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590A -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590A
KR20040066590A KR1020030003703A KR20030003703A KR20040066590A KR 20040066590 A KR20040066590 A KR 20040066590A KR 1020030003703 A KR1020030003703 A KR 1020030003703A KR 20030003703 A KR20030003703 A KR 20030003703A KR 20040066590 A KR20040066590 A KR 2004006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extractor
panel
air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590A/ko
Publication of KR2004006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5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가 주행할 때 생기는 차내와 차외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버스 내부의 혼탁한 공기가 창문을 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의 사이드윈도우(1) 후단에는 차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리어패널(2)이 연결되고, 상기 리어패널(2)의 일측에는 가니쉬패널(3)이 고정 설치되는 버스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패널(3)에 의하여 커버되는 리어패널(2)의 일측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공(2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a)에는 차실내와 차실외의 압력차에 의하여 차실내의 공기를 차실외로 배출하는 익스트랙터(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Extractor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가 주행할 때 생기는 차내와 차외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버스 내부의 혼탁한 공기가 창문을 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익스트랙터는 차량의 도어를 닫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실내외의 압력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익스트랙터는 하우징과 개폐밸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폐밸브는 평상시에는 하우징의 공기배출구를 차폐하고 있다가 압력차에 의하여 작동되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그러나, 버스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익스트랙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버스 탑승자는 항상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마실 수밖에 없으며, 환기를 위해서는 차창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차내 환기를 시키고자 하여도 눈비가 올 때와 같이 일기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차창을 열 수 없으며, 설사 일기가 안정된 날이라 할지라도 차창을 열게 되면 열린 차창을 통해 차 밖의 먼지나 이물질이 차내로 유입될 우려가 있어서, 탑승자는 대개 창문을 여는 것을 꺼리게 된다.
결국, 버스 탑승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차내의 공기가 좀 혼탁하여도 빨리 하차하기를 기대하면서 그냥 참고 견디게 된다. 이는 탑승자가 보통의 건강한 사람이라면 크게 염려할 바는 아니지만, 호흡기 질환을 앓는 사람이나 영아, 유아의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물론, 버스에는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여름철에는 에어컨에 의한 냉방을, 겨울철에는 히터에 의한 난방을 실시하게 되지만 이는 도리어 차내의 습도를떨어뜨려 실내를 매우 건조한 상태로 만들뿐만 아니라 차실 내에 가라앉아 있던 먼지가 오히려 부양되어 더욱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실내 오염공기의 배출과는 거리가 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스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차 밖으로 배출하되, 버스의 주행중에 생기는 차내와 차외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차내의 공기가 차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배출장치가 설치된 버스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A" 부위를 보인 확대도,
도3은 도2의 B-B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1의 C-C 부위를 나타낸 버스 후방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윈도우 2 : 리어패널
2a : 관통공 3 : 가니쉬패널
3a : 배출구 4 : 가니쉬홈
10 : 익스트랙터 11 : 하우징
12 : 개폐밸브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배출장치가 설치된 버스의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의 "A" 부위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3은 도2의 B-B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C-C 부위를 나타낸 버스 후방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사이드윈도우(1) 제일 후단에는 버스의 후면을 형성하게 되는 리어패널(2)이 연결되는데, 상기 리어패널(2)은 버스의 측면 끝단에서 후면 쪽으로 곡면을 형성하면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패널(2)은 버스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경계면이 되는 패널로서, 상기 사이드윈도우(1) 바로 후단의 리어패널(2)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쉬패널(3)이 설치되어 버스의 측면 외관을 보기 좋게 한다.
상기 리어패널(2) 및 가니쉬패널(3)의 설치구조는 뒤에서 관련된 첨부도면을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니쉬패널(3)에 의하여 커버되는 리어패널(2)의 일측에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익스트랙터(10)가 설치된다.
상기 익스트랙터(10)는 몸체를 이루는 익스트랙터하우징(11)과,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에 개폐 가능하게 다수개 설치되는 개폐밸브(12)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밸브(12)는 버스의 차실내와 차실외의 압력차에 의하여 개방되어지는 것으로 버스가 주행하게 되면 차실내는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차실외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러한 압력차에 의하여 압력이 높은 차실내의 공기가 차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익스트랙터(10)가 상기 리어패널(2)의 일측에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리어패널(2)의 일측에는 차실내를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가니쉬홈(4)이 형성되고, 그 가니쉬홈(4)에는 가니쉬홈의 크기에 맞게 가니쉬패널(5)이 끼워지며, 상기 가니쉬패널(5)에 의하여 커버되는 리어패널(2)의 일측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공(2a)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패널의 관통공(2a)에는 다수개의 개폐밸브(12)를 갖는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의 외측에는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을 커버하기 위한 가니쉬패널(5)이 고정구(c)를 통해 버스의 리어패널(2)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버스의 실내공기가 상기 개폐밸브(12)를 통해 차외로 원활하게 배출될수 있도록 상기 가니쉬패널(5)에는 상기 개폐밸브(12)에 대응하는 크기의 배출구(5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은 상기 가니쉬패널(5)에 가려서 버스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다만 상기 배출구(5a)를 통해 익스트랙터(10)의 개폐밸브(12)만이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밸브(12)의 상단은 익스트랙터하우징(11)에 고정스크류(s)를 통해 고정설치되고 개폐밸브(12)의 하단은 자유단 상태가 되어 익스트랙터하우징(11)으로부터 자유롭게 여닫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12)는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면 족한데, 본 발명에서는 6개로 실시되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가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차 실내와 실외의 압력이 대기압 상태로 서로 동일하므로 익스트랙터(10)의 개폐밸브(12)는 자중에 의하여 닫힌 상태가 된다. 그러나, 버스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버스의 실내는 대기압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버스 실외는 달리는 주행풍에 의하여 대기압보다 현저히 낮은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차 실내는 실외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게 되어 압력이 높은 쪽, 즉 차 실내의 공기가 차 실외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에 의하면, 버스가 달리는 중에 차 실내의 혼탁한 공기가 차 실외와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차 밖으로 배출되므로 항상 버스의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버스의 사이드윈도우(1) 후단에는 차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리어패널(2)이 연결되고, 상기 리어패널(2)의 일측에는 가니쉬패널(3)이 고정 설치되는 버스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패널(3)에 의하여 커버되는 리어패널(2)의 일측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공(2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a)에는 차실내와 차실외의 압력차에 의하여 차실내의 공기를 차실외로 배출하는 익스트랙터(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트랙터(10)는 상기 관통공(2a)에 끼워지는 익스트랙터하우징(11)과, 상기 익스트랙터하우징(11) 상에 익스트랙터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며 압력차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단은 고정되고 하단은 자유단 상태가 되는 개폐밸브(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패널(3)에는 상기 개폐밸브(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폐밸브(12)의 위치와 크기에 일치되는 배출구(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1020030003703A 2003-01-20 2003-01-20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040066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703A KR20040066590A (ko) 2003-01-20 2003-01-20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703A KR20040066590A (ko) 2003-01-20 2003-01-20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590A true KR20040066590A (ko) 2004-07-27

Family

ID=3735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703A KR20040066590A (ko) 2003-01-20 2003-01-20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5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6590A (ko) 버스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070023073A (ko) 버스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0352320B1 (ko) 기차의 객실 내부 외기 유입방지장치
KR100323087B1 (ko) 차실 내의 복사열 배출 장치
KR20120012862A (ko)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KR200392492Y1 (ko) 자연풍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기
JPS6317107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167731Y1 (ko) 자동차용 외기 도입장치
KR200204482Y1 (ko) 기차의 객실 내부 외기 유입방지장치
KR0152183B1 (ko)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20090115244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0534337B1 (ko) 버스의 보조송풍장치
JP200700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0014022A (ko) 자동차용 선루프
KR0128797Y1 (ko) 자동차용 리어 벤틸레이터
KR0115727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KR19980031348U (ko) 자동차의 실내 오염공기 배출장치
KR202300906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803313B1 (ko) 버스용 출입문과 환기장치의 연동방법
CN113085486A (zh) 车辆用集成式气帘系统及车辆
JPS584647B2 (ja) 風圧を利用したバス車体の客室強制換気装置
KR19980018680U (ko) 자동차 실내 공기 자동 조절기
JPS5930732Y2 (ja) 空気調和装置付き車両
KR0119284Y1 (ko) 버스의 실내공기 환기 구조
JPS61234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