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852A - 반응성 아조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반응성 아조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852A
KR20040066852A KR10-2004-7008266A KR20047008266A KR20040066852A KR 20040066852 A KR20040066852 A KR 20040066852A KR 20047008266 A KR20047008266 A KR 20047008266A KR 20040066852 A KR20040066852 A KR 2004006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arts
reactive
dye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0698B1 (ko
Inventor
마이어스테판
루스베르너
뵈르너외르그
Original Assignee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filed Critical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4006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0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o a triazine ring
    • C09B62/08Azo dyes
    • C09B62/085Mono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4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503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he reactive group being an esterified or non-esterified hydroxyalkyl sulfonyl or mercaptoalkyl sulfonyl group, a quaternised or non-quaternised aminoalkyl sulfonyl group, a heterylmercapto alkyl sulfonyl group, a vinyl sulfonyl or a substituted vinyl sulfonyl group, or a thiophene-dioxide group
    • C09B62/507Azo dyes
    • C09B62/51Mono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4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4401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with two or more reactive groups at least one of the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system and at least one of the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non-heterocyclic system
    • C09B62/4403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with two or more reactive groups at least one of the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system and at least one of the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non-heterocyclic system the heterocyclic system being a triazine ring
    • C09B62/4411Azo dyes
    • C09B62/4413Non-metallized monoazo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 Paper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하이드록실-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물질을 염색 및 날염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1, X2, R, M, m 및 n은 각각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반응성 아조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REACTIVE AZO DYES,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DE-A-제4434989호, DE 제19600765호, DE 제19810906호 및 EP-A-제922735호는 이후 설명될 본 발명의 염료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염료들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반응기 또는 커플링 성분의 유형이 상이하다. 이들 공지된 염료는 직물 물질의 염색시 다수의 기술적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기술적 단점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반응성 염료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제 놀랍게도, 하기 화학식 1의 후술될 염료가 공지 염료들에 비해 유리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를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이고;
X1은 할로겐, 아미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또는 X2이고;
X2는 하기 화학식 2의 치환기이고,
[식중, R1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이고; B는 산소 원자가 중재될 수 있는 알킬렌이고, R2는 -SO2CH=CH2또는 -SO2CH2CH2Z 라디칼이고, 이때 Z는 알칼리 작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잔기이다];
n 및 m은 각각 0 또는 1이고;
M은 수소, 암모늄,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등가물이다.
화학식 1에서, 알칼리 금속 M은 특히 리튬, 나트륨 및 칼륨이고, 알칼리 토금속은 특히 칼슘이다. 바람직하게는, M은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할로겐 X1은 특히 불소 또는 염소이고, 치환된 아미노는 특히 1종 이상의 섬유-반응성 라디칼 -SO2CH=CH2또는 -SO2CH2CH2Z'(여기서, Z'는 알칼리 작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잔기이다)을 갖는 아릴 라디칼에 의해 치환되는 아미노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는 m-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또는 p-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로 치환된다.
알킬 R은 바람직하게는 (C1-C8)-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이다. 이러한 유형의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2급-부틸 및 3급-부틸이다. 알킬 R은 예를 들면 SO3H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아릴 R1은 특히, 예를 들면 (C1-C4)-알킬, (C1-C4)-알콕시, 염소, 불소 또는 SO3H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는 페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페닐, 또는 설포기를 갖는 아릴 라디칼이다.
알킬렌 B는 바람직하게는 (C1-C8)-알킬렌, 특히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렌이다. 이러한 유형의 알킬렌기의 예는 메틸렌, 에틸렌, n-프로필렌, i-프로필렌 및 부틸렌이다. 산소 원자가 중재된 알키렌은 바람직하게는 -(CH2)2-O-(CH2)2-이다.
알칼리 작용에 의해, 즉 염색 조건하에 제거될 수 있는 Z 라디칼의 예는 염소, 브롬, 설파토, 티오설파토, 포스페이토, (C2-C5)-알카노일옥시, 예를 들면 아세틸옥시, 벤조일옥시, 설포벤조일옥시 또는 p-톨루일설포닐옥시이고, 이중 설파토가 바람직하다.
"설파토", "티오설파토" 및 "포스페이토" 기는 이들의 산 형태 뿐만 아니라 염 형태도 포함한다. 따라서, 티오설파토기는 일반식 -S-SO3M에 상응하고, 포스페이토기는 일반식 -OPO3M2에 상응하며, 설파토기는 일반식 -OSO3M에 상응하고, 각 경우 M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반응성 염료는 화학식 2의 라디칼이 하리 라디칼 (2-1) 내지 (2-4)에 상응하는 화학식 1의 염료이다.
상기 식에서,
M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의 염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M, n 및 X1은 각각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는 일반적으로 고체 또는 액체 (용해된) 형태의 제제로서 존재한다. 고체 형태에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특히 섬유-반응성 염료의 경우 통상적인 전해질 염, 예컨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및 황산나트륨을 함유하고, 추가로 상업용 염료에 통상적인 보조제, 예컨대 수용액에서 pH를 3 내지 7로 설정할 수 있는 완충 물질, 예컨대 아세트산나트륨, 붕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이수소인산나트륨, 삼시트르산나트륨 및 수소인산이나트륨, 또는 소량의 건조제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이 액체, 수용액(날염 페이스트중 통상적인 유형의 증점제의 존재를 포함함)의 형태로 존재할 경우, 이들은 또한 이들 제제의 수명을 오랫동안 확보하는 물질, 예를 들면 곰팡이 방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표준화제로서도 공지된 전해질 염을 분말 또는 과립을 기준으로 1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건조 분말 또는 과립 염료로서 존재한다. 특히 과립의 입자 크기는 50 내지 500㎛이다. 이들 고체 제제는 추가로 상술된 완충 물질을 제제를 기준으로 총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염료가 수용액으로 존재할 경우, 수용액중 총 염료 함량은 약 50중량% 이하, 예를 들면 5 내지 50중량%이고, 수용액중 전해질 염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액을 기준으로 10중량% 미만일 것이다. 수용액(액체 제제)은 전술된 완충 물질을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는 동일한 발색단을 가지나 섬유-반응성 기 R2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발색단의 경우, R2는 첫번째로 -SO2CH=CH2이고, 두 번째로 -SO2CH2CH2Z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β-설파토에틸설포닐이다. 비닐설포닐 형태의 염료의 분율은 각 염료 발색단을 기준으로 약 30몰%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닐설포닐 염료 대 β-에틸-치환된 염료의 분율은 5:95 내지 30:70의 몰비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기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은,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다이아조화고,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킬 경우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X1, X2, M 및 n은 각각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르게는,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6의 할로트리아진과 축합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 M, X1, X2, m 및 n은 각각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X3은 불소 또는 염소이다.
화학식 6의 화합물은 트라이플루오로트리아진 또는 트라이클로로트리아진 및 하기 화학식 2'의 1 또는 2종의 화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X2가 화학식 2의 라디칼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르게는 또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트라이할로트리아진과 반응시킨 후 화학식 2'의 아민과 축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X1이 X2이되 할로겐이 아닌 화학식 1의 염료는 X1이 할로겐인 화학식 1의 염료를 수용액중에서 화학식 2'의 반응성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축합함으로써 수득된다.
화학식 3의 화합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득될 수 있다. X2가 화학식 2의 라디칼인 경우, 축합 생성물은 할로트리아진(6)을 다이아미노벤젠설폰산 또는 다이아미노벤젠다이설폰산, 바람직하게는 1,3-다이아미노벤젠-4-설폰산, 1,4-다이아미노벤젠-2-설폰산, 1,4-다이아미노벤젠-2,5-다이설폰산 또는 2,4-다이아미노벤젠-1,5-다이설폰산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트라이클로로- 또는 트라이플루오로트리아진을 다이아미노벤젠설폰산 또는 다이아미노벤젠다이설폰산과 축합한 후 화학식 2'의 아민과 축합함으로써 수득된다.
전술된 다이아조화, 커플링 및 축합 반응은 당업가에게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관련 분야의 문헌에 널리 기재된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염료는 상술된 제조 방법에 의해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수득되고, 염 분리에 의해 단리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분무 건조되고, 또다른 가능성은 용액 또는 현탁액을 증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는 유용한 적용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예를 들면 시이트형 구조물, 예컨대 페이퍼 및 레저 형태의 하이드록실- 및/또는 카복스아마이드-함유 물질, 또는 폴리아마이드의 필름, 또는 예를 들면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우레탄의 경우 전체로, 특히는 언급된 물질의 섬유 형태를 염색하고 날염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임의의 종류의 셀룰로즈 섬유 물질을 염색 및 날염하는데 사용된다. 이들은 또한 혼방 패브릭, 예를 들면 면과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폴리아마이드 섬유의 혼방으로 존재하는 하이드록실-함유 섬유을 염색하고 날염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직물 또는 페이퍼를 잉크젯 공정으로 날염하는데 이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언급된 물질을 염색 및 날염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의 용도,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1종 이상의 반응성 염료를 착색제로서 사용하여 상기 물질을 통상의 방식으로 염색 또는 날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의 합성된 용액을, 적절하다면 완충 물질의 첨가 이후에, 및 유사하게는 적절하다면 농축 또는 희석 이후에, 염색을 위한 액체 제제로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언급된 물질들은 섬유 물질의 형태, 특히는 직물 섬유의 형태, 예컨대 부직물 또는 실(타래 또는 묶음)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함유 물질은 천연 물질이거나 합성 물질이고, 예를 들면 셀룰로즈 섬유 물질 또는 이들의 재생품 및 폴리비닐알콜이다. 셀룰로즈 섬유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면직물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성 섬유, 예컨대 리넨(linen), 마(麻), 황마(黃麻) 및 모시 섬유이다. 재생 셀룰로즈 섬유는 예를 들면 스테이플 비스코스(staple viscose) 및 필라멘트 비스코스(filament viscose)이다.
카복스아미도-함유 물질의 예는 특히 섬유 형태의 합성 및 천연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우레탄이며, 예컨대 모직물 및 기타 동물의 모(毛), 실크, 가죽, 나일론-6,6, 나일론-6, 나일론-11 및 나일론-4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염료는 수용성 염료, 특히 섬유-반응성 염료에 대해 공지된 적용법을 사용하여 언급된 기재, 특히 언급된 섬유 물질상에 적용되어 고착될 수 있다. 이들은 다양한 산-결합제 및 선택적으로 중성 염(예: 염화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다량의 염료액(liquor)으로부터 셀룰로즈 섬유상에 흡진 염색 방법에 의해 상기 방식으로 적용되면, 매우 양호한 색 수율을 갖는 염색물을 생산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을 수성 욕조중에서 40 내지 105℃에서, 적절하다면 130℃ 이하의 온도에서 가압하에, 적절하다면 통상의 염색 보조제의 존재하에 적용된다. 한가지 가능한 절차는 물질을 따뜻한 욕조내로 도입하고 원하는 염색 온도에 도달하도록 욕조를 점진적으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염색 공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또한, 염료의 흡진을 가속화시키는 중성 염은, 적절하다면 실제 염색 온도에 도달된 후 욕조에 첨가될 수 있다.
패딩(padding) 공정도 마찬가지로 셀룰로즈 섬유상에서 우수한 색 수율 및 매우 양호한 색 빌드-업(build-up)을 제공하며, 염료는 실온 또는 승온, 예컨대 60℃ 이하에서 통상의 방식으로 스팀가열 또는 건식가열을 사용하여 배치처리(batching)하여 고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중탄산나트륨 또는 일부 다른 산-결합제를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로 날염하고 후속적으로 100 내지 103℃에서 스팀가열함으로써 단일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중성 또는 약산성 날염 염료로 날염한 후 날염된 물질을 고온-전해질 함유 알칼리 욕조를 통해 통과시키거나 알칼리 전해질-함유 패딩 염료액으로 오버패딩(overpadding)시킨 후 알칼리-오버패딩된 물질을 후속적으로 배치처리, 또는 스팀가열 또는 건식가열함으로써 2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셀룰로즈 섬유에 대한 통상적인 날염 공정은 잘-한정된 윤곽 및 선명한 백색 배경(white ground)을 갖는 진한 날염물을 생산한다. 날염물의 외관은 고착 조건들중의 변수에 의해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
통상의 열고착 공정에 따른 건식가열에 의하여 고착시킬 경우, 120 내지 200℃의 고온 공기가 사용된다. 101 내지 103℃의 통상의 스팀 뿐만 아니라, 160℃이하에서 초가열된 스팀 및 고압 스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셀룰로즈 섬유상에 염료를 고착시키는 산-결합제로는, 예를 들면 무기산 또는 유기산 또는 가열시 알칼리를 방출하는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수용성 염기 염이 포함된다. 특히,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및 약한/중간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 염이 적합하며,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나트륨 및 칼륨 화합물이다. 이러한 산-결합제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폼산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삼염화아세트산나트륨, 규산소다 또는 인산삼나트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는 높은 반응성, 양호한 고착성, 매우 양호한 빌드-업 및 높은 광 견뢰도와 땀 견뢰도를 갖는다는 점이 주목할만 하다. 따라서, 이들은 낮은 염색 온도에서 흡진 염색 공정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패드-스팀 공정에서 단지 짧은 증기처리 시간만을 필요로 한다. 고착도는 높고, 고착되지 않은 부분은 쉽게 세척되고, 흡진도 및 고착도 사이의 차이는 현저하게 작다, 즉 가수분해 손실이 매우 작다. 이들은 또한 면직물상에서의 날염 뿐만 아니라, 질소성 섬유, 예를 들면 모직물 또는 실크, 또는 모직물과 실크를 함유하는 혼방 패브릭의 날염에 특히 유용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는, 세척 조작시 인접한 백색 부분이 제거된 염료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면서, 염색 조작후 고착되지 않은 염료 부분이 매우 쉽게 섬유 물질로부터 세척 제거된다는 점이 주목할만 하다. 이는 세척 주기, 따라서 비용이 절감된다는 면에서 염색 조작시 유리하다.
특히 셀룰로즈 섬유 물질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에 의해 제조된 염색물 및 날염물은 산성 뿐만 아니라 알칼리성 범위에서 높은 색 강도 및 높은 섬유-염료 결합 안정성을 갖고, 또한 양호한 광 견뢰도 및 매우 양호한 습윤 견뢰 특성, 예컨대 세척, 물, 해수, 크로스염색 및 땀 견뢰도, 및 건식가열 고정(setting) 및 플리팅(pleating)에 대한 우수한 견뢰도 및 크로킹(crocking)에 대한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부 및 중량부는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중량에 의한 것이다. 킬로그램이 리터와 관련되는 것처럼 중량부는 부피부에 관련된다.
실시예에 화학식으로 표시된 화합물은 유리산의 형태로 나타내어 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들은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로 제조되고 단리되며, 이들의 염 형태로 염색에 사용된다. 유사하게, 출발 화합물 및 후속 실시예에서 유리산 형태로 나타낸 성분들, 특히 표중 예들은 그 상태로 또는 이들의 염 형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염 형태로 합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물에 대해 보고된 가시 영역에서 최대 흡광도(λmax)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 염의 수용액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실시예 1
2,4,6-트라이클로로-1,3,5-트리아진 18.4부를 0 내지 5℃에서 30분 동안 얼음물 200부에 현탁시킨다. 이어, 2-(아닐리노)에틸 2-설파토에틸 설폰 30.9부를 30분에 걸쳐 첨가하고, 이때 15% 탄산나트륨 용액을 동시계량 첨가하여 반응 용액의 pH를 2.5로 유지시킨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5℃에서 교반한 다음, 1,4-다이아미노벤젠-2,5-다이설폰산 26.8부와 혼합하고 15%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pH를 5.5로 조정한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35℃로 가온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를 10℃로 냉각하고, 아질산나트륨 6.9부를 혼합하고, 얼음 100부 및 농축 염산(31%) 40부의 초기 투입물에 적가한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설팜산을 첨가하여 과량의 아질산염을 제거한다.
7-아미노-1-하이드록시나프탈렌-3-설폰산 23.9부를 물 300부에 용해시키고,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시킨다. 중성 용액을 10℃에서 30분에 걸쳐 차가운 다이아조화 배치에 적가한다. 생성된 pH는 1.5 내지 2.0이다. 15% 탄산나트륨 용액을 30분에 걸쳐 첨가하여 pH를 2.5로 조정하고, 이후 용액을 승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pH를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6으로 조정하고 NaH2PO4/Na2HPO4로 완충시킨다. 수득된 용액을 증발시킨다.
수득된 염료는 하기 식을 갖는다.
이는 양호한 견뢰도, 특히 높은 광 견뢰도를 갖는 푸른빛 적색 색조로 면직물을 염색하고 날염한다.
실시예 2) 내지 32)의 염료가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되었다. 이를 위해, 상응하는 반응성 아민을 트라이클로로트리아진과 반응시킨 후, 축합 성분과 반응시키고, 다이아조화하고, 커플링 성분에 커플링시켰다.
실시예 41
4-니트로아닐린-2-설폰산 21.8부를 물 400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킨다. 아질산나트륨 6.9부를 첨가하고, 모두 용해될 때까지 현탁액을 교반한다.
용액을 초기 투입된 얼음 100부 및 농축 염산(31%) 30부에 0 내지 5℃에서 적가한 후 60분 동안 교반한다. 설팜산을 첨가하여 과량의 아질산염을 제거한다.
7-아미노-1-하이드록시나프탈렌-3,6-다이설폰산 31.9부를 물 300부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다이아조늄 염의 현탁애에 30분에 걸쳐 적가한다.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반응 혼합물의 pH를 2로 점진적으로 조정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로써,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리산 형태의 염료 용액이 제공된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화학물 (7)의 용액의 pH를 8.5로 조정하고, 70℃로 가열한다. 물 50부중 NaHS 5.6부 용액을 적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다.
염화나트륨 150부를 첨가하여 상기 수득된 화합물을 침전시키고, 여거하고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수득된 화합물은 유리산 형태의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과 일치한다.
화합물 (8) 51.9부를 물 500부에 용해시킨다. 2,4,6-트라이클로로-1,3,5-트리아진 18.4부를 0 내지 5℃에서 30분 동안 얼음물 200부에 현탁시킨다. 이어, 2-(아닐리노)에틸 2-설파토에틸 설폰 30.9부를 30분에 걸쳐 첨가하고, 이때 15% 탄산나트륨 용액을 동시계량 첨가하여 반응 용액의 pH를 2.5로 유지시킨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수득된 현탁액을 화합물 (8)의 용액에 첨가한다.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반응 혼합물의 pH를 6으로 조정하고, 35℃로 가온한다. 이후, 이를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종료점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다. 염화칼륨을 첨가하여 실시예 6의 염료를 침전시키고, 여거하고, 건조시킨다.
이 염료는 푸른빛 적색 색조로 면직물을 염색한다.
실시예 5), 13) 및 14)의 화합물은 화합물 (8)을 적절한 트리아진 유도체와 축합함으로써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8)중 커플링 성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방법에 의해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적절한 트리아진 유도체와의 반응에 의해 화학식 1의 염료로 전환될 수 있다.
실시예 42
화합물 (12) 51.9부를 물 500부에 용해시키고, 플루오르화 나트륨 4.2부와 혼합하고 5℃로 냉각한다. 그런 다음, 2,4,6-트라이플루오로트리아진 13.5부를 첨가한다. pH는 초기에 감소하고, 이후 이를 약 4 내지 4.5로 조정한다. 이후, 반응 용액을 15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반응 용액에 3-(4-설포페닐아미노)프로필 2-설파토에틸 설폰40.3부의 중성 수용액을 적가하여 혼합하고, 25℃로 가온하고, 이러한 전체 기간 동안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6 내지 6.5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반응의 종료점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결정한다. 용액을 증발시키면 유리산 형태의 하기 화학식 9의 염료가 남는다.
이 염료는 푸른빛 적색 색조로 면직물을 염색한다.
실시예 43) 내지 49)의 화합물이 상술된 방법에 의해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49
3-(아닐리노)프로필 2-설파토에틸 설폰 32.3부를 물 200부에 용해시키고, 15%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5로 조정하고, 플루오르화 나트륨 4.6부와 혼합한다. 0℃로 냉각한 후, 용액을 2,4,6-트라이플루오로트리아진 13.5부와 혼합한다. pH가 초기에 감소한 후, 이를 3.5 내지 4.0으로 조정한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2,4-다이아미노벤젠-1,5-다이설폰산 18.8부를 첨가하고,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pH를 5.5로 조정하고, 용액을 20 내지 25℃로 가온한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질산나트륨 6.9부를 첨가한다. 그런 다음, 용액을 얼음 100부 및 농축 염산(31%) 50부의 초기 투입물에 30분에 걸쳐 옮긴다. 이후,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설팜산을 첨가하여 과량의 아질산염을 제거한다.
7-아미노-1-하이드록시나프탈렌-3-설폰산 23.9부를 중성 pH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물 300부에 용해시킨다. 50℃로 가열한 후, 폼알데하이드 비설파이트의 나트륨 염 13.4부를 첨가한다. 이후,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20℃로 냉각하고, 10℃에서 차가운 다이아조 용액에 적가한다. 생성된 pH는 1.5 내지 2이다.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pH를 2 내지 2.5로 조정한 후, 혼합물을 승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상기 용액의 pH를 6으로 조정하고,NaH2PO4/Na2HPO4로 완충시키고, 증발시킨다. 이로써, 하기 식의 염료가 제공된다.
이 염료는 푸른빛 적색 색조로 면직물을 염색한다.
하기 표에 제시된 실시예 50) 내지 80)의 염료, 및 실시예 42) 내지 48)의 염료는 반응성 아민 출발 물질을 트라이플루오로트리아진과 축합하고, 적절한 축합 성분과 축합하고, 다이아조화하고, 적절한 커플링 성분에 커플링함으로써 유사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81
4-(2'-설파토에틸설포닐)아닐린 28.1부를 15%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키면서 물 250부에 용해시킨다. 실시예 8)의 염료를 용액내로 도입하고 pH를 5.5 내지 6으로 조정한다. 80℃로 가열한 후,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조정된 범위내에 유지시킨다. 반응의 경과를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모니터링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 염료 용액을 냉각시키고, 완충시키고 가열한다. 이로써, 하기 식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분말이 제공된다.
이는 우수한 견뢰도, 특히 높은 광 견뢰도를 갖는 푸른빛 적색 색조로 면직물을 염색한다.
하기 표에 지시된 실시예 82) 내지 88)은 반응물로서 지시된 실시예의 염료를 사용하고 이들을 반응성 아민과 축합함으로써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된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이고;
    X1은 할로겐, 아미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미노 또는 X2이고;
    X2는 하기 화학식 2의 치환기이고,
    화학식 2
    [식중, R1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이고; B는 산소 원자가 중재될 수 있는 알킬렌이고, R2는 -SO2CH=CH2또는 -SO2CH2CH2Z 라디칼이고, 이때 Z는 알칼리 작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잔기이다];
    n 및 m은 각각 0 또는 1이고;
    M은 수소, 암모늄,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등가물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n이 1인 반응성 염료.
  3.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중 1종에 상응하는 반응성 염료: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상기 식에서,
    M, n 및 X1은 각각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이 수소 또는 나트륨인 반응성 염료.
  5. 하기 화학식 3의 반응성 아민 성분을 다이아조화하고,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응성 염료의 제조 방법: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식에서,
    X1, X2, M, m 및 n은 각각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6.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트라이할로트리아진과 반응시킨 후 하기 화학식 2'의 아민과 축합함으로써, X2가 화학식 2의 라디칼인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1의 반응성 염료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5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 M, R1, R2, m 및 n은 각각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7. 하이드록실- 및/또는 카복스아미도-함유 물질, 특히 섬유 물질을 염색 및 날염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응성 염료의 용도.
KR1020047008266A 2001-11-30 2002-11-28 반응성 아조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890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9001.6 2001-11-30
DE10159001A DE10159001A1 (de) 2001-11-30 2001-11-30 Reaktive Azofarb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PCT/EP2002/013410 WO2003046087A1 (de) 2001-11-30 2002-11-28 Reaktive azofarb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852A true KR20040066852A (ko) 2004-07-27
KR100890698B1 KR100890698B1 (ko) 2009-03-26

Family

ID=770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266A KR100890698B1 (ko) 2001-11-30 2002-11-28 반응성 아조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949631B2 (ko)
EP (1) EP1453919B1 (ko)
JP (1) JP4430394B2 (ko)
KR (1) KR100890698B1 (ko)
CN (1) CN100379827C (ko)
AT (1) ATE502086T1 (ko)
AU (1) AU2002365515A1 (ko)
BR (1) BR0214573B1 (ko)
CA (1) CA2468844C (ko)
DE (2) DE10159001A1 (ko)
ES (1) ES2359907T3 (ko)
HK (1) HK1072065A1 (ko)
MX (1) MXPA04005159A (ko)
PT (1) PT1453919E (ko)
TW (1) TWI256410B (ko)
WO (1) WO2003046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2577A1 (de) * 2004-01-17 2005-08-04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Deutschland Kg Reaktive Azofarb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N102911528A (zh) * 2012-10-31 2013-02-06 无锡润新染料有限公司 一种耐晒、耐氯浸复合活性艳红染料
JP5503783B1 (ja) 2013-06-04 2014-05-28 市郎 海谷 男性性不全者用陰圧式補助器具
CN104277491A (zh) * 2014-09-28 2015-01-14 天津德凯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活性红染料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3326A (en) * 1988-11-16 1991-06-11 Ciba-Geigy Corporation Reactive dyes containing the 2-(cyano, carbonamido, sulfo-, hydroxy- or sulfato-C2 -C5 -alkyleneamino)-6-sulfo- or 3,6-disulfo-8-hydroxynaphthyl-(1) coupling component
DE4434989A1 (de) 1994-09-30 1996-04-04 Basf Ag Reaktive Azofarbstoffe mit einer Kupplungskomponente aus der Aminonaphthalinreihe
EP0775730B1 (de) * 1995-11-23 2000-05-03 Ciba SC Holding AG Reaktivfarb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EP0775731B1 (de) * 1995-11-23 1999-12-29 Ciba SC Holding AG Reaktivfarb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TW446734B (en) * 1997-12-11 2001-07-21 Ciba Sc Holding Ag Process for dyeing or printing and novel reactive dyes
DE19810906A1 (de) * 1998-03-13 1999-09-16 Basf Ag Reaktivfarbstoffe mit einem Kombinationsanker
DE10040648A1 (de) * 2000-08-19 2002-02-28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Reaktive Azofarb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30394B2 (ja) 2010-03-10
BR0214573B1 (pt) 2012-09-18
JP2005510615A (ja) 2005-04-21
WO2003046087A1 (de) 2003-06-05
AU2002365515A1 (en) 2003-06-10
CA2468844A1 (en) 2003-06-05
US6949631B2 (en) 2005-09-27
PT1453919E (pt) 2011-05-12
MXPA04005159A (es) 2004-08-11
CA2468844C (en) 2009-09-15
ATE502086T1 (de) 2011-04-15
EP1453919B1 (de) 2011-03-16
BR0214573A (pt) 2004-11-03
TWI256410B (en) 2006-06-11
DE10159001A1 (de) 2003-06-18
DE50214965D1 (de) 2011-04-28
CN100379827C (zh) 2008-04-09
TW200300438A (en) 2003-06-01
US20040260074A1 (en) 2004-12-23
ES2359907T3 (es) 2011-05-30
CN1610726A (zh) 2005-04-27
KR100890698B1 (ko) 2009-03-26
HK1072065A1 (en) 2005-08-12
EP1453919A1 (de)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6045A (en) Dye mixture comprising water-soluble fiber-reactive azo dye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6552175B2 (en) Reactive dy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JPH0424392B2 (ko)
KR100890698B1 (ko) 반응성 아조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US5250670A (en) Water-soluble monoazo compounds containing fiber-reactive groups of vinyl sulfone series as well as triazinyl radical, and process for dyeing with same
JP4945021B2 (ja) 水溶性モノアゾ化合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染料としての使用方法
US5548072A (en) Water-soluble phenyl azo aminoaphtol azo compounds containing a fibre-reactive group of the vinylsulfone series and a morpholino-fluorotriazinyl group, suitable as dyestuffs
KR940002558B1 (ko) 수용성 디스아조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20046210A (ko) 섬유 반응성 아조 염료의 흑색 염료 혼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하이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함유 섬유물질의 염색을 위한 이의 용도
KR910006993B1 (ko) 수용성디스아조화합물의제조방법
KR100753726B1 (ko) 반응성 아조 염료,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US7109313B2 (en) Water-soluble reactive mono- and di-azo dyes
KR890003129B1 (ko) 수용성 모노아조 피라졸론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90002402B1 (ko) 수용성 피리돈-아조화합물의 제조방법
US5290922A (en) Disazo compounds containing a cyanoamidotriazinyl radical as a bridging member (middle component) and fiber-reactive groups of the vinylsulfone series, suitable as dyestuffs
JPH02269161A (ja) 水溶性染料、その製法及び用途
KR890002348B1 (ko) 수-용성 모노아조 화합물의 제조방법
JP3739415B2 (ja) 反応性染料類、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の用途
KR20030010596A (ko) 수용성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및 용도
US5569748A (en) 2-amino-8-hydroxy-6-sulfonaphtalene-containing monoazo reactive dyes
US5047515A (en) Water-soluble containing a fiber-reactive triazine radical and 6-carboxy-2-naphthol as coupling component, suitable as dyes
US5290923A (en) Monoazo reactive dye which contains a dicyanoaminotriazinyl group and a group of the vinylsulfone series
KR20030022294A (ko) 수용성 섬유-반응성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30064893A (ko) 섬유 반응성 아조 염료의 흑색 염료 혼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하이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섬유물질의 염색을 위한 용도
US5610298A (en) Water-soluble anthraquinone compound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dy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