet)로 호전되지 않고 혈청학적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된다는 점에서 확연히 구분된다. 올메사탄 연관성 장질환으로 인한 설사는 지사제나 항생제를 비롯한 위장관계 약물 요법으로 완화되지 않으며, 올메사탄 투여를 중지할 경우에만 호전되는 것이 특징적이다(Freeman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Celiac Disease, 4(1):24-6, 2016). 비록 올메사탄 연관성 장질환이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적절한 대처없이 증상이 지속될 경우 만성 설사에 따른 전해질 불균형, 심지어 신부전까지도 유발될 수 있다 (Marietta et al.,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42(11-12):1303-14, 2015).
설사 증상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일어날 수 있고, 그 중 위장 운동성의 증가는 위장 흡수장애와 함께 설사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임(Wang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68:182-90, 2015)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올메사탄이 미치는 조직학적 혹은 혈청학적 영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올메사탄 연관성 장질환과 유사한 셀리악병의 경우에도 30~60%의 환자에서 위장 운동성 장애가 확인되었다는 연구 결과(Tursi et al., Journal of Clinical Gastroenterology, 38(8):642-5, 2004)가 있지만, 올메사탄의 복용과 위장 운동성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는 모노터펜 에스터(monoterpene ester) 계열의 3,7-디메틸옥타-1,6-디엔-3-일 아세테이트(3,7-Dimethylocta-1,6-dien-3-yl acetate)로 위장운동 진경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단일 성분이다. 리나릴 아세테이트가 주성분인 천연물은 기니피그와 토끼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연구에서 진경 효과를 나타냈는데(de Sousa et al., Records of Natural Products, 5(2):117, 2011; Zavala-Mendoza et al., Molecules, 21(6):783, 2016), 리나릴 아세테이트 역시 그 자체로 위장조직에서 진경 효과가 있음이 확인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만성 설사 증상에 위장 운동성 증가가 빈번하게 동반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리나릴 아세테이트의 진경 효과를 통해 설사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게다가 이와 같은 천연물을 통한 장 운동성 조절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올메사탄과 같은 항고혈압 약물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이용 가능한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리나릴 아세테이트가 올메사탄의 부작용인 증가된 장 운동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올메사탄(olmesartan)에 의해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고혈압제인 올메사탄 부작용인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유용하다.
도 1은 흰쥐 고혈압 모델에서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사이의 노르에피네프린성 장 수축빈도 억제효과의 차이 및 올메사탄(olmesartan, OM)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민증 고혈압모델에서 고혈압군과 올메사탄 및 농도별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 투여군 사이의 노르에피네프린의 장 수축빈도 억제 효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흰쥐 고혈압 모델에서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사이의 노르에피네프린성 장 이완 정도의 차이 및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민증 고혈압모델에서 고혈압군과 올메사탄 및 농도별 리나닐 아세테이트 투여군 사이의 노르에피네프린의 장 이완 정도 억제 효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올메사탄(olmesartan)에 의해 유발되는 장운동과다증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흰쥐 모델을 완성한 후,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가 이러한 올메사탄 부작용인 장운동과다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감소된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효과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 OM)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은 만성 설사, 오심, 구토, 복통, 체중 감소 또는 융모 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운동 장애는 장운동과다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장운동과다증은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 효과가 저해되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NE)은 위장관 운동(gastrointestinal motility)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장 조직 전반에 분포한 교감신경섬유로부터 분비된다(Straub et al., Gut, 55(11):1640-9, 2006). 노르에피네프린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결합하여 위장근신경총에 있는 운동성 뉴런을 억제하는데, 이는 위장 운동성 조절에 있어 필수적이다. 과민성대장증후군 등 만성 설사를 동반하는 질환에서 교감신경섬유의 퇴행이 확인된다는 사실을 통해 아드레날린성 억제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과 비정상적 위장 운동성 사이의 관계를 유추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실험적 약물로 사용하여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민증 고혈압 흰쥐 모델에서 장 운동성을 평가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부작용”이란 약물의 주용도 작용 이외에 나타나는 약효 전체 또는 좁은 뜻으로는 약물 유해 반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올메사탄 부작용인 심박수 증가를 억제하거나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올메사탄 부작용인 심박수 증가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나릴 아세테이트의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혈압 동물 모델을 확립하고 올메사탄 혹은 그 vehicle을 1주 동안 경구복용시켜 실험을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올메사탄과 리나릴 아세테이트가 장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민증 고혈압모델에서 올메사탄 투여 기간동안 실험군에게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복강내주사하였다. 그 결과, 고혈압 군에서 올메사탄이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 억제효과를 감소시켰지만,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병행투여한 경우 장 운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 상기 조성물은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들로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올메사탄 연관성 장 운동성 증가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약상(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를 제제화하거나 또는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서 활성 성분에 추가될 수 있는 물질이고, 환자에게 유의한 해로운 독성 효과를 야기하지 않는다.
상기 담체는 환자를 자극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리나릴 아세테이트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다른 담체는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E. W. Martin)]에 기재되어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제 또는 분산액제를 즉각 투여용(extemporaneous)으로 제조하기 위한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제약 활성 물질을 위한 이러한 매질 및 작용제의 사용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주사용으로 제제화된다. 조성물은 용액제, 마이크로에멀젼제, 리포좀제, 또는 높은 약물 농도에 적합한 기타 주문된 구조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것들의 적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조성물 중에 등장화제, 예를 들어 당, 폴리알콜, 예컨대 만니톨, 소르비톨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시킬 수 있다.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제는 필요한 양의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필요에 따라 상기 기재된 성분들 중 1 종 또는 이것들의 조합물과 함께 적절한 용매 중에 혼입시킨 후에 멸균 마이크로여과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액제는 활성 화합물을 기본적인 분산 매질 및 상기 기재된 것들로부터의 기타 필요한 성분을 함유하는 멸균 비히클로 혼입시켜 제조된다.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제를 제조하기 위한 멸균 분말의 경우, 일부 제조 방법은 활성 성분 및 임의의 추가의 원하는 성분의 분말을 이것의 미리 멸균-여과시킨 용액으로부터 생성하는 진공 건조 및 냉동-건조(동결건조)이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 OM)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은 만성 설사, 오심, 구토, 복통, 체중 감소 또는 융모 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운동 장애는 장운동과다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장운동과다증은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 효과가 저해되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이란 증상의 예방,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증상의 발현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올메사탄 연관성 장 운동성 증가 개선”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기능성 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을 상기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켓,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나릴 아세테이트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리나릴 아세테이트의 양은 전체 식품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롤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징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리나릴 아세테이트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리나릴 아세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은 만성 설사, 오심, 구토, 복통, 체중 감소 또는 융모 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운동 장애는 장운동과다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장운동과다증은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 효과가 저해되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 조성물의 제공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 주사, 직장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0.0001~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인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생체 친화적이며 우수한 안정성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어,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안전한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올메사탄(olmesartan)에 의해 유발된 장운동과민증 고혈압모델 확립
1-1: 만성 스트레스와 니코틴 및 올메사탄으로 장운동과민증 고혈압모델의 확립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가 장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혈압이 생활습관과 관련성이 깊다는 사실에서 착안해 고안하였던 고혈압 동물모델에 올메사탄(olmesartan, OM)의 경구투여를 접목시켜 모델을 개선하였다. 즉, 흡연자들과 같이 니코틴과 스트레스로 혈관이 손상되는 악순환으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에 노출되고, 이러한 상황의 개선을 위해 올메사탄을 복용하는 상황을 설계하였다.
이에, 매일 두 시간씩 흰쥐에 3주간 부동 스트레스를 주며, 0.8 mg/kg 니코틴을 복강 내 주사하였고, 22일째에는 3 mg/kg 니코틴을 주사하여 고혈압을 유도한 뒤 1주 동안 매일 올메사탄을 경구복용시키면서 다시 부동 스트레스와 0.8 mg/kg 니코틴을 투여하였다. 고혈압모델의 대조군에게는 같은 용량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고, 올메사탄의 대조군에게는 같은 용량의 증류수를 경구복용시켰다. 4 주령의 수컷 흰쥐(Samtaco, Osan, Korea)를 3-4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무작위로 정상혈압군과 고혈압군으로 나누었다. 니코틴과 부동 스트레스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축기혈압 및 이완기 혈압을 꼬리 커프를 이용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주 1회 측정하여(CODA-6, Kent Scientific, Torrington, U.S.A) 혈압 상승의 경과를 관찰하였다.
1-2: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측정
올메사탄 복용이 장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의 올메사탄 복용이 종료되는 날, 복용 210분 경과 후 마취하여 경추탈골시키고 복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공장 조직을 채취한 뒤 생리적 용액인 Tyrode's solution (136.9mM NaCl, 2.68mM KCl, 11.9mM NaHCO3, 0.42mM NaH2PO4, 5.55mM glucose, 1.8mM CaCl2, 1.05mM MgCl2)에 담갔다. 이후 2cm 가량 크기로 절단된 공장 조직은 근수축변환기(Mechano-transducer 620M; DMT, Aarhus, Denmark)에 횡단 방향으로 거치되어 운동성이 측정되었다. 40분간의 안정 후 아세틸콜린 10 uM을 투여하여 장 수축반응을 유도하고 2분 뒤 plateau가 형성되면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NE) 1 uM을 투여하여 이완반응을 유도하였다. 측정된 장 수축빈도(intestinal frequency)와 장 이완(intestinal relaxation)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혈압군과 고혈압군 사이의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 억제효과는 장 수축빈도와 장 이완정도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2: 올메사탄(olmesartan)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에 대한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2-1: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 수축빈도(intestinal frequency)에 대한 리나 릴 아세테이트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가 장운동과다증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그마알드리치 사에서 구매한 리나릴 아세테이트 분말을 PEG에 희석하여 10 mg/kg, 100 mg/kg 농도로 고혈압 동물모델에 올메사탄 투여기간 동안 병행하여 복강내 주사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올메사탄 투여-고혈압 동물모델의 41 마리 흰쥐는 무작위로 정상혈압군과 고혈압군으로 나눈 후, 고혈압군에서 다시 대조군, 올메사탄 복용군, 리나릴 아세테이트 10 mg/kg 투여군, 리나릴 아세테이트 100 mg/kg 투여군으로 나누었고, 올메사탄 복용군 내에서는 대조군, 리나릴 아세테이트 10mg/kg 투여군, 리나릴 아세테이트 100 mg/kg 투여군으로 나누어 5~8 마리 씩 7개 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혈압군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투여했을 때 올메사탄 복용군의 장 수축빈도는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p = 0.006), 고혈압군에 리나릴 아세테이트만의 투여 여부가 장 수축빈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올메사탄과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병행투여한 고혈압군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투여했을 때 장 수축빈도는 감소하였으며, 올메사탄과 리나릴 아세테이트 10 mg/kg 병행투여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만 보였으나 올메사탄과 리나릴 아세테이트 100 mg/kg를 병행투여했을 때는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p = 0.028).
2-2: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 이완(intestinal relaxation) 정도에 대한 나릴 아세테이트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분석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혈압군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투여했을 때 올메사탄 복용군의 장 이완정도 역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p = 0.047), 고혈압군에 리나릴 아세테이트만을 투여했을 때 장 이완정도는 영향받지 않았다. 올메사탄과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병행투여한 고혈압군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투여했을 때 장 이완정도는 감소하였으며, 올메사탄과 리나릴 아세테이트 10 mg/kg 병행투여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고(p = 0.002), 올메사탄과 리나릴 아세테이트 100 mg/kg를 병행투여했을 때는 감소하는 경향만 보였다.
상기 측정값은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냈고, 실험결과는 SPSS 2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이나 일원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LSD 사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05 미만일 경우에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상기 내용을 종합한 결과, 리나릴 아세테이트가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민증 고혈압모델에서 장 운동성을 정상으로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리나릴 아세테이트가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 OM)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은 만성 설사, 오심, 구토, 복통, 체중 감소 또는 융모 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운동 장애는 장운동과다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운동과다증은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 효과가 저해되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L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올메사탄(olmesartan, OM)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올메사탄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운동 장애 질환은 만성 설사, 오심, 구토, 복통, 체중 감소 또는 융모 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운동 장애는 장운동과다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운동과다증은 노르에피네프린성 장운동억제 효과가 저해되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70095953A 2017-07-28 2017-07-28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953A KR101970281B1 (ko) 2017-07-28 2017-07-28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953A KR101970281B1 (ko) 2017-07-28 2017-07-28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51A true KR20190012651A (ko) 2019-02-11
KR101970281B1 KR101970281B1 (ko) 2019-04-18

Family

ID=6537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953A KR101970281B1 (ko) 2017-07-28 2017-07-28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042B1 (ko) 2021-01-14 2022-1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676A (ja) * 2004-07-26 2006-02-09 Hiroyuki Haruta 代謝促進剤及び外用剤
KR20120128716A (ko) * 2010-03-26 2012-11-27 세사 알리안스 에스.에이. (-)-카르본, (+)-카르본, 제라니올 및 추가의 정유 성분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내 치료 용도를 위한 바이러스 억제제 조성물
KR101349592B1 (ko) * 2013-05-22 2014-02-13 김성문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KR20160110887A (ko) * 2015-03-12 2016-09-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나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676A (ja) * 2004-07-26 2006-02-09 Hiroyuki Haruta 代謝促進剤及び外用剤
KR20120128716A (ko) * 2010-03-26 2012-11-27 세사 알리안스 에스.에이. (-)-카르본, (+)-카르본, 제라니올 및 추가의 정유 성분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내 치료 용도를 위한 바이러스 억제제 조성물
KR101349592B1 (ko) * 2013-05-22 2014-02-13 김성문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KR20160110887A (ko) * 2015-03-12 2016-09-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나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13, pp. 1~19, 2013.11.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281B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26085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7s)-(+)-cyclopentyl carbarmic acid, 8,8-dimethyl-2-oxo-6,7-dihydro-2h,8h-pyrano[3,2-g]chromen-7-yl-ester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eye disease
JPWO2014010656A1 (ja) 優れた血中アルコール濃度低下促進剤
KR101970281B1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5082390A1 (ja) 脂肪蓄積抑制剤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043645B2 (ja) ヤーコン・桑葉配合食品
JP2007520431A (ja) 血糖降下用組成物
EP1591113A1 (en) Blood pressure-lowering agent, vascular flexibility-improving agent and foods having these functions imparted thereto
KR102275492B1 (ko) 증숙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디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902368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0280B1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빈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4059B1 (ko) 4-하이드록시 타목시펜 유사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112767B2 (ja) 血液中の尿酸値を低下させるための組成物
KR100678562B1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KR20080035853A (ko)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
JP2005022994A (ja) 血糖上昇抑制用組成物
JP2007008883A (ja) 血糖値低下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070091928A (ko) 승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2361526B1 (ko) 난각막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9247B1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3476835B2 (ja) ヤーコン・ウーロン配合食品
KR102052189B1 (ko) 빅벨리해마 프로타멕스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혈압 강하용 조성물
JP2002212085A (ja) 尿酸値低下剤
KR101835997B1 (ko) 알릴 설파이드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억제용 조성물
JP2006328025A (ja) 一酸化窒素調節剤、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食品添加物、医薬及び香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