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847B1 -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847B1
KR101750847B1 KR1020150129123A KR20150129123A KR101750847B1 KR 101750847 B1 KR101750847 B1 KR 101750847B1 KR 1020150129123 A KR1020150129123 A KR 1020150129123A KR 20150129123 A KR20150129123 A KR 20150129123A KR 101750847 B1 KR101750847 B1 KR 101750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skin
composition
be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494A (ko
Inventor
한상미
홍인표
우순옥
김세건
장혜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2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3Amines having hydroxy groups, e.g. sphing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은, 라놀린(Lanolin) 5-10 wt%, 페트롤라텀(Petrolatum) 3-5 wt%, 스테라일산(Stearic Acid) 6-7 wt%, 프로필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Propyl Parahydroxybenzoate) 0.03-0.06 wt% 및 잔부는 정제수인 조성물에 있어서, 봉독(Bee venom) 0.5~1.5 wt%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1-4 wt%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통해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봉독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Bee venom composition for enhanced degradation of intradermal bee venom}
본 발명은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봉독이 피부각질층중부에서 분해되도록 봉독의 분해를 촉진시켜줌으로써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갖게하는 봉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질환은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의 피부에서 나타나는 모든 이상소견을 말한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자외선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또한, 유전, 염증, 양성 및 악성 종양, 호르몬, 외상, 퇴행변성 등의 병적 변화에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질환이 유발된다. 염증성 피부질환이란 피부 상피내에 일련의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염증성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oic dermatitis) 및 여드름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해서는 주로 스테로이제, 항히스타민제, 비타민 연고, 부신피질 호르몬제가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임상효과의 탁월함과 동시에 다양한 부작용을 발현하는 약제들이다. 따라서, 보다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질 중 봉독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 또는 외용제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봉독은 벌 복부 끝 독낭(毒囊)에 저장되어 봉침과 연결되어 자극 시에 분비되는 동물성 천연생리 활성물질로서 봉독의 성분을 분리 정제하여 치매나 암치료에 이용하는 등의 봉독처리 후 효과를 확인하는 생리적 연구나 봉독의 성분분석에 대해서는 이미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봉독은 한의학에서는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증 효과와 항암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으며, 봉독을 이용한 여러 개발 연구는 이미 많은 연구기관에서 수행된 바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번호 제10-1424105호(봉독을 포함하는 피부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및 한국등록번호 제10-1165510호(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피부 질환 치료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봉독 성분이 피부각질층중부까지 분해되도록 봉독의 분해를 촉진시켜주는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펩타이드와 효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봉독이 피부 내에 흡수 분해되어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봉독 조성물을 개발해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은, 라놀린(Lanolin) 5-10 wt%, 페트롤라텀(Petrolatum) 3-5 wt%, 스테라일산(Stearic Acid) 6-7 wt%, 프로필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Propyl Parahydroxybenzoate) 0.03-0.06 wt% 및 잔부는 정제수인 조성물에 있어서, 봉독(Bee venom) 0.5~1.5 wt%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1-4 wt%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봉독은 정제봉독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 0.05~0.1 wt%가 더 포함되거나, 또는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 0.03~1.5 wt%가 더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필글리콜(Propylene Glycol) 3~7wt%가 더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인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또는 피부질환 예방용 화장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통해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봉독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을 제공한다.
설명하면, 봉독은 일반적으로 피부도포시 피부각질층 상부에서 모두 흡수되어 피부 내까지 침투하여 그 효력을 발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하기 실험예에도 뒷받침되듯이 일반적으로 봉독이 함유된 조성물의 경우에는 피부각질층 상부에서부터 봉독의 잔존물이 남아 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에 대해서 상기 봉독의 적용효과는 예상했던 것보다 미흡하여 기존에 쓰이는 화학제인 항히스타민제 또는 스테로이드제의 대체제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차례 연구한 바, 봉독의 유효성분들이 피부 내까지 침투하도록 하여 피부 각질층중부에서 봉독의 분해를 촉진시켜줌으로써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갖게 하는 봉독 조성물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하기 실험예에도 뒷받침되도록 본 발명에서 개발된 봉독 조성물의 경우에는 피부각질층 상부에는 멜리틴의 함량이 확인되었으나 피부각질층 내부에는 그 함량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 봉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단계: 봉독 준비
본 단계에서는 하기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봉독을 먼저 준비하되, 바람직하게는 정제봉독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종에서 분리된 정제봉독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나, 바람직하게는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L.)에서 분리된 정제봉독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간(연령)이 경과되어도 독 성분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15일령 이상된 일벌에서 분리한 후, 이를 간이정제방법을 통해 균오염을 일으키는 당류와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얻은 순수한 수용성을 갖는 정제봉독을 사용하는 것이 약학용, 화장용, 기능성 식품용 등 어느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인체에 안전한 상태로 구성되므로 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제2단계; 봉독 조성물 제조
본 단계에서는 먼저,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도로 일반적으로 함유되는 구성성분인 라놀린(Lanolin), 페트롤라텀(Petrolatum), 스테라일산(Stearic Acid), 프로필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Propyl Parahydroxybenzoate) 및 잔부는 정제수가 포함되도록 준비한다.
이때, 상기 라놀린(Lanolin)은 5-10 wt%, 상기 페트롤라텀(Petrolatum)은 3-5 wt%, 상기 스테라일산(Stearic Acid)은 6-7 wt%, 상기 프로필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Propyl Parahydroxybenzoate)은 0.03-0.06 wt% 가 포함되도록 준비한다.
그 다음 여기에 봉독(Bee venom)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이 포함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봉독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봉독(Bee venom)은 0.5~1.5 wt%, 중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은 1-4 wt%로 포함되도록 하여 제조한다.
이는 상기 봉독의 함량이 0.5 wt% 미만 함유될 경우에 본 발명이 목적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1.5 wt%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봉독의 독성으로 인해 외용제 또는 화장료의 소재로 사용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이 1 wt% 미만 함유될 경우에는 중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봉독이 피부 내부까지 침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4 wt%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트리에탄올아민의 독성으로 인해 외용제 또는 화장료의 소재로 사용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봉독 조성물에는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 0.05~0.1 wt%가 더 포함되거나, 또는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 0.03~1.5 wt%가 더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필글리콜(Propylene Glycol) 3~7wt%가 더 포함되기도 한다,
상기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은 피부의 부드러움을 증진시켜주는 것이므로, 0.05 wt%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피부의 발림성이 낮아서 피부표면에 골고루 도포가 어려워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골고루 얻기 어려우며, 0.1 wt%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 발림성으로 인해 오히려 봉독이 피부각질층 상부에서 모두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과 상기 프로필글리콜(Propylene Glycol)은 용해력이 우수하고,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며, 발효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상기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의 함량이 0.03 wt%미만이거나, 상기 프로필글리콜의 함량이 3 wt%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능이 미흡하여 외용제 또는 화장품의 제품화가 어려우며, 상기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의 함량이 1.5 wt% 초과하거나, 상기 프로필글리콜의 함량이 7 wt%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오히려 과량의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 또는 프로필글리콜(Propylene Glycol)에 의해 봉독이 피부각질층 상부에서 모두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이 조성된 봉독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 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특히, 알러지성 피부 질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우수한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다.
상기 봉독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합물이 아니라 천연 성분을 기초로 하므로 안전하고 독성,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의 복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염증성 피부 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발생될 수 있는 소, 개 등의 동물에게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봉독 조성물은 피부질환에 대해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외용제 또는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조성물을 처리하여 염증성 피부 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에는 급만성습진, 접촉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지루피부염, 만성단순태선과 같은 질병이 포함되나 염증 반응 및 알러지 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질병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두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본원에서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봉독 조성물의 처리로 상기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원에서의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봉독조성물의 처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은 봉독조성물을 포함하는 외용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 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외용제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외용제로 사용할 경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연고제, 코팅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봉독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봉독 조성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물, 생리식염수, 글리세롤,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등 피부외용 부형제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의 피부외용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품은 상기 봉독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고제(ointment), 크림(cream),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로션), 에멀젼, 아스트린젠트,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서스펜션,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은 당해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봉독 조성물의 함량은 항산화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봉독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조성대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봉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본 베이스로는 라놀린(Lanolin) 8.5% w/v, 페트롤라텀(Petrolatum) 4.2 % w/v, 스테라일산(Stearic Acid) 6.8 % w/v, 프로필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Propyl Parahydroxybenzoate) 0.05 % w/v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봉독
(Bee venom)
1 % w/v 1 % w/v 1 % w/v 1 % w/v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 0.1 % w/v 0.05 % w/v 1 % w/v 0.01 % w/v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 0.05 % w/v 1.5 % w/v 2 % w/v 0.001 % w/v
프로필글리콜(Propylene Glycol) 5 % w/v 7 % w/v 10 % w/v 1 % w/v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1 % w/v 4 % w/v 0 % w/v 0.5 % w/v
정제수(Purified water)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험예 1> 봉독 조성물의 피부 투과 시험
1. 실험방법
1) 렛트 피부 적출
Sprague-Dawley 렛트(♂, 체중 230±20g) 피부를 적출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설명하면, 시험 12시간 전 랫트를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ar)로 치사시킨 후 등 부의의 털을 전기제모기를 이용하여 각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제모한 후 적출하였다.
적출 부위의 면적은 5 × 5 cm2으로 적출하여 피하지방을 제거한 후 실험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2) 기제에 따른 봉독의 지표성분인 멜리틴의 피부 투과도 측정방법
① 수용기(receptor phase)로는 충분한 용해도가 확인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멜리틴이 투과되는 동안 가라앉는 상태(sink condition)를 유지하였다.
②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600 rpm으로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항온순환펌프를 이용하여 receptor phase의 온도를 32±0.5로 유지하였다.
③ receptor phase와 접촉하는 피부의 면적은 약 1.766 cm2이었고, receptor phase의 용량은 12ml 이었다.
④ 시험 전 냉동 보관된 렛트 피부를 생리식염수에 수화시키며 서서히 해동하고, 제제 적용 전과 적용 후 1, 2, 3, 4, 5, 6, 8, 10, 12, 24, 그리고 36시간에 각각 0.2ml의 receptor phase를 채취하고 즉시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보충하였다.
⑤ 최종 시료를 채취한 직후 피부를 Franz diffusion cell(PemeGear)로부터 분리하여 증류수로 피부 표면을 세척하고, tape stripping method로 각질과 피부층을 분리하였다.
⑥ 각질층이 제거된 피부는 다시 표피와 진피 부분으로 분리하였다.
⑦ 각 피부층과 receptor phase에 이행된 봉독 중 멜리틴의 농도를 LC-MS/MS 분석법을 이용하여 정량. 각 시료 중의 멜리틴은 분석 전 증류수에 충분히 추출하였다.
3) MRM 크로마토그래피 측정방법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 텐덤질량분석기법(LC/MS/MS)을 이용하여 봉독의 주요성분인 멜라틴(melitin)을 정량분석하였고, 분석조건을 하기와 같다.
가. 사용기기
- LC/MS/MS : API 2000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equipped with a tubo ion spay ionization (ESI) source coupled with Waters 2690 HPLC separation module
- Integrator : Analyst 1.4
- Analytical column : Halo®C18 column(2.1 × 50 mm, 2.7μm)
- Guard coumn : SecurityGuard Guard Catridge
나. 조건
- 이동상 : Binary solvent gradient of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and D.W
Time(min) Composition
(ACN ; DW, both containing 0.1% formic acid)
0 - 0.5 5 : 95
1 - 3.5 70 : 30
4 - 10 5 : 95
- 유속 : 0.3 ml/min
- 컬럼 온도 : 30℃
- 주입량 : 5μl
다. MS/MS 조건
Parameter Melittin Internal standard(felodipine)
Polarity Positive [M+5H] Positive [M+H]
Mass transition(m/z) 570.1 -> 86.2 384.0 -> 337.9
Dwell time(ms) 300 300
DP(V) 31 21
EP(V) 370 370
EP(V) 3.5 12
CE(V) 61 23
CXP(V) 2 12
Curtain gas(psi) 25 25
Collision gas(psi) 4 4
Turbo gas temperature(℃) 320 320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Time(h)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N.D. N.D. N.D. N.D.
2 N.D. N.D. N.D. N.D.
3 N.D. N.D. N.D. N.D.
4 N.D. N.D. N.D. N.D.
5 N.D. N.D. N.D. N.D.
6 N.D. N.D. N.D. N.D.
8 N.D. N.D. N.D. N.D.
10 N.D. N.D. N.D. N.D.
12 N.D. N.D. N.D. N.D.
24 N.D. N.D. N.D. N.D.
36 N.D. N.D. N.D. N.D.
상기 표 4에 나타나 있듯이, receptor phase 시료를 분석 한 결과, 모든 시간대에서 receptor phase에서 멜리틴은 검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표면과 각질층 그리고 전피부층 멜리틴의 피부투과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실험 종료 후 receptor phase에 남아 있는 멜리틴의 양(표 4), doner phase에서 측정된 양(피부 표면에 남아 있는 양) 그리고 피부에 남아 있는 양을 각각 구한 후 이들의 합으로부터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Matrices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Wash N.D. N.D. N.D. N.D.
Tape 0 < 0.05% < 0.05% < 0.05% < 0.05%
Tape 1
(각질층상부)
< 0.05% < 0.05% N.D. N.D.
Tape 2
(각질층중부)
N.D. N.D. N.D. N.D.
Tape 3
(각질층하부)
N.D. N.D. N.D. N.D.
Viable epidermis N.D. N.D. N.D. N.D.
Dermis N.D. N.D. N.D. N.D.
상기 표 5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 2의 봉독조성물은 각질층 상부에서부터 멜리틴이 확인되지 않은바, 피부 상부층에서 피부 내부까지 침투하지 못하므로 실제 피부 내부에 봉독의 효력이 미치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각질층 상부에서는 멜리틴이 확인되었으나 각질층 중부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봉독이 피부층 상부에 투과되어 피부내의 효소에 의해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봉독조성물은 피부층상부까지 봉독이 투과되어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측정된 회수율은 0.05% 미만으로써 매우 낮았으며 이를 통해 멜리틴이 receptor에서 검출되지 않는 이유가 피부를 전혀 투과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라 피부 내 효소에 의해서 대사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봉독은 피부 내에서 효과를 내고, 잔류하지 않아 기존에 화학제보다 안전함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화장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봉독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전체중량기준 유효성분 10.0 mg, 글리세린 3.0 mg, EDTA 0.05 mg, 벤조페논-9 0.04 mg,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mg, 옥시도테세스-25 0.6 mg,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mg, 방부제 0.01 mg, 향료 0.01mg,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연고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봉독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전체중량기준 유효성분 1.0 중량%, 밀납 1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라놀린(Lanolin) 5-10 wt%, 페트롤라텀(Petrolatum) 3-5 wt%, 스테라일산(Stearic Acid) 6-7 wt%, 프로필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Propyl Parahydroxybenzoate) 0.03-0.06 wt% 및 잔부는 정제수인 조성물에 있어서,
    봉독(Bee venom) 0.5~1.5 wt%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1-4 wt%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통해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호전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독은 정제봉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통해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호전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네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 0.05~0.1 wt%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통해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호전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디소듐에디테이트(Disodium Edetate) 0.03~1.5 wt%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통해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호전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프로필글리콜(Propylene Glycol) 3~7wt%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통해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호전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29123A 2015-09-11 2015-09-11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KR101750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123A KR101750847B1 (ko) 2015-09-11 2015-09-11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123A KR101750847B1 (ko) 2015-09-11 2015-09-11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94A KR20170031494A (ko) 2017-03-21
KR101750847B1 true KR101750847B1 (ko) 2017-06-28

Family

ID=5850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123A KR101750847B1 (ko) 2015-09-11 2015-09-11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8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0451A (en) 1976-11-02 1978-01-24 Howard Price Hoof care emulsion or cre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0451A (en) 1976-11-02 1978-01-24 Howard Price Hoof care emulsion or c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94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125B1 (ko) 탈모 방지 보조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KR20160036236A (ko) 극지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Zhang et al. Hair growth promotion effect of cedrol cream and its dermatopharmacokinetics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3195684B2 (ja) 皮膚化粧料
EP1890769A1 (en) Hair tonic
KR20130138677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750847B1 (ko) 피부 내에 봉독의 분해 촉진을 위한 봉독 조성물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2061A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38664B1 (ko) 5-아미노레불린산을 포함하는 피부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858627B1 (ko) 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7053B1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2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184128A1 (ja) シロリムスまたはその誘導体を含有する局所適用外用剤
KR101286140B1 (ko) 연근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267882A (ja) 皮膚化粧料
KR10241730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09241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3970B1 (ko)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6826B1 (ko) 프리클리페어열매, 서양측백나무잎 및 마돈나백합비늘줄기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6002510B2 (ja) エストロゲン受容体β活性化剤
JP2000169328A (ja) 表皮透過バリア強化剤及び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