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191A - 의료용 배출용구 - Google Patents

의료용 배출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191A
KR20040070191A KR10-2004-7008105A KR20047008105A KR20040070191A KR 20040070191 A KR20040070191 A KR 20040070191A KR 20047008105 A KR20047008105 A KR 20047008105A KR 20040070191 A KR20040070191 A KR 20040070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catheter
medical
check valve
connec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843B1 (ko
Inventor
마츠우라요시후미
이소노도모히로
사카구치유키히코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6357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89717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7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4Artificial pneumothorax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배액량이 적은 경우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크기가 보다 소형이고, 단독 장치로 수동배출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관통된 침을 빼낼 때 흉강 내부로 외부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아나 비만환자에 카테터 삽입시 카테터를 흉강 내부에 안전하게 삽입·위치시키기 위해서 서로 탈착가능한 접속캡 및 저장병을 포함하고, 추가로 상기 접속캡은 환자 체내에 위치시킨 카테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 보호커버로 덮인 외주 부분을 갖고 저장병 쪽으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 및 저장병과의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중공형 용기로 형성된 상기 저장병은 추가로 접속캡과의 탈착장치를 갖는 유입구 및 상기 저장병 외부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료용 배출용구 {DISCHARGING IMPLEMENT FOR MEDICAL CARE}
정상적인 흉강에서 항상 유지되는 음압(negative pressure)(-5 ∼ -20 ㎝H2O)으로 인하여 흉부는 지속적으로 팽창가능하다. 이러한 상태가 기흉(pneumothorax), 흉부 외상 등으로 교란되면, 흉부는 충분히 팽창할 수 없게 되어 환기 질환이 생긴다. 체강, 특히 기흉 등의 흉부 치료에 대한 의료용구에 있어서는 카테터(catheter)를 흉부에 삽입하고 저장용기에 연결하여 흉수 등의 액체 및 기체를 배출하지만, 흉부의 팽창·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카테터에 연결된 관을 물로 밀봉하고 상부 근처에 공기 유입구를 갖는 용기를 이용하는 방법, 및 플래터(flatter)밸브라고 불리는 체크밸브 키트를 카테터에 접속하고 가방 또는 병 모양 용기를 체크밸브 키트에 접속하여 액체를 수집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의 방법에서, 물을 공급시 용기 내에서 물로 밀봉하고, 물의 누수를 방지하고, 액체의 배출로 인한 수위의 상승시 물로 밀봉된 관에서 상부로의 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조작과 주의를 필요로 하고, 안전을 위해서 대형 용기를 사용하므로, 휴대성의 면에서 불편하다. 후자의 방법에서, 플래터밸브로서의 체크밸브 키트를 가방 등의 용기에 접속하는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고 운반시에 체크밸브 키트 및 가방 등이 직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 크기가 크고 휴대성의 면에서 부적합하다.
이 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본 출원인은 특별히 휴대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JP-A-61-90669에서 저장용기에 체크밸브를 내장한 일체형 키트를 개시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에 이 발명 물건인 일체형 키트만을 연결함으로써 조작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체형 키트에서는 배액(discharged liquid)량의 저장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상기 체크밸브는 용기 본체보다 상부에 배치되어서 배액량이 적은 기흉환자에게는 과도하게 대형으로써 소형화가 요구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이러한 일체형 키트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의 용구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에게 연결한 직후에 흉강으로부터 공기를 신속히 배출하고 카테터의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주사기, 흡인펌프 등의 강제적인 공기 배출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용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과도한 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용구의 카테터를 복강 내에 삽입할 때, 관통되는 흉벽의 일부분에 부분마취를 수행하고, 짧은 길이로 조직을 절개하고, 카테터를 삽입하며, 카테터의 선단부(先端部)가 흉강 내부에 도달하는 시점에 카테터에 삽입된 관통침(penetrating needle)을 빼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공기가 카테터를 통하여 흉강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흉강 내부에서 음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외부공기가 청결한 수술실에서 삽입조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삽입 및 관통시의 문제로서, 흉벽의 두께가 얇은 유아의 경우 그 흉부가 꿰뚫어지고, 흉벽이 두꺼운 비만환자의 경우에도 흉강 내부로의 도달을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흉부가 꿰뚫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흉강(chest cavity) 및 복강(abdominal cavity)에 고인 기체 및 액체를 배출키고 그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의료용 배출용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의 저장병으로부터 접속캡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의 연결장치 및 탈착장치가 접속된 상황, 및 분리된 상황을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저장병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에서의 관통침 및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에서의 카테터로부터 관통침을 빼낸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에서의 카테터에 저장병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의료용 배출용구에서의 카테터에 접속기를 구비한 어댑터를 접속한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부재로서, 셀딩거법에서 사용가능한 캐뉼러침, 유도철사 및 확장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고, 특히 배액량이 적은 경우에, 그 크기가 보다 소형이고, 다른 필수용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독 장치로 수동 배출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관통침을 빼낼 때 흉강 내부로 외부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아 또는 비만환자에게 카테터를 삽입할 때 캐뉼러(cannula)침, 유도철사(guide wire) 및 확장기(dilator)를 병용하여 카테터를 흉강내에 안전하게 삽입하고 보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유입구(inlet port) 및 배기구(discharging port)를 갖는 중공형(hollow) 용기로서의 저장병을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유입구에는 저장병(storage bottle)의 내부방향으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구에는 외부방향으로만 개구가능한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의료용 배출용구,
(2)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접속캡(connector cap) 및 저장병을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접속캡에는 환자에 보유되는 카테터와 접속되는 접속기, 보호커버로 덮인 외주(外周)를 갖고 저장병 쪽으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 및 저장병에 연결되는 연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병은 배출구(outlet port) 및 배기구를 갖는 중공형 용기이고, 상기 배출구에는 접속캡과의 탈착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저장병의 외부방향으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의료용 배출용구,
(3) 상기 (2)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접속캡이 상기 저장병의 배출구에 접속될 때, 상기 접속캡에 설치된 체크밸브의 보호커버는 저장병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저장병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병의 뒷면에서의 내벽과 상기 보호커버 사이의 거리는 5㎜ 이상인 의료용 배출용구,
(4) 관통침, 카테터 및 저장병을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관통침은 그 후단부에 접속기를 포함하는 작은 직경의 침이고, 상기 카테터는 점감형 선단부, 관통침이 그 내부로 삽입되는 내공(內孔), 그 선단부측에서의 다수의 측공(側孔), 및 그 측공으로부터 카테터 후단부를 향하는 관통침 삽입구를 갖고 있고,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에는 카테터의 후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 및 연결장치를 구비한 접속캡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장병은 그 상부에 접속캡과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출구 및 중공형 용기 외부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용 배출용구,
(5) 상기 (4)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관통침 삽입구가 노치(notch)를 갖는 의료용 배출용구,
(6) 상기 (4) 또는 (5)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관통침은 내침(內針) 및 외관침(外管針)을 포함하는 이중침인 의료용 배출용구,
(7)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배기구의 체크밸브의 출구에 흡인원(suction source)과 접속되는 접속기가 설치된 의료용 배출용구,
(8) 상기 (2) - (6)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흡인원과 접속되는 접속기를 구비한 어댑터가 상기 접속캡의 체크밸브 쪽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의료용 배출용구,
(9) 상기 (2) - (8)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저장병의 탈착장치 및 배출구는 일체로 형성된 부재에 포함되고, 해제레버(release lever)를 가지며, 상기 해제레버로 접속캡의 연결장치를 해제함으로써 저장병 및 접속캡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의료용 배출용구,
(10)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저장병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의료용 배출용구,
(11)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저장병은 편평율(aspect ratio) 20 - 60%의 블로우성형(blow molding)품인 의료용 배출용구,
(12) 상기 (11)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저장병은 불균일한(lopsided) 두께의 패리슨(parison)(일반적으로 관형이고 블로우성형에서 사용가능한 표준 플라스틱 부재)을 이용한 블로우성형품이고, 불균일한 두께의 패리슨의 두꺼운 쪽이 저장병의 편평단면형상의 보다 긴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블로우성형품이 형성되는 의료용 배출용구,
(13)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저장병의상부 및 접속캡 중의 적어도 한 쪽에는 의류 등에 고정하기 위한 휴대수단이 설치된 의료용 배출용구,
(14)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배출용구와, 체내에 보유되는 카테터 및 캐뉼러침, 유도철사 및 확장기 등의 셀딩거(Seldinger)법에서 사용가능한 부재들을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 10은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의 의료용 배출용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1은 저장병 및 접속캡을 접속한 상태을 나타내는 정면도 (a)와 측면도 (b)를 포함하고 있고, 도 2는 저장병으로부터 접속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3은 연결장치 및 탈착장치가 접속된 상황, 및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4는 저장병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카테터의 관통침 삽입구를 통하여 관통침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6은 카테터의 관통침 삽입구를 통하여 관통침을 빼낸 상태을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7은 카테터에 저장병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9는 접속기를 구비한 어댑터를 카테터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10은 셀딩거법에서 사용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부재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저장병 (1)은 유입구 (26), 배출구 (3) 및 배기구 (4)를 갖고 있고, 필요에 따라 그 측면에 배액량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을 가질 수 있다. 유입구 (26)는 흉강 내에 고인 기체 및 액체를 카테터를 통하여 저장병 (1)으로 수집한다. 배출구 (3)는 저장된 액체를 배출하는데, 저장병 (1)이 공기 제거 경로를 갖고 있지 않아서 폐쇄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배출구 (3)만을 통해서 배출 액체 및 외부공기를 교환하기에 충분한 개구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캡 (2)과의 탈착장치 (5)는 배출구 (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구조는 이러한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좌우의 해제레버 (6)를 서로를 향하여 눌러서 접속캡 (2)의 연결장치 (12)를 위로 밀어올리고 연결장치 (5)와의 조립(예를 들면, 스냅식 장치)을 해제시키는 기구이면 된다. 탈착장치 (5)의 재질은 여러 차례의 응력 부가에 견디기 위하여 경질 염화비닐, ABS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저장병 (1)은 휴대성 향상을 위하여 소형이고, 신체 표면에 맞추는데 적합한 편평율 20∼60%의 편평용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조비용 면에서 유리한 블로우성형으로 제조된다. 상기 저장병 (1)에 대한 블로우성형품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고, 저장병 (1)이 펌핑 조작(압축 후에 손을 떼면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함)에 견디도록 편평단면의 두께는 가능하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만들고, 펌핑 조작시의 그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성형시에 블로우성형의 합면(mating face) 위에 플래쉬(flash)의 형성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성형제품의 횡단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패리슨이 사용되지만, 편평의 성형제품의 경우는 수지의 신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편평단면의 단경방향이 금형에서 먼저 설치되므로 그 성형제품은 장경방향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다. 그러므로, 패리슨은 두께의 차이를 갖고, 두께의 차이를 갖는패리슨의 두꺼운 쪽이 저장병의 편평 형상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결과 그 두께는 일정하게 만들어진다.
또한, 저장병 (1)의 재질은, 체크밸브의 움직임 및 배출되는 액체의 상태가 보이도록 하기 위한 투명도, 및 펌핑에 필요한 탄성을 얻기 위해서 플라스틱 또는 고무가 바람직하다. 체크밸브 B (11)는 플라스틱 및 고무 등의 연성 재질의 편평튜브형상이고,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기체 유동은 그 밀착부를 개방시켜 배출할 수 있으나 역류는 방지되는 방식으로 내부 표면이 서로 밀착하는 선단부를 갖고 있다.
접속캡 (2)은 저장병 (1)의 배출구 (3)와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그 조립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배출구 (3)와 대칭된 연결장치 (12)를 갖고 있어서 접속시에 용접밀폐 상태가 유지되는데, 바람직한 구체예는 용접밀폐를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패킹을 갖는 것이다. 접속캡 (2)에는 저장병 (1)을 향하여 개구가능한 체크밸브 A (8)가 설치되어 있고, 접속캡 (2)의 상부에는 환자 내에 보유되는 카테터 (18)와 접속가능한 접속기 A (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장병 (1)으로부터 접속캡 (2)을 제거할 때 오염균이 체크밸브 A (8)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선단부측에서 개구가능한 보호커버 (9)를 체크밸브 A (8)의 외측에 설치한다. 그러므로, 체크밸브 A (8)는 보호커버 (9) 내에 완전히 매몰될 필요가 있고, 선단부 위치(도 1의 치수 A)는 5㎜ 이상 하강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 A (8)는 상기 체크밸브 B (1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여기서 보호커버 (9)는 체크밸브 A (8)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투명도를 얻고 체크밸브 A (8)를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유리 등의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병 (1)에 대한 접속캡 (2)의 체크밸브 A (8) 및 보호커버 (9)의 배치를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액량은 적고, 보다 소형화를 위해서는 체크밸브 (8)를 포함하는 보호커버 (9)를 저장병 (1) 내에 배치한다. 보호커버 (9)는 상기와 같이 접속캡(2)의 제거 후에 오염균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데, 체크밸브 (8) 및 저장병 (1)에 저장된 배액간의 접촉으로 체크밸브 A (8)의 선단부가 막히는 것을 보호커버 (9)로써 방지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보호커버 (9)의 선단부 개구부는 가능하면 배액과 접촉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휴대 중에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저장병 (1)의 측벽을 따라서 배액이 상승할 때 배액이 보호커버 (9)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장병 (1)의 내벽 및 보호커버 (9)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병은 일반적인 용도의 상황으로서 환자가 휴대하므로, 환자가 일어서면 도 1에서의 바닥면이 하면(下面)이 되고, 환자가 누우면 뒷면이 하면이 된다. 이것을 기초로, 저장병 (1)의 외부 치수 및 예상 배액량으로부터, 예상 배액량이 저장될 때 도 1에서의 바닥면이 하면이 되고 뒷면이 하면이 되는 각각의 경우에서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배치를 결정한다. 특히, 저장병 (1) 및 보호커버 (9) 간의 거리(도 1에서의 수치 B)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품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휴대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고, 비용 및 조작성을 고려할 때 그 휴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저장병(1)의 상부 또는 접속캡 (2)에 일체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휴대용 클립, 또는 저장병 (1)의 뒷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일시적 저압 지속성 흡인용의 흡인원 접속관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기 B (10)를 배기구 (4)의 체크밸브 B (11)의 선단부에 설치하거나, 저장병 (1)과 동일한 접속수단으로 접속캡 (2)을 접속기 B (10)가 구비된 어댑터 (14)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체예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카테터 (18), 접속캡 (2) 및 체크밸브 A (8)가 서로 일체인 의료용 배출용구를 설명한다. 도 5는 관통침 (15)이 카테터 (18)의 관통침 삽입구 (21)로부터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카테터 (18)의 관통침 삽입구 (21)로부터 관통침 (15)을 빼낸 상태를 나타낸다. 관통침 (15)은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제품으로서의 내침 (16) 및 외관침 (17)의 이중침을 포함하는데,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침 (16) 및 외관침 (17)의 단차(step)는, 카테터 (18)의 선단 팁 (19)과 접하게 하고 관통침 (15)이 카테터 (18)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0.15 ∼ 0.50㎜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0.15 ∼ 0.50㎜ 미만일 경우 관통침 (15) 및 카테터 (18)가 흉강 내에 삽입될 때 관통침 (15)이 선단 팁 (19)을 통과하여 침의 끝에서 흉부를 꿰뚫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0.5㎜를 초과하면, 카테터의 직경이 커져서 환자에게 큰 피해를 줄 가능성을 유발한다. 실용적으로는, 상기 단차의 치수는 0.3㎜가 바람직하다.
카테터 (18)는 관통침 삽입구 (21)를 갖고 있고, 카테터 (18)의 선단부에는 일체 형성성 또는 X-선 불투과성인 선단 팁 (19)이 설치되어서, 내침 (16) 및 외관침 (17) 간의 단차로 인하여 카테터 (18)로부터의 관통침 (15)의 돌출이 방지된다. 카테터 (18)의 선단부 근처에는 흉강 내의 기체 및 액체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공 (20)이 개구되고, 카테터 (18)의 후단부에는 저장병 (1)의 접속측에 개구가능한 체크밸브 A (8)를 포함하는 접속캡 (2)이 설치된다.
관통침 삽입구 (21)는 카테터 (18) 내부로 관통침 (15)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이고, 관통침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노치 형상의 관통침 삽입구 (21)는 치료 후에 카테터 (18)를 빼낼 때 외관침 (17)의 회수에 대한 관통침 삽입구 (21)의 저항을 방지하기 위한 치수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노치 형상의 길이는 1 ∼ 10㎜가 바람직하다. 실용적으로는, 카테터 (18)의 길이는 250 ∼ 400㎜가 바람직하고, 카테터 (18)의 외경은 1 ∼ 3㎜가 바람직하다. 관통침 삽입구 (21)의 위치는, 흉강 내의 카테터 (18)의 보유 길이를 고려하면 30 ∼ 150㎜가 바람직하다. 30㎜ 미만이면, 선단 팁 (19)의 카테터 (18)와의 접착부 및 측공 (20)의 위치를 유지하기 어렵고, 150㎜를 초과하면 외부 대기가 카테터 (18)를 통하여 흉강 내부로 들어갈 위험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의료용 배출용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통부위의 피부를 소독하고 국소마취 후에 카테터의 두께에 맞추어 그 피부를 짧게 절개하고 나서, 환자에게 카테터를 보유시킨 후에 카테터의 말단에 접속기 A (7)를 접속하여 설치 완료한다. 선택적으로, 접속캡 (2) 및 체크밸브 A (8)를 포함하여 카테터 (18)를 일체로 삽입하여 관통한 후, 관통침 (15)을 카테터 (18)로부터 빼내고 카테터 (18)의 선단부를 흉강 내의 적절한 위치에 보유시키고 접속캡(2)을 저장병 (1)의 배출구 (3)에 접속하여 설치 완료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법들이 사용가능하지만, 비만환자 또는 유아환자의 경우에는 셀딩거법(유도철사를 이용한 카테터 삽입법)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캐뉼러침을 삽입하여 관통시킨다. 유도철사 (24)를 캐뉼러 외피(envelope) (23)를 따라서 삽입하고 캐뉼러 외피를 빼낸다. 확장기 (25)를 유도철사 (24)를 따라서 삽입하여 관통 경로를 확장시킨다. 확장기 (25)를 빼내고, 내침 (16)을 빼낸 외관침 (17)을 카테터 (18) 내부에 포함한 상태에서, 유도철사 (24)를 따라서 카테터 (18)를 흉강 내부로 삽입한다. 외관침 (17) 및 유도철사 (24)를 빼냄으로써 보유가 완료되고 카테터 (18) 후단부의 접속캡 (2)을 저장병 (1)의 배출구 (3)와 접속시킨다.
설치시에 흉강 내의 액체 및 기체를 신속히 배출할 필요가 있을 때는, 저장병을 펌핑하여 체크밸브 A (7) 및 체크밸브 B (11)를 교대로 개폐함으로써 흉강으로부터의 강제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흉수 등의 배액이 저장병 (1)에 저장되는 경우, 탈착장치 (5)의 해제레버 (9)를 서로를 향하여 안쪽으로 눌러서 변형시키고 접속캡 (2)을 분리하여서, 배액을 배출구 (3)로부터 배출시킨다. 이 때, 접속캡 (2)에 부착된 체크밸브 A (8)를 통하여 흉강 내부로의 외부공기 유입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배출용구는 특히 소량의 배액의 경우에 보다 소형으로서, 추가적인 필수장치 없이도 수동 배출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관통침을 빼낼 때 카테터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방향으로만 개구하는 체크밸브로 인해 외부공기가 흉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저비용의 간단한 용구로서 유용하다.

Claims (14)

  1. 유입구 및 배기구를 갖는 중공형(hollow) 용기인 저장병을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유입구에는 저장병의 내부방향으로만 개구가능한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구에는 외부방향으로만 개구가능한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2.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접속캡(connector cap) 및 저장병을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접속캡에는 환자 내부에 보유되는 카테터와 접속되는 접속기, 보호커버로 덮인 외주(外周)를 갖고 저장병 쪽으로만 개구가능한 체크밸브, 및 저장병에 연결되는 연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병은 배출구(outlet port) 및 배기구를 갖는 중공형 용기이고, 상기 배출구에는 접속캡과 접속되는 탈착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저장병의 외부방향으로만 개구가능한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캡이 상기 저장병의 배출구에 접속될 때, 상기 접속캡에 설치된 체크밸브의 보호커버는 저장병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저장병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병의 뒷면에서의 내벽과 상기 보호커버 사이의 거리는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4. 관통침, 카테터 및 저장병을 포함하는 의료용 배출용구로서, 상기 관통침은 그 후단부에 접속기를 포함하는 작은 직경의 침이고, 상기 카테터는 점감형 선단부, 관통침이 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내공(內孔), 그 선단부측에서의 다수의 측공(側孔), 및 상기 측공으로부터 카테터 후단부를 향하는 관통침 삽입구를 갖고 있고,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에는 카테터의 후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개구가능한 체크밸브 및 연결장치가 구비된 접속캡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장병은 그 상부에 접속캡과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출구 및 중공형 용기 외부로만 개구가능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배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침 삽입구가 노치(notc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침은 내침(內針) 및 외관침(外管針)을 포함하는 이중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의 체크밸브의 출구에 흡인원(suction source)과 접속되는 접속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원과 접속되는 접속기를 구비한 어댑터가 상기 접속캡의 체크밸브 쪽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병의 탈착장치 및 배출구는 일체로 형성된 부재에 포함되고, 해제레버(release lever)를 가지며, 상기 해제레버로 접속캡의 연결장치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저장병 및 상기 접속캡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병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병은 편평율 20 - 60%의 블로우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병은 불균일한(lopsided) 두께의 패리슨(parison)을 이용한 블로우성형품이고, 불균일한 두께의 패리슨의 두꺼운 쪽이 상기 저장병의 편평단면형상의 보다 긴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블로우성형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병의 상부 및 상기 접속캡 중의 적어도 한 쪽에는 의류 등에 고정하기 위한 휴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1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의료용 배출용구와, 체내에 보유되는 카테터 및 캐뉼러침, 유도철사 및 확장기 등의 셀딩거(Seldinger)법에서 사용가능한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배출용구 세트.
KR1020047008105A 2001-11-29 2002-06-18 의료용 배출용구 KR100818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3577A JP3989717B2 (ja) 2000-12-20 2001-11-29 医療用排出用具
JPJP-P-2001-00363577 2001-11-29
PCT/JP2002/006056 WO2003045470A1 (fr) 2001-11-29 2002-06-18 Outil d'evacuation pour soins medica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191A true KR20040070191A (ko) 2004-08-06
KR100818843B1 KR100818843B1 (ko) 2008-04-01

Family

ID=1917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105A KR100818843B1 (ko) 2001-11-29 2002-06-18 의료용 배출용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44385B2 (ko)
EP (1) EP1449547B1 (ko)
KR (1) KR100818843B1 (ko)
CN (1) CN100408117C (ko)
WO (1) WO2003045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7475B2 (en) * 2004-10-12 2012-12-25 C. R. Bard, Inc. Corporeal drainage system
GB0503730D0 (en) * 2005-02-23 2005-03-30 Medical Device Innovations Ltd Pneumothorax relief device
CN102389591A (zh) * 2011-08-02 2012-03-28 常熟市赛爱斯医疗器材有限公司 医用半自动引流计量装置
CN106390214A (zh) * 2016-09-23 2017-02-15 郑迪熹 一种医用的负压瓶配件及使用该配件的负压瓶
CN113018593B (zh) * 2021-03-23 2022-08-0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用于糖尿病治疗的医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762A (en) * 1963-10-25 1965-12-28 Yolan R Guttman Intravenous stylet catheter
GB1052614A (ko) * 1964-06-04
US3421504A (en) * 1966-01-25 1969-01-14 De Lamar J Gibbons Vacuum receptor
SE351785B (ko) * 1970-02-02 1972-12-11 Astra Meditec Ab
US4141361A (en) * 1970-02-09 1979-02-27 Snyder Manufacturing Co., Incorporated Evacuator
US3742952A (en) * 1971-04-28 1973-07-03 Alpha Ind Inc Surgical suction pump assembly
US3800795A (en) * 1971-06-16 1974-04-02 Sherwood Medical Ind Inc Urinary drainage collecting device
US3875941A (en) * 1974-04-03 1975-04-08 Medical Dynamics Inc System for evacuating fluids from the body
US3991763A (en) * 1975-04-17 1976-11-16 Arbrook, Inc. Surgical evacuator
US4392860A (en) * 1979-01-11 1983-07-12 Howmedica, Inc. Disposable wound drainage device
US4529402A (en) * 1980-07-08 1985-07-16 Snyder Laboratories, Inc. Closed wound suction evacuator with rotary valve
US4392858A (en) * 1981-07-16 1983-07-12 Sherwood Medical Company Wound drainage device
US4493701A (en) * 1982-08-19 1985-01-1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Wound drainage device of resilient sidewalls with a constant rate of recovery
US4578060A (en) * 1983-07-20 1986-03-25 Howmedica, Inc. Wound drainage device
US4643719A (en) * 1984-07-19 1987-02-17 Garth Geoffrey C Manually operable aspirator
JPS6190669A (ja) 1984-10-11 1986-05-0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用排出装置
USD312132S (en) * 1987-09-16 1990-11-13 Uresil Corporation Surgical drainage unit
JPH02261472A (ja) * 1989-03-31 1990-10-24 Terumo Corp 液体吸引具
GB2245833A (en) * 1990-06-26 1992-01-15 Femcare Ltd Mucus extractor
US5318550A (en) * 1992-10-02 1994-06-07 Tetra Development Society Urine collecting apparatus
JP2871378B2 (ja) * 1993-03-25 1999-03-17 株式会社クリニカル・サプライ 弁体を有するシースイントロデューサ
JP3712413B2 (ja) * 1994-10-11 2005-11-02 リサーチ メディカル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改良された創傷ドレンシステム
JPH08224313A (ja) * 1995-02-23 1996-09-03 Unitika Ltd カテーテル挿入方法
JP2001218830A (ja) * 1999-08-30 2001-08-14 Sumitomo Bakelite Co Ltd 体液吸引集液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094349B2 (ja) * 2002-06-17 2008-06-0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用排出用具
JP2004229780A (ja) * 2003-01-29 2004-08-19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用排出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80387A1 (en) 2005-04-14
CN100408117C (zh) 2008-08-06
EP1449547A1 (en) 2004-08-25
US7144385B2 (en) 2006-12-05
EP1449547B1 (en) 2012-11-28
CN1596133A (zh) 2005-03-16
WO2003045470A1 (fr) 2003-06-05
KR100818843B1 (ko) 2008-04-01
EP1449547A4 (en)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2401B2 (ja) 胸部通気器具キット
US4836199A (en)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266545A (en) Portable suction device for collecting fluids from a closed wound
US5664564A (en) Aspirating/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8136170B (zh) 用于抽吸和喂饲系统、方法及设备的双口管路
CN101124009A (zh) 医疗器械及其使用方法
WO2022159333A1 (en) Vacuum system to clear standing column of fluid
KR100818843B1 (ko) 의료용 배출용구
JP3334118B2 (ja) トロッカ−
CN213374653U (zh) 一种泌尿外科手术用尿道扩张器
CN210447834U (zh) 一种尿管
JP4094349B2 (ja) 医療用排出用具
JP3989717B2 (ja) 医療用排出用具
CN2391628Y (zh) 胸腹腔穿刺引流装置
CN216725375U (zh) 负压式口腔清洗器
CN111184938A (zh) 一种肝胆外科用引流管固定装置
CN216495206U (zh) 一种用于内镜治疗通道口分泌物收集装置
CN211934985U (zh) 一种闭式引流护理装置
CN219022726U (zh) 一种一次性输液针保护套
CN219501665U (zh) 一种医用负压引流连接盖及引流袋
CN212880561U (zh) 一种防漏腹腔引流管
CN219185164U (zh) 一种吸痰装置
CN214762443U (zh) 一种肝胆外科用腹水抽取回输装置
CN215194884U (zh) 一种护理用带有刻度标识导尿管
CN215078909U (zh) 一种便携式的痰液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