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319B1 -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 - Google Patents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319B1
KR100683319B1 KR1020047011997A KR20047011997A KR100683319B1 KR 100683319 B1 KR100683319 B1 KR 100683319B1 KR 1020047011997 A KR1020047011997 A KR 1020047011997A KR 20047011997 A KR20047011997 A KR 20047011997A KR 100683319 B1 KR100683319 B1 KR 100683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orce
elastic
movable disk
hois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936A (ko
Inventor
야스마사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 F16D51/1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110)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되는 브레이크 드럼(2)의 보울 형상부(12)의 내벽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동 부재(20)를 배치한다. 또한, 복수의 제동 부재(20)의 각각에 접속되어, 보울 형상부(12)의 중심에서의 방사선의 방향으로, 또한 제동 부재(20)를 보울 형상부의 내벽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30)를 설치한다. 또한, 브레이크 기구(110)는 탄성 부재(30)의, 제동 부재(20)에 접속된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을 고정하는 지지 부재(8)와, 탄성력과는 반대의 저항력을 발휘하여 탄성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42, 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BRAKE MECHANISM FOR HOIST}
본 발명은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로프를 감아 캡(cap)을 승강하는 권상기에 있어서 쓰이는 브레이크 기구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종래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89955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내에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브레이크 아암을 포함한다. 각 브레이크 아암은 지지 핀(pin)에 의해, 상방의 일단이 지지 판(plate)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판의 하방에는 브레이크 스프링이 고정되고, 브레이크 스프링의 양단은 각 브레이크 아암의 하방 단부에 각각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 아암의 지지 핀 부근에는 브레이크 드럼의 안쪽의 제동면에 대향하도록,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슈를 거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아암의 중간부 부근에는 전자 마그넷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브레이크 기구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권상기의 회전 을 멈춘다. 또한, 반대로,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브레이크를 개방하여, 권상기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접촉, 분리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설치된 2개의 브레이크 아암을 지지 핀을 지지 점으로 하여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브레이크 아암은 브레이크 스프링이 브레이크 아암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을 외측으로 가압하고, 전자(電磁) 마그넷이 브레이크 아암을 안쪽으로 끌어당기는 흡인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을 내측으로 끌어당긴다. 즉,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에 가압할 때는 전자 마그넷에 의한 흡인력을 해제하여, 브레이크 스프링에 의한 스프링력에 의해서 브레이크 아암을 브레이크 드럼측으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한편,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전자 마그넷에 전류를 흘려, 흡인력을 발생시켜, 브레이크 아암을 중심방향으로 흡인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아암은 좌우 대칭으로 2개가 배치되고, 이 브레이크 아암의 각각에, 브레이크 아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하여, 각 하나씩의 브레이크 라이닝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기구는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해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에 필요한 브레이크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에 가압하는 힘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브레이크 아암을 누르는 브레이크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와이어 직경을 굵게 하거나, 또는 스프링의 외경을 크게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스프링이 두껍고, 커지며, 스프링의 크기에 맞춰, 브레이크 기구, 나아가서는 권상기 전체가 두꺼워지거나, 커질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크게 하면, 브레이크 아암에 작용하는 힘도 커진다. 이것 때문에, 브레이크 아암이 휘어지고,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에 가압하는 힘이 저하되어 버릴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브레이크 아암의 강성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브레이크 아암의 강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아암을 두껍게 해야 한다. 이것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 나아가서는 권상기 전체가 커져 버릴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크게 한 경우, 이것에 대항하는 흡인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흡인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전자 마그넷의 전선 직경을 굵게 하거나, 또는 전선의 권회수를 많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전자 마그넷이 커지고, 권상기의 소형화가 제한된다. 또한, 전선 직경을 굵게 하거나, 권회수를 많게 하면, 필요한 전력도 커진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정음화가 요구되지만, 브레이크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크게 하면,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드럼에 충돌할 때의 충돌음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브레이크 기구에 있어서, 브레이크 아암은 그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 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가동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의 간극 및 아머쳐(armature)와 전자 마그넷의 간극은 핀에 가까운 측에서는 좁고, 핀에서 먼 측에서는 넓게 되어 있다. 한편,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의 사이의 필요한 최소 간극은 핀에 가까운 측에서 결정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핀으로부터 먼 측의 간극은 필요 최소 간극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충돌음은 한층 더 커져 버린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권상기의 소형화 및 정음화 등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량한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는 일면이 개방된 브레이크 드럼의 보울(bowl) 형상부의 내벽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동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동 부재의 각각에 접속되어, 상기 보울 형상부의 중심에서의 방사선의 방향으로, 또한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보울 형상부의 내벽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동 부재에 접속된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을 고정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탄성력과는 반대의 저항력을 발휘하여 상기 탄성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각의 제동 부재가 부담하는 제동력은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작게 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나, 전자석 등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동 부재가 제동면에 충돌하는 경우의 충돌음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브레이크 기구의 A-A'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브레이크 기구의 B-B' 방향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레버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상기의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는 여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상기(100)의 브레이크 기구(11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2는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에 있어서의 A-A' 방향 및 B-B' 방향의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투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기(100)에는 브레이크 드럼(2)이 중심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드럼(2)은 중심축(4)과 같이, 일면에 개방면을 구비한 히우징(6)내에 수용되고, 이 개방면의 일부는 프레임(8)에 의해서 닫혀져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개방면측(도 1에 있어서는 아래쪽)을 정면으로 지칭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면측(도 1에 있어서는 위쪽)을 배면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브레이크 드럼(2)은 로프를 감아서 회전하는 도르래(10)와, 도르래(10)의 정면측에 접속하는 드럼부(12)를 구비한다. 드럼부(12)는 정면측에 개방면을 구비한 보울 형상체이다. 드럼부(12)의 내측의 측면 부분은 제동면(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드럼(2)의 드럼부(12)내부에는 브레이크 기구(110)가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110)는 제동면(14)에 대향하도록 드럼부(12)의 내주벽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합계 8개의 브레이크 라이닝(20)을 구비한다. 각 브레이크 라이닝(20)의 제동면(14)에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각각 브레이크 슈(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슈(22)의 중심부에는 각각 나사 막대(24)가 설치된다. 즉, 각 나사 막대(24)는 일단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22)에 고정되어 있다. 각 나사 막대(24)의 타단은 각각 스프링 지지부(26)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스프링 지지부(26)는 중공(中空) 원통 부재의 일단에, 원통 부재보다 직경이 큰 동심원상의 원판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타단에는 6각형으로 절결하여 내측에 나사 가공을 실시한 너트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나사 막대(24)는 이 너트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각 스프링 지지부(26)의 너트 부재측에 접하도록, 각각 로크 너트(28)가 설치되어 있다. 각 로크 너트(28)에는 각각 나사 막대(24)가 관통하고 있다. 각 스프링 지지부(26)의 너트 부재와 로크 너트(28)에 의해 각 나사 막대(24)의 엇갈림이 방지되어 있다.
각 스프링 지지부(26)의 원판 부재측에 접촉하도록 각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은 각 브레이크 슈(22)를 제동 부재측에 수직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은 중심축(4)과 각 브레이크 라이닝(20)을 연결하는 방사선의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브레이크 스프링(30)과 브레이크 슈(22)를 접속하는 스프링 지지부(26), 로크 너트(28), 나사 막대(24)도 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 지지부(26)에 접촉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은 프레임(8)에 고정되어 있다.
드럼부(12)의 중심에는 스플라인(40)이 설치되어 있다. 스플라인(40)은 중심축(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부와, 간격을 두고 2장이 평행하게, 또한 원통부와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도넛츠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져, 원통부가 도넛츠 형상 판의 중심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 마그넷(42)은 스플라인(40)에 수납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42)의 전선은 스플라인(40)의 원통부를 중심으로, 2장의 도넛츠 형상의 판의 사이에 감겨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상태에 있어서는, 전자 마그넷(42)에는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다. 즉, 권상기(100)의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이와 같이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무여자 상태로 지칭하고, 전자 마그넷(42)에 전압이 인가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여자상태로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전자 마그넷(42)에 대향하고, 아머쳐(44)가 가동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아머쳐(44)는 도너츠 형상의 철판이며, 그 중심의 구멍에는 중심축(4)과, 이것을 덮는 스플라인(4O)의 원통부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아머쳐(44)는 중심축(4)의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다.
아머쳐(44)의 외주 부근에는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에 해당하는 위치, 즉 중심축(4)과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을 연결하는 방사선상에 각각 합계 8개의 나사(46)가 배치되어 있다. 각 나사(46)는 아머쳐(44)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각각 너트(48)에 의해서 아머쳐(44)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50)는 각각 그 단부가 각 나사(46)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아머쳐(44)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한 각 나사(46)의 선단에, 각 레버(50)의 단부가 접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레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5a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하방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며, 도 5c는 도 5a를 오른쪽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레버(50)는 각각 레버 지지부(52)와, 회전 핀(54)과, 2개의 레버 선단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횡방향으로부터 보면 "L"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레버 지지부(52)는 브레이크 기구(110)에 조립된 경우의 정면측에서 보면 직사각형의 판이다. 각 레버 지지부(5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변중 한 변(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는 우측)의 중심부 부근은 각각 나사(46)의 선단부에 접하고 있다. 또한, 이 한 변에 대항하는 변측에는 회전 핀(5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 핀(54)이 설치된 변의 양단에는 각각 레버 지지부(52)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한 2개가 평행하게 레버 선단부(56)가 접속되어 있다. 레버 선단부(56)는 일단에 있어서 레버 지지부(52)에 접속되고, 거의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레버 선단부(56)의 타단은 두껍게 반구형으로 가공되어, 이 반구형 부분이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부(26)의 원판 부재의 브레이크 스프링(30)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부(26)의 원판 부재에 평행하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레버(50)는 회전 핀(5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크가 해제된 여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며, 도 1에 해당하는 단면 부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기구(110)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전자 마그넷(42)에는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 지지부(26)의 원판 부재는 브레이크 스프링(30)으로부터 각 브레이크 슈(22)측을 향하는 탄성력을 받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지지부(26)에 나사 결합된 나사 막대(24)에 외측 방향의 탄성력이 전해져, 브레이크 슈(22) 및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제동면에 가압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드럼(2)은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며, 브레이크가 제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이 때 각 레버 선단부(56)는 각 스프링 지지부(26)의 원판 부재에 가압되고, 각 브레이크 슈(22)측을 향하는 탄성력을 받고 있다. 또한, 각 레버(50)는 각 회전 핀(54)을 지지점으로 하여, 중심축(4)의 축방향에 수평인 면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각 레버 선단부(56)가 받는 외측 방향의 탄성력은 각 레버 선단부(56)에 수직으로 고정된 각 레버 지지부(52)를 정면측으로 움직이는 힘으로서, 각 레버 지지부(52)에 전달된다. 각 레버 지지부(52)에 정면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각 레버 지지부(52)의 각 나사(46)와 접촉하는 단부는 각 나사(46)를 정면측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각 나사(46)의 반대측에 고정된 아머쳐(44)도 정면측으로 가압되고, 전자 마그넷(42)과 소정의 거리를 둔 상태로 정지되어 있다. 또한, 무여자 상태에 있어서는 전자 마그넷에는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머쳐(44)를 전자 마그넷(42)측으로 흡인하는 힘은 작용하지 않고 있다.
다음으로, 무여자 상태로부터 여자 상태가 되는 경우, 즉 전자 마그넷(42)에 전류를 흘리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자 마그넷(42)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아머쳐(44)에는 전자 마그넷(42)측, 즉 배면측에 흡인하는 흡인력이 작용한다. 아머쳐(44)에 배면 방향의 흡인력이 작용하면, 아머쳐(44)에 고정된 각 나사(46)에도 배면 방향의 힘이 인가된다. 이 배면 방향의 힘은 각 나사(46)에 각각 접촉하는 레버 지지부(52)의 선단에 전달된다. 각 레버 지지부(52)를 배면측에 가압하는 힘은 각 레버(50)가 각 회전 핀(54)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힘으로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이러한 힘은 각 레버 지지부(52)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각 레버 선단부(56)에는 각 레버 선단부(56)를 브레이크 슈(22)와는 반대측, 즉 중심축(4)측으로 가압하는 힘으로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각 레버 선단부(56)는 각 브레이크 스프링(30)과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을 중심축 방향으로 되돌린다. 이들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을 되돌리는 힘이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력보다 커지면, 각 브레이크 스프링(30)이 수축되고, 이것에 연동하여 각각 스프링 지지부(26), 로크 너트(28), 나사 막대(24)가 중심축(4)측으로 돌아온다. 또한, 이것에 수반하여, 각 나사 막대(24)에 각각 고정된 브레이크 슈(22)와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중심축(4)측으로 인장되어, 각 브레이크 라이닝(20)과 제동면(14)의 접촉이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브레이크 드럼(2)이 회전 가능한 상태, 즉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각 스프링 지지부(26)에 나사 막대(24)를 고정하고 있는 로크 너트(28)를 회전시켜, 그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각 로크 너트(28), 나사 막대(24) 및 브레이크 스프링(30)은 각각 독립적으로 각 브레이크 슈(22)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즉, 각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제동면(14)을 가압하는 힘을 개개의 브레이크 라이닝(20)마다 설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각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제동면(14)을 가압하는 힘이 각각 같아지도록 로크 너트(28)의 위치를 조절하고 있다.
또한, 아머쳐(44)와 각 레버(50)를 각각 접속하는 너트(48)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아머쳐(44)와 전자 마그넷(42)의 거리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각 레버(50)는 각각 독립적으로 나사(46)와 너트(48)에 의해 아머쳐(44)와 접속한다. 따라서, 아머쳐(44)와 각 레버(50)의 거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각 레버(50)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각 너트(48)를 조절하여, 아머쳐(44)와 전자 마그넷(42)이 필요 최소한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동면(14)에 대향하도록 하여, 합계 8개의 브레이크 라이닝(20)과 이것에 부착된 브레이크 슈(22) 및 브레이크 스프링(30) 등이 설치되고, 개개의 브레이크 라이닝(20)에 각각 독립된 브레이크 스프링(30)에 의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필요한 제동력을 각각의 브레이크 라이닝(20)의 가압력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브레이크 라이닝(20)에 부가되는 제동력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스프링(30)을 박형화, 소형화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기구, 나아가서는 이것을 사용하는 권상기 전체를 박형화,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각 브레이크 라이닝(20)에 부가시키는 제동력을 작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제동면(14)에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충돌할 때의 충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라이닝(20)은 수직으로 배치된 브레이크 스프링(30)으로부터 수직으로 제동력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라이닝(20)과, 제동면(14)을 평행하게, 필요 최소한의 간극을 두고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제동면(14)에 충돌할 때의 충돌음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머쳐(44)에 인가되는 흡인력은 단면이 "L"자형인 코너의 회전 핀(54)에 의해 90도 방향을 바꾸어,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도록 전달된다. 이 구조에 의해, 전자 마그넷(42)의 전선을 중심축(4)을 중심으로 하여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마그넷(42)을 소형화, 박형화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10), 나아가서는 권상기(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자 마그넷(42)을 소형화, 박형화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소비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합계 8개의 브레이크 라이닝(20)을 마련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8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권상기의 크기나, 필요한 제동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브레이크 라이닝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권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라이닝을 2개로 하여도, 브레이크 스프링으로부터 제동력이 직접 수직방향으로 브레이크 라이닝에 전달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라이닝과 제동면을 필요 최소한의 간극으로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음을 부드럽게 하여, 어느 정도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권상기의 소형화나, 추가적인 정음화를 고려하면, 2개보다 많은 브레이크 라이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20)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한 제동력이 확보되는 것을 고려하면, 브레이크 라이닝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동력을 브레이크 슈(22)에 전달하는 기구로서, 브레이크 스프링(30) 및 스프링 지지부(26), 나사 막대(24) 및 이것을 고정하는 로크 너트(28)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기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동력은 브레이크 스프링(30)에 의한 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탄성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브레이크 스프링(30)과 브레이크 슈(22)의 접속도 적절히 접속되는 것이면, 스프링 지지부(26) 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좋다. 이러한 접속은 사용하는 탄성 부재에 맞게, 적당한 것을 선택하면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지지부(26), 나사 막대(24) 및 이것을 고정하는 로크 너트(28)를 사용하며, 이것에 의해 제동력을 조절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동력의 조절은 예컨대 스프링 지지부(26)와는 반대측 단부에 있어서, 브레이크 스프링(30)의 고정 위치를 엇갈리게 하는 등, 다른 조절 방법에 의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러한 조절 수단을 특별히 갖는 것이 아니더라도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기구로서, 전자 마그넷(42), 아머쳐(44) 및 이것에 접속하는 레버(50)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저항력은 이러한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수단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을 억제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버(50)를 단면이 "L"자형이 되도록 형성하여, 흡인력의 방향을 90° 전환하여, 브레이크 스프링(3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마그넷에 의한 흡인 방향, 브레이크 스프링의 제동력이 작용하는 방향, 브레이크 드럼내에서의 배치 가능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흡인력이 전달되도록 레버의 형상 및 배치를 선택하면 좋다.
또한, 레버(50)와 아머쳐(44)는 나사(46) 및 너트(48)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아머쳐(44)와 전자 마그넷(42)의 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치 거리의 조절 수단은 이러한 기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수단에 의해 아머쳐(44)와 전자 마그넷(42)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러한 조절 수단을 특별히 갖지 않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동 부재에는 예컨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라이닝(22)이 해당되고, 탄성 부재에는 예컨대 브레이크 스프링(30)이 해당되며, 지지 부재에는 예컨대 프레임(8)이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 기구에는 예컨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마그넷(42)과 레버(50)가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력 조절 부재에는 예컨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나사 막대(24), 스프링 지지부(26) 및 로크 너트(28)가 해당되고, 탄성력 조절 볼트에는 나사 막대(24)가 해당되며, 탄성력 조절 너트에는 로크 너트(28)가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석에는 예컨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마그넷(42)이 해당된다. 또한, 가동 부재에는 예컨대 아머쳐(44)및 레버(50)가 해당되며, 가동 디스크부에는 아머쳐(44)가, 아암부에는 레버(50)가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 디스크부 조절 부재에는 예컨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나사(46) 및 너트(48)가 해당되며, 가동 디스크부 조절 나사에는 나사(46)가, 가동 디스크부 조절 너트에는 너트(48)가 해당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제동면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동 부재를 설치하고, 각각 제동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동 부재가 부담하는 제동력을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나 전자석 등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동 부재가 제동면에 충돌하는 경우의 충돌음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로서 유용하며, 특히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기내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장치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15)

  1. 일면이 개방된 브레이크 드럼의 보울 형상부의 내벽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동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동 부재의 각각에 접속되고, 상기 보울 형상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선 방향으로, 또한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보울 형상부의 내벽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동 부재에 접속된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을 고정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접하며, 상기 탄성력과는 반대의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탄성력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되돌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동 부재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개별적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탄성 부재 사이에서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에 의해 흡인 및 개방되어 가동하고, 이 흡인력을 상기 저항력으로 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되돌리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탄성력 조절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탄성력 조절 볼트와, 탄성력 조절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력 조절 너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전자석에 대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전자석에 흡인, 개방되어 가동하는 가동 디스크부와,
    일단이 상기 가동 디스크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 부재에 접속되는 아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는 상기 가동 디스크부에 연동하여 가동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상기 저항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전선은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중심축에 대하여 동심원의 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가동 디스크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동심원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아암부는 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가동 디스크부 사이의 흡인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저항력으로 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가동 디스크부와 상기 전자석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 디스크부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디스크부 조절 부재는 상기 가동 디스크부와, 상기 아암부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디스크부 조절 나사 및 가동 디스크부 조절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디스크부 조절 너트의 위치를 바꾸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 디스크부와 상기 전자석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KR1020047011997A 2002-12-04 2002-12-04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 KR100683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2706 WO2004050527A1 (ja) 2002-12-04 2002-12-04 巻上機のブレーキ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936A KR20040077936A (ko) 2004-09-07
KR100683319B1 true KR100683319B1 (ko) 2007-02-15

Family

ID=3244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997A KR100683319B1 (ko) 2002-12-04 2002-12-04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68645A4 (ko)
JP (1) JPWO2004050527A1 (ko)
KR (1) KR100683319B1 (ko)
CN (1) CN100393602C (ko)
WO (1) WO2004050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611A (ko) * 2010-06-15 2011-12-21 한라공조주식회사 워터펌프용 동력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027B1 (ko) * 2007-10-02 2012-11-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
US20110000751A1 (en) * 2008-03-14 2011-01-06 Carlson J David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and electromagnetic brake for controlling motion
JP5216797B2 (ja) * 2010-03-15 2013-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
WO2012071041A1 (en) * 2010-11-24 2012-05-31 Otis Elevator Company Brake with adjustable torque
CN103692452B (zh) * 2013-12-03 2015-06-10 华中科技大学 一种用于多自由度机械臂的制动装置及控制方法
US10442659B2 (en) 2015-06-29 2019-10-15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
CN110506022B (zh) * 2017-04-17 2020-09-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曳引机制动器以及电梯曳引机
CN109027064B (zh) * 2018-07-17 2019-12-06 长沙学院 一种电气控制的制动装置
CN109911798A (zh) * 2019-01-31 2019-06-21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绞车制动器
CN109723736B (zh) * 2019-02-22 2024-04-02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刹车装置及机械设备
CN111776906B (zh) * 2020-06-11 2021-12-17 上海市建筑科学研究院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复位渐进式超速保护器的动作速度调节方法及装置
CN111762707B (zh) * 2020-08-14 2021-10-15 魏锐祥 一种船舶牵引起重用卷扬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348B2 (ja) * 1999-04-05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00289955A (ja) * 1999-04-07 2000-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01072358A (ja) * 1999-07-02 2001-03-21 Teijin Seiki Co Ltd エレベータ用巻上げ装置
JP2002106611A (ja) * 2000-09-28 2002-04-10 Sanyo Kogyo Kk ブレー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611A (ko) * 2010-06-15 2011-12-21 한라공조주식회사 워터펌프용 동력전달장치
KR101663320B1 (ko) 2010-06-15 2016-10-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워터펌프용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2842A (zh) 2005-05-04
CN100393602C (zh) 2008-06-11
KR20040077936A (ko) 2004-09-07
WO2004050527A1 (ja) 2004-06-17
EP1568645A1 (en) 2005-08-31
EP1568645A4 (en) 2011-02-23
JPWO2004050527A1 (ja)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319B1 (ko) 권상기의 브레이크 기구
JP4448996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
JPWO2004026750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4359187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電磁ブレーキ装置
JP4845881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内蔵型モータ
KR20040094911A (ko) 전자기 드럼 브레이크
CN100436856C (zh) 用电磁方式松开的双回路附装制动器
JP4279780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CN217643032U (zh) 一种轮毂电机以及移动机器人
KR100605771B1 (ko)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KR101201027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
JP2000143131A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US11365773B2 (en) Multi-disc brake for a vehicle drive, and a vehicle drive
JP2005053672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JP4455042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837639B2 (ja) ブレーキ装置
JP4009286B2 (ja) 巻上機用の制動装置
CN114630971B (zh) 电磁制动器
CN217643028U (zh) 一种轮毂电机以及移动机器人
JP2001343033A (ja) ラジアル制動式又はスラスト制動式電磁ブレーキ及びラジアル制動式電磁ブレーキ付モータ
JP2013237522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電磁ブレーキ装置
KR200342425Y1 (ko) 엘리베이터용 전자브레이크의 전자석부재
CN109422205B (zh) 电梯用制动装置
JP2005132506A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装置
JP2022102789A (ja) オフ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