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626A -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 Google Patents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626A
KR20040068626A KR1020020024778A KR20020024778A KR20040068626A KR 20040068626 A KR20040068626 A KR 20040068626A KR 1020020024778 A KR1020020024778 A KR 1020020024778A KR 20020024778 A KR20020024778 A KR 20020024778A KR 20040068626 A KR20040068626 A KR 2004006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edge
mold structur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균
Original Assignee
허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균 filed Critical 허균
Priority to KR102002002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626A/ko
Publication of KR2004006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7Baking-tins; Baking forms with detachable side and bottom parts, e.g. springform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3Baking-tins; Baking forms for making bread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1)은 내부 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1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1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13)가 형성된다.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2)은 내부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2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22)가 형성된다. 빵 분리장치(30)가 구비된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3)은 내부 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3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3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내부원형돌출부(32)에는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3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35)가 하부부재(36)에 조립된 빵 분리장치(30)가 구비된다. 빵 분리장치(40)가 구비된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4)은 내부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4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외주모서리 사이에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43)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44)가 하부부재(46)에 조립된 빵 분리장치(40)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Mold Structure for Bread and Bread Prepared with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빵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부빵과 상부빵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부에 각종 스터핑(stuffing)을 넣을 수 있는 빵에 있어서, 하부빵과 상부빵을 각각 제조할 수 있는 형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빵은 오늘날 인류의 주식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그릇 모양의 하부빵과 그 하부빵 위에 결합되는 뚜껑 모양의 상부빵으로 이루어진 빵을 고안하여, 그 빵의 내부 공간에 햄버거, 샐러드, 불고기, 아이스크림 등과 스터핑(stuffing)을 넣어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빵을 개발하고, 또한 이러한 빵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빵 제조 형틀 구조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결합되어 그릇과 뚜껑의 역할을 하는 상부빵 및 하부빵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빵과 하부빵을 제조하는 경우 오븐에서 구운 다음 빵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빵 분리장치가 구비된 형틀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결합되어 그릇과 뚜껑의 역할을 하고 내부 공간에는 스터핑을 넣을 수 있는 상부빵과 하부빵으로 이루어진 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발명의 상부빵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형틀 구조물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하부빵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형틀 구조물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상부빵과 하부빵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상부빵을 제조하는 다른 구체예의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서 빵 분리장치가 상부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6도의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하부빵을 제조하는 다른 구체예의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에서 빵 분리장치가 상부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의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3 : 상부빵 형틀 구조물 2, 4 : 하부빵 형틀 구조물
11, 21: 외주모서리 12: 내부원형돌출부
13, 22: 중앙부 15 : 상부빵(반죽)
25 : 하부빵(반죽) 31, 41 : 외주모서리
32 : 내부원형돌출부 33 : 중앙부
30, 40 : 빵 분리장치 34 : 중앙부재
35 : 측부부재 36 : 하부부재
37 : 볼트 42 : 중앙부
43 : 중앙부재 44 : 측부부재
46 : 하부부재 47 : 볼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1)은 내부 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1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1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13)가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상부빵 밀가루 반죽(15)을 충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2)은 내부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2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22)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하부빵 밀가루 반죽(25)을 충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빵 분리장치(30)가 구비된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3)은 내부 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3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3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내부원형돌출부(32)에는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3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35)가 이탈하지 않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36)에 볼트(37)로써 조립된 빵 분리장치(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빵 분리장치(40)가 구비된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4)은 내부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4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외주모서리 사이에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43)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44)가 이탈하지 않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46)에 볼트(47)로써 조립된 빵 분리장치(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 구조물은 합성수지, 세라믹,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기타 금속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는 상부빵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형틀 구조물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1)은 내부 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1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1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13)가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상부빵 밀가루 반죽(15)을 충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부공간에는 수작업으로 빵원료 반죽을 충진시킨다. 빵원료가 충진된 형틀 구조물은 오븐에 넣어 굽는다. 오븐에서 구어진 빵을 수작업에 의하여 형틀 구조물(1)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써 뚜껑 모양의 상부빵이 제조된다.
제3도는 하부빵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형틀 구조물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2)은 내부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2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22)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하부빵 밀가루 반죽(25)을 충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부공간에는 수작업으로 빵원료 반죽을 충진시킨다. 빵원료가 충진된 형틀 구조물은 오븐에 넣어 굽는다. 오븐에서 구어진 빵을 수작업에 의하여 형틀 구조물(2)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써 그릇 모양의 하부빵이 제조된다.
제5도는 상부빵과 하부빵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그릇 모양의 하부빵(25)과 그 하부빵 위에 결합되는 뚜껑 모양의 상부빵(15)으로 이루어지고, 그 빵의 내부 공간에 햄버거, 샐러드, 불고기, 아이스크림 등과 스터핑(stuffing)을 넣어 편리하게 먹을 수 있다.
제6도는 상부빵을 제조하는 다른 구체예의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제7도는 제6도에서 빵 분리장치가 상부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며, 제8도는 제6도의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은 빵을 구운 다음 형틀로부터 빵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빵 분리장치(30)가 구비된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3)은 내부 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3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3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내부원형돌출부(32)에는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3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35)가 이탈하지 않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36)에 볼트(37)로써 조립된 빵 분리장치(30)가 구비된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3)에는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3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3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하부부재(36)는 원반 모양으로 중앙부재(3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35)가 조립된다. 중앙부재(3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35)는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3)의 상부쪽에서 삽입시키고, 하부쪽에서 볼트(37)로써 하부부재(36)에 조립된다. 제8도에는 4 개의 측부부재(35)가 도시되어 있지만, 측부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개 이상의 복수개로 적절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빵 분리장치(30)가 하부쪽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내부공간에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 작업으로 빵원료 반죽을 충진시킨다. 빵원료가 충진된 형틀 구조물은 오븐에 넣어 굽는다. 오븐에서 구어진 빵을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 작업으로 형틀 구조물(3)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 작업으로 빵 분리장치(30)를 상부쪽으로 밀어서 빵을 형틀 구조물(3)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써 뚜껑 모양의 상부빵이 제조된다.
제9도는 하부빵을 제조하는 다른 구체예의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에서 빵 분리장치가 상부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형틀 구조물의 단면도이며, 제11도는 제9도의 형틀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은 빵을 구운 다음 형틀로부터 빵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빵 분리장치(40)가 구비된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4)은 내부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4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외주모서리 사이에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43)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44)가 이탈하지 않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46)에 볼트(47)로써 조립된 빵 분리장치(40)가 구비된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4)에는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43)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4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하부부재(46)는 원반 모양으로 중앙부재(4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44)가 조립된다. 중앙부재(43)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44)는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4)의 상부쪽에서 삽입시키고, 하부쪽에서 볼트(47)로써 하부부재(46)에 조립된다. 제11도에는 4 개의 측부부재(44)가 도시되어 있지만, 측부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개 이상의 복수개로 적절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빵 분리장치(40)가 하부쪽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내부공간에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 작업으로 빵원료 반죽을 충진시킨다. 빵원료가 충진된 형틀 구조물은 오븐에 넣어 굽는다. 오븐에서 구어진 빵을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 작업으로 형틀 구조물(4)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 작업으로 빵 분리장치(40)를 상부쪽으로 밀어서 빵을 형틀 구조물(4)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써 그릇 모양의 하부빵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 구조물은 합성수지, 세라믹,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기타 금속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 구조물은 첨부된 도면에서 원형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의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그릇과 뚜껑의 역할을 하는 상부빵 및 하부빵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구조물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상부빵과 하부빵을 제조하는 경우 오븐에서 구운 다음 빵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빵 분리장치가 구비된 형틀 구조물을 제공하며, 이들 형틀 구조물로부터 제조되어 그릇과 뚜껑의 역할을 하고 내부 공간에는 스터핑을 넣을 수 있는 상부빵과 하부빵으로 이루어진 빵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내부 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1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1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13)가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상부빵 밀가루 반죽(15)을 충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1).
  2. 내부공간을 갖는 원반형 형태로서 외주모서리(2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22)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하부빵 밀가루 반죽(25)을 충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2).
  3. 내부 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31)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내부원형돌출부(32)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중앙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내부원형돌출부(32)에는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34)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35)가 이탈하지 않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36)에 볼트(37)로써 조립되는 빵 분리장치(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3).
  4. 내부공간을 갖는 외주모서리(41)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는 외주모서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앙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외주모서리 사이에 빵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부재(43) 및 복수개의 측부부재(44)가 이탈하지 않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46)에 볼트(47)로써 조립되는 빵 분리장치(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빵 제조 형틀 구조물(4).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부재(35, 44)가 2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제조 형틀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 구조물이 합성수지, 세라믹,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금속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제조 형틀 구조물.
  7.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빵 제조 형틀 구조물에 의하여 제조된 빵.
KR1020020024778A 2002-05-06 2002-05-06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KR20040068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778A KR20040068626A (ko) 2002-05-06 2002-05-06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778A KR20040068626A (ko) 2002-05-06 2002-05-06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626A true KR20040068626A (ko) 2004-08-02

Family

ID=3735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778A KR20040068626A (ko) 2002-05-06 2002-05-06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62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609U (ko) * 1998-06-13 2000-01-15 남현우 피자용쟁반
KR20010088484A (ko) * 2001-07-25 2001-09-28 허균 내부에 내용물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식빵 및 그식빵의 제조방법
KR20030043554A (ko) * 2001-11-23 2003-06-02 허균 내부공간에 스터핑이 충진된 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609U (ko) * 1998-06-13 2000-01-15 남현우 피자용쟁반
KR20010088484A (ko) * 2001-07-25 2001-09-28 허균 내부에 내용물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식빵 및 그식빵의 제조방법
KR20030043554A (ko) * 2001-11-23 2003-06-02 허균 내부공간에 스터핑이 충진된 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5015A (en) Cake mold
KR900002503B1 (ko) 샌드위치 조리 및 저장용기 세트
US7150221B2 (en) Multiple cake baking assembly
RU2314695C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форма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5423451A (en) Bowl and cutting board combination
US2965501A (en) Frozen pie package
US20040094043A1 (en) Individual dome molds and baking assembly
WO2006062527A1 (en) Loaf cake pan assembly
US20080314259A1 (en) Baking tray
US11819028B2 (en) Baking pan for tilted cakes
US3093093A (en) Apparatus for shaping edible products
KR20040068626A (ko)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US3910548A (en) Means for making potato baskets
CN213046436U (zh) 一种组合型陶瓷黄油托盘结构
CN209450383U (zh) 免烘烤透明食品模具
KR200487294Y1 (ko) 파운드 케이크용 성형 몰드
CN216822760U (zh) 一种易于倾倒的自动炒菜机
JPS596625B2 (ja) 食品の成型方法
KR20030090183A (ko) 빵 제조 형틀 구조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빵
CN211833804U (zh) 一种滤油盘
JP3210632U (ja) 柄付き薄焼き卵作成補助具
KR20040011324A (ko) 빵 제조 형틀 구조물 세트 및 빵 제조 방법
US20240099505A1 (en) System for producing distinctive food objects
KR100936702B1 (ko) 식품 베이스와 그 제조용기
US20150216191A1 (en) Burger ring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