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864A -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864A
KR20040065864A KR1020030003061A KR20030003061A KR20040065864A KR 20040065864 A KR20040065864 A KR 20040065864A KR 1020030003061 A KR1020030003061 A KR 1020030003061A KR 20030003061 A KR20030003061 A KR 20030003061A KR 20040065864 A KR20040065864 A KR 2004006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esperidin
allergy
quantity quantit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래
이원경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5864A/ko
Publication of KR2004006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8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을 포함하여 인체에 특이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러지의 주된 원인인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염증유발과 관련된 산화질소 억제 효과가 우수한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PREVENTION AND ALLEVIATION COMPOSITION OF SKIN ALLERGY}
본 발명은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특이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러지의 주된 원인인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염증유발과 관련된 산화질소 억제 효과가 우수한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알러지(allergy)는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각막염, 피부 두드러기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알러지는 비만세포가 1차 적인 역할을 하며, 후반기는 염증관련 세포들이 조직 속으로 침윤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알러지의 치료에 있어서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항염증제를 함께 투여하고 있다.
피부에서 유발되는 알러지의 기작은 크게 초기단계(early phase)와 후기단계(late phase)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단계는 조직 속의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외부 항원에 의해서 T-helper cell이 활성화되고 B cell에서 IgE가 생성되면, 비만세포막의 고친화성 IgE수용체(FcRIα)에 결합한 복수의IgE항체에 진드기, 꽃가루 등의 다가 항원이 결합하여 가교를 이루면 수용체(FcRIα)가 응집하고, 이 수용체(FcRIα)의 가교 및 응집에 의하여 비만세포가 활성화되어 세포질내의 칼슘이온(Ca++) 농도 등이 상승하여 탈과립이 일어나면서 비만세포내에 저장되어 있던 히스타민이 분비되게 된다. 이외에 세포막의 인지질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포스포리파아제 D(phospholipase D) 등이 있으며,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에서 포스포리파아제 A2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포스포리파아제 D는 포스파티딘(phosphatidine)을 생성하여 탈과립시 비만세포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화학전달물질(히스타민 등)이 유리되게 된다. 또한, 동시에 새로 합성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 등이 함께 분비되어 혈관확장, 혈관투과성 항진,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분비항진 등의 작용을 하게 되어 제1형 즉시형 알러지 반응을 유발한다.
후기단계는 염증반응이 주가 되며, 1차 유발물질들이 유리된 다음 히스타민, 세로토닌(serotonin), 및 류코트리엔 이외에 호산구나 호중구 등 염증세포의 주화성 인자로 작용하는 NCF, ECF, PAF 등이 조직내로 침윤하여 염증반응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알러지 유발부위의 조직학적 변화들을 유발한다.
또한, 비만세포에 대한 자극은 IgE에 의한 자극 외에 렉틴(lectin), 아나필라톡신(anaphylatoxin) 등의 비면역적인 자극이 있으며, 그 외에 칼슘이온 운반체(calcium ionophore A23187), 컴파운드 48/80 등의 히스타민 유리촉진제, 코데인, 모르핀, 섭스탄스 피(substance P) 등의 약재도 비만세포를 탈과립하여 히스타민을 유리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히스타민이 분비되면 혈관 내피세포와 결합하여 혈관세포의 수축을 유발시키며, 이는 혈액속의 플라스마를 조직으로 삼출(extravasation)시키고, 내피세포는 혈관 근육세포를 이완시키는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과 산화질소(nitric oxide)와 같은 물질의 합성을 유도하여 혈관팽창(vasodilataion)을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기작에 의하여 히스타민 분비에 의하여 부종, 발적, 가려움 등의 반응을 나타내며, 이는 제1형 즉시형 과민반응의 전형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제1형 반응은 혈관팽창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서 치유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때 발현되는 산화질소억제제가 혈관팽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산화질소는 혈관내피세포에서 L-아르기닌의 말단질소원자로부터 합성되며 혈관내피 이외에도 다른 조직이나 대식세포에서도 만들어진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는 엔도톡신,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생성되며 암세포, 세균 등을 괴멸시키는 역할을 하여 염증반응의 최종단계에 관여하게 되며, 스테로이드 제제는 조직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히스타민이나 알러지유발 물질에 의해 유발된 알러지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러지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스테로이드 제제를 외용제로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복용 시 중추신경 장애, 소화기 장애, 혼몽상태 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 없이 알러지를 효과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인체에 특이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러지의 주된 원인인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염증유발과 관련된 산화질소 억제 효과가 우수한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 0.0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 없이 알러지를 효과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이 인체에 부작용이 없이 초기단계에서 히스타민 유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동시에 산화질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을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 0.0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스페리딘은 오렌지, 귤, 자몽, 레몬, 유자, 탱자 등의 감귤류의 과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감귤류에 들어 있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계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자연상태에서는 비타민 C(Vitamin C)와 함께 존재한다.바이오플라보노이드는 비타민 C의 흡수 및 가공에 필수적인 인자이며, 과일의 색깔을 띠는 물질로 비타민 P(Vitamin P)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헤스페리딘은 식품영양학적으로 모세혈관을 강화하여 뇌출혈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항동맥경화, 혈압강화 작용을 거쳐서 고혈압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며, 비타민의 분해를 억제하여 신체의 생리활성을 높여준다. 이외에도 항암, 항알러지, 항염증 및 항균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헤스페리딘은 감귤류로부터 추출하거나 공지된 합성방법에 의해서도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메틸헤스페리딘은 헤스페리딘을 메틸레이션(methylation)하여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메틸레이션은 미국특허 제2,425,291호, 또는 일본특허 제23091호 등에 제시된 방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은 조성물에 0.0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히스타민 유리 억제 및 산화질소 억제 효과가 낮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더욱 첨가하여 물성개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든 사용가능 하지만,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피부에 사용되는 것으로 세정제, 로션, 액상 스프레이 제제, 비누 등의 피부 외용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신용 로션(body lotion), 전신 세정제(body cleanser), 비누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은 피부발적, 구진, 가려움 등의 인체에 특이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러지의 주된 원인인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하고, 동시에 염증유발과 관련된 산화질소를 억제하여 피부알러지 완화 효과,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예 1. 쥐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억제율 측정
쥐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8주령 이상의 웅성 스프래그 다울리(Sprague Dawley, SD) 쥐를 실험 2일 전부터 먹이를 주지 않고 장관의 부피를 줄여서 복수 채취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표피를 절개하고 완충용액 30 mL를 복강에 넣고 30 초간 마사지한 후,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복수를 채취하였다. 그 다음, 22.5% 메트리즈아마이드(metrizamide) 용액 2 mL 위에 상기 채취한 복수 1 mL를 층이 혼합되지 않도록 넣고, 원심분리하여 비만세포를 분리하였다.
디메틸 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켜 농도가 각각 0.01 %, 0.001 %, 0.0001 %인 헤스페리딘과 메틸헤스페리딘을 분리된 비만세포에 1/100의 부피로 30 분 동안 처리한 후, 여기에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compound) 48/80 50 ㎍/mL를 15 분 동안 처리하여 히드타민이 유리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부탄올과 헵탄을 이용하여 상등액에서 히스타민을 추출 및 정제하고, 분리된 히스타민에 OPA(o-phthaldialdehyde)를 결합시켜 excitation 360 ㎚, emission 440 ㎚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유리된 히스타민의 양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케토티펜(Ketotifen) 0.01 %, 0.001 %, 0.0001 %를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컴파운드 48/80 단독 처리시 히스타민의 유리율이고,
B는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 처리시 히드타민의 유리율이다.
구분 헤스페리딘 메틸헤스페리딘 케토티펜
0.0001 % 24.9 % 34.2 % 21.0 %
0.001 % 44.1 % 51.4 % 22.5 %
0.01 % 89.1 % 90.5 % 38.1 %
상기 표 1을 통하여, 헤스페리딘 및 메틸헤스페리딘이 종래 알러지 치료제로사용되는 케토티펜과 비교하여 쥐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억제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사람 피부에 대한 알러지 억제 효과 측정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의 사람 피부에 대한 알러지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글리세린, 기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최종 고형물 함량이 각각 5 %, 3 % , 1 %, 0.5 %, 0.1 %, 0.05 %로 되게 준비한 후, 피시험자 10 명의 등 견갑골 아래쪽 부위에 힐 탑 챔버(hill top chamber)와 스캔포어 테이프(scanpore tape)를 이용하여 100 ㎍ 정도의 양을 16 시간 동안 폐쇄 첩포한 후, 제거하였다. 상기 시료 제거 1 시간 후 시료적용 부위에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 1%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eedle)로 프릭(prick)하고 10 분 후에 유발된 발적의 면적을 측정하고, 기준을 100으로 보았을 때의 비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통상 알러지 치료시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제제(유효성분 함량 0.05 %)를 도포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2의 수치가 작을수록 효과가 우수하다.
구분 Base 헤스페리딘 메틸헤스페리딘 스테로이드
0.05 % 100 85.2 79.7 43.5
0.1 % 100 76.9 68.5 -
0.5 % 100 64.7 62.3 -
1.0 % 100 57.3 55.6 -
3.0 % 100 54.7 52.3 -
5.0 % 100 59.3 57.6 -
상기 표 2를 통하여, 0.05~5.0 % 농도범위에서 헤스페리딘 및 메틸헤스페리딘의 사람 피부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알러지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탄소수 14~22의 알코올/탄소수 12~20의 알킬글루코시드(Montanov L, Seppic, 프랑스) 1.5 중량%, 베헤닐알코올 1.0 중량%, 스쿠알란 8.0 중량%, 바셀린 2.0 중량%, 비즈왁스 1.0 중량%, 농글리세린 5.0 중량%, 세라마이드 0.5 중량%, 헤스페리딘 0.05 중량%, 적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준비하여, 유상과 수상을 75 ℃ 배합기에 따로 준비한 후,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3000 rpm으로 10 분 동안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전신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2,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3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신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3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1
1 2 3 4 5 6 7 8 9 10 11 12
C14~22알코올/C12~20알킬글루코시드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베헤닐알코올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스쿠알란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바셀린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비즈왁스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농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세라마이드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헤스페리딘 0.05 0.1 0.5 1.0 3.0 5.0 - - - - - - -
메틸헤스페리딘 - - - - - - 0.05 0.1 0.5 1.0 3.0 5.0 -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100 중량%까지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전신용 로션의 혈관반응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시험자 20 명의 등 견갑골 아래쪽 부위에 힐 탑 챔버(hill top chamber)와 스캔포어 테이프(scanpore tape)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전신용 로션 100 ㎍을 16 시간 동안 폐쇄 첩포한 후, 제거하였다. 상기 시료 제거 1 시간 후 시료적용 부위에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 1%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eedle)로 프릭(prick)하고 10 분 후에 유발된 발적의 면적을 측정하고, 기준을 100으로 보았을 때의 비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1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상대적억제비율 75.2 66.9 61.6 59.5 54.2 65.0 71.1 65.3 61.6 60.6 52.7 62.5 100.0
상기 표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실시예 1~12의 전신용 로션이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컴파운드 48/80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은 0.05~3.0 %에서 그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3.0 % 이하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알러지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라우릴-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30% 수용액) 20 중량%, 라우릴메틸타우린나트륨(30% 수용액) 10 중량%, 라우린산트리에탄올아민 10 중량%, 미리스틴산트리에탄올아민 10 중량%, 라우릴이미다졸리니움베타인 5 중량%,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헤스페리딘 0.05 중량%, 적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기에서 교반, 가열, 탈기, 냉각하여 전신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24,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3에서 하기 표 5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신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5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라우릴-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라우릴메틸타우린나트륨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라우린산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미리스틴산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라우릴이미다졸리니움베타인 5 5 5 5 5 5 5 5 5 5 5 5 5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5 5 5 5 5 5 5 5 5 5 5 5 5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5 5 5 5 5
헤스페리딘 0.05 0.1 0.5 1.0 3.0 5.0 - - - - - - -
메틸헤스페리딘 - - - - - - 0.05 0.1 0.5 1.0 3.0 5.0 -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100 중량%까지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3~24,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전신 세정제의 알러지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시험자 20 명의 전완(forearm) 2 ㎝×2 ㎝ 부위에 상기 실시예 13~24,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전신 세정제 10% 수용액을 0.5 mL의 시린지로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문질러 거품을 내어 30 초 동안 방치하였다가, 10 초간 흐르는 물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 1%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eedle)로 프릭(prick)하고 10 분 후에 유발된 발적의 면적을 측정하고, 기준을 100으로 보았을 때의 비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상대적 억제비율 85.0 81.9 77.2 73.6 72.1 78.5 84.3 80.7 75.5 74.9 73.2 79.5 100.0
상기 표 6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실시예 13~24의 전신 세정제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컴파운드 48/80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은 0.05~3.0 %에서 그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3.0 % 이하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알러지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5
비누베이스(수분 13% 포함) 99.05 중량%, 헤스페리딘 0.05 중량%, 및 적량의향료와 색소를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비누제조기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의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6~36,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5에서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비누를 제조하였다. 이때 표 7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3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비누베이스 99.05 99.9 99.5 99 99.05 99.05 99.05 99.05 99.05 99.9 99.5 99 100
헤스페리딘 0.05 0.1 0.5 1.0 3.0 5.0 - - - - - - -
메틸헤스페리딘 - - - - - - 0.05 0.1 0.5 1.0 3.0 5.0 -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25~36,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비누의 알러지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시험자 20 명의 전완(forearm) 2 ㎝×2 ㎝ 부위에 상기 실시예 25~36,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비누 4% 수용액을 0.5 mL의 시린지로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문질러 거품을 내어 30 초 동안 방치하였다가, 10 초간 흐르는 물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 1%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eedle)로 프릭(prick)하고 10 분 후에 유발된 발적의 면적을 측정하고, 기준을 100으로 보았을 때의 비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3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상대적 억제비율 88.5 84.1 80.2 77.6 73.7 82.5 86.3 81.7 78.3 74.0 73.2 81.4 100.0
상기 표 8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실시예 25~36의 비누가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컴파운드 48/80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은 0.05~3.0 %에서 그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3.0 % 이하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알러지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은 피부발적, 구진, 가려움 등의 인체에 특이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러지의 주된 원인인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하고, 동시에 염증유발과 관련된 산화질소를 억제하여 피부알러지 완화 효과,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 0.0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스페리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이 0.0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신용 로션(body lotion), 전신 세정제(body cleanser), 및 비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피부 외용제인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030003061A 2003-01-16 2003-01-16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40065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061A KR20040065864A (ko) 2003-01-16 2003-01-16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061A KR20040065864A (ko) 2003-01-16 2003-01-16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864A true KR20040065864A (ko) 2004-07-23

Family

ID=3735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061A KR20040065864A (ko) 2003-01-16 2003-01-16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58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22A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휴온스 허니부쉬 추출물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059775A1 (ja) * 2020-09-17 2022-03-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オートファジー活性化剤
WO2024010035A1 (ja) * 2022-07-06 2024-01-11 株式会社レゾナック ウイルス感染抑制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22A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휴온스 허니부쉬 추출물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059775A1 (ja) * 2020-09-17 2022-03-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オートファジー活性化剤
WO2024010035A1 (ja) * 2022-07-06 2024-01-11 株式会社レゾナック ウイルス感染抑制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EP3538219B1 (en)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acne
JPH1036276A (ja) 抗アレルギー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アレルギー性化粧料並びに食品
JP2003518066A (ja) オリゴ糖を含む組成物、特に化粧品用または皮膚科用組成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化粧品処置方法
WO202114906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and diseases of the skin
JP2005082600A (ja) 皮膚症状の治療方法
JP6232180B2 (ja) 烏梅抽出物を含む皮膚刺激緩和用組成物
JP2003212786A (ja) 竹の抽出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外用薬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WO2021017448A1 (zh) 具有止痒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KR20040065864A (ko)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KR101114506B1 (ko)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JP5717958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並びに該セラミド産生促進剤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皮膚外用剤、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
JPH10175868A (ja) 津液改善組成物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3251A (ko) 승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82580B1 (ko) 죽여 추출물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TW201924705A (zh) 用於治療及/或預防發炎性皮膚病的馬達加斯加蠟菊(helichrysum gymnocephalum)萃取物
KR20150050982A (ko) 아실화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20040011236A (ko)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조성물
KR101750847B1 (ko)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