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217A -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 Google Patents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217A
KR20040071217A KR10-2004-7009480A KR20047009480A KR20040071217A KR 20040071217 A KR20040071217 A KR 20040071217A KR 20047009480 A KR20047009480 A KR 20047009480A KR 20040071217 A KR20040071217 A KR 2004007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echanism
braking
iron core
movable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771B1 (ko
Inventor
마루야마나오유키
사가와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16D59/02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spring-loaded and adapted to be released by mechanical, fluid, or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 F16D51/1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고정 부재(2)와, 고정 부재(2)에 대향하는 가동 부재(4)와, 일면에 있어서, 가동 부재(4)에 연결하고, 상기 일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권상기의 회전 부분에 설치된 제동면(50)에 대향하는 제동 부재(6)를 구비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에 있어서, 고정 부재(2)는 구비된 탄성 부재(20)에 의해 가동 부재(4)를 제동 부재(6)와 함께 제동면측(50)으로 가압할 때, 또는 고정 부재(2)에 설치된 코일(16)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가동 부재(4)를 제동 부재(6)와 함께 고정 부재(2)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더욱이, 가동 부재(4)와 제동 부재(6)의 연결부(44, 46)에 있어서는, 제동 부재(6)와 가동 부재(4)의 연결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BRAKE MECHANISM FOR HOIST}
도 20은 종래의 권상기(traction machine)의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사선 부분 및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는 고정 철심(2), 가동 철심(4), 슈우(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철심(2)은, 고정 철심(2)의 중심부에는 가이드(14)가 설치된다. 또한, 고정 철심(2)에는 코일(16) 및 가압 스프링(20)이 설치된다.
가동 철심(4)에는 가이드 핀(32)이 설치된다. 가이드 핀(32)은 고정 철심(2)의 가이드(14)에 관통하고, 이것에 의해 가동 철심(4)은 고정 철심(2)에 가동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이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가동 철심(4)에는 슈우(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기구에 있어서, 고정 철심(2)에 설치된 코일(16)에 전류가 흐르면, 가동 철심(4)은 고정 철심(2)측에 흡착된다. 이 때, 슈우(6)는 가동 철심(4)과 함께, 고정 철심(2)측에 끌어당겨지고, 제동면(50)으로부터는 분리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권상기는 회전가능한 상태에 있고, 브레이크가 해방된 상태에 있다.
한편, 코일(16)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면,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 사이의 흡인력은 작아진다. 이 흡인력에 의해, 고정 철심(2)에 배치된 가압 스프링(20)이 가동 철심(4)을 슈우(6)측에 가압력을 크게 하면, 가동 철심(4)은 슈우(6)와 함께 제동면(50)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슈우(6)는 제동면(50)에 가압되고, 이에 의해 권상기의 브레이크가 걸려진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동작하는 브레이크 기구에 있어서, 제동면(50)에는 슈우(6)가 반복하여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면(50)에 휨이 생길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제동면(50)에 휨이 생기면, 해방되었을 때라도, 슈우(6)가 제동면(50)을 문지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동면(50)과 슈우(6) 사이에 마모 입자가 들어가서,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약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면의 휨에 의해, 슈우가 제동면에 문지르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동력이 약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제동면에 휨이 생겼을 경우에도, 브레이크 제동력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개량한 브레이크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향하는 가동 부재와,
일면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일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권상기의 회전 부분에 설치된 제동면에 대향하는 제동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동 부재와 함께 상기 제동면측으로 누르는 탄성 부재와,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동 부재와 함께 상기 고정 부재측으로 끌어당기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제동 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제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의 연결의 경사를 조정하는 제동면측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제동면측 조정 부재가, 선단부가 구면으로 된 본체부와,
상기 구면에 접하는 구면 시트 수용부와,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구면 시트 수용부에 미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구면을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상에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동 부재의 경사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접속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제동면과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동 부재를 관통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결합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너트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가동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 및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동 부재에 접속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제동면에 휨이 있는 경우에도, 제동 부재를 제동면에 가압 접촉할 때에, 제동 부재 전면을 제동면에 가압 접촉하도록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기구의 브레이크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제동 부재의 거리를 조정하는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당겨질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가 상기 제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대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와 상기 대향부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당겨질 때에 서로 접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그 선단부에 돌출부용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3개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돌출부는 모두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동면측에 가압될때에,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제동 부재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가동 부재측 조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측 조정 부재가 상기 가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동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동면측에 가압될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동면측에 가압될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가동 부재에 접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그 선단부에 돌출부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3개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돌출부는 모두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제동 부재의 일면에 접하고, 또한 경사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측판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 접하고,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측판 방향으로 가압하는 측판용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 당겨질 때, 상기 측판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가동 부재와 고정 부재가 끌어당겨질 때, 고정 부재 또는 가동 부재와 제동 부재의 거리를 조정하면서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인 상태에 있어서, 제동 부재와, 휨이 없는 본래의 제동면을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면과 제동 부재의 거리를 어느 정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의 흡착면간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큰 흡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브레이크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는 중심부에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중심부에 축심을 포함하고,
상기 축심은 상기 관통 구멍으로 관통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측 또는 상기 제동면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축심은 상기 관통 구멍내를 이동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는 중앙부에 바닥이 있는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편은 상기 결합 구멍과 상기 결합편 사이에 있을 수 있는 간극에 배치된 결합 구멍용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측 또는 상기 제동면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결합 구멍내를 이동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탄성 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는, 일부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 주위에는, 탄성 부재 수용부용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측 또는 상기 제동면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중심 방향 또는 상기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하를 거는 상기 가동 부재용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가동 부재의 이동의 방향을 적절한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 및 제동 부재의 이동에 의한 변환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브레이크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 이용하는 브레이크 기구로서 적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의,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의,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의,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의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l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의 갭 조정 볼트를 확대한 단면도,
도 19c 및 도 19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의 갭 조정 볼트를 확대한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100)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l 및 도 2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기구(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사선 부분 및 점선 부분은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은 브레이크 기구(100)중 주로 우측 부분의 정면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브레이크 기구(100)는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00)는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과, 슈우(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철심(2)은 지지체(12)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고정 철심(2)은 권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2)에는 중심부에 가이드(14)가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14)를 중심으로, 도 1의 지면과는 수직한 면을 주회(周回)하도록 하고, 코일(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16)보다 내측, 또한 가이드(14)의 상하에 각각 스프링 수용부(18)가 설치되고, 각 스프링 수용부(18)에는 가압 스프링(20)이 장착되어 있다. 더욱이, 고정 철심(2)의 상부에는, 고정 철심(2)의 정면측(도 2에 있어서, 좌측)에 돌출하는 형태로 검출 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다.또한, 고정 철심(2)의 가동 철심(4)과 대향하는 면에는 3개의 장착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3개의 장착 부재(24)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가이드(14)의 중심과 일치하고, 더욱이 고정 철심(2)의 중심과도 일치한다. 또한, 3개의 경사 조정 볼트(26)가 각 장착 부재(24)에 로크 너트(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각 경사 조정 볼트(26)는 선단 부분이 구면으로 처리되어 있다. 또한, 3개의 경사 조정 볼트(26)는 여자(勵磁) 상태시에,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평행하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가동 철심(4)의 중심에는 가이드 핀(3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핀(32)은 고정 철심(2)측에 돌출되어 있다. 이 가이드 핀(32)의 돌출부는 고정 철심(2)의 가이드(14)에 관통하고, 이에 의해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은 가동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또한, 가동 철심(4)에는, 관통 구멍(34)이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3개의 관통 구멍(34)이 설치되는 위치는 각각 고정 철심(2)의 각 장착 부재(24)의 위치에 대응하고, 각 관통 구멍(34)에는 고정 철심(2)에 설치된 장착 부재(24)가 관통되어 있다. 이 3개의 관통 구멍(34)을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가이드 핀(32)의 중심과 일치하고, 또는 가동 철심(4)의 중심과 일치한다.
또는, 고정 철심(2)과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인 가동 철심(4)의 면의 중심부에는 구면 시트 수용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면 시트 수용부(36)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하여 판 스프링(38)이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4)과 대향하는 슈우(6)의 면에는, 로크 너트(42)를 통하여 갭 조정 볼트(44)가 설치되어 있다. 갭 조정 볼트(44)의 선단부에는, 구면 시트(46)가설치되어 있다. 구면 시트(46)는 가동 철심(4)의 구면 시트 수용부(36)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갭 조정 볼트(44)의 선단부는 판 스프링(38)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구면 시트(46)를 구면 시트 수용부(36)의 표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갭 조정 볼트(44)는 미동할 수 있는 상태로 가동 철심(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동 철심(4)과 대향하는 슈우(6)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제동면(50)에 대향하고 있다.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의 대향하는 면은, 브레이크의 해제, 제동시에, 서로 흡착 또는 분리되는 면이다. 이 대향하는 2면을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착면이라고 칭한다. 이 흡착면은 브레이크의 작동된 제동 상태에 있어서, g1의 거리를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는, 실시예 1에 있어서, 경사 조정 볼트(26)의 선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슈우(6)의 표면은,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거리(g2)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거리(g2)는 거리(g1)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도 3은 브레이크 기구(100)의,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브레이크 기구(100)의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브레이크 기구(100)의,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사선부 및 점선부가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고,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00)의 브레이크 제동, 해제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일(16)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 있을 때는,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4)에는 스프링(20)이 가동 철심(4)을 제동면(50)측에 가압력만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 철심(4)의 움직임과 함께, 슈우(6)가 제동면(50)에 가압 장착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 상태를 무여자 상태라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고정 철심(2)의 흡착면과 가동 철심(4)의 흡착면의 거리는 g1이고, 경사 조정 볼트(26)의 선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슈우(6)의 표면의 거리는 g2이다.
한편, 코일(16)에 전류가 흐르면,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한다. 스프링(20)이 가동 철심(4)을 제동면(50)측에 가압력보다도, 이 흡인력쪽이 커지면, 가동 철심(4)은 고정 철심(2)측에 인장되고, 그 후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은 흡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가동 철심(4)과 함께, 슈우(6)가 제동면(50)으로부터 분리되어 브레이크는 해제된다. 또한, 이 상태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여자 상태라고 한다.
여자 상태로부터, 다시 코일(16)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면,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 사이의 흡인력이 끊어진다.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 사이의 흡인력보다도 스프링(20)이 가동 철심(4)을 가압하는 힘쪽이 커지면, 가동 철심(4)은 제동면(50)측에 가압된다. 그 결과, 슈우(6)가 제동면(50)에 가압 장착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다시 무여자 상태에 바뀐다.
이렇게 하여, 코일(16)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 기구(100)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또는 해제할 수 있다.
가동 철심을 고정 철심(2)측에 흡인, 또는 제동면측에 가압 장착할 때에는,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의 대향하는 흡착면은 가동 철심(4)에 설치된 가이드 핀(32) 및 고정 철심(2)측의 가이드(14)에 의해, 서로 거의 평행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동면(50)에 휨이 없는 경우에는, 슈우(6)에 설치된 갭 조정 볼트(44)가 제동면(50)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 즉 슈우(6)와 가동 철심(4)의 대향하는 면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가동 철심(4)과 함께 슈우(6)가 이동한다.
한편, 제동면(50)에 휨이 있는 경우,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슈우(6)의 제동면(50)과 대향하는 면은 제동면(50)에 따른 상태가 되어서 가압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의 브레이크 기구(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면(50)이 본래의 위치에 대하여 정면측(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하방)에 Δd 정도 개방되도록 한 상태를 예로서 설명한다.
슈우(6)는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제동면(50)에 따른 상태에서 가압 장착되어 있다. 이 때, 갭 조정 볼트(44)의 선단부의 구면 시트(46)가 구면 시트 수용부(36)를 미끄러져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이 제동면(50)의 변형에 대응하여슈우(6)의 경사를 조절하고, 슈우(6) 전면에서 제동면(50)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무여자 상태로부터 여자 상태로 전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여자 상태시,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의 흡착면간의 거리는 g1이고, 이 상태에 있어서 양자는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이다. 띠라서, 이 때 슈우(6)는 경사 조정 볼트(26)의 선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에 있다.
제동면(50)에, 정면측에 Δd로 개방되도록 하는 휨이 있는 경우에는, 배면측에 설치된 2개의 경사 조정 볼트(26)의 선단부와 슈우(6)의 거리는 정면측에 설치된 경사 조정 볼트(26)의 선단부와 슈우(6)의 거리보다도 작다. 따라서, 코일(l6)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의 거리가 줄어들면, 슈우(6)는 우선 배면측에 설치된 경사 조정 볼트(26)에 가압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슈우(6)는 고정 철심(2)측에 흡인되면서, 반대로 배면측의 경사 조정 볼트(26)로부터는 제동면(50)측에 가압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슈우(6)의 배면 부분은 고정 철심(2)측으로 움직이지 않고, 정면측의, 경사 조정 볼트(26)와 슈우(6)의 거리가 작은 부분에 있어서, 슈우(6)가 고정 철심(2)측으로 끌어당겨진다. 이 때, 구면 시트(46)는 구면 시트 수용부(36)를 미끄러지도록 회전하면서, 경사를 조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슈우(6)와 가동 철심(4)의 표면이 평행한 상태에서는, 각 경사 조정 볼트(26)의 선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슈우(6)의 거리(g2)는 거리(g1)보다도 약간 작다. 따라서,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이 완전히 흡착할 때에는,모든 경사 조정 볼트(26)와 슈우(6)가 접한 상태가 되고, 평행한 상태로 변환된다.
또한, 각 경사 조정 볼트(26)는 여자 상태시에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평행하도록 조정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철심(4)이 고정 철심(2)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26)에 의해, 고정 철심(2)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슈우(6)는 제동면(50)과의 거리를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여자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브레이크 기구(100)에 따르면, 제동면(50)에 휨이 생기고 있는 경우라도, 슈우(6)의 전면을 제동면(50)에 가압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동면(50)의 휨에 관계없이,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무여자 상태로부터 여자 상태로 전이할 때에는, 경사 조정 볼트(26)에 의해, 갭 조정 볼트(44)와 가동 철심(4)이 수직한 상태, 즉 슈우(6)와 가동 철심(4)이 평행한 상태로 바뀌면서,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면(50)과 이것에 대향하는 슈우(6)의 대향면을 평행한 상태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슈우(6)가 경사진 상태에서 흡인되고 있을 경우에는, 슈우(6)의 제동면(50)의 거리가 짧아지는 부분과, 제동면(50)의 휨에 의해 슈우(6)와의 거리가 줄어드는 부분을 고려하여, 제동면(50)이 회전한 경우에도, 제동면(50)과 슈우(6)가 충돌하지 않도록, 여유를 가져서 제동면(50)과 슈우(6)의 거리를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슈우(6)가 제동면(50)과 문지르게 하고, 브레이크의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큰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 브레이크 기구(100)에 따르면, 제동면(50)과 슈우(6)가 평행한 상태로 흡인할 수 있으므로, 슈우(6)의 경사를 고려하지 않고, 휨만큼의 여유를 가지고, 제동면(50)과 슈우(6)의 거리를 설정하면 좋다. 따라서, 브레이크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동면(50)이 본래의 위치에 대하여 정면측으로 개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라도, 3개의 경사 조정 볼트(26)에 의해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3개의 경사 조정 볼트를 설치했다. 이것은 적어도 3개의 경사 조정 볼트를 설치하면, 면이 결정되므로 경사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3개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의 경사 조정 볼트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26)는 여자 상태시에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평행해지도록 조정하고, 또한 경사 조정 볼트(26)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을 갭 조정 볼트(44)의 중심과 일치시켰다. 이것은 고정 철심(2)과 슈우(6)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슈우(6)와, 휨이 없는 본래의 제동면(50)을 평행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고정 철심(2)과 슈우(6)를 평행하게 하도록 한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그 각도에 부합하여, 경사 조정 볼트(26)의 길이를 조절하여, 중심을 설정하면 좋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26)와 갭 조정 볼트(44)의 양자를 구비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갭 조정 볼트(44)만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갭 조정 볼트(44)만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적어도 슈우(6)를 가압 접촉시킬 때, 슈우(6)의 전면에서 제동면(50)에 접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기구(100)의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의 선단부는 구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하면, 경사 조정 볼트와 슈우는 1점에서 접하기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슈우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선단부가 평면에 이루어진 것, 선단부가 첨예한 것 등, 다른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110)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사선부 및 점선부는 단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6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기구(110)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10)는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브레이크 기구(110)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00)와 유사한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크 기구(110)에 있어서, 고정 철심(2)에는, 장착 부재(24)만이 설치되고, 경사 조정 볼트(26) 및 로크 너트(28)는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브레이크 기구(110)에 있어서는, 슈우(6)의 3개소에 경사 조정볼트(52)가 로크 너트(54)를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3개의 경사 조정 볼트(52)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슈우(6)의 중심과 일치한다. 또한, 경사 조정 볼트(52)는 각각 장착 부재(24)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경사 조정 볼트(52)의 선단부는 구면으로 가공되어 있다.
경사 조정 볼트(52)의 선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장착 부재(24)의 표면의 거리(g2)는 실시예 1과 같이,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의 흡착면간의 거리(g1)보다 약간 작다.
또한, 브레이크 기구(110)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기구(100)와는 반대로, 슈우(6)측에 구면 시트 수용부(56) 및 판 스프링(58)이 설치되고, 고정 철심(4)측에 로크 너트(60)를 거쳐서 갭 조정 볼트(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갭 조정 볼트(62)의 선단부에는 구면 시트 수용부(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갭 조정 볼트(62)의 중심은 슈우(6)의 중심과 일치한다.
이렇게 구성된 브레이크 기구(110)의 브레이크가 제동 및 해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크 기구(110)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기구(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코일(16)에 흘리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제동면(50)에 휨이 없으면,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제동면(50)에 가압 장착되거나, 또는 고정 철심(2)측으로 인장된다. 즉, 제동면(50)에 휨이 없는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4) 및 슈우(6)는갭 조정 볼트(54) 및 가이드 핀(32)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동면(50)에 휨이 있는 경우,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슈우(6)는 제동면(50)의 휨에 따라, 전면에서 접하도록 구면시트부(64)를 구면 시트 수용부(56)에서 미끄러지게 하여 어긋남을 조정한다.
전류가 흐르고 가동 철심(4)의 흡인이 개시되면, 슈우(6)에 설치된 3개의 경사 조정 볼트(52)중, 장착 부재(24)와의 거리가 짧아지는 부분으로부터, 장착 부재(24)에 접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슈우(6)는 이 부분의 장착 부재(24)에 의해, 흡인 방향과는 반대로 가압되어, 위치를 수정하면서 여자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과, 슈우(6)의 가동 철심(4)에 대항하는 면은, 여자 상태에 있어서, 수평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휨이 없는 본래의 상태의 제동면(50)과 슈우(6)의 제동면(50)과 대향하는 면과는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10)에 있어서는, 슈우(6)측에 경사 조정 볼트(52) 및 구면 시트 수용부(56) 등을 설치하고, 가동 철심(4)측에 갭 조정 볼트(62) 등을 설치했다. 이렇게 하여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동면(50)에 휨이 있는 경우에도,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슈우(6)의 전면에서 제동면(50)에 접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기구(110)의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제동면(50)에 평행한 정상인 위치에 슈우(6)를 되돌릴수 있다. 따라서, 슈우(6)가 기울어져 흡인될 경우와 비교하여 제동면(50)과 슈우(6)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기구(110)를 작게 할 수 있고, 권상기 전체의 소형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슈우(6)측에 경사 조정 볼트(52) 및 구면 시트 수용부(56) 등을 설치하고, 가동 철심(4)측에 갭 조정 볼트(62) 등을 설치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경사 조정 볼트(52) 등이 슈우(6)측에 설치되고, 구면 시트 수용부(56)는 브레이크 기구(100)와 같이, 가동 철심(4)측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경사 조정 볼트(52)를 설치하지 않고, 갭 조정 볼트(62) 등만을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l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사 조정 볼트(52)는 3개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모두 동일한 길이의 것에 제한하는 것도 아니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2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사선부 및 점선부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기구(120)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20)는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20)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00)와 유사한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크 기구(120)에 있어서는, 고정 철심(2)에 장착된 각 장착 부재(24)에 경사 조정 볼트(26) 및 로크 너트(28) 대신에 나사부(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나사부(66)에는 로크 너트(68)가 장착되고, 더욱이 너트(70), 스프링 수용부(72), 소형 스프링(74)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소형 스프링(74)은 슈우(6)에 대향해서 접하고 있다.
또한, 여자 상태에 있어서, 각 소형 스프링(74)은, 각 소형 스프링(74)에 의한 구면 시트(46) 중심 주위의 회전 모멘트는 f1×R1= f2×R2= f3×R3이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판 스프링(38)의 흡인력 F > f1+ f2+ f3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슈우(6)를 제동면(50)측에 가압 장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형 스프링(74)의 가압력을 각각 f1, f2, f3, 구면 시트(46)의 중심과 소형 스프링(74)의 중심의 거리를 각각 R1, R2, R3으로 하고, 또한 판 스프링(38)이 가동 철심(4)과 슈우(6)의 사이를 끌어당기는 힘을 F라고 한다.
이렇게 구성된 브레이크 기구(120)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구면 시트(46)를 구면 시트 수용부(36)에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슈우(6)의 각도를 제동면(50)에 접하도록 조정하고, 슈우(6)를 제동면(50)에 가압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여자 상태에 있을 때에도, 브레이크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부착 부재(24)과 이것에 설치된 나사부(66) 및 로크 너트(68), 소형 스프링(74) 등에 의해, 슈우(6)의 가동 철심(4)과의 거리의 짧은 부분은 흡인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슈우(6)는 그 경사를 조정시키면서, 가동 철심(4)과의 대향면이 가동 철심(4)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흡인된다.
또한, 브레이크 기구(120)에 있어서, 흡인시의 경사를 조정하는 부분에는, 브레이크 기구(100)와는 달리 소형 스프링(74) 등이 설치되어 있다. 무여자 상태, 즉 브레이크 제동시에는, 슈우(6)가 제동면(50)을 따라 기울어지기 때문에, 각 소형 스프링(74)에 의한 구면 시트(46) 중심 주위의 회전 모멘트 f1×R1, f2×R2、f3×R3은 각각 다른 값이 된다.
한편, 여자 상태, 즉 브레이크 해제시에 있어서는,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이 접하는 상태에서 흡착된다. 여자 상태에서는, 각 소형 스프링(74)에 의한 구면 시트(46) 중심 주위의 회전 모멘트는 f1×R1= f2×R2= f3×R3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F > f1+ f2+ f3이 되도록 판 스프링(38)의 끌어당기는 힘이 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여자 상태에 있어서도, 슈우(6)는 가동 철심(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또한 소형 스프링(74)에 의해 슈우(6)의 경사에 의한 회전 모멘트가 균형이 잡히는 방향으로 항상 강제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슈우(6)를 제동면(50)과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슈우(6)의 경사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나사부(66), 로크 너트(68), 너트(70), 스프링 수용부(72) 및 소형 스프링(74)을 순차적으로 가동 철심(4)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를 조정하는 수단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여자 상태에 있어서, 구면 시트 중심부의 회전 모멘트를 소정값으로 유지하는 것이면, 다른 탄성체를 이용한 것 등이어도 좋다. 더욱이,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이것들은 슈우(6)측에 설치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나사부(66) 등은 3개소에 설치했지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에서는, 소형 스프링(74)에 의한 구면 시트(46) 중심 주위의 회전 모멘트를 평행 상태시에 일정해지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 철심(2)과 슈우(6)를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한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소정의 각도가 되었을 때에, 회전 모멘트가 일정하게 되도록 소형 스프링(74)의 설정을 행하면 좋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3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는, 사선부 및 점선이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은 도 1과 같이 브레이크 기구(130)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30)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l30)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00)와 유사하다. 그러나, 브레이크 기구(130)는 고정 철심(2)에 부착 부재(24), 경사 조정 볼트(26), 로크 너트(28)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가동 철심(4)에는 이것들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이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브레이크 기구(130)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4)에 3개의 경사 조정 볼트(76)가 끼워 넣어져 로크 너트(7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3개의 경사 조정 볼트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구면 시트(46)의 중심과 일치한다. 또한, 3개의 경사 조정 볼트(26)는 여자 상태시에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평행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더욱이, 무여자 상태에서, 또한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이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76)의 선단부와 슈우(6)는 거리(g2)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거리(g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동 철심(4)과 고정 철심(2)과의 제동면간의 거리(g1)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브레이크 기구(130)의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 평면도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도 2에 있어서의 B-B' 부분에서 본 평면도이다. 따라서, 도면 하방 부분이 도 8에 있어서의 정면측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에 의해, 고정 철심(2)에 대하여, 가동 철심(4)이 경사져 있는 경우, 여자 상태로부터 무여자 상태가 될 때의 브레이크 기구(1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동 철심(4)이 경사져 있는 경우, 가동 철심(4)에 설치된 경사 조정 볼트(76)중 적어도 1개는 다른 경사 조정 볼트(76)보다도 먼저 슈우(6)에 접한다. 가동 철심(4)은 무여자 상태가 될 때, 가압 스프링(20)으로부터 슈우(6)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는다. 한편, 슈우(6)와의 거리가 짧고, 경사 조정 볼트(76)와 슈우(6)가 접한 부분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4)은 반대로 고정 철심(2)측에 가압력을 받는다. 이렇게 하여, 구면 시트 수용부(36)를 구면 시트(46)가 미끄러지면서,슈우(6)와 가동 철심(4)이 평행해지도록 조정되면서, 여자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동면(50)에 휨이 없는 경우에는, 슈우(6)와 가동 철심(4)을 평행하게 함으로써,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도 평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면(50)에 휨이 있는 경우에도, 가동 철심(4)과 슈우(6) 사이의 거리의 짧은 부분에 있어서, 경사 조정 볼트(76)가 슈우(6)에 가압된다. 이로써, 슈우(6)와 가동 철심(4)이 평행해지도록 가동 철심(4)의 경사는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4)과 슈우(6)를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무여자 상태로부터 여자 상태가 된 경우에도,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평행해진 상태에서 흡인된다. 또한, 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은 서로 흡착면에 있어서 접한 상태에서 흡착한다. 따라서,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은 평행한 상태이며, 슈우(6)의 가동 철심(4)과의 대향면도 이것들에 평행한 본래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4O)에 의하면, 여자 상태에 있어서도, 휨이 없는 원래의 제동면(50)에 대하여 슈우(6)를 평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브레이크 기구(140)에 따르면,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슈우(6)의 전면을 제동면(50)에 가압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강도를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휨이 없는 본래의 제동면(50)에 대하여 슈우(6)의 대향면을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76) 등은 가동 철심(4)에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슈우(6)측에 경사 조정 볼트를 배치하는 것 등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철심(4)에 관통 구멍(34)을 설치하고, 이것을 관통하는 부착 부재(24)를 설치하고, 슈우(6)와 고정 철심(2)을 평행하게 흡인할 수 있도록 한 경사 조정 볼트(26) 등의 경사 조정 수단을 별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76) 등은 3개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 조정 볼트(76) 등은 3개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는, 경사 조정 볼트(76)는 3개 모두 동일한 길이이고, 경사 조정 볼트(76)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을 갭 조정 볼트(44)의 중심과 일치시켰다. 이것은 가동 철심(4)과 슈우(6)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여자 상태에 있어서, 슈우(6)와, 휨이 없는 본래의 제동면(50)을 평행하게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가동 철심(4)과 슈우(6)를 평행하게 하도록 한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그 각도에 부합하여, 경사 조정 볼트(76)의 길이를 조절하여, 중심을 설정하면 좋다.
그 밖의 부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l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4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사선부 및 점선이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도 1과 같이 브레이크 기구(14O)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4O)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140)는 실시예 3 및 4에서 설명한 브레이크 기구(120, 130)와 유사한 것이다. 브레이크 기구(140)는 가동 철심(4)에 로크 너트(78)에 의해 고정된 나사부(80)를 구비한다. 또한, 브레이크 기구(120)와 같이, 나사부(80)에, 너트(70), 스프링 수용부(72), 소형 스프링(74)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소형 스프링(74)이 슈우(6)에 대향하여 접하고 있다. 즉, 브레이크 기구(140)는, 브레이크 기구(130)에, 브레이크 기구(120)가 구비한 소형 스프링(74) 등과 유사한 것을 부착한 것이다.
또한, 각 소형 스프링(74)은 무여자 상태나 여자 상태 등, 가동 철심(4)과 이것에 대향하는 슈우(6)의 대향면이 평행한 상태일 때에는, 소형 스프링(74)에 의한 구면 시트 중심 주위의 회전 모멘트가 f1×R1= f2×R2= f3×R3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자 상태에 있어서, F > f1+ f2+ f3이 되도록 판 스프링(38)의 인력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f1, f2, f3은 슈우(6)를 제동면(50)측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각 소형 스프링(74)의 가압력이며, R1, R2, R3은 구면 시트(46)의 중심과 소형 스프링(74)의 중심과의 거리이며, 또한 F는 판 스프링(38)이 가동 철심(4)과 슈우(6) 사이를 당기는 힘이다.
브레이크 기구(140)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기구(130)와 마찬가지로, 가동 철심(4)이 고정 철심(2)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슈우(6)와 가동 철심(4)을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철심(4)이 경사진 경우, 가동 철심(4)에 설치된 나사부(80) 선단부의 소형 스프링(74)중 적어도 1개는 다른 소형 스프링(74)보다도 먼저 슈우(6)에 접한다. 가동 철심(4)은 무여자 상태가 될 때, 가압 스프링(20)으로부터 슈우(6)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는다. 한편, 슈우(6)와의 거리가 짧고, 소형 스프링(74)과 슈우(6)가 최초로 접한 부분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4)은 반대로 고정 철심(2)측에 가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구면 시트 수용부(46)를 구면 시트(36)가 미끄러지면서, 슈우(6)와 가동 철심(6)이 평행해지도록 조정되어, 무여자 상태가 된다. 무여자 상태에서 여자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평행해진 상태에서 흡인되고, 최종적으로는 고정 철심(2)과 가동 철심(4)이 흡착되어, 고정 철심(2), 가동 철심(4)과 슈우(6)의 가동 철심(4)에 대향하는 면과는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제동면(50)에 휨이 있는 경우라도, 제동면(50)과 슈우(6)를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브레이크 기구(140)에 있어서의 소형 스프링(74)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자 상태에서 무여자 상태로 전이할 때, 가동 철심(4)이 기울어지고, 슈우(6)와의 사이가 소정의 평행 상태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 각 소형 스프링(74)에 의한 구면 시트 중심 주위의 회전 모멘트 f1×R1, f2×R2, f3×R3은 각각 다른 값이 된다. 한편, 평행한 상태에 있어서는 f1×R1= f2×R2= f3×R3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슈우(6)와 가동 철심(4)은 회전 모멘트가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항상 강제되기 때문에, 슈우(6)와 제동면(50)을 평행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자 상태에 있어서도, 슈우(6)는 가동 철심(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또한 소형 스프링(74)에 의해 슈우(6)의 경사에 의한 회전 모멘트가 균형이 잡히는 방향으로 항상 강제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슈우(6)와 제동면(50)을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나사부(80)에 로크 너트(68), 너트(70), 스프링 수용부(72) 및 소형 스프링(74)을 순차적으로 가동 철심(4)에 설치하여 경사를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이것들은 슈우(6)측에 설치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소형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에 제한하지 않고, 회전 모멘트를 소정값으로 유지하는 것이면, 소형 스프링(74) 대신에 다른 탄성체 등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소형 스프링(74)에 의한 회전 모멘트는 슈우(6)와 가동 철심(4)이 평행한 경우에 일정하게 되는 것에 제한하지 않고, 가동 철심(4)과 슈우(6)가 소정의 각도가 되었을 경우에,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한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부분은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2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50)를 설명한다.
도 12, 도 13 및 도 l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50)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2에 있어서의 B-B'면에서 본 부분에 해당하는 상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는, 사선부 및 점선이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50)는 브레이크 기구(100)와 유사한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크 기구(150)의 고정 철심(2)에는 부착 부재(24), 경사 조절 나사(26) 및 로크 너트(28)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가동 철심(4)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이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브레이크 기구(150)는 슈우(6)에 대향하고, 또는 정면측(도 12에 있어서는 하방)에 배치된 지지판(12)에 측판(82)이 조절 나사(8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측판(82)의 위치 및 경사는 조절 나사(84)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측판(82)은 고정 철심(2)의 흡착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슈우(6)의 가동 철심(4)과 대향하는 면이 고정 철심(2)에 평행해지도록 슈우(6)를 누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측에는, 측판(82)을 정면측의 지지판(12)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하중을 걸도록 탄성 요소(8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슈우(6)는 제동면(50)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면(50)의 휨에 따른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6)에 전류가 흘러, 고정 철심(2)측에 가동 철심(4)이 흡인되면, 슈우(6)에 적용된 제동면(50) 방향으로의 가압력이해제된다. 이 때, 슈우(6)에는 고정 철심(2)의 흡착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측판(82)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문에, 슈우(6)는 측판(82)의 경사에 따라, 고정 철심(2)에 대향면이 평행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수정하면서 흡인된다. 따라서, 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슈우는 가동 철심(4)에 대향하는 면이 가동 철심(4) 및 고정 철심(2)에 수직한 방향, 즉 휨이 없는 원래의 제동면(50)에 대하여 대향하는 면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50)에 따르면,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슈우(6)를 제동면(50)의 휨에 부합하여 전면으로 가압할 수 있고, 또한 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휨이 없는 원래의 제동면(50)에 대하여, 대항하는 슈우(6)의 대향면을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브레이크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측판(82), 조절 나사(84), 탄성 요소(86)를 구비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브레이크 기구(150)에, 또한 실시예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 조정 볼트(26) 등의 경사를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보다 정확하게 수평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슈우(6)의 한쪽에, 측판(82)은 조절 나사(84)에 의해 구비할 수 있고, 반대측으로 탄성요소를 채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측판(82)을 슈우(6)의 양측에, 탄성 요소 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양측에서 슈우(6)를 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 등이어도 좋다.
다음에,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브레이크 기구(16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사선부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기구(160)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60)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60)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브레이크 기구(100)와 유사한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크 기구(160)에 있어서, 고정 철심(2)에는 가이드(14)가 설치되고 있지 않고, 또한 가동 철심(4)에는 가이드 핀(32)이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브레이크 기구(160)는 가동 철심(4)의 4측면에, 각각 판 스프링(88)을 구비한다. 브레이크 기구(160)에 있어서도,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는 코일(16)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동 철심(4)을 고정 철심(3)측에 흡인하고, 또는 제동면(50)측에 가압함으로써 실행한다.
브레이크 기구(100) 등에는, 가이드(14)에 가이드 핀(32)을 관통시켜, 가이드 핀(32)을 가이드(14)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철심(4)은 고정 철심(2)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브레이크 기구(l60)에는, 가동 철심(4)은 4측면에 각각 설치된 판 스프링(88)에 의해, 가동 철심(4)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4측면에서 가압하고, 이에 의해 고정 철심(2)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가동 철심(4)은 4측면에 설치된 판 스프링(88)을 갖고, 이에 의해 고정 철심(2)에 대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 기구(100)와 같이, 가이드(14)에 가이드 핀(32)을 관통시켜, 가이드 핀(32)을 가이드내에서 이동시킬 경우, 가동 철심(4)이 경사져 이동하면, 가이드내에서 가이드 핀(32)이 경사지고, 이에 의해 가이드내에서 모멘트 하중에 의한 반력이 생긴다. 이 때문에, 가이드내가 마모되고, 가이드 핀(32)의 경사가 더욱 커지고, 동작 불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브레이크 기구(160)에 있어서는, 4측면에서 가동 철심(4)을 지지함으로써, 가동 철심(4)의 가동 방향은 소정의 방향으로 이끌어진다. 따라서, 브레이크 기구 중심의 가이드(14) 및 가이드 핀(32)에 의해 가동 방향이 인도되는 경우보다도, 가이드(14)의 경시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철심(4)의 경사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보다 성능이 높은 브레이크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88)이 가동 철심의 4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판 스프링(88)이 슈우(6)의 4측면에 설치되는 것 등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6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88)이 4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판 스프링(88)의 개수는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가동 철심(4)의 가동 방향을 인도할 수 있으면, 판 스프링(88)은 대향하는 2면에만 설치된 것이거나, 또한 1측면에 2장씩 설치된 것 등, 4이상이어도 4이하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6에 있어서는, 가동 방향을 인도하는 것으로서, 판 스프링(88)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가동 방향을 인도하는 것이면, 예를 들면 다른 탄성체 등이어도 좋다.
더욱이, 실시예 7에 있어서 설명한 브레이크 기구(160)는 경사 조정 볼트(26) 등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 1 내지 6에 설명한 바와 같은 다른 경사를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부분은 실시예 1 내지 6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6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7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단면 부분은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기구(170)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70)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170)는 브레이크 기구(100)와 유사한 것이지만, 브레이크 기구(170)는 브레이크 기구(100)의 고정 철심(2)에 설치된 가이드(14)보다 짧은 가이드(90)를 구비한다. 또한, 가동 철심(4)에는, 가이드(9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핀(92)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 철심(2)의 가이드(90)는 가이드 핀(92)에 대하여 다소 크고, 간극이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간극 부분에, O링(94)이 배치되어 있다. O링(94)은 탄성체이다.
브레이크 기구(170)에 있어서도, 코일(16)에 흘려보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동 철심(4)을 고정 철심(2)측에 흡인하고, 또는 가동 철심(4)의 이동에 의해 슈우(6)를 제동면(50)측에 가압하고,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를 실행한다.
브레이크 기구(170)에 있어서는, 가이드(90)가 가이드 핀(92)에 대하여 다소 크게 되어 있고, 간극이 없는 상태로 끼워넣어져 있지만, 이 간극 부분에는 탄성체인 O링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핀(92)은 가이드(90)내를 어느 정도 기울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도, 가이드(90)내에 가이드 핀(92)은 직접 접하지 않고, O링(94)이 가이드(90)내에 직접 접한다. 따라서, 가이드(90)내를 가이드 핀(92)이 이동하여도, 가이드(90)내의 마모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고정 철심(2)에 경사 조정 볼트(26) 등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브레이크 기구(110 내지 150)와 같이, 다른 경사 조정을 위한 수단을 갖는 브레이크 기구의 가이드(14) 및 가이드 핀(32) 대신에, 브레이크 기구(170)와 같이, 가이드(90), 가이드 핀(92) 및 O링(94)을 설치한 것 등이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에 O링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90)와 가이드 핀(92) 사이에 설치되고, 가이드(90)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탄성체 등, 다른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 1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브레이크 기구(18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단면 부분은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기구(180)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80)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80)는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70)와 유사하다. 그러나, 브레이크 기구(180)에 있어서는, 가이드(90) 및 가이드 핀(92)이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브레이크 기구(180)에 있어서, 고정 철심(2)의 2개소에 설치된 가압 스프링(20)의 스프링 수용부(18)에 각각 O링(96)을 구비한다. O링(96)은 흡인력의 하중 방향과 거의 직교가 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적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수용부(18)의 일부는 가동 철심(4)측에 끼워 넣어져 있다.
브레이크 기구(180)에 있어서도, 코일(16)에 흘려보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동 철심(4)을 고정 철심(2)측에 흡인하고, 또는 가압 스프링(20)이 가동 철심(4)을 가압함으로써, 슈우(6)를 제동면(50)측에 가압하고, 브레이크의 제동, 해제를 실행한다.
이 때, 브레이크 기구(180)의 고정 철심(2)에 설치된 스프링 수용부(18)는 일부에 있어서 가동 철심(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 수용부(18)의 주위에는 O링(96)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가동 철심(4)의 이동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하중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가동 철심(4)은 0링으로 지지한 스프이 수용 부재(18)의 움직임에 인도되어, 고정 철심(2)측에 흡착되고, 또는 슈우(6)측에 가압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180)에 따르면, 고정 철심의 2개소에 설치된 스프링 수용부(18) 및 O링(96)에 의해, 가동 철심(4)의 동작을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의 마모에 의한 가동 철심(4)의 경사와 같은 문제가 없이, 가동 철심(4)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고정 철심(2)에 경사 조정 볼트(26) 등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브레이크 기구(110 내지 160)와 같이, 다른 경사 조정을 위한 수단을 갖는 브레이크 기구의 가이드(14) 및 가이드 핀(32) 대신에, 브레이크 기구(180)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18)의 일부를 가동 철심(4)에 고정하고, O링(96)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9에 있어서는, 스프링 수용부(18)에 O링(96)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가동 철심(4)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이동시키고, 또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탄성체 등, 다른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부분은 실시예 1 내지 8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8, 도 19a 내지 도 19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기구(19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브레이크 기구(19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단면 부분은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기구(190)의 우측 부분을 도시하지만, 실제의 브레이크 기구(190)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190)는 브레이크 기구(100)와 유사한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크 기구(190)에 있어서는, 슈우(6)의 제동면(50)측에 절결 홈(98)이 설치된다. 절결 홈(98)에 갭 조정 볼트(44)의 로크 너트(42)가 배치되어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갭 조정 볼트(44)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19a 및 도 19b는 갭 조정 볼트(44)가 슈우의 가동 철심(4)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19c 및 도 19d는 갭 조정 볼트(44)가 슈우(6)의 제동면(50)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갭 조정 볼트(44)의 나사부와 이것에 결합하는 슈우(6)의 나사부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존재한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20)의 가압력(Fb)에 대하여, 슈우(6)는 제동면에서 Fs의 반력을 받는다. 이 때, 슈우(6)의 나사면은 갭 조정 볼트(44)의 나사면에 대하여, Fs와 같은 방향(도 19a 내지 도 19d에 있어서는, 좌측 방향)의 힘을 받는다. 한편, 로크 너트(42)로 잠그는 경우에는, 갭 조정 볼트(44)의 나사 부분에 대하여 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로크 너트(42)의 나사면은 갭 조정 볼트(44)의 나사면에 대하여, Fs와 같은 방향(도 19a 내지 도 19d에 있어서는 좌측 방향)의 힘을 받는다. 또한, 슈우(6)측의 나사면은 갭 조정볼트(44)의 나사면에 대하여, Fb과 같은 방향(도 19a 내지 도 19d에 있어서는 우측 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 때문에, 로크 너트(42)로 잠그기 전에 측정한 슈우의 스트로크만큼은 반력만큼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미소한 간극만큼, g1이 줄어든다.
한편, 도 19c 및 도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우(6)의 나사부는 갭 조정 볼트(44)의 나사부에 대하여 Fs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로크 너트(42)로 잠금하는 경우는 볼트 나사에 대하여 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로크 너트(42)의 나사부는 갭 조정 볼트(44) 나사면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또한 슈우(6)측의 나사면은갭 조정 볼트(44)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로써, 갭 조정 볼트(44)의 나사면에 받는 힘은 반전하지 않기 때문에, 백래쉬(backlash)만큼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갭 재설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흡착면간의 간극(g1)을 작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저소음의 브레이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기구(190)는 제동면에 대향하는 슈우(6)의 중앙부에 절결 홈(98)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절결 홈(98) 각도를 설치하면, 쐐기 효과에 의해 마찰 계수가 커진다. 예를 들면, 60°의 연장 각도에 대해, 30°의 홈 각도를 설치하면, 8%만큼 마찰 계수가 커진다.
따라서, 더욱이, 브레이크 기구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공간 절약, 저가격의 브레이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 가동 부재 및 제동 부재에는, 각각,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철심(2), 가동 철심(4), 슈우(6)가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압 스프링(20)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결부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 철심(4)과 슈우(6)와의 접속부를 도시하고, 제동면측 조정 부재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 갭 조정 볼트(44), 구면 시트(46), 구면 시트 수용부(36) 및 판 스프링(38), 또는 갭 조정 볼트(62), 구면 시트(64), 구면 시트 수용부(56) 및 판 스프링(58) 등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본체부에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갭 조정 볼트(44, 62)가 상응하고, 지지 부재에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38, 58)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목부에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결 홈(98)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 또는 돌출부에는, 예컨대 실시예 1, 7 내지 10에 있어서의 부착 부재(24), 경사 조정 볼트(26) 및 로크 너트(28) 혹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부착 부재(24), 경사 조정 볼트(52), 로크 너트(54),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부착 부재(24), 나사부(66), 로크 너트(68), 너트(70), 스프링 수용부(72), 소형 스프링(74) 등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향부에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부착 부재(24)가 상응하고, 돌출부용 탄성 부재에는, 예컨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소형 스프링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측 조정 부재 또는 돌출부에는, 예컨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경사 조정 볼트(76) 및 로크 너트(78) 또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로크 너트(78), 나사부(80), 너트(70), 스프링 수용부(72) 및 소형 스프링(74)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판용 탄성 부재에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탄성 요소(86)가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에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있어서의 가이드(14)가 상응하고, 축심에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있어서의 가이드 핀(32)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합 구멍, 결합편, 결합 구멍용 탄성 부재에는, 각각, 예컨대 실시예 8에 있어서의 가이드(90), 가이드 핀(92), O링(94)이 상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 수용부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스프링 수용부(18)가 상응하고, 탄성 부재 수용부용 탄성 부재에는, 실시예 9에 있어서의 O링(96)이 상응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용 탄성 부재에는, 예컨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88)이 상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부재와 제동 부재의 연결부에 있어서, 제동 부재와 가동 부재의 연결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면에 휨이 있는 경우라도, 브레이크 해방시에, 제동 부재를 제동면과 평행하게 조정할 수 있고, 슈우와 제동면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슈우와 제동면 사이에 마모 입자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브레이크 기구의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가 끌어당겨질 때에, 가동 부재 또는 가동 부재와, 제동 부재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는, 흡인 상태에 있어서, 제동 부재와, 휨이 없는 본래의 제동면을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면과 제동 부재의 거리 및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의 흡착면간의 거리를 어느 정도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큰 흡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브레이크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 철심이 이동할 때에,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을 인도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동 부재의 이동의 방향을 적절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 및 제동 부재의 이동에 의한 변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0)

  1.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에 있어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향하는 가동 부재와,
    일면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일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권상기의 회전 부분에 설치된 제동면에 대향하는 제동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동 부재와 함께 상기 제동면측으로 누르는 탄성 부재와,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동 부재와 함께 상기 고정 부재측으로 끌어당기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제동 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제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의 연결의 경사를 조정하는 제동면측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측 조정 부재는, 선단부가 구면으로 된 본체부와,
    상기 구면에 접하는 구면 시트 수용부와,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구면 시트 수용부에 미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구면을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상에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동 부재의 경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동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제동면과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동 부재를 관통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끼워맞춤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너트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가동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구면 시트 수용부 및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동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제동 부재의 거리를 조정하는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당겨질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대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와 상기 대향부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당겨질 때에,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그 선단부에 돌출부용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3개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돌출부는 모두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동면측으로 가압될 때에,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제동 부재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가동 부재측 조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동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동면측으로 가압될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동면측으로 가압될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가동 부재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그 선단부에 돌출부용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측 조정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3개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돌출부는 모두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3각형의 중심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제동 부재의 일면에 접하고, 또한 경사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측판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 접하고,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측판 방향으로 가압하는 측판용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끌어당겨질 때, 상기 측판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중심부에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중심부에 축심을 포함하며,
    상기 축심은 상기 관통 구멍에 관통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측 또는 상기 제동면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축심은 상기 관통 구멍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중앙부에 바닥부를 갖는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편은 상기 결합 구멍과 상기 결합편 사이에 있을 수 있는 간극에 배치된 결합 구멍용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편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측 또는 상기 제동면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결합 구멍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탄성 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는 일부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 주위에는, 탄성 부재 수용부용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측 또는 상기 제동면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20.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중심 방향 또는 상기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하를 거는 상기 가동 부재용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KR1020047009480A 2002-10-18 2002-10-18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KR100605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0822 WO2004036080A1 (ja) 2002-10-18 2002-10-18 巻上機用ブレーキ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217A true KR20040071217A (ko) 2004-08-11
KR100605771B1 KR100605771B1 (ko) 2006-07-31

Family

ID=3210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480A KR100605771B1 (ko) 2002-10-18 2002-10-18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3) EP2514988B1 (ko)
JP (1) JP4229911B2 (ko)
KR (1) KR100605771B1 (ko)
CN (3) CN100529455C (ko)
WO (1) WO2004036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14601A1 (en) 2006-03-22 2009-01-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ake device of hoist for elevator
WO2008087735A1 (ja) * 2007-01-19 2008-07-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0823147B1 (ko) 2007-08-27 2008-04-21 한국기계부품(주)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 장치
WO2009147708A1 (ja) * 2008-06-02 2009-1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CN103112796B (zh) * 2012-12-31 2015-04-15 杭州沪宁电梯配件有限公司 内置斜面增力机构的电磁铁
DE102014215918B4 (de) 2014-08-12 2016-07-28 Saf-Holland Gmbh Bremseinheit
CN112228479B (zh) * 2020-10-26 2023-02-0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曳引机用制动器及其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716Y2 (ko) * 1976-04-08 1980-11-01
JPS5511980U (ko) * 1978-07-12 1980-01-25
JPS5983225U (ja) * 1982-11-27 1984-06-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デイスクブレ−キにおけるパツドの取付構造
US4974829A (en) 1985-06-10 1990-12-04 Portable Hyperbarics, Inc. Hyperbaric chamber
JPH02265891A (ja) * 1989-04-05 1990-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H11351269A (ja) * 1998-06-10 1999-12-24 Kubota Corp 球面軸受けの角度規制構造
JP2000143131A (ja) * 1998-11-06 2000-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JP3519642B2 (ja) * 1999-08-19 2004-04-19 三陽工業株式会社 巻上機用制動装置のパッド保持構造
JP3635035B2 (ja) * 2001-02-15 2005-03-30 三陽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1545A1 (en) 2013-01-30
CN1927693A (zh) 2007-03-14
CN1927694A (zh) 2007-03-14
EP1553319A4 (en) 2007-08-29
EP2514988A1 (en) 2012-10-24
CN1604998A (zh) 2005-04-06
EP2551545B1 (en) 2014-07-16
KR100605771B1 (ko) 2006-07-31
EP2514988B1 (en) 2014-08-27
JP4229911B2 (ja) 2009-02-25
WO2004036080A1 (ja) 2004-04-29
EP1553319A1 (en) 2005-07-13
CN1297758C (zh) 2007-01-31
CN100516581C (zh) 2009-07-22
EP1553319B1 (en) 2013-06-12
CN100529455C (zh) 2009-08-19
JPWO2004036080A1 (ja)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1939A (en) Disk brake for elevator
JP3614221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装置
KR101392054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KR100605771B1 (ko)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JP2009537751A (ja) ブレーキ装置用の摩耗補償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
KR100683319B1 (ko)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
KR100812801B1 (ko) 모터 안전밸브
KR100628002B1 (ko) 견인활차 엘리베이터용 홀딩브레이크
JP4279780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JP2005337356A (ja) 電磁ブレーキ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電磁ブレーキ装置
KR101201027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
JP2000143131A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JP4009286B2 (ja) 巻上機用の制動装置
JP4837639B2 (ja) ブレーキ装置
CN114988312B (zh) 制动器释放装置
CN114906764B (zh) 制动器释放装置
CN100357172C (zh) 内张式电磁制动器
KR200322007Y1 (ko) 산업용 전자브레이크
JP5354013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装置
CN100343547C (zh) 内张式电磁制动器
JP4132823B2 (ja)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電磁制動装置
JP2012158397A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