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696A -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 Google Patents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696A
KR20060017696A KR1020040066161A KR20040066161A KR20060017696A KR 20060017696 A KR20060017696 A KR 20060017696A KR 1020040066161 A KR1020040066161 A KR 1020040066161A KR 20040066161 A KR20040066161 A KR 20040066161A KR 20060017696 A KR20060017696 A KR 20060017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lood pressure
lowering
hypertension
bamb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김성호
김종춘
안태호
Original Assignee
김상진
담양군
신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담양군, 신동호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04006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696A/ko
Publication of KR2006001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죽력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죽력, 혈압 강하, 고혈압 합병증

Description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Use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for Lowering for Depressing Blood Pressure}
도 1은 토끼에 죽력을 정맥 주사하였을 때 약 1분 정도 후에 토끼의 혈압이 최대로 떨어졌다가 다시 회복되는 것을 보여주는 압력 측정기(생리현상기록장치)의 레코더상의 기록이다.
도 2 죽력을 토기에 정맥 주사하였을 때 용량 의존적으로 토끼의 혈압이 강하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죽력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hypertension)은 혈압이 정상 혈압보다 높게 유지되는 현상으로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순환계 질환을 말한다.
통계에 따르면 선진국 성인의 약 20%가 고혈압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혈압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아직 그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이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당뇨병, 신장질환, 약물(예컨대, 싸이크로스포린 A) 복용 등에 의한 이차성 고혈압이 나머지 5%를 차지한다.
고혈압이 그 자체로서 질병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것이 원인이 되어 유발되는 질병들 즉 고혈압 합병증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이 장기간 지속되면 압력이 높은 혈관으로 혈액을 보내야 하므로 심장이 비대해지고 혈관도 혈액의 높은 압력을 견디어야 하므로 혈관이 비대해지면서 굳어지고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심장과 혈관의 변화에 따라 고혈압 합병증으로 심·혈관계, 뇌 및 신장 등의 장기 기능이 저하되고, 심근 경색증, 동맥 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신부전증, 중풍, 뇌출혈, 뇌경색, 눈과 다리의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나 다리의 통증 등이 발생한다고 알려지고 있다(Cowley, A.W.Jr. Long-term control of arterial blood pressure. Physiol. Rev. 72:231-300, 1992)
혈압은 심장의 혈액 박출량과 말초혈관의 저항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들 두 인자를 저하시킬 수 있는 약물들을 사용하여 고혈압을 전통적으로 치료해 왔다. 예로 이뇨제(thiazides) 또는 교감 신경계 억제 물질들을 사용해 왔다. 근래에는 고혈압 치료제로서 강력한 혈관수축 물질인 안지오텐신 II(angiotensin II)의 생리적 작용을 억제하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예를 들면, 로사탄(losartan)(DuP753), SKF108566, 또는 불활성 상태의 안지오텐신 I을 활성형인 안지오텐신 II로 전환시키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 coverting enzyme)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예를 들면,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라미프릴 등이 고혈압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죽력이란 직·간접적으로 열이 가해진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로부터 진액의 형태로 흘러내린 액체를 말한다. 이러한 죽력은 일반적으로 용기에 세절된 대나무를 넣은 다음 그 용기에 열을 가해서 흘러내리는 액체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죽력은 청황색 또는 황갈색의 액즙으로 투명하고 탄내가 나는데, 전통적으로 중풍 반신불수나 간질 등에 사용되어 왔다. 현재에도 죽력은 계속하여 연구되어 오고 있는데, 근래에 살균 효과나 항진 효과, 항암 효과 등을 가진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계속하여 그 새로운 용도가 연구 중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죽력이 상기의 용도 이외에도 여러 다른 용도들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죽력의 여러 다른 용도들을 실험하던 중, 죽력이 실험 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혈압을 강하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죽력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죽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여타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이나 양태는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죽력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죽력을 실험동물인 토끼에 정맥 주사 투여하였을 때, 토기의 혈압이 투여 직후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약 1분 정도 후에 최대로 하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실시예 및 도 1 참조). 또 죽력에 의한 혈압 하강의 효과는 투여되는 죽력의 용량에 의존임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실시예 및 도 2 참조).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은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서 "죽력"이란 혈압 강하 효과를 가지면서,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로부터 추출되어진 모든 형태의 추출물로서 정의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죽력은 혈압 강하 효과를 가지면서, 직·간접적으로 열이 가해진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로부터 진액 형태로 흘러내린 액체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져야 한다.
상기에서 직접적으로 열이 가해진다는 것은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없이 열이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에 가해진다는 것이며, 반면 간접적으로 열이 가해진다 는 것은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 예컨대 전통적인 죽력의 제조 방법에 쓰여지고 있는 옹기나 기타 강판이나 스테인레스스틸 재료로 이루어진 용기를 통하여 열이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에 가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되는 방식에 따라 죽력이 혈압 강하 효과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낼지라도 일반적으로 그 제조 방식을 불문하고 모든 죽력은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낼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 적어도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결과(도 1 및 도 2 참조)에 기초하는 한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안에서 혈압 강하 효과를 갖는 죽력을 확인·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제조 방식을 불문하고 열이 가해진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로부터 흘러내린 진액 형태의 액체는 그것이 혈압 강하 효과를 가지는 한 모두 상기 죽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진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죽력은 혈압 강하 효과를 지니면서, 대나무나 대나무 줄기를 열수 추출하거나 알콜, 핵산,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된 대나무나 대나무 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된 죽력, 즉 옹기의 내부에 세절된 대나무를 넣고 황토로 그 옹기를 감싸고 그 황토 주위에 왕겨에 쌓아 거기에 불을 지펴서 그 열로 세절된 대나무로부터 흘러 내리는 진액 형태의 액체를 가지고 혈압 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고 하더라도(도 1 및 도 2 참조), 당업자라면 그 혈압 강하 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지라도 상기 용매 추출되어진 대나무나 대나 무 줄기 추출물도 혈압 강하 효과를 가질 것임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및 그 결과(도 1 및 도 2 참조)에 토대하는 한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안에서 혈압 강하 효과를 가지는 대나무나 대나무 추출물을 확인·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죽력은 위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로부터 용매 추출되어진 대나무 또는 대나무 추출물이 혈압 강하 효과를 지니는 한 그러한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서 간주된다.
또한 상기에서 대나무는 그 종류를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왕대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대나무든지, 해장죽속(Arundinaria)에 속하는 대나무든지, 조릿대속(Sasa)에 속하는 대나무든지 또는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든지 그것으로부터 추출되어진 것이라면 모두 상기 죽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상기 죽력은 직·간접적으로 열이 가해진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로부터 진액 형태로 흘러내린 혈압 강하 효과를 지니는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간접적으로 열이 가해진 대나무 또는 대나무 줄기로부터 진액 형태로 흘러내린 혈압 강하 효과를 지니는 액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은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이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그 고혈압은 그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모든 고혈압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고혈압은 아직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과 당뇨병, 신장질환,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모든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 1과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죽력이 토끼의 혈압을 강하시키는데,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여전히 유효할 것이라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죽력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근거에서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에서 고혈압은 그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모든 고혈압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 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죽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을 들 수 있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은 통상 0.1 ~ 20 ml/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죽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식품 조성물도 또한 전술한 바와 동일한 근거에서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에서 고혈압은 그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모든 고혈압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 성분으로서 죽력이 포함되는 것이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으며,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죽력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하였지만, 고혈압은 심근 경색증, 동맥 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신부전증, 중풍, 뇌출혈, 뇌경색, 눈과 다리의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나 다리의 통증 등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혈압 합병증은 앞으로도 계속하여 연구가 될 것이며, 또한 계속하여 밝혀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혈압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고혈압 합병증이란 현재까지 밝혀진 상기에서 예시한 바의 질병들뿐만 아니라, 나아가 추후에 밝혀지게 될 고혈압 합병증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죽력은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혈압 합병증이 위에서 예시한 바의 현재까지 밝혀진 질병뿐만 아니라 추후에 밝혀지게 될 질병까지 포함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가 부당하게 확대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상기 고혈압 합병증은 위에서 예시한 바의 현재까지 밝혀진 질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혈압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응용되어 사용되거나 식품 조성물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혈압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응용되어 사용되거나 식품 조성물로 응용되어 사용되는 경우, 그 제제화, 투여방법, 유효량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가 그대로 적용되어지며,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고혈압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죽력의 의미와 범위에 대해서도 상기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서 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어진다.
한편,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생쥐를 이용한 죽력의 급성 독성 실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죽력은 최소 치사량(LD10)이 19.05ml/kg이상이고 반수 치사량(LD 50)이 21.96ml/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 참고예 > 전통적인 방식에 의한 죽력의 제조
우선 대나무를 세절한 후, 이를 옹기에 촘촘히 넣고, 옹기 입구를 천으로 막았다. 또 다른 옹기를 그 옹기의 입구가 땅 속에 들어갈 정도의 깊이로 땅에 묻었다. 세절된 대나무를 넣은 옹기를 뒤짚어서 양 쪽 옹기의 입구가 맞닿도록 땅속에 파 묻은 다른 옹기와 입구를 맞춘 후, 황토를 물에 개어서 땅 위로 나온 옹기를 완전히 봉하였다. 마지막으로 옹기를 감싼 황토 주위에 왕겨를 다량 쌓아서 이 왕겨에 불을 지피고 약 하루 반나절 정도 타도록 하였다. 다음 열을 받은 대나무로부터 흘러내린 액체가 땅에 파묻은 옹기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것이 죽력이며, 하기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얻어진 죽력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 죽력의 실험동물에 대한 혈압 강하 실험
1. 실험 방법
실험동물은 체중 1.8 ~ 2.0 ㎏의 New Zealand White 토끼(화인실험동물센타, 대한민국 전남 나주)로부터 구입하여 암수 구별없이 사용하였다. 위 실험동물을 온 도 22±3℃, 상대습도 50±10 %, 조도 150 ~ 300 Lux로 사육하고, 우레탄(urethane)(1 g/㎏, 피하주사, Sigma Chemical Co., USA) 마취 하에서 실험하였다.
죽력은 상기 참고예에서 얻어진 죽력을 사용하였으며, 이 죽력을 감압농축기(EYELA, rotary vaccum evaporator, Japan)를 이용 10배 농축하여 원액으로 삼았다.
마취한 토끼의 우측 대퇴동맥에 헤파린(heparin) 처리한 생리 식염수가 채워진 폴리비닐 튜빙(polyvinyl tubing)(내경 1㎜)을 삽입하고, 이를 압력 변환기(pressure transducer) (Statham P23XL, Ohmeda Inc, USA)에 연결하여 레코더(recorder) (Grass Model 79 Polygraph) 상에 평균 혈압의 변동을 기록하였다. 죽력은 편측 이정맥을 통하여, 1회에 0.5 ㎖/㎏ 비율이 되도록 생리식염수(중외제약, 대한민국 서울)를 추가하여 주사하였다. 혈압의 표기는 평균혈압(확장기혈압+1/2맥압)으로 하였으며, 죽력의 혈압강하 효과는 죽력에 의해 변동된 혈압 치를 죽력 주사 직전의 혈압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평균±S.E.M.으로 표시하였다.
죽력의 투여량은 0.1ml/kg, 0.3ml/kg, 0.6ml/kg 및 1.0ml/kg으로 하였으며, 각 실험군은 6마리의 실험동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하기 실험 결과는 각군의 6마리의 실험동물에 대해 측정된 혈압의 평균치로 표시한 것이다.
2. 실험 결과
죽력(0.1 ~ 1㎖/kg)은 마취한 토끼의 혈압을 떨어뜨렸으며(도 1 참조), 이 혈압하강은 투여 후 1분 이내에 최대로 떨어졌다가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소량(0.1과 0.3ml/kg) 주사 후에는 10분 이내에 원혈압 수준으로 회복하였으나, 투여량을 증가(0.6과 1.0 ㎖/kg)시키면 점차 지속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죽력에 의한 혈압강하의 양상이 용량의존적이었다(도 2 참조).
이러한 결과는 죽력이 고혈압 등의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실험예 > 급성 독성 실험
1. 실험 방법
4주령의 특정병원체 부재 Sprague-Dawley 랫드(평균체중±20% 이내)를 암수 5 마리씩으로 구성된 4개의 군으로 나누어 그 중 3개의 실험군의 랫드들에게 상기 <참고예>에서 얻어진 죽력을 각각 5, 10, 20ml/kg의 용량으로 멸균 증류수에 희석시켜 1회 경구투여용 존데와 주사기를 경구투여하고, 대조군의 랫드들에는 동일양의 멸균 증류수를 실험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후 14일 동안 생쥐의 일반 증상, 체중 변화를 관찰함과 함께 부검에 의한 장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2. 실험 결과
죽력정제수를 1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 사망동물을 관찰한 결과, 부형제 대 조군과 5 및 10 ml/kg 투여군의 암수동물에서는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20 ml/kg 투여군의 암수동물에서는 투여 후 1일째에 암수 각각 1마리가 사망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사망률을 산출하였는데(probit법), 최소 치사량(LD10)은 19.05ml/kg이고 반수 치사량은(LD 50)은 추출물 21.96ml/kg으로 산출되었다.
한편, 일반증상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5 ml/kg 투여군의 암수동물에서는 시험물질의 투여에 기인된 어떠한 일반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10 및 20 ml/kg 투여군의 암수동물에서는 투여 후 1시간째부터 투여 후 1일째까지 운동성감소와 운동실조, 유루, 호흡곤란, 복와위, 기면상태, 피부창백, 입모, 적색유루 및 웅크림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일시적인 증상일 뿐 곧 회복되었다.
시험기간 중 체중 측정 결과, 20 ml/kg 투여군의 암수동물에서 투여 후 1일째의 체중이 투여 전 체중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특히 수컷의 체중은 대조군의 체중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투여 후 3일째부터는 암수동물 모두 각 시험군간에 체중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기간 중 사망동물과 시험물질 투여 후 14일째의 생존 동물을 부검하여 육안적 부검 소견을 관찰한 결과, 10 ml/kg 투여군의 암컷 1례에서 폐의 점상출혈(petechia)과 장의 가스충만이 관찰되었으며, 그 외의 모든 암수동물에서는 어떠한 이상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 물질 투여에 의한 반응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 제제예 >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의 제제예
<제제예 1> 캡슐제의 제조
죽력 20ml,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를 완전히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주사제의 제조
죽력 20ml 적량의 주사용 증류수와 적량의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죽력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건강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죽력 20ml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죽력은 혈압 강하제로서 사용될 수 있 으며, 구체적으로 혈압 강하용 조성물과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 조성물들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응용되거나 식품 조성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Claims (10)

  1. 죽력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혈압 강하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이고, 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6. 죽력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 합병증은 심근 경색증, 동맥 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신부전증, 중풍, 뇌출혈, 뇌경색 및 눈과 다리의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나 다리의 통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이고, 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40066161A 2004-08-21 2004-08-21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KR20060017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61A KR20060017696A (ko) 2004-08-21 2004-08-21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61A KR20060017696A (ko) 2004-08-21 2004-08-21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696A true KR20060017696A (ko) 2006-02-27

Family

ID=3712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161A KR20060017696A (ko) 2004-08-21 2004-08-21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76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KR20110005144A (ko)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KR102009966B1 (ko)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01279018A (zh) 一种中药脑血疏制剂
JP2018506524A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0672952B1 (ko) 허혈성 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원지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 식품
TWI437998B (zh) 大葉冬青提取物之用途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78562B1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대나무 추출물의 용도
KR20150135602A (ko) 압출성형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8395A (ko) 담즙산을 포함하는 허혈성 재관류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60017696A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력의 용도
WO2022103634A1 (en) Improved use of cannabinoid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US11446347B2 (en)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mpris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KR101970281B1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장운동과다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04966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10565B1 (ko) 포도씨 및 함초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및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533545B1 (ko) 알피늄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2245B1 (ko) 필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56651A (ko)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KR20060017698A (ko) 혈압 강하제로서의 죽엽 추출물의 용도
KR20140043263A (ko)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578811B1 (ko) 소브레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72950B1 (ko) 허혈성 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